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lenium 공급방법이 수경재배 토마토의 생장과 Se 흡수에 미치는 영향

        이철규(Cheol-Kyu Lee),조경철(Kyung-Cheol Cho),이정현(Jeong-Hyun Lee),조자용(Ja-Yong Cho),서범석(Beom-Seok Seo),양원모(Won-Mo Y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4

        토마토 ‘모모타로’를 공시하여 셀레늄 10㎎ㆍL?¹의 관주 및 엽면시비 등의 단용 및 혼용처리가 수경재배 토마토의 생육 및 과실 내 셀레늄 축적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토마토 종자를 50공 트레이에 파종하여 70일 동안 육묘한 후 유묘를 코코피트 슬라이브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였다. 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 배양액 표준처방으로 조성하였으며, pH 5.8~6.2와 EC 2.3 ㎎ㆍL?¹ 등으로 조절하여 공급하였다. 셀레늄은 무기태 SeO₂와 sugar fatty acid ester에 킬레이트화 한 유기태 셀레늄을 10 ㎎ㆍL?¹으로 조성하여 관주, 엽면시비, 관주와 엽면시비를 병행하여 처리하였다. 초장, 엽수, 엽면적 및 엽록소 등의 토마토 생장반응은 셀레늄의 엽면시비, 그리고 엽면시비와 관주를 병행한 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과실 내 셀레늄 축적 함량은 킬레이트화 한 유기태 셀레늄을 엽면시비와 관주를 병행하여 처리한 경우에 0.302 ㎎ㆍL?¹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태와 유기태 셀레늄의 엽면시비와 관주 등의 단용 처리 보다는 혼용 처리가 전반적인 과실 생장과 체내 셀레늄 축적에 효과적이었다. 무기태 설레늄(SeO₂) 보다는 sugar fatty acid ester에 킬레이트화한 유기태 셀레늄 처리가 셀레늄을 함유한 기능성 토마토의 수경재배에 더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supplying methods of selenium on the growth and Se uptake of hydroponically grown tomato plants. Tomato seeds (Lycopersicum esculentum Mill. cv. Momotaro T-93, Daki Seed Co.) were sown in plug tray with fifty holes, and raised for sixty days. Tomato seedlings transplanted to coco fiber slabs were supplied with the nutrient solutions adjusted to EC 2.3 dSㆍm?¹ and pH 5.8~6.2 recommended by the Japanes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Selenium forms used were inorganic SeO₂ (here in after referred to Se) and organic selenium chelated with sugar fatty acid ester (here in after referred to chelated-Se). 10 ppm selenium solutions were treated to tomato plants with foliar applications, drenching, and foliar application plus drenching. Growth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leaf area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lot of foliar application of Se, and in the plot of foliar application plus drenching of chelated-Se than other plots, respectively. Transported contents of selenium into the tomato fruits were highest as 0.302 ppm in the plot of foliar application plus drenching of chelated-Se. Also, it had tended to be higher in the plot of foliar application plus drenching than in the plots of foliar application or drenching in both of Se and chelated-Se. Foliar application and drenching of organic chelated-Se were effective to produce the functional tomato fruits.

