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lidating the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Questionnaire Using the Confirmatory Multitrait-Multimethod Approach

        ( Jongmin Ra ),( Keun Kyu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1 No.1

        Various interactional and contextual models have been proposed to conceptually understand direct and indirect parental influences on children. The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Questionnaire (PSDQ) has shown promise as an instrument to identify psychometric features of parenting style. Since the PSDQ assesses the parenting styles of both mothers and fathers and allows each parent to rate their own as well their spouse`s parenting style,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SDQ.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domains specified in the PSDQ.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PSDQ using the multitraitmultimethod (MTMM) approach und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framework. Results provide support for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or each of the construc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future research.

      • KCI등재

        일반논문 : TOEIC에 대한 3PL 모형과 3PL Testlet 모형의 영향력 비교

        라종민 ( Jongmin Ra ),김재철 ( Jae Chul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3

        토익과 같은 표준화된 언어 검사에서 수험생의 능력을 보다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은 의미 있는 해석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토익(TOEIC)은 읽기, 듣기 등의 지각능력과 쓰기, 말하기 등의 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는 표준화 검사이다. 지금까지 토익은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하여 척도화와 동등화 등의 분석을 해 왔다. 문항반응이론은 일차원성 가정과 지역독립성 가정을 기초로 한다. 그러나 토익의 듣기영역은 하나의 지문에 여러 개의 문항이 딸려 있으므로 지역독립성 가정이 위배되었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지역독립성을 위배에 따른 규칙적인 편파(bias)를 고려하지 않은 채 전통적인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다면, 모수추정에 오류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익의 듣기영역에서 지역독립성 가정이 충족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전통적인 3PL 문항반응이론과 3PL 테스트렛 반응이론(testlet response theory)을 적용했을 때 문항모수와 피험자모수 추정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Yen(1993)이 제안한 기준에 따라 Q3를 이용해서 지역독립성 가정을 확인한 결과, 토익의 듣기영역은 지역독립성을 위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험자모수는 전통적인 3PL과 3PL testlet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문항모수는 다소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토익의 듣기영역에서는 신뢰롭고 타당한 모수추정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3PL보다 3PL Testlet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컴퓨터기반 검사와 듣기영역에 제한되었기에 그 결과를 지필검사와 읽기영역에 대한 일반화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Evaluating or measuring test takers` language abilities is of central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language tests that foster meaningful assessment. The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TOEIC) is a widely used standardized test to evaluate test takers` receptive(reading and listening skills) and productive(writing and speaking skills) language abilities. Although item response theory(IRT) models usually provide satisfactory answers for measuring parameters of items and test takers, they do not always lead to the correct solution when systematic biases are ignored in estimating items and test takers. Due to the paucity of validation studies of the TOEIC, the present study only seeks to explore psychometric properties of items in the simulated TOEIC test in the context of IRT and testlet response theory (TR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describes how a set of items, sharing the same contents i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part of the TOEIC, be-haves under the two suggested models (3PL and 3PLT) with the test samples who enrolled in the TOEIC classes in the university in South Korea. Of 100 items on TOEIC listening comprehension session, 60 items (10 items for photographs, 30 items for question-response, 30 items for short conversion, and 30 items for short talks session, respectively) are clustered within each testlet which sometimes called item bundle. Results from this study may provide more precise, reliable, and valid information about estimates regarding items and examinees. Lat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ffered.

      • KCI등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 종류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에 대한 연구

