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鉛暴露 作業者의 鉛中毒 早期發見을 위한 集團檢診法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홍대용,김장락,정주화,최현림,윤형렬 慶尙大學校 1995 論文集 Vol.34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current lead indicators used in screening lead who were sspeted to have been exposed to lead were selected as 'case'and 207 female workers from non-lead industry were selected for 'contro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s of blood lead for case and control were 31.4㎍/dl, 22.2㎍/dl,respectively. The difference observed in the mean concentration between case and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ant(P<0.01) 2. The mean values for blood ZPP by hematofluorometer for case and control were 31.3㎍/dl, 25.4㎍/dl,respectiely.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working duation and blood lead, blood ZPPlovel. 4. According to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ZPPand urine lea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blood lead(P<0.01) 5. According to the discriminant analysis using blood lead as a dependent variable, it showed 89.1% predictability when using 40㎍/dl as a cutting value which is used as a screenig cutting value for industry workers health examination, while 81.8% for 30㎍/dl,77.54% for 20㎍/dl, respectively. 6. Lead related simptons which is used for screening the lead ntoxicated patients wer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useful lead indicator. And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ZPP, Age, and Hct. 7. Above results suggest that objective evalution of feasibbility of several lead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to correct the disutility of current lead screeng system in Korea.

      • GPS/GPR을 이용한 저수지 준설능력 향상

        이재원,이동락,엄장섭 東亞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2008 硏究論文集 Vol.31 No.2

        일반적으로 퇴적물 준설에 대한 조사는 GPS/Echo Sounder 및 Total Station/Echo Sounder를 조합하여 대상지의 수평위치 및 수심에 대한 관측을 실시하고 있으며, 하상의 단면계산 저수량 및 준설계획량 등을 추정 이후 준설계획에 대한 계획고 및 준설토량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하지만 Echo Sounder를 사용하는 음파탐사 방법은 퇴적물에 대한 정확한 분포를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저수지 하부의 퇴적물 및 이의 분포를 파악하여 저수지 준설계획을 수립하여 기존의 탐사방법에 대한 준설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었으며, 기존의 음파탐사 방식과 다른 레이더탐사 장비를 이용한 GPS/GPR(Ground Penetration Radar)을 사용하여 저수지의 수평위치, 수심값을 결정하고 동시에 원 지반에 분포하고 있는 퇴적물의 분포를 추정, 준설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현장의 시료채취를 통한 수조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장비에 대한 정확도 검증을 거친 후 현장적용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부 크롬 폭로 근로자들에 있어서 변이원성 지표로서의 소핵검사

        윤형렬,김장락,홍대용 大韓産業醫學會 199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micronucleus test for buccal mucosa and blood lymphocyte as an indicator for the evaluation of chromium mutagenicity in workers(n=40) exposed to chromium trioxide(CrO₃) and controls(n=40) in Pusan and Changwon cities form April 1 to August 30, 1992. Urine chromium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Self-recorded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uccal mucosa, blood lymphocytes and average urine chromium concentration of chromium plat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controls(p<0.01). 2. The mean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uccal mucosa and blood lymphocyte of chromium platers by smoking habi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p<0.01). However, the difference of mean frequencies of micronucleu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3. The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uccal mucosa and blood lymphocyte were highly correlated(r=0.7706). Some of the other variables were also correlated, for example, urine Cr concentrations and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lood lymphocyte(r=0.7259), urine Cr concentrations and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uccal mucosa(r=0.6247), age and work duration(r=0.4032), work duration and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uccal mucosa(r=0.3603), age and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lood lymphocyte(r=0.3260), work duration and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lood lymphocyte(r=0.3231), age and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uccal mucosa(r=0.2760).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uccal mucosa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occupation and work duration, frequencies of micronucleus in blood lymphocyte associated with occupation and work duration, and urine Cr concentrations associated with occup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micronucleus test in buccal mucosa and blood lymphocyte could be used as a biological indicator for evaluating toxic effects of chromium.

