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의 메타패러다임 관점으로 바라본 국내 간호학연구 동향분석

        김태현(Taehyun Kim),홍진의(Jineui Hong) 한국간호연구학회 2022 한국간호연구학회지 Vol.6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word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Nursing from the perspective of a nursing metaparadigm in order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nursing studies. Methods : Text mining was conducted using online journal information to analyze 844 papers published in 26 nursing journals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21, from the perspective of a nursing metaparadigm. Results : Four topics could be derived via topic modeling analysis. The main keywords constituting the first topic were nurses, care, experience, Korea, research, development, Koreans, COVID-19, patients, and health, and the title was “Disease and Personal Experience : Human and Environment.” The main keywords constituting the second topic were factors, health, behavior, patients, women, research, life, cancer, influence, and Koreans, and the title was “Minority and Health-related Behavior : Human and Health.” The main keywords constituting the third topic were nursing, influence, student, care, factors, influence, patients, hospitals, clinics, and cancer, and the title was “Health and Influencing Factors : Health and Environment.” The main keywords constituting the fourth topic were effects, programs, patients, considerations, interventions, development, nurses, education, care, and adults, and the title was “Nursing and Scientific Evidence : Nursing.” Conclusion : Nursing research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aradigms of human, environment, health, and nursing even when new science and technology are introduced an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occurs due to changes in the time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value of the nursing metaparadigm does not change.

      • KCI등재

        행복과 건강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텍스트마이닝 분석 : 행복과 건강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태현(Taehyun Kim),홍진의(Jineui Hong),신영전(Youngjeon Shi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3

        행복과 건강은 인간이 추구하는 삶의 중요한 요소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기존 연구에서는 각각의 행복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면서 이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학술적 논의는 부족하였다. 이 연구는 행복과 건강 관련 연구에서 정의, 구성요소, 측정도구, 관련 요인들 및 행복과 건강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행복과 건강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최근 10년간 국내외에서 행복과 건강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문헌을 선정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선택된 국내외 38개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분야, 측정도구 등을 포함한 빈도분석과 텍스트마이닝 기법 등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기존 연구에서 행복과 건강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최근 10년간 행복과 건강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문헌은 국내 12편(32%), 국외 26편(26%)이었다. 국내외 모두 출판연도는 2015~2018년 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출판된 학술지 분야는 국내의 경우 약학 분야가 3편(25%)으로 가장 많은 반면, 국외는 심리학 분야가 12편(46%)으로 가장 많았다. 저자 소속은 국내는 치위생학 소속이 10명, 국외는 심리학 소속이 20명으로 가장 많았다. 38개 문헌에서 이용된 측정도구는 52개로 이 중 25개(48%)가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언급이 없었다. 행복과 건강의 측정은 현재 자신의 주관적 행복상태(16편)와 주관적 건강상태(15편)를 단일 문항으로 수집한 문헌이 가장 많았다. 논문에서 행복의 정의를 기술한 행복관련 연구는 21편(55%)이었는데, 삶의 만족, 부정, 긍정, 주관적 등의 정서 · 심리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었다. 모든 건강관련 연구에서 건강은 1948년 WHO의 정의를 원용하고 있었다. 건강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구한 문헌이 22편(61%)으로 가장 많았다. 행복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적, 노동, 생물학적 조건, 주거, 교육, 거시적 조건, 개인의 자유 영역에서 유사하였으며, 사회 네트워크 내에서의 관계, 생활의 질 영역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의 객관적 측정, 행복과 건강관계 설정의 모호성, 동일한 영향요인과 다른 영향요인 등에 대한 정보는 향후 행복과 건강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관련 정책의 계획수립, 시행,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health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happiness and health. The research trends in 38 literature were analyzed using systematic review.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we demonstrate how prior studies define happiness and health and how they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re were 12 domestic articles (32%) and 26 overseas articles (26%)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health over the past 10 year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ation years was between 2015 and 2018, both in Korea and abroad. However, as for the published academic journals, the pharmaceutical field had the highest number of 3 publications (25%) in Korea, while the psychology field recorded the largest number of publications with 12 publications (46%) overseas. As for the measurement of happiness and health, the most frequently cited literature was the collection of one"s subjective happiness status (16 piec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15 pieces) as a single item. Happiness was defined in 21 papers (55%), and consisted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life satisfaction, negative, positive, and subjective. The definition of health was derived from the 1948 WHO definition.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nd health were found to be similar in the areas of economic, biological conditions, work, housi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macro-conditions and personal freedom, wherea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s of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Information on objective measurement of happiness, ambiguity i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health, the same influencing factors and non-same influencing factors, etc.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future research on happiness and health, but also for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related policies.

