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위탁아동의 양육환경과 장기적 발달성과

        강현아(Hyunah Kang),정익중(Ick Joong Chung),양경해(Kyung Hae Y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0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가정위탁과 친족가정위탁의 양육환경과 아동의 장기적 발달성과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에 있어 위탁 유형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의 가정위탁 배치 시점부터 매년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된 가정위탁아동 패널연구 2기 1-4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1-4차 조사에 모두 참여하였으며, 4차까지 배치시점과 동일한 위탁유형이면서 친가정복귀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 총 77명이 포함되었다. 양육환경과 아동발달에 있어 시간에 따른 종단적 변화 추이를 탐색하고, 이 변화 추이가 위탁유형에 따라 다른지 분석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배치 시점에서는 일반위탁아동이 친족위탁아동에 비해 양육환경과 발달 측면 모두에서 불리한 상황에 있었으나 시간에 지남에 따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를 보였다. 특히 일반위탁아동이 양육자의 양육태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위탁가정 배치 이후 학대 피해 수준이 급격히 낮아지는 변화를 보였다. 양육자에 대한 애착과 학교적응에서 두 집단 아동모두 시간에 따라 대체로 긍정적인 변화양상을 보였다. 우울·불안의 경우, 집단 간에도, 시간 변화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격성은 유의미한 집단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집단 아동 모두 배치 후공격성이 낮아지는 변화를 나타냈다. 정리하면, 일반위탁이 친족위탁에 비해 양육환경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발달 측면에서도 일반위탁아동이 시간에 따른 긍정적인 변화 폭이 더 컸다. 그러나 배치시점부터 이미 존재했던 일반위탁과 친족위탁 아동의 발달성과에 있어서 격차가 없어지지는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위탁아동의 발달 증진을 돕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aregiving environments and longitudinal developmental outcomes of children living in either kinship care or non-kinship foster care settings. This study also intended to evaluate whether changes in caregiving environments and developmental outcomes over time in the two groups differed by kinship statu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rawn from a sampl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Foster Care Children」.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data were analyzed on 77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s of the first to fourth waves of the panel study, and who experienced neither placement changes nor family reun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in non-kinship care were at a more disadvantageous status than those in kinship care at baseline in terms of their caregiving environments and developmental outcomes. With respect to caregivng environments, the level of experiences of abuse experiences for children in non-kinship care decreased dramatically after being placed to foster care. With respect to longitudinal developmental outcomes, children in both groups showed positive changes in attachment with caregivers and school adjustm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non-kinship care provides better caregiving environments than kinship care. In addition, developmental outcomes improved significantly more in children in non-kinship care over time than in those in kinship care. However, the large gap in developmental outcomes at baseline between the two groups remained nearly unchanged over the follow-up period.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여러 번 가정위탁 양육을 진행한 일반 위탁부모의 경험

        강향숙(Kang, Hyangsook),강현아(Kang, Hyunah),정익중(Chung, Ick-Joong),오세현(Oh, Sehye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는 두 번 이상의 가정위탁 양육을 진행 중인 일반 위탁부모의 경험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서로 다른 아동에 대한 두 번 이상의 위탁양육을 경험한 일반 위탁부모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9년 2월부터 2019년 4월까지 3개월에 걸쳐 진행된 심층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번 이상의 위탁 양육 경험은 〈두 번째를 가능하게 하는 첫 번째〉, 〈백인백색(百人百色)의 아이들〉, 〈가족으로 성장해 가는 화학작용〉의 3개의 주제와 10개의 구성 요소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정위탁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과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foster parents who have accepted new foster care placement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foster parents from February 2019 to April 2019. During the interviews, foster parents shared their experiences of accepting new placements and the meaning of caring for diverse foster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reveal three themes representing the meanings of foster parents’ experiences (‘The first foster caring that makes the second possible’, ‘Every child is unique’, and ‘Growing into a family’) and 10 subthem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pports for foster care are suggested.

      • KCI등재

        아동분야 휴먼서비스 종사자의 통합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대리외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진혜 ( Choi Jin-hye ),강현아 ( Kang Hyunah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생성이론을 토대로 아동분야 휴먼서비스 종사자의 통합성이 대리외상을 통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통합성은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건강생성요인으로서, 삶에 대한 이해력, 관리력, 유의미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위해 대리외상 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동청소년 상담사(161명), 아동보호전문기관 종사자(158명),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의사(39명) 등 총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종사자의 통합성은 서비스 분야와 슈퍼비전 경험유무 및 경력을 통제한 후에도 정신건강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성은 대리외상을 통해 정신건강 문제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생성요인인 통합성이 정신 건강 문제를 낮추는 직접효과와 더불어, 대리외상을 완화함으로써 정신건강 문제를 줄이는 간접 효과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분야 휴먼서비스 종사자의 통합성을 증진하고 대리외상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herence(SOC), vicarious trauma, and the mental health of human service workers. Based on the salutogenic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th of how SOC impacts on mental health through vicarious trauma.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358 workers involved in human services agencies. Th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included 161 child and youth counselors, 158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and 39 psychiatris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as the main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SOC of the participating workers had a direct impact on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even after adjusting for agency types, the level of supervision that they received, and their career service lengths. In addition, the SOC of the workers also had an indirect impact on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through vicarious trauma. It is concluded that SOC alleviates mental health problems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reducing vicarious trauma. Based on these result, practice implications for the mental health of human service worker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아동학대 뉴스 댓글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아동학대정책 주요변화를 중심으로

