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ssage-Culture Congruency Effects in the Context of PSAs for Preventive Health Exams Targeting Asian Women:Comparison between Asian and Europ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Soojung Kim,Jisu Huh,김수정,허지수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0 No.-

        While preventive health exam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ealthcare tools and the main focus of health promotion campaigns around the world, individuals’ responses to such campaigns tend to show disparities among different cultural groups. Noting the significantly lower rate of getting preventive gynecological exams among Asian women, this study examined message-culture congruency effects in the context of a health advertising campaign for preventive gynecological exams targeting Asian women.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interesting contrast effects of a culturally incongruent message among young Asian women: the culturally incongruent message generated significantly lower message-related cognitive responses and lower behavioral intention. Such effects were not observed among European Americans. The findings contribute not only to the growing research stream on advertising message-culture congruency effects, but also to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and campaign development, especially targeting medically underserved cultural groups. 일반적으로 질병의 조기 진단을 위한 예방 검진을 받는 행동들이 건강 관리의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며, 그러한 행동들을 촉진하는 것이 건강 캠페인의 주 목표이다. 그러나 개인들이 그러한 건강 캠페인들에 응하는 정도에는 문화 집단 간 격차가 존재한다. 아시아 여성들이 다른 문화 집단의 여성들에 비해 질병의 조기 진단을 위한 산부인과 검진을 받는 비율이 현저하게 낮다는 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아시아 여성들을 타겟으로 하여 산부인과 검진 행동을 촉진하는 건강 캠페인에서의 메시지-문화간 일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는 젊은 아시아 여성들에게 문화적으로 불일치한 메시지가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즉 문화적으로 불일치한 메시지를 접한 젊은 아시아 여성들은 유의미하게 적은 숫자의 메시지 관련 인지적 반응들을 보였고, 낮은 행동적 의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효과는 유럽계 미국 여성들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광고 분야에서의 메시지-문화간 일치 효과와 관련된 연구 흐름에 함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의료적으로 취약한 문화 집단들을 타겟으로 하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 및 캠페인 개발에도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Perception and Use of Ethnic Online Communities as a Health Information Source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Junga Kim,Jisu Huh,김정아,허지수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6 No.-

        본 연구는 건강 관련 정보를 필요로 하는 미주 한인들에게 정보원으로서 미주 한인 온라인 커뮤니티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기반으로는 미디어 이용과 의존 모델을 채택하였고, 당뇨병 관련되는 정보추구에 조사의 포커스를 두었다. 당뇨 관련 정보원으로서, 전통적인 건강/의료 관련 정보원들(e.g., 의사)과 온라인 커뮤니티가 어떻게 이용되고 평가되는지 알아보고자 다른 문화적 동화(acculturation) 수준을 가진 미주 한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주 한인들에게(특히 언어장벽이나 미국의 의료시스템이 나 정보채널에 익숙하지 않은 최근 이민자들에게), 온라인 커뮤니티는 유용하고 손쉽게 당뇨 관 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안 정보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잠재성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에 반해, 건강/의료 정보원으로서 의사에 의지하는 것은 개인의 미국 문화에 대한 동화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문화적 동화 수준과 더불어 또한 건강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당뇨 관련 정보원으로서의 온라인 커뮤니티 및 의사에 대한 유용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연구의 결과는, 미국내의 한국인 이민 커뮤니티의 건강/의료 관련 정보나 의료서비스 이용 에 존재하는 갭을 개선하는 공공정책이나 헬쓰컴 캠페인 개발에 유용한 지침을 제안함과 동시에, 한국내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이민자/소수민족들이 직면해 있는 건강/의료 관련 정보 액세스나 의료서비스 이용에 있어서의 사회적 문제들을 풀어가는 데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ethnic online communities as a health information source for Korean Americans, applying the uses and dependency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use and evaluation of online communities and physicians as diabetes-related information sources among recently immigrated Korean Americans with different levels of accultur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ethnic online commun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ccessible and useful sources for diabetes-related information for Korean American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between high and low acculturated Korean Americans in the use of physicians as an information source. In addition to the level of acculturation, health insurance coverage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explaining Korean Americans’ use and perceptions of online communities and physicians as diabetes-related information sources.

      • KCI등재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Korea, Japan, Hong Kong, Australia, and the US: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Directions

        Hye-Jin Paek,Hyegyu Lee,Carolus L,C,Praet,Kara,Chan,P,Monica Chien,Jisu Huh,Glen T,Cameron,백혜진,이혜규,Carolus L,C,Praet,Kara,Chan,P,Monica Chien,허지수,Glen T,Cameron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3 No.1

        의약 산업은 질병 및 사망률 감소를 위한 노력, 의학 시설 및 치료 기술의 발전,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이다.그러나 의약 광고는 국민 건강과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정부 기관으로부터 강한 규제와 함께, 의학 단체, 보건 관계자 및 연구 자들의 감시를 받아왔다. 이렇듯 의약 산업에 얽힌 복잡한 이해관계는 실무자들과 연구자들의 범 국가적인 논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세계적 경제 침체는 처방 약품(Direct-to-consumer advertising [DTC]) 광고의 집행을 허용하라는 일부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처방 약품광고가 허용되고 있는 미국과 더불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요 국가들(호주, 홍콩, 중국, 일본, 한국)의 의약 광고 관련 규제, 연구, 실무 현황을 조명함으로써 현재 시점에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사안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선 (1) 각 국가들의 국내 및 글로벌 의약 제품들의 시장과 광고 현황을 살펴보고, (2) 의약 제품 및 광고와 관련된 사회적, 문화적, 법적 문제들을 검토한 후, (3) 의약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및 인식과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하고, (4) 후속 연구 및 실무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범국가적 건강 관리관련 법률 관계자, 연구자, 그리고 실무자들 간의 의약 광고, 헬스 커뮤니케이션 및 규제, 그리고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논의를 고무하고자 한다.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become one of the major industries worldwide as a result of increased efforts to reduce mortality and morbidity,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cal facilities and treatment, and the aging of the population. But because this product category is so closely associated with public health, pharmaceutical advertising has been strictly regulat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monitored by the medical community, public health officials, and researchers. The complex issues involving multiple stakeholders raise the need for more open discussions among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worldwide. In particular, the current global recession may intensify this pressure because of the economic benefits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DTCA), which refers to advertising for prescription (Rx) medicines, provides. Taking account of these developments,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e important and timely issue in global settings by providing an overview of regulations, studies, and practices in pharmaceutical advertising in the important Asian Pacific countries-Australia, Hong Kong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in addition to the US, one of the two countries where DTCA is allowed. Specifically, the following four issues are addressed in each of the five countries: (a) The current state of pharmaceutical advertising for domestic and global products in each panelist’s country; (b) social, cultural, and regulatory issues that are relevant to pharmaceutical products and their ads; (c)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pharmaceutical advertisements; and (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so doing, this paper is expected to stimulate further discussions among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ith regards to pharmaceutical advertising, health communication and policy, and relevant strategic communications in global health care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