      • 스마트폰 환경에서 행동 데이터 기반 모바일 친밀도 모델 개발

        임승빈(Seungbin Yim),김상민(Sangmin Kim),홍진의(Jineui Hong),양다슬(Daseul Yang),이성일(Seongil L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모바일 친밀도 모델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바일 친밀도 정의를 위해서 고려한 친밀도 요소는 자기노출(Self-Disclosure), 상호작용 빈도(Frequency) 그리고 기간(Duration)이다. 위의 3 가지 요소는 모바일 환경에 맞게 변형하여 모바일 친밀도의 기준으로 삼는다. 상호작용의 빈도는 SNS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횟수를 통해 변수화되며, 기간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호교류 기간 및 행동의 주기를 통해 변수화 된다. 자기노출의 경우,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기능 및 서비스들과 자기노출을 연계하여 AHP 를 통해 정량적인 설문 평가를 진행한다. 모바일 친밀도에 대한 결과는 20~30 대와 40~50 대의 각 두 집단에 대하여 도출한다. 친밀도 측정 모델은 두 개의 나이 집단에 따라 30 명씩을 대상으로, 실제로 모바일 친밀도를 적용한 실험을 통해 모바일 친밀도를 얻고 이것을 피실험자들이 생각하는 주관적 친밀도와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모바일 친밀도 모델을 검증하였다. 20 대~30 대에 적용되는 모바일 친밀도는 적당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40 대~50 대에 적용되는 모바일 친밀도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집단의 모바일 친밀도의 정확도는 전자의 집단에 대해서는 83.3%, 후자의 집단에서는 90.0%를 보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경험, 예방교육 경험, 신고 관련 지식, 아동학대 인식에 따른 방임 인식 수준의 차이

        김은서(Eunseo Kim),이진우(Jinwoo Lee),문하민(Hamin Moon),홍진의(Jineui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간호대생의 아동학대 예방교육, 경험, 신고 관련 지식수준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방임 인식과의 관련성을 확인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기간은 2022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아동학대 신고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아동학대(방임) 인식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152, p=.036). 또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는 직무를 수행하면서 아동학대 범죄를 알게 된 경우나 의심이 있는 경우 즉시 신고해야할 의무가 있다는 사실을 알 경우(ß=.38, p=.038), 초 · 중 · 고 교사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라는 사실을 알 경우(ß=.208, p=.016), 사회복지시설종사자는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임을 알 경우에(ß=.199, p=.042) 방임인식 수준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동학대 지식이 높을수록 방임학대 인식도가 높아지며, 특정 문항들이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교육내용에 이를 반영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가 되었을 때 아동학대를 적절히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신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concerning child abuse, its prevention, and the level of knowledge of reporting. We further endeavor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the perceptions of neglect among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2 to January 2023. Our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knowledge for reporting child abus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wareness of its neglect (r = 152, p = 0.036). Nursing students who were obligated to report child abuse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neglect when they had knowledge about the legal obligation to report suspected cases of child abuse (β = 0.38, p = 0.038). Moreover, a higher level of neglect recognition was obtaine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en they had prior knowledge about the obligation (β = 0.208, p = 0.016). Social welfare facility staff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neglect when they were aware of obligation (β = 0.199, p = 0.042). The level of child abuse knowledge was found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awareness of neglect and abuse. During the survey, certain questions were found to be highly relevant to gain insight. We propose that these questions should b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남자 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장기 진로 계획의 관련성