      • 아동기 가정 내 스트레스가 공동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및 공동의존성과 정신병리와의 관련성

        곽운환,손지욱,한규희,박철수,김장락,김붕년,김봉조,강여화,하형래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기 가정내 스트레스 요인과 공동의존성과 다른 병리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특정한 질환에서의 공동의존성의 평가가 가지는 의의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 대상은 정상 일반인 남성집단 88명과 알코올리즘 남성 집단 7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도구는 본 저자가 직접 작성한 '아동기 가정내 스트레스 요인 측정용 설문'과 공동의존 척도(RPS), 간이증상 진단검사(SCL-90-R)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Mann-Whitmey test, Kruskall- Wallis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결 과: 1) 정상 일반인 군과 알코올리즘 군의 공동의존성 평균값은 각각 49.12점(표준편차=15.41)과 88.31점(표준편차=17.48)이었다. 2) 정상 일반인 군에서는 '아동기 부모 사별'(p<0.01) '부모의 알코올리즘'(p<0.01) '부모의 상습적 구타'(p<0.01)의 3가지 요인에서, 알코올리즘 군에서는 '어린시절 부모 사별'(p<0.01) '부모의 알코올리즘'(p<0.01) '부모의 상습적 구타'(p<0.01) '부도의 도박'(p<0.01) '사회 병질자 부모의 존재'(p<0.05)의 5가지 요인에서 스트레스 유무에 따라 공동의존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두 집단 동시에 SCR-90-R의 8개 소척도 중 '대인관계 예민성'이 공동의존성과 가장 높은 연관성(rs>0.06, p<0.01)을 보였다. 이외에도 '우울증' '불안증'등이 두 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부모의 알코올리즘뿐만 아니라 여러 가정 내 스트레스 요인이 공동의존성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과 공동의존성이 높은 집단이 다른 정신과 질환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음을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codependency with family stressors in childhood and psychopathology. Methods : Subjects were a group of 88 normal adult males and a group of 76 alcoholic males. The degree of codependency was asses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Recovery Potential Survey(RPS). All subjects filled out questionnaires regarding demographic information and family stressors. The psychopathology was measured by self-administred questionnaires using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Result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dependency level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wo groups, but obvious difference in mean of codependency scores(normal group : 49.12±15.41, alcoholism group : 88.31±17.48).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dependency levels betwee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parental physical abuse, parental death, and parental alcoholism(p<0.01) in both groups. 3) Among family stressors, parental physical abuse had the largest contribution to codependency level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dependency levels and the scores of SCL-90-R's subscales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both groups. Conclusion : The codependency levels were related to some family stressors such as parental physical abuse, parental death, and parental alcoholism and the high-level codependency was correlated with higher level of psychopathology in both normal and alcoholism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various family stressors, as well as parental alcoholism may be predictors of codependency, and codependency also may be a predictor of other psychiatric disorders.

      • KCI등재

        Personality and Learn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s

        Jang-Rak Kim,Young-A Ji,Mi-Ji Kim,Jong Ryeal Hahm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24 의학교육논단 Vol.26 No.1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behaviors can predict medica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specifically in terms of successfully completing medical school without delays or achieving a high grade point average (GPA) in their final year. In May 2018, 316 medical students took the 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y Test, 2nd edition, which provided data on their personality and learn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ir final year's GPA and any delays in completing medical school were ascertained by reviewing all electronic academic records of each semester they had been enrolled. The combination of personality and learn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mpleting medical school without delays, even after adjusting for sex and admission path.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djusted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for completing medical school without delays were 1.52 (95% confidence interval [CI], 0.83-2.78) and 3.64 (95% CI, 1.70-7.82) for "others" and "both high" categories,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both low" category. For 235 students who completed medical school without delays, their learn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final year's GPA even after adjusting for sex, admission path,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cores) as determined by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 personality and learn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re predictors of medica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nterventions such as personalized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such student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의 중간 결과평가

        김장락(Jang-Rak Kim),정백근(Baekgeun Jeong),박기수(Ki-Soo Park),강윤식(Yune-Sik Ka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4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9 No.3