        오세현(Sehyeon Oh),강현아(Hyunah Kang)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4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how pulic awareness of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the recent child abuse policy changes appeared in the news comments about child abuse. The major policy changes include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Act No. 15255, Dec. 19, 2017), Mandatory CCTV Installation at Daycare Centers (2015), investigation for school children who have been absent school long-term (2016), the 100 state tasks in inclusive welfare (2017), e-Child Happiness Support Service (2018), and Strengthening the Publicness of Child Protection Service (2019). Method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1,333,677 comments on news about child abuse from 1 January 2014 to 31 December 2019. In this study, we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analyze how the contents of child abuse appeared in child abuse comments and the policy contents appeared at the time when major policies were implemented. The analysis using R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public recognized child abuse as a crime. Second, stereotypes on the perpetrators of child abuse were identifi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 is deeply interested in child abuse incidents occurred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astly, the result has revealed that the public, in general, does not yet acknowledge changes on the central policy of child abuse.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cations are discussed to make improvements in awareness of child abuse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Specifically,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solving stereotypes of child abuse, improving trust in daycare cent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child care policies to the public.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별 아동복지 재정격차와 이에 대한 재정조정제도의 격차완화효과

        김윤영(Kim, Yunyoung),강현아(Kang, Hyunah)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의 아동복지 재정 격차를 파악하고 재정조정제도가 지역 간 재정격차 완화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정조정제도 중 하나인 분권교부세가 폐지된 2015년을 기점으로 5년 전인 2010년, 5년 후인 2019년의 세 시점에서 지역간 격차가 각각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10년, 2015년, 2019년 3개년도 기초자치단체 별 아동 1인당 아동복지예산자료이며, 자료의 분석에는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변이계수와 지니계수 및 국가재정의 재정조정계수측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 간 전체 228개 기초자치단체 간에, 그리고 시 · 군 · 구 각 기초자치단체 유형 간에도 아동복지 재정 격차가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정조정제도의 효과는 분권교부세가 폐지된 2015년에 감소하였다가 아동수당과 같은 대규모 현금사업이 도입된 2019년에는 훨씬 향상되었다. 그러나 구 단위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시 · 군에 비해 보조금 의존도가 높고 수도권과 지방의 빈부격차로 인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 단위 기초자치단체의 자체재정력을 더 강화시킴과 동시에 아동수당 등 대규모 현금보조 복지사업의 확대에 발맞춰 재정불균형 해소를 위한 재원보전기능도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financial gaps among 228 local governments in child welfare budget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fiscal adjustments in decreasing the regional financial gaps.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the gaps among 228 regions nationwide at three points: in the years of 2010, 2015, and 2019. The data collected for the analysis were the child welfare budget data per child of 228 local governments for the years 2010, 2015, and 2019.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Gini coefficient, and coefficient of financial adjustment syste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aps in child welfare budgets of 228 regions have steadily decreased over the past decade.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fiscal adjustments decreased in 2015 when the decentralized grant tax system was abolished. However, the effects improved significantly in 2019 when large-scale cash welfare programs were introduced. The group of districts showed larger gaps in child welfare budget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cities and countie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The Reliability of Upper-limb Mechanical Impedance Estimation When Using A Robot with Low Joint Friction

        Seongil Hwang(황성일),Hyunah Kang(강현아),Sang Hoon Kang(강상훈)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6

        The mechanical impedance of the upper limb corresponds to the muscle tone, a muscle’s resistance to passive stretching. Quantifying the impedance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the upper limb post-stroke. A previous study with MIT MANUS, known for its low joint frictions, showed low reliability(< 0.8) in low-frequencies ( (<5Hz). A conjecture for low reliability was the nonlinear properties of upper limb muscles. However, recent studies elucidated that the low reliability could be due to nonlinear frictions in robot joints instead of the muscle nonlineariti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direct drive robot almost identical to the MIT MANUS and a spring array with known mechanical impedance to clarify the reason. The result showed, in the low frequencies, reliability was high when using the robot a robust impedance control compensating the nonlinear frictions in robot joints. In contrast, low reliability was obtained in the low frequencies when using the same robot under a proportional-derivative (PD) control that does not compensate for the fri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w reliability was caused by the nonlinear frictions in robot joints, not by the nonlinearities in the human arm.