        라종민(Ra, Jongmin),한희정(Han, Hee Je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2013년 조사한 미디어패널 데이터를 베이지안 통계기법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종류(책/만화, 교육, 게임, 지출 관리/금융거래, 쇼핑, 생활·건강정보/날씨, 엔터테인먼트(음악/방송/동영상/사진), 내비게이션/교통정보, 뉴스, 소셜네트워킹(페이스북, 트위터), 커뮤니케이션(카카오톡, 마이피플), 스포츠, 여행, 유틸리티/도구/일정관리/배경화면, 레퍼런스(참고자료) 등 15가지 항목)에 따라 삶의 만족도(개인적 측면, 관계적 측면, 집단적 측면의 합)의 차이를 분석했다. 첫 번째 그룹은 하이퍼모수 표준편차가 증가할수록 사후평균(삶의 만족도)이 높아지는 그룹인데 소셜네트워킹(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트 등), 커뮤니케이션(카카오톡, 마이피플 등), 여행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집단이다. 책/만화, 쇼핑, 레퍼런스/참고문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집단은 하이퍼모수 표준편차가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외국어, 인터넷 수능), 게임, 지출관리/금융거래, 생활정보/날씨(건강관리포함), 엔터테인먼트(음악/방송/동영상/사진), 내비게이션(지리/위치/교통정보), 뉴스, 스포츠, 유틸리티/도구/일정관리/배경화면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집단은 하이퍼모수 표준편차의 증가에도 삶의 만족도가 변하지 않았다. 특히 교육, 쇼핑, 레퍼런스/참고문헌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집단은 삶의 만족도 수치가 점점 낮아질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여행 애플리케이션 사용집단이, 다른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보다 개인적 측면에서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life satisfaction (defined as the sum of life satisfaction in the individual, relational, and collectiv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applications available in smartphones. Fifteen applications such as books/comics, education, games, expenditure management/financial transactions, shopping, life-and health/wealth-tips, entertainment (music/broadcasting/ video /camera), news, social networking (Facebook/Twitter), Communication (KakaoTalk/ MyPeople), sports, travelling, utilities/tools/scheduling/wallpapers, reference (reference materials), are examined by applying the empirical Bayesian approach to data for 2013 sourced from the Media Panel. For the first group, consisting of user groups for the social networking (Cyword, Facebook, Twitter, etc.), communication (KakaoTalk, MyPeople etc.), and travelling applications, the higher the increas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hyper-parameter,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However, for the user groups for the books/comics, shopping, and referencing applications, the opposite is true; the higher the increas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hyper-parameter,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for the user groups for the education (foreign languages, online lectures for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etc.), games, expenditure management/financial transactions life-and health/weather-related tips, entertainment (music/broadcasting/video,/camera), navigation (geographic location/traffic information), news, sports, and utilities/tools/scheduling/wallpaper applications show that life satisfaction does not change despite an increas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hyper-parameter. Notably, the results of the user group that uses the education, shopping, referencing materials applications show lower life satisfaction. Unlike the variables of sex and age, the higher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user group for travelling applications shows higher life satisfaction in the individual dimension, compared with the groups using other applications.

      • KCI등재

        어린이집 시설유형과 성별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 비교연구

        신근영 ( Geunyeong Sin ),나종민 ( Jongmin Ra ),정선영 ( Sunyoung Jo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제 3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만 2세 의사소통능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발달측정도구에 기초하여 어린이집 시설유형(국·공립, 민간 일반형, 민간 서울형)과 영아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보육시설에 재원하는 200명의 만 2세 영아였으며, 측정도구는 의사소통 발달측정도구(신경옥·정선영, 2014)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시설유형 간 의사소통은 말하기를 제외하고, 듣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듣기와 쓰기는 국·공립 어린이집이 민간 일반형 어린이집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읽기는 국공립과 민간 서울형이 민간 일반형 어린이집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남아가 여아보다 의사소통 중 말하기 능력에서 다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영아의 성별 간 의사소통(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있어서 시설유형과 성별에 따른 실태를 파악했다 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reveal how communication abilities, defined in the third revision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wo-year-old infa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ex and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national care center, private general care center, and private Seoul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200 four-year-old infants registered for the child-care centers in Seoul. The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Shin and Joung(2014) was used for participants’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abilit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low effect size. Except from speaking, scores of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ype of facilities. Listening and wri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and private Seoul child-care center than private general one; and read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child-care center than private general one. Next, male infants obtained higher scores across all the sub-domains of communication abilities than female infants. Those differences, howev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were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nfant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bilities depending on gender and the type of child-care facilities.