        이 연구는 주민이 주도하는 건강증진사업으로서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인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4년차 지역에서 건강행태를 중심으로 사업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은 건강불평등 완화를 목적으로 표준화사망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17개 읍(면, 동)에서 2010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며, 15-20명으로 구성된 건강위원회가 보건소와 자문 교수의 도움을 받아 우선순위 건강문제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세부 사업 실행을 주도하는 사업이다. 사업 대상 17개 읍(면, 동) 지역에서는 사업 시작 연도인 2010년에, 이 중 6개 지역에서는 사업 4년차인 2013년에도 계통적 표본추출 가구의 19세 이상 성인(가구당 생월일이 가장 빠른 한 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 건강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제 조사율은 2010년 73.9%(범위 45.9-93.2%), 2013년 75.9%(64.5-89.5%)였다. 최종 조사대상자는 2010년 1,320명(지역별 220명), 2013년 1,200명(지역별 200명)이었다. 조사는 2010년과 2013년의 8-10월 사이에 면, 동 지역별로 이루어졌다. 전체 대상자 및 6개 지역 각각에서 주요 건강행태 결과 변수인 남자의 흡연율, 일주일에 5일 이상 걷기 실천율, 2년 내 건강검진율, 40세 이상의 2년 내 위암검진율, 지역사회 행사 참여율, 그리고 인지된 통제력 설문으로 측정된 개인 및 지역사회 수준의 임파워먼트 점수[14]에 대해 2010년과 2013년을 비교하였다. 남자 흡연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7.7%, 2013년 47.4%로 비슷하였다. 일주일에 5일 이상 걷기 실천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6.2%, 2013년 35.6%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최근 2년 내 건강검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57.7%, 2013년 63.6%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0세 이상에서 최근 2년 내 위암 검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9.3%, 2013년 55.0%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개인수준의 임파워먼트 평균점수는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7.3, 2013년 7.0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역사회수준의 임파워먼트 평균점수는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12.6, 2013년 14.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3년간의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은 지역주민의 흡연율 감소나 걷기 실천율의 증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암검진을 포함한 건강검진율의 향상에는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신뢰성 있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organization as a strategy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We used data from community health interviews from 6 administrative sections (eup, myeon, or dong) with high mortality from August to October, conducted once in both 2010 and 2013 as part of the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based on the concept of community empowerment in Gyeongsangnam-do Province. For 2010,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a systematic sampling of 220 adults from each of the six sections for a total of 1320 subjects, and for 2013, 200 from each section for a total of 1200 subjects. We compared main health behavior indicators and empowerment score between these two years. Results: Smoking prevalence in men was 47.4% in 2013, and 47.7% in 2010, respectively. Prevalence of walking 5 days or more per week was 35.6% in 2013, significantly lower than 46.2% in 2010. Also, during that period, both biennial health examination rate and biennial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among those 40 years of age and over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7.7% to 63.6% and from 49.3% to 55.0%, respectively. Mean empowerment score at the community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2.6 to 14.0.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hree-year implement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 might have help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biennial health examinations including cancer screenings in the community.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for smoking cessation and walking.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evidence-based health promotion.

      • KCI등재후보

        〈사례보고〉 건강증진을 위한 참여 학습의 적용 사례

        김장락(Jang-Rak Kim),정백근(Baekgeun Jeong),박기수(Ki-Soo Park),강윤식(Yune-Sik Ka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1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6 No.2

        저자들은 건강증진 사업에서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위한 참여 학습을 적용하고 과정을 평가하였다. 먼저 참여 학습의 적용 가능성(feasibility)을 시험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지역사회역량강화 시범사업의 건강위원, 지역사회 역량강화 사업을 위한 코디네이터 양성 교육 참가자, 그리고 건강교육진행자에 의한 건강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3-4주에 걸친 참여 학습을 진행하고 교육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 학습 프로그램이 유익했는지’, ‘재미있었는지’, ‘진행방식이 적절했는지’, ‘행자의 진행이 적절했는지’, ‘다른 사람에게 참여를 권하겠는지’의 질문에 대하여 80% 이상이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의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통한 건강증진사업인 경상남도의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의 건강위원 역량강화교육에 본격적으로 참여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 단계인 주제의 선정(듣기)은 지역건강토론회로 대신하였다. 두 번째 단계인 문제 제기(대화)에서는 우선순위 선정과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전략과 세부사업을 의논하였다. 그 결과 자신들이 선정한 우선순위 영역에서 지역사회에서 건강생활이 실천되지 않는 이유를 고려하여 향후 건강위원회가 무슨 일을 해야할지 다양한 전략을 잘 도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인 행동-성찰-행동은 현재 진행 중이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통한 건강증진 사업의 여러 대상에 참여 학습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 and apply it to community empowerment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The participatory learning sessions were composed of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modified Freirean model of empowerment education. Stage 1 of generating themes (listening stage) was replaced with a community health forum. Stage 2 of problem-posing was executed via a two-session small group brainstorming discussion for selecting priority community health problems and strategies to solve them. Stage 3 of act-reflect-act, the implementation of the chosen strategies, is ongoing. We tested the feasibility of the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es in the pilot programs for health education. Then, 14 Myeon (or Dong) Health Committee members used them in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for community empowerment to achieve health equity in Gyeongsangnam-Do, Korea. Results: In the pilot program for feasibility, more than 80% of the 95 participants gave positive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naires after three or four participatory learning sessions. Health Committee members successfully selected various strategies relevant to their communities with facilitation, but without any teaching from outside professionals. Conclusions: We successfully applied the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 to health promotion. However, more studies are warranted to evaluate its long-term applicabi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망률이 높은 지역사회에서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연관성