        박정민(Jeong Min Park),박신지(Shin Ji Park),박소연(So Yeon Park),박서현(Seo Hyeon Park),홍진의(Jineui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는 남자 간호학과 학생들의 남자 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진로계획을 조사하고, 이러한 인식과 장기적 진로 계획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자는 2022년 8월 기준으로 전국 대학 및 전문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남학생 188명이다. 장기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를 선택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간호사가 남녀 모두에게 적합한 직업이 아니라는 인식(OR = 4.59), 간호사가 여성적이거나 수동적인 직업이 아니라는 인식(OR = 2.73), 남자 간호사가 평생 직업이 될 수 없다는 인식(OR = 2.15) 등이 임상 외 분야로 장기 진로 선택을 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남성 간호사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남성 간호학과 학생들은 임상 외 분야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남성 간호학과 학생들의 임상 외의 진로 요구도가 높은 것이 확인 되었으므로 임상 간호사만이 아닌 다양한 간호 전문직을 소개하는 진로 교육을 통해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출 수 있게 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male nurses and their career plans, and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erceptions and their long-term career plans.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88 male students enrolled in nursing department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across the country, as of August 2022.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long-term career paths by selec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e perception that nursing is not a job suitable for men and women (OR = 4.59), that male nurses are not perceived as feminine or passive (OR = 2.73), and that male nurses are not considered to have a lifetime job (OR = 2.15) were identified as factors to consider when choosing a career in a non-clinical field. Male nursing students who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male nurses were more likely to pursue non-clinical field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is study identifies the career needs of male nursing students. We determined that the career path had a strong impact on deciding between non-clinical and clinical fields.

      • 확장된 Hierarchical Task Analysis 를 적용한 가전제품 접근성 평가 방법론

        김상민(Sangmin Kim),오희라(Heera Oh),임승빈(Seungbin Yim),전정언(Jeongeon Jeon),홍진의(Jineui Hong),이재형(Jaehyung Lee),이태우(Taewoo Lee),이성일(Seongil Lee)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현재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장애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전제품 사용에 있어 일반인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의 격차는 줄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가전제품들의 접근성 평가와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며, 기존의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중심의 접근성 평가 연구는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과업분석(Task Analysis)방법 중 하나인 HTA(Hierarchical Task Analysis)기법을 적용한 선행연구 역시 몇 가지 보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HTA 를 활용한 가전제품의 접근성 평가 방법론을 확장하여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한 새로운 평가방법론을 제안한다. 확장된 HTA평가방법론은 다양한 사용자 유형의 과업 패턴을 반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HTA 의 각 Task behavior 에 대응하는 제품의 접근성 요소를 평가지표로 활용한다. 결과적으로 확장된 HTA 를 통해 독립적이었던 장애인의 가전제품 사용패턴을 포괄하고, 산술적으로 산출된 접근성 평가결과를 통해 종합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사례와 대비하여, 다양한 사용유형을 포괄하는 확장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확장형 HTA 를 통해 새롭게 얻어지는 접근성 평가 결과를 제시하여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한다. Nowadays, In both overseas and domestic areas,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handicapped people, gaps arises between handicapped users and normal users. However, Estimation and Analysis of accessibility of home appliances are in insignificant steps, and existing guideline and research with standard that is consisted of checklist are just subjective and qualitative. The precedent research that applied "HTA(Hierarchical Task Analysis)" solution which is known as one of ways of "Task Analysis" also has a few points that have to change. In this paper, by expanding a methodology of handicapped accessibility evaluation that is based on p recedent " HTA" , We offer a more analytical evaluating methodology. That expanded "HTA" is compromised to show a physical pattern of various users. Expanded "HTA" uses a offered Task behavior and product"s interface that follows with Task behavior. With expanded HTA, We can detect the accessibility condition of product and can get a quantifiable result. And that can derive a accessibility evaluation and evaluating barometer.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Using offered methodology in this research conducts accessibility evaluation that considers a various user members and quantifiable derives interface"s components that needs to be solved and chan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