      • KCI등재

        Mediation Effect of Music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nd Career Maturity

        Park, Se-jin(박세진),Ra, Jongmin(라종민)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전문대학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음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전문대학 실용음악전공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자기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경로분석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전공만족도와 음악적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성숙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음악적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전문대학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음악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살피고 본 연구 대상으로 하는 제한적인 연구의 영역을 확장 시켜 추후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rough the framework of path analysis the mediation effect of music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for 38 college students studying applied music in Kyeounggi province, Korea.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existed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and musical self-efficacy. Secon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usical self-efficacy existed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that fitted the model better than the full mediation effect.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could enhance further study regarding the role of musical self-efficacy.

      • KCI등재

        자유학기 만족도가 청소년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Kim, Soyoung),나종민(Ra, Jongmi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1

        본 연구는 진로성숙에 대한 자유학기 만족도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경기교육종단연구 7차년도(2018년도, 고등학교 1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유학기 만족도의 진로성숙에 대한 영향력은 학생들의 자아개념, 학습동기, 부모자녀관계, 학교적응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투입한 후 분석되었다. 경기교육종단연구 7차년도에 참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은 총 6,813명이었으나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참여했다고 응답한 학생은 4,815명으로 나타나 이 학생의 자료만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 포함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에 ‘만족’하는 학생들은 자유학기에 중도(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학생들과 자유학기를 ‘불만족’하는 학생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중학교 1학년에 실시하는 자유학기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에 대한 학생의 자아개념, 학습동기, 부모자녀관계, 학교적응, 자유학기 만족도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유학기에 대해 중도(잘 모르겠다) 입장을 취하는 학생들이 자유학기에 대해 ‘만족’하는 학생들보다 더 낮은 수준의 진로성숙도를 보이고 있고, 자유학기에 대해 ‘불만족’하는 학생들은 자유학기에 대해 ‘만족’하는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자유학기제가 추구하는 방향성과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경험하고 느끼는 간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e-semester system on career maturity after controlling for self-concept, academic motivation, parent-child relation, school adjustment, via an Institute of Education’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7 years(fir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2018). The current study used responses from the 4,815 out of 6,813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the free-semester system.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students who were satisfied with the free-semester system than were neutral or dissatisfied. Second, the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self-concept,academic motivation, parent-child relation, school adjustment, and free-semester system on career maturity. In parallel with these results, students who were satisfied with the free-semester system had higher degrees of career maturity than those who were neutral. However, students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 free-semester system had higher degrees of career maturity than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the free-semester system. The results could help reduce the gap that already exists between students’ attitudes, thoughts, and experience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e free-semester system.

      • KCI우수등재

        실용음악전공 학생의 전공만족도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박세진(Park Sejin),라종민(Ra Jongmin) 한국음악교육학회 2019 음악교육연구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A대 실용음악전공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반영된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는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카이제곱 차이검증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성숙도에 대해 전공만족도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ith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Results obtained from path analysis were follows as. First, major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s well as career maturity. Seco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maturity. Thir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existed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Last, indirect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via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areer maturity. The current study showed importance of how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o enhance students’ career maturity.

      • KCI등재

        Structural Association of Aging and Role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Kim, Sunhwi(김선휘),Ra, Jongmin(나종민) 한국체육과학회 202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ow meaningful words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re interconnected one another under the framework of social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extract aging-related articles and/or examine the elders’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in the context of sport and daily physical activity, the following key words, “old”, “elder”, and “aging”, were used to collect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2010 through 2019 from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sport and the UCINET 6.0 program is used to reveal relationship which might be assumed to be existed among important words occurred in the articles. Results of degree centrality obtained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the UCINET program indicated that five words such as exercise, strength, older, present, and lower had a relatively high level of degree centrality seems to stay in the aging-related-research as those words are more integrated into the network, and results shown in betweenness centrality implied that words such as exercise, present, older, and elder play an important role in a network. Furthermore, results shown in closeness centrality implied that indication, explanation, patient, outcome, outcome, and woman play an important role to spread information in a network.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connectivity of key words and structural associations between key words through visualization, an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ging of older adults deserves more focused attention by program developers.