        김장락(Jang-Rak Kim),정백근(Baekgeun Jeong),박기수(Ki-Soo Park),강윤식(Yune-Sik Ka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2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7 No.3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사망 수준이 높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인지된 통제력으로 측정된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자본(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주관적 건강수준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경상남도에서 표준화사망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29개 읍, 면, 동에서 체계적 표본 추출로 선정된 220 가구의 구성원 중 가장 생월일이 빠른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0년과 2011년의 8-10월이었으며, 최종 자료 분석 대상자는 6,383명이었다. 임파워먼트 수준은 Israel 등이 개발한 인지된 통제력 설문(개인 수준 2개 항목, 지역사회 수준 5개 항목)에 대해 5점 응답(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의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참여는 공식 집단 또는 비공식 집단에 참여하는 여부로, 신뢰수준은 영국의 국립 사회조사센터의 신뢰 설문 3항목을 번역한 질문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수로 구하였다. 평소 본인의 건강에 대해 좋거나 매우 좋게 생각하는 경우를 주관적 건강수준(self-rated health)이 좋은 것으로 구분하였다. 임파워먼트, 사회적 참여, 그리고 신뢰 간의 Spearman의 상관계수 값은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참여 간 0.20, 임파워먼트와 신뢰수준 간 0.15, 사회적 참여와 신뢰수준 간 0.11로 약한 연관성이 유의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행태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임파워먼트 점수가 둘 다 낮은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주관적으로 좋은 건강에 대한 교차비는 개인 및 지역사회 수준 둘 다 높은 경우 1.21(95% 신뢰구간1.03-1.42)로 유의하였다. 사회적으로 공식 및 비공식집단 둘 다 미참여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주관적으로 좋은 건강에 대한 교차비는 비공식집단만 참여하는 경우 1.23(95% 신뢰구간,1.07-1.43)으로 유의하였다. 신뢰수준의 경우에도 0인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주관적으로 좋은 건강에 대한 교차비는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져서, 신뢰수준이 3인 경우 1.29(95% 신뢰구간1.09-1.52)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임파워먼트는 사회적 자본, 인구사회학적 변수, 그리고 건강행태와는 독립적으로 주관적 건강수준과 연관성이 있었으며, 사회적 자본인 사회적 참여와 신뢰 수준과도 약하지만,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건강증진 사업에서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자본 지표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of empowerment and social capital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with self-rated health in Korean communities with poor health.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community health interviews conducted at 29 administrative sections (dong, eup, or myeon) with high mortality from August to October in both 2010 and 2011 as part of the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6,383 individuals composed of approximately 220 adults randomly sampled from each administrative section. The empowerment was measured with five-point Likert scale responses to seven perceived control questions (two at the individual level, five at the community level). The social participation was measured with "participation in formal and/or informal group" and trust using responses to three questions about trust of others. Results: The high empowerment scores at both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social participation in informal groups, and high trust level had independent an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good self-rated health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sex,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food affordability) and health behavior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in the logistic regressions. There were weak but significant associations among empowerment,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levels. Conclusions: Empowerment,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were weakly inter-related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More studies are warranted for empowerment and other social capital indices in health promo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