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침 자극에 의한 오디 괄약근 운동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이성구,김명완,김홍자,서동환,이상수,김동일,유교상,주연호,민병일,김지훈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1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Vol.2000 No.-

        Background/Ai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d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the sphincter of Oddi (SO) motility in humans and to correlate the manometric findings with plasma cholecystokinin (CCK) levels. Methods: Eleven patients (M: F= 5: 6) who had various kinds of biliary disorders were enrolled. SO motility was monitored with a conventional low-compliant continuously perfused technique using ERCP (n=9) or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e (n=2). After baseline monitoring for phasic wave contractions of SO, electroacupuncture was applied at a specific acupoint, GB 34, in these 11 patients. A nonspecific acupoint 5 cm away from GB 34 was selected as a control. Manometric parameters of SO were also checked in 6 subjects during stimulation of the control acupoint. CCK plasma levels were measured during the time course of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Result: All the manometric parameters including the basal pressure of SO, amplitude, frequency and duration of phasic wave contraction of S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0.05) during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 inhibition of SO contractility was accompanied by increased CCK plasma levels. After removal of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restoration of amplitude and duration to basal condition were noted. A tendency towards the return of SO contractility was also observed in basal pressure and frequency. Stimulation of the control acupoint, however, did not affect the SO contractility and plasma CCK levels. Conclusions: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f acupoint GB 34 showed reversible inhibition of SO contraction in humans. We speculate that the response of SO to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may be mediated by some neurohormonal mechanisms including CCK releas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0;6:44-41)

      • KCI등재

        대면적 초고주파 용량결합 플라즈마 전극의 전기장 균일도 개선

        구교욱(Kyo-Woog Koo),김일중(Il-Jung Kim),구경완(Kyung-Wan Koo) 대한전기학회 2020 전기학회논문지 Vol.69 No.1

        Large area PECVD processes have been evolved from HF to VHF technology. The larger the substrate and the higher the frequency, the stronger the standing wave is creat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de. In this paper, a seven steps of design proces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standing waves by the shape deformation of electrode concave structure. Sheath thickness of 2 mm and cutting depth of 3.4 mm were simulated under the conditions of circular electrode of 1.1 m diameters, excitation frequency of 40.68MHz and gap of electrode 15mm at 4Torr. The non-uniformity was improved from 9.9%. to 1.1% adapting the processes. The same method was applied to the rectangular electrode to improve the electric field uniformity by cutting the upper electrode by making a mock up in proportion to the processing depth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using electric field analysis.

      • PCR Detection of Ranavirus from Dead Kaloula borealis and Sick Hyla japonica Tadpoles in the Wild

        Il-Kook Park,Kyo-Soung Koo,Kwang-Yeon Moon,Jin-Gu Lee,Daesik Park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7 한국양서·파충류학회지 Vol.8 No.1

        2016년 7월과 6월 대전과 합천에서 각각 폐사한 맹꽁이 (Kaloula borealis) 성체들과 병적증상을 보인 청개구리 (Hyla japonica) 유생들을 발견하였다. 두 종 모두 라나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증세인 부종과 피하출혈이 확인 되어 라나바이러스의 주기저단백질(Major Capsid Protein) 유전자에 특이적인 MCP4/MCP5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로 감염여부를 결정하였다. 검사한 6마리 의 맹꽁이 중 3마리와 11마리의 청개구리 유생 중 1마 리로부터 각각 목표로 한 500 bp DNA 분절을 확인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야외 양서류에서 라나바이러스 의 첫 번째 PCR 검출 결과이며, 더불어 맹꽁이의 폐사 와 청개구리 질병증상에 라나바이러스가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In July and June, 2016, we found dead adult Kaloula borealis in Daejeon and sick Hyla japonica tadpoles in Hapcheon, Gyeongnam, respectively. Edema and subcutaneous hemorrhage, typical symptoms of ranavirus infection, were observed on the specimens. To determine potential ranavirus infectio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a specific primer set of MCP4/MCP5, which targeting a partial sequence of ranavirus Major Capsid Protein (MCP) gene, was executed. In the PCR, 3 out of 6 K. borealis and 1 out of 11 H. japonica examined produced a targeted 500 bp DNA fragment. As the first report on ranavirus infection in wild amphibians in South Korea, our finding suggests that ranavirus was involved in the mortality of K. borealis and diseased symptoms of H. japonica in the wild.