      • KCI등재후보

        A non-invasive sexing method reveals the patterns of sex-specific incubation behavior in Saunders’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Eun-Jin Joo(주은진),Mi-Ra Ha(하미라),Gilsang Jeong(정길상),Jongmin Yoon(윤종민)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조류에서 성적이형은 암수간 신체크기, 깃털, 색, 또는 행동의 차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갈매기과를 포함한 많은 해양성조류는 깃털 색에서 성적동형을 보이며, 암수가 양육을 공유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성감별을 어렵게 만든다. 쉽고 비침습적인 성감별 도구의 개발은 생활사의 진화에서 암수 양육의 정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육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ilarus saundersi) 번식쌍의 부리-머리 형태를 이용하여 비침습적 성감별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야생 번식쌍의 암수 포란행동의 변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육상태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쌍에서, 수컷은 배우자 암컷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부리-머리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이 성감별 도구를 이용하였을 때 성공적으로 야생 12 번식쌍의 성감별을 수행하였다. 야생 수컷과 암컷은 함께 낮시간의 95%를 포란을 위해 둥지를 지켰다. 그러나, 수컷의 포란비율은 일몰시간이 가까워지면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컷의 야간 포란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적동형인 검은머리갈매기의 비침습적 성감별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 하였을때 야생 번식쌍의 암수 포란행동의 변이가 다른 생태적인 요인보다는 일주기와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Sexual dimorphism in birds refers to male-female differences in body size, plumage, color and/or behavior. In general, many seabirds, including the family of Laridae, are monomorphic in plumage-color, which makes the determination of sex difficult in the field because both parents also tend to share a great portion of parental care. The development of an inexpensive sexing tool facilitates understanding the degree of sex-specific parental care in the evolution of the life history. Here, we developed a non-invasiv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x using the bill-head morphometric of known captive pairs and applied this tool to wild pairs to document factors underlying male-female parental care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of Saunders’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Males exhibited relatively larger bill-head ratios than their mates within naturally formed pairs in captivity, resulting in the determination of sex in12 wild pairs at the nest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Males and females equally shared the incubation role during the daytime, attending the nest at a high rate of 95%. However, the male’s proportion of nest attentiveness greatly increased with time towards sunset, presumably reflecting the male duty for nighttime incubat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non-invasiv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x in a monomorphic seagull species and highlights how male-female incubation behavior is associated with time of the day, rather than other ecological conditions.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 자유기술식 응답을 통한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분석

        박지혜(Park, Ji-Hye),라종민(Ra, Jongm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2014년 운영되었던 교원능력개발평가 연구학교에 소속되어 있던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의 서술형 응답 결과를 질적ㆍ양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적자료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결과는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 서로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에 있어 다소간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첫째, 동료교원은 학생들의 특성과 개인차를 고려하고, 노력과 열정적인 태도 , 수업(교과지도)에 전문적인 교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재, 학생들은 재미있는 교사를 가장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잘 가르치고 편안 하고 친구같은 교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는 눈높이를 맞추는 교사를 가장 바람직한 교사로 여기고 있으며 다음으로 노력하고, 재미있는 교사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핵심구 성요소가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주제에 따라 범주화된 결과에 log값을 취하여 경험적 베이지안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바라는 교사의 역할은 그 차이가 점점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사전모수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동료교원, 학부모, 학생들이 원하는 교사의 역할은 분명하게 나타났다. 둘째, 시뮬레이션 결과 동료교원과 학부모가 기대하는 역할은 일반화가능성이 높은 반면 학생이 원하는 교사의 모습은 누가 조사대상자이냐에 따라 변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의 핵심 주체인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인식이 다르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교사연수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교사의 관점 뿐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의 관점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open-ended statements obtained from tea 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methods. Qualitative analyses using NVivo 10 showed that images of good teacher were different among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First, teacher considered those who understood students’ differences, showed passionate attitude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as a good teacher. Second, parents thought that teachers who understood their students, had passionate attitude, and gave students fun were good. Third, images of good teacher students describes was that they had a sense of humor, taught well, and were friendly. Quantitative analyses using empirical bayesian approach showed that existed gap of images of good teacher among teachers, parents, students became wider as values of prior distribution became larger. Firs t, the differences of images of good teacher among teachers, parents, students became vivid at the mean of prior distribution. Second, the images of good teacher obtained from teachers and parents had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occurring again while those obtained from pa rents and students were low. Such results indicated change of obtaining different images of good teachers from students at any time was relatively high,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confirm the results obtain ed from the current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