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소장 트뤼브너 조상비(造像碑, the Trübner Stele)의 진위 논쟁 재고(1) ―조상기(造像記)와 문헌 및 금석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하정민 ( Ha¸ Jungm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7 No.-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내 아시아관에는 높이가 308cm에 달하는 대형 불교 조상비가 전시되어 있다. 이 조상비는 〈트뤼브너 조상비(the Trübner stele)〉로 불리는데, 이전 소장자였던 외르그 트뤼브너(Jörg Trübner, 1902?-1930)의 성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 명문에 의하면 이 조상비는 북위(北魏) 영희(永熙) 2년(533)에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동위(東魏) 무정(武定) 원년(元年, 543)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트뤼브너 조상비〉는 구미의 여러 유명 미술관에 소장된 중국 불교 조각들 중에 가장 논의가 분분한 예 중 하나이다. 이 조상비는 6세기 불교 조각의 가장 중요한 명작으로 높이 평가받기도 했으며, 동시에 20세기 초의 위작이라고 폄하되기도 하였다. 특히 〈트뤼브너 조상비〉 정면의 많은 부분이 보수되면서 원형을 잃고 다시 조각되었다며 그 의미가 축소되기도 했다. 〈트뤼브너 조상비〉를 둘러싼 논란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간단하지 않지만, 중국 불교미술 연구사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구미(歐美)의 중국 조각 컬렉션의 역사와 의미를 조명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이 조상비의 정면과 뒷면에 새겨진 조상기와 여러 제명(題名)들을 6세기 중엽의 역사적, 지리적 상황과 대조해 보는 것이다. 다음은 조상비에 새겨진 불·보살상의 도상과 양식, 조각의 주제 및 화면 구성과 배치 등을 마찬가지로 6세기 중엽 전후 중국의 불교 석굴, 조상비 및 단독 조상(造像) 등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들과 비교함으로써 미술사적으로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다. 이 조상비의 정면 조각의 표현에 대해서는 진위 여부에 논란이 많았다.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조상기의 내용 및 서체(書體)에는 그간 특별히 논란이 제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조상비를 건립한 주요 공양자(供養者), 이와 관련된 이 조상비의 명칭, 그리고 이 조상비가 원래 세워졌던 지역 및 사원명(寺院名) 등과 관련해서 논란이 있는 부분이 적지 않으므로, 조상기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트뤼브너 조상비〉의 명문을 자세히 조사하여, 기록된 공양자의 인명과 관직명, 그리고 원래 위치에 관해 알려 줄 수 있는 지명 등이 6세기 중엽의 역사적, 지리적 상황과 잘 부합된다는 사실을 밝힌 글이다. 따라서 이 조상비의 명문 부분만으로 판단한다면 〈트뤼브너 조상비〉는 6세기 중엽경에 제작된 진작(眞作)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트뤼브너 조상비〉를 건립하는 데에 가장 중요하게 기여한 공양자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이도찬(李道贊), 혁련자열(赫連子悅), 무맹종사(武猛從事) 등 다양한 의견이 있다. 이 조상비의 원래 위치 및 관련 사원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으나, 대체로 하남 북부의 기현(淇縣) 부근으로 그 범위를 좁혀볼 수 있다. 조상기와 제명 등 조상비에 기록된 명문은 6세기 중엽 무렵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기록을 잘 담고 있다. 이 명문이 틀림없이 6세기 중엽경 제작된 진작으로 판단됨에 따라 〈트뤼브너 조상비〉의 진위 문제 중 절반 정도는 해결된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명문 관련 논의의 진행만으로는 이 조상비의 진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다. 따라서 〈트뤼브너 조상비〉의 진위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조상비에 새겨진 불·보살상과 여러 인물들 및 장식 요소 등을 미술사적으로 상세히 분석해야 한다. 필자는 〈트뤼브너 조상비〉는 6세기 중엽경에 제작된 원작이 이후 어느 시기엔가 보수되면서 재조각되어 다시 봉안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 필자는 별고를 통해 다룰 생각이다. A large Buddhist stele, called “the Trubner stele” named after Jorg Trubner (1902-1930), its former owner and an art dealer, is displayed at the gallery for Chinese Buddhist art on the second floor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carved on the front and obverse sides of the stele, its creation began in 533 during the Northern Wei dynasty (386- 534) and was completed in 543 during the Eastern Wei dynasty (534-550). The Trubner stele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Chinese Buddhist sculptures housed in several renowned art museum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t has been highly acclaimed as the most important masterpiece among Chinese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sixth century, disparaged as a forger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r even disregarded for having been considerably recut and restored. The effort to resolv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Trubner stele is not that simple, but the issue is crucial not only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t art, but also in illuminating the history and contribution of the collections of Chinese sculptur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Such investigation can be carried out in two main ways. The first is to compare the names of men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stele, their official titles, and place names carved in the dedicatory inscription of the stele to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of the mid-sixth century. Secondly, visual imageries carved on the stele, such as Buddhas, bodhisattvas, other figures, and ornamental elements should also be extens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form, style, and iconography, using visual elements from Buddhist caves, Buddhist steles, and freestanding sculptures in China from the sixth century. In contrast to the controversy over the authenticity of the sculptures carved on the frontal surface of the stele, little question has been raised over the contents and calligraphic style of the stele’s inscription. However,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inscription, since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main contributor of the stele, the original geographical location, and the temple wherein it was originally establish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dicatory inscription on the Trubner stele and reveals that the names of patrons, their official titles, and place names are in good accordance with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of the mid-sixth century. Thus, it can be an important clue in locating the original location. Accordingly, this stele can be considered a genuine Buddhist sculpture produced in the midsixth century. However,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who contributed the most to the construction of the stele, including Li Daozan, Helian Ziyue, or the wumeng congshi. There is also disagreement about the original location of this stele and the associated temple, but it cannot be determined accurately at this point. In general, the area can be narrowed down to the northern part of the Henan province near Qi County. Since the dedicatory inscription carved on the stele reflects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mid-sixth century, the inscription itself can be regarded as a genuine work created at that time. Thus, at least half of the issue regarding the authenticity of the Trubner stele appears to be resolved. Nevertheless, these discussions over the dedicatory inscription alone does not fully address the issue of authenticity over the stele. In order to resolve the controversy, it is fundamental to closely examine Buddhist imageries and other visual elements carved on the stel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genuine piece of the Trubner stele was created in the sixth century, but the frontal surface of the stele had been substantially damaged and thus had to be recarved and rededicated at some point to be the present form of the Trubner stele. I would like to proceed with this argument through a separate paper.