      • KCI등재

        고교시절 청소년활동이 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시연(Si-youn Lee),강현아(Hyunah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이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전문대학교 청소년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고등학교 시기(17-19 세)에 참여한 청소년활동 실태와 자아존중감, 행복감 및 리더십생활기술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차에 걸쳐 총 260부를 배포하였고, 23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이 증가할수록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은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과 대학생 리더십생활기술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 경험을 통해 성인기에 필요한 역량 개발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인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of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happiness. For the purposes, we investigated the youth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of college students had experienced. We also measured self-esteem, happiness, and leadership life skills of the students. We surveyed 260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of 234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and leadership life skills. Second, self–esteem and happines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 activity and leadership life skil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help youths develop competency needed for adulthood through participating youth activities.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경험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진 ( Kim Soojin ),강현아 ( Kang Hyunah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통제력의 사회적 지지의 청소년 사이버 불링 경험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편의표집방식으로 표집된 서울 소재의 중학교 1~3학년 청소년들을 17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사이버 불링의 피해 경험과 가해 경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지지의 각 세부 유형 별로 살펴보면, 친구지지와 가족지지는 각각 사이버 불링의 피해 경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는 가해 경험을 감소시키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지지는 사이버 불링 가해나 피해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관련해서는 친구지지와 피해 경험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가족지지와 가해 경험 관계에서 각각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에 대한 대응과 예방을 위하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about how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can influence cyber-bullying experiences, and to compare relative influences of the sub factors of social support on cyber-bullying. In addition, to verify how the social support mediated by self-control influences cyber-bullying experiences. In order to analyze these problems, a sampling and a questionnaire survey have been carried out with 171 students from middle schools(1~3 grade) located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negatively influences cyber-bullying experiences. In the concrete, among the sub factors of social support,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influences cyber-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s of adolescents, while only family support influences cyber-bullying bully experiences. However, teacher support doesn’t significantly influence cyber-bullying experiences. And also self-control has full mediating effect on influence of friend support o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s of adolescents and of family support on cyber-bullying bully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정외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신지혜(Shin, Jee Hae),강현아(Kang, Hyunah) 한국아동복지학회 201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청소년(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의 사회적자본이 그들의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 경로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청소년들 가운데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만 13세 이상 만 19세 이하의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표집 하였고, 총 358명의 가정외보호청소년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요 통계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가정외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자립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교적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 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과 학교적응, 그리고 자립의지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elf-reliance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institutional care, foster care, and group homes). For this study, a total of 3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13 to 19 years) were recruited among adolescents in care nationwid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 bootstrapping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apital of the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was not directly related to self-reliance. However, complete mediation was found through school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elf-reliance. This indicates that social capital of the adolescents in ca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reliance only through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levels of social capital, school adjustment, and self-reliance of adolescents in care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학대 정책 변화 시점 별 뉴스 분석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오세현(Oh, Sehyeon),강현아(Kang, Hyunah)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3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아동학대 정책 변화의 시점에 아동학대 뉴스의 키워드와 토픽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R을 활용하여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아동학대 뉴스 18,058개에 대해 키워드 빈도와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TF(단순 단어 빈도, Term Frequency) 기준 키워드 빈도에서는 아동학대 정책보다는 ‘경찰’이나 ‘사건’이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TF-IDF(단어 빈도-역문서 빈도, TF-Inverse Document Frequency) 기준 키워드 빈도 분석에서는 ‘계모’그리고 ‘어린이집’혹은 ‘교사’와 같은 아동돌봄현장 관련 단어가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학대 뉴스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주요 정책이 토픽으로 추출되는지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처벌법,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 장기결석 전수조사는 뉴스 토픽으로 추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e아동행복지원시스템이나 아동보호서비스 전달체계 공공성 강화와 같은 정책은 토픽으로 추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뉴스에서 아동학대 주요정책이 더욱 전문적이고 접근성이 있도록 나타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eywords and topics in news on child abuse that have emerged as major child abuse policy has changed. The analysis covered 18,058 news reports about child abuse from 2014 to 2019, and the study relied on the R program to perform keyword frequency and topic modeling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 a term frequency(TF) basis,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results revealed “police” and “incidents,” rather than major policies, as the main keywords. Second, based on TF-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terms related to child care, such as “stepmothers” and “child care centers” or “teachers,” emerged as the main keywords. Third, the topic modeling analysis of child abuse news focusing on major policies, in the case of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revealed the topics of mandatory installation of CCTVs in daycare centers, and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long-term absence from school. However, related topics did not emerge in the case of strengthening public concern regarding Child Protection Services and the e-Child Happiness Support System.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