      • SCISCIESCOPUS

        Arrowhead-Shaped Microelectrodes Fabricated on a Flexible Substrate for Enhancing the Spherical Conformity of Retinal Prostheses

        Kyo-in Koo,Sangmin Lee,So Hyun Bae,Jong Mo Seo,Hum Chung,Dong-il Cho IEEE 2011 Journal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Vol.20 No.1

        <P>In this paper, a novel microelectrode array (MEA), with varying arrowhead shapes, is fabricated and evaluated for retinal prostheses. The proposed MEA has a total of 199 arrowhead-shaped microelectrodes, with heights ranging from 42 to 123.5 μm. This height variation allows each microelectrode to contact the spherical eyeball conformably and to approach the stimulation target retinal cells very closely. The fabricated MEAs are implanted in rabbit eyes. The physical contact of the MEA is evaluated using optical coherent tomography (OCT) images, which show that the implanted MEA makes an excellent conformal contact with the spherically shaped retinal layers. These OCT images also exhibit good biocompatibility of the implanted MEA.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A has a high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s. Our ongoing project is aimed at clinical application in three years. [2010-0037].</P>

      • 국내 연안의 바다뱀 출현 현황 및 연구 동향

        Il-Hun Kim,Jaejin Park,Jonathan J. Fong,Tein-Shun Tsai,Mamoru Toda,Ho Young Suk,Han-Gyu Bae,Mi-Sook Min,Young Se Hyun,Il-Seon Hwang,Hye Suck An,Woo-Jin Choi,Kyo-Soung Koo,Robert H. Kaplan,Jong-Nam Lee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7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7