      • Genome sequence of <i>Jatropha curcas</i> L., a non‐edible biodiesel plant, provides a resource to improve seed‐related traits

        Ha, Jungmin,Shim, Sangrea,Lee, Taeyoung,Kang, Yang J.,Hwang, Won J.,Jeong, Haneul,Laosatit, Kularb,Lee, Jayern,Kim, Sue K.,Satyawan, Dani,Lestari, Puji,Yoon, Min Y.,Kim, Moon Y.,Chitikineni, Annapurna John Wiley and Sons Inc. 2019 Plant biotechnology journal Vol.17 No.2

        <P><B>Summary</B></P><P><I>Jatropha curcas</I> (physic nut), a non‐edible oilseed crop, represents one of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due to its high seed oil content, rapid growth and adaptability to various environments. We report ~339 Mbp draft whole genome sequence of <I>J. curcas</I> var. Chai Nat using both the PacBio and Illumina sequencing platforms. We identified and categoriz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related to biosynthesis of lipid and toxic compound among four stages of seed development. Triacylglycerol (TAG), the major component of seed storage oil, is mainly synthesized by phospholipid: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in Jatropha, and continuous high expression of homologs of oleosin over seed development contributes to accumulation of high level of oil in kernels by preventing the breakdown of TAG. A physical cluster of genes for diterpenoid biosynthetic enzymes, including casbene synthases highly responsible for a toxic compound, phorbol ester, in seed cake, was syntenically highly conserved between Jatropha and castor bean. Transcriptomic analysis of female and male flowers revealed the up‐regulation of a dozen family of TFs in female flower. Additionally, we constructed a robust species tree enabling estimation of divergence times among nine <I>Jatropha</I> species and five commercial crops in Malpighiales order. Our results will help researchers and breeders increase energy efficiency of this important oil seed crop by improving yield and oil content, and eliminating toxic compound in seed cake for animal feed.</P>

      • Pattern of genetic diversity in the genomic region associated with flowering time and maturity QTL in soybean

        Jungmin Ha,Myounghai Kwak,Kyujung Van,Moon Young Kim,Suk-Ha Lee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MADS-box genes encode a family of transcription factors which involve in diverse developmental processes in flowering plants. Because flowering time determines the timing of transition from vegetative to reproductive stage and time to harvest, it would be a significant trait not only to plant it-self but also to breeders. The sequences and gene structures of Arabidopsis MADS-box genes are conserved in model legumes. However, complex genome structure, in soybean, makes it difficult to identify actual genes related to flowering and maturity, although QTL researches have been generally conducted.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putative MADS-box genes around the flowering time and maturity QTLs would be candidate genes for those loci. In this study, after surveying 84 QTLs highly associated with maturity and flowering, the QTLs were selected if they were located near 473 putative MADS-box genes. Finally, we found the highly associated 16 SNPs at non-coding region of the putative MADS-box gene around the QTL in 28 late maturity cultivars and 28 early maturity cultivars. Furthermore, by comparing genetic diversity in the cultivated soybeans of late and early maturity groups as well as 20 wild soybeans, selection pattern during domestication was predicted.

      • SCISCIESCOPUS

        Transcriptomic variation in proanthocyanidin biosynthesis pathway genes in soybean (<i>Glycine</i> spp.)

        Ha, Jungmin,Kim, Myoyeon,Kim, Moon Young,Lee, Taeyoung,Yoon, Min Young,Lee, Jayern,Lee, Yeong‐,Ho,Kang, Young‐,Gyu,Park, Jun Seong,Lee, John Hwan,Lee, Suk‐,Ha John Wiley & Sons 2018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Vol.98 No.6

        <P>CONCLUSIONWe detected major differences in the transcriptional levels of gene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proanthocyanidin and anthocyanin among genotypes beginning at the early stage of seed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insights into the underlying genetic variation in proanthocyanidin biosynthesis among soybean genotypes. (c) 2017 Society of Chemical Industry</P>

      • KCI등재
      • 합성곱 신경망과 비전 트랜스포머를 활용한 포트홀과 맨홀 감지 성능 비교

        하정민(Jungmin Ha),김인경(Inkyung Kim),임주완(Juwan Lim),이재구(Jaekoo Le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도로 위의 포트홀(Pothole)과 맨홀(Manhole)을 감지하는 과업을 위해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모델과 최근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구조를 활용한 모델의 성능 비교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학습과 검증에 사용된 데이터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지능정보산업 인프라 조성」사업의 목적으로 구축한 도로 장애물 및 표면 인지(Detection) 영상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였고 그 중 포트홀과 맨홀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모델로는 Yolo-v3를 사용하였고 트랜스포머 구조를 활용한 모델로는 Meta Research 에서 발표한 DEtection TRansformer(DE:TR)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DE:TR은 bbox_mAP가 0.306, Yolo-v3는 bbox_mAP가 0.231로 DE:TR이 0.075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