        본 연구를 시작한 때(2012년)까지 한국 연안에는 진정바다뱀아과 내에 먹대가리바 다뱀(Slender necked sea snake, Hydrophis melanocephalus Gray, 1849), 얼룩바다뱀 (Annulated sea snake, Hydrophis cyanocinctus Daudin, 1803), 바다뱀(Yellow bellied sea snake, Pelamis platura (Linnaeus) 1766) 의 3종이 보고되어 있었으나, 대부분 도 감상의 출현기록에 그쳤을 뿐 국내 어디에서 표본 및 자료가 없는 실정이었다. 지속 적인 기후변화 및 이에 따른 해수 온도의 상승 등으로 한국 연안에 바다뱀의 출현가 능성이 높아지고, 연 중 서식 가능성도 추정되나 인적, 물적 한계로 인하여 관련연구 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우리는 바다뱀의 국내 연안에 실제적인 관찰 유무 및 개략적인 분포에 대한 정보 를 얻기 위하여, 바다뱀과 관련된 국내의 주요 기관 조사, 포털 사이트 검색 그리고 어민을 대상으로 전화 및 현지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화설문 대상 자 145명의 19.3%인 28명, 인터뷰 대상자 153명의 34.6%인 53명이 직접 혹은 청문으 로 바다뱀을 관찰하였으며, 관찰한 지역은 주로 남해안과 제주도 인근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연구과정 에서 1종의 바다뱀(P. platurus)과 2종의 미 기록종의 사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종의 미 기록종은 사진 속 바다뱀들의 원통형 몸과 배비늘을 가지는 특 징에 근거 하여 우리나라에 보고된 사례가 없는 큰바다뱀아과 (Laticaudinae)내 큰바 다뱀속(Laticauda)에 속하는 종들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진정바다뱀 아과와 큰바다뱀아과에 속하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 다 많은 종수의 바다뱀이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제주도 근해에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또한 자료 수집과정에서 1995년 8월 22일 부산 수영구에서 출현하여 보고된 먹대가리바다뱀의 사진자료를 확보하여 검토한 결과, 진정바다뱀이 아닌 큰 바다뱀아과(Laticaudiinae)의 특성인 넓은 배비늘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확보한 13건의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형태적인 분류를 수행한 결과, 비간판(internasal scales) 의 존재, 연푸른 체색, 가로로 나누어진 주둥이끝판(Rostral), "V"자 형태의 줄무늬 등 의 특성에 따라 넓은띠큰바다뱀(Chinese sea snake L. semifasciata Reinwardt in Schlegel, 1837)을 오동정 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직까지 한국 내에 보고 기 록이 없었던 큰바다뱀아과의 종이 30년 전에 최초 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청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연안의 바다에서 바다뱀 분포에 대한 정보 및 샘플을 시민의 활동을 통해 확보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해안지역과 제주도에 제보 를 권하는 바다뱀 포스터와 현수막을 게시하고 제보를 접수하였다. 연구수행결과 2013년 3월부터 2017년 6월 사이 46건의 신뢰성 있는 제보가 접수되었다. 바다뱀(sea snake) 제보는 19건으로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에서 접수되었으며, 시기적으로는 8-11 월 사이가 많았다. 총 3종 19건의 바다뱀 분포정보와 3종 14개체의 포획이 가능하였 다. 바다뱀의 오제보는 27건 이었는데, 육지뱀이 7건, 어류가 18건, 무척추동물과 사 물이 각 1건이었다. 자료를 바탕으로 시민을 활용한 효율적 바다뱀 조사방법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확보한 개체를 이용하여 2015년 9월 한국 연안에서 공식적인 기록이 없었던 넓은 띠큰바다뱀의 서식을 확인하였고, 11월까지 확보된 3개체를 바탕으로 미기록종 보고 를 수행한 바 있다(Park et al. 2016). 이후 2016년 9월까지 제주도와 부산, 여수시 등 에서 12개체를 확보하였다. 연구 수행 중 어민을 통해 한국에 기록된 바 었던 좁은 띠큰바다뱀(Blue-banded Sea Krait Laticauda laticaudata Linneus, 1758)을 최초로 포 획하였다. 해당 개체는 2016년 10월 20일 제주도 서귀포시 마라도리에서 어민에 의 해 확보되었다. 옆쪽으로 향한 콧구멍, 인근 비늘보다 넓은 배비늘, 수평으로 나누어 지지 않은 주둥이끝판, 두개의 앞이마판(prefrontals), 규칙적인 검은 줄무늬 등의 형 태적 특성에 따라 해당 종을 좁은띠큰바다뱀으로 분류하였고, mitochondrial cytochrome b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해당 개체가 잘 알려진 좁은띠큰바다뱀의 Haplotype과 유전적으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2017년 6월 22일 제주도 성산읍 에서 바다뱀(H. platurus) 1개체를 확보하였다. 형태적으로 주둥이 끝이 납작하고 새 의 부리를 닯았으며, 등면이 검고 배면이 노란색을 띄는 체색, 흰색바탕에 검은색 점 무늬를 가지는 꼬리 등의 특성에 따라 동정하였다. 바다뱀은 1956년 부산 초량 근해 에서 발견되어 보고된 후 공식기록은 전무한 실정이며, 다만 본 연구를 통해 2012년 7월 9일 제주도와 거문도 사이의 224-7해구에서 발견된 개체의 사진이 확보된 바 있 다. 이번 보고를 통하여 한국에는 5종의 바다뱀(바다뱀, 얼룩바다뱀, 먹대가리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이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온도의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바다뱀의 분포 확 산이 예상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바다뱀의 확보를 위하여 노력하고, 서식범위를 밝 힐 계획이다. 특히 한국 연안은 열대성의 바다뱀의 서식범위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서식범위의 확인이 의미하는 바가 크다. 상위 분류군인 코브라과에서 큰바다뱀아과의 종들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 기 위하여 한국, 일본, 필리핀, 대만에서 확보한 3종의 큰바다뱀아과(yellow-lipped sea kraits L. colubrina, 좁은띠큰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를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중 4개의 코딩유전자(12S rRNA, 16S rRNA, ND4, Cytb)를 분석하였다. 확보 한 3종의 큰바다뱀아과 유전자를 GeneBank에서 획득한 아시아와 Australo- Melanesian 지역의 코브라과 55종의 유전자와 비교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3종의 큰 바다뱀아과 종의 전체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밝혔고, 큰바다뱀아과 3종의 계통분류 학적 관계와 분화시기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 중 13개 코딩유전자 부위를 NCBI Genebank에서 확보한 육상 코브라과 5종, 살모사과(Family Viperidae) 1종의 유전자 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큰바다뱀속은 육상의 코브라에서 분화하였고, 아마 아 시안 대륙의 코브라에서 약 16.23 Mya 전에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큰바다뱀속 3종의 mitogenome을 분석한 결과 3종 모두 13개의 단백질 코딩유전자(protein coding genes), 22개의 tRNAs, 12s rRNAs, 16s rRNAs 와 2개의 control region을 가 졌으며, 염기서열 크기는 17,170에서 17,450 사이로 밝혀졌다. mitogenome 분석결과 L. colubrina 는 넓은띠큰바다뱀보다 좁은띠큰바다뱀과 유전적으로 최근에 분화되었으 며, 3종의 큰바다뱀은 8 ~ 10 Mya 전 사이에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는 향후 큰바다뱀속 종들의 집단분석을 위하여 454 sequencing 기법을 이용하 여 얻어진 65,680개의 microsatellite 서열로부터 21개의 다형성 microsatellite marker 를 개발하였다. 21개 다형성 마커를 이용하여 넓은띠큰바다뱀(한국, 일본, 대만 등에 서 채집된) 36개체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좌위당 대립유전자의 종류는 평 균 7.38개였고, 예측 이형접합도와 관측 이형접합되는 각각 0.73과 0.76 이었으며, 마 커의 다양성 정보 함량 (PIC)는 평균 0.7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넓은띠큰바다뱀에 서 개발된 21마커를 이용하여 큰바다뱀아과의 2종(L. colubrina, 넓은띠큰바다뱀)에 대 한 교차적용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78.6%의 높은 교차적용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 해 넓은띠큰바다뱀를 비롯한 큰바다뱀아과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유전학적 분석 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바다뱀의 종 및 분포를 확인하고, 출현한 개체를 대상으로 유전적 분화과정을 규명하며, 향후 연구를 위한 다형성 microsatellite marker를 개발하였다. 지속적인 기후변화 및 이에 따른 해수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열대 혹은 아열대성 바다뱀이 지속적으로 북상하고, 한국 연안에 정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우리는 지속적으로 바다뱀 출현을 모 니터링하고, 관리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개발된 마커를 이용하여 한국과 인접 국(대만, 일본, 중국, 필리핀 등)의 개체군관 집단분석을 통해 바다뱀의 유입에 대한 실체적인 규명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 (No. 2014R1A14A01005302)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사업 (2017M01200, 2017M02000)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 500㎸ 가공 직류시험선로 설계 및 구축

        신구용(Koo Yong Shin),임재섭(Jae Seop Lim),이원교(Won Kyo Lee),이동일(Dong Il Lee),황갑철(Kab Cheol Hwang)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4

        본 논문은 국내 실정에 적합한 초고압 가공 직류 송전(HVDC)선로 설계를 위해서 세계적으로 처음 시도되는 가변 기능을 지닌 Proto Type HVDC 실규모 시험선로의 설계와 구축에 대해 소개한다. 시험선로는 초고압 직류송전시 발생하는 이온의 흐름에 의한 이온전류 밀도, 대전 전압, 지표연면 전계강도 등 이온류(Ion流)에 의한 전기환경장애 및 코로나 영향을 검토하여 환경 친화적 HVDC 송전선로 설계기준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HVDC 실규모 시험선로는 요크, 특수 애자련, 특수 arm을 사용하여 철탑의 극간 배치, 도체 배치 변경 및 지상고 변경이 가능하도록 winch를 채용하여 절연설계 조건의 유동성, 환경, 지지물, 송전기자재, 경제성 및 운용의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특수한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본 논문은 상용 가공 HVDC 송전 방식의 적용에 앞서 현재의 상황을 고려한 가공 HVDC 실증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선로의 설계 및 구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KCI등재

        국내 뱀류 9종의 비늘 크기와 형태 비교

        구교성 ( Koo Kyo Soung ),박소현 ( So Hyun Park ),김종선 ( Jong Sun Kim ),권세라 ( Sera Kwon ),최우진 ( Woo Jin Choi ),박일국 ( Il Kook Park ),조한나 ( Han Na Cho ),박재진 ( Jae Jin Park ),오홍식 ( Hong Shik Oh ),박대식 ( Daesik Pa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7 생태와 환경 Vol.50 No.2

        Body scales directly exposed to external environments can be an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a species such as habitat features, life history and basic ecology. In this study, we compared size and morphology of dorsal, outermost dorsal, keeled dorsal and ventral scales of total nine snake species in Korea; Oocatochus rufodorsatus, Elaphe dione, Rhabdophis tigrinus, Amphiesma vibakari, Dinodon rufozonatum, Hierophis spinalis in the Colubridae and Gloydius ussuriensis, G. brevicaudus, G. saxatilis in the Viperida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ales seem to well reflect foraging modes and moving activity of both families. Uniquely D. rufozonatum had a diamond shape dorsal scale and had the greatest and smallest value of the ratio of width/length of dorsal and ventral scales, respectively. O. rufodorsatus, D. rufozonatum and H. spinalis did not have keeled dorsal scales and E. dione had keel on the few of dorsal scales. In addit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ales of three viper species were closely consistent with previously known phylogenetic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