      • KCI등재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하수처리장에서 최적 여재 선정

        서동철,이홍재,조주식,박현건,김형갑,허종수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1

        농어촌 등에서 소규모로 발생하는 하수를 환경친화적이고 높은 하수처리효율을 유지하면서 하수처리장의 장기간 사용을 위한 최적의 여재를 선정하기 위하며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소형하수처리장치를 호기성조 및 혐기성조로 구분하여 시공한 다음, 하수처리량 및 여재 입경별 수처리 효율을 조사하였고, 호기성조와 혐기성조에서 여재 입경별 하수의 투수속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기성조 처리수 및 방류수중의 pH 및 EC는 여제입경에 따라서 별 차이가 없었고, 용존산소는 호기성조를 동과한 호기성조 처리수의 용존산소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혐기성조를 통과한 방류수의 용존산소는 호기성조 처리수에 비해 약간 감소하여 여재입경 및 하수처리량에 따라서 별 차이가 없이 약 2.4~5.1 mg/L정도이었다. BOD,000 및 탁도 처리율은 여재 대(4~10 mm)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호기성조 처리수에서 BOD 처리율은 약 91%이상, COD 처리율은 73%이상, 탁도 처리율은 83%이상이었으며, 이들 처리율은 여재입경이 작을수록 증가하였고 모든 조건에서 방류수중의 BOD 처리율은 98%이상, COD 처리율은 91%이상, 탁도 처리율은 98%이상이었다. 여재입경별 총 질소 및 총 인 처리율은 여재입경이 작을수록 약간 증가하였고, 모든 조건에서 방류수중의 총 질소 처리율은 약 45~59%, 총 인 처리율은 약 80~96% 정도이었다. 하수 처리율 및 투수속도를 고려해 볼 때 하수처리장 호기성조의 최적입경은 2~4 mm정도 혐기성조의 최적입경은 0.1~4 mm정도가 적절한 젓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에 적용하면 높은 하수처리효율을 유지하면서 하수처리장의 공극폐쇄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장기간 운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bble size on the small-scale sewage treatment apparatus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that consisted of aerobic and anaerobic plot pH and EC in both plots varied minimally regardless of pebble size. DO in aerobic plot increased as the pebble size decreased. That in the anaerobic plot was slightly less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aerobic plot, but varied minimally, 2.4~5.1 mg/L regardless of pebble size.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removals of BOD, COD and turbidity in anaerobic plot were more than 98, 91 and respectively. Removals of T-N and T-P increased as pebble size decreased.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removals of T-N and T-P in anaerobic plot were about 45~59 and 80~96%,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optimum pebble size and pebble permeability in both plot was 2~4 mm and 0.1~4 mm, respectively.

      • 뉴로-퍼지 모델의 최적화 기법 개발

        조현찬,서재용 한국기술교육대학교 1999 論文集 Vol.6 No.1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o obtain a reduced neuro-fuzzy model for a plan. To decide which rules we may eliminate dependancy in rough set theory is used. The rapid convergence of the number of the redundant rules must be accomplished by our method. We don't need to cluster the input space from the raw data and furthermore don't worry about ε-completeness, which we have to consider when clustering the initial input space. However many rules it has, neuro-fuzzy model can be reduced rapidly for dependency seek for every rule worthles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dependency to measure the contribution of any rule to the model.

      • KCI등재

        교잡종 찰옥수수에 대한 연구 III : Ⅲ. 국내 옥수수 유전자원 수집종에 대한 주요 특성 분포

        서정은,주현민,최윤표,홍범용,조양희,주정일,지희정,이희봉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7 농업과학연구 Vol.34 No.2

        2006년 국내 각 지역으로부터 수집된 재래종옥수수 유전자원을 관행방법에 의해 파종하고 주요특성별로 분포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유전자원에 대한 발아율은 대부분 80∼100%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일부 수집계통에는 30% 미만의 극히 저조한 발아율을 보였다. 2. 수집자원에 대한 초기생육을 살펴보면 극히 생육이 저조한 것이 40% 정도를 보였고, 극히 우수한 자원은 3%미만으로 나타났다. 3. 간장은 대부분이 150∼199cm범위에 55%가 분포하고 있었으나, l00cm이하가 5%, 250cm이상이 8%로 나타나 수집종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4. 주당 분얼수는 1개 미만이 40%의 분포를 보였으나, 일부 수집종에서 2 내지 3개의 분얼수를 보이는 계통이 확인되었다. 5. 개화소요일수는 61∼64일의 범위에서 40%, 57∼60일의 범위에서 30%의 분포를 보였으며, 특히 일부 수집종의 경우 55일 이하의 극조생종도 10% 정도의 분포를 보였다. 6. 이삭길이는 대부분 11∼15cm범위에 60%가 포함되어 있으나, 일부계통에서 5cm미만이 2%, 16∼20cm의 이삭길이도 10%가 분포하였다. Germination ratio on the 300 collected genetic resources showed 80 to 100 percentage, but those of some accessions were very low as below 30 percentage. Early growth phase of most of these lines were very poor while some collected lines were very vigor. Range of stem height showed from 150 to 199cm, but that of some accessions showed below 100cm as five percentage and some of them was over 250cm as eight percentage. Number of tillers per plant appeared less one but some collected lines have two to three tillers per plant. In days to tasseling, some accessions showed more four per plant. Ear length of these accession showed above 60 percentage as 11 to 15cm, while that of some collected lines showed over 10 percentage as 16 to 20cm.

      • 참나무 群落地의 植物群集構造分析 : Ⅰ. 白雲山의 植物群集構造分析 Ⅰ. Plant Distribu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Mt. Bakwoon

        趙顯瑞,李喆浩 진주산업대학교 1998 論文集 Vol.37 No.-

        백운산 내회지역과 지리산 대원계곡의 삼림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우량종 육성에 필요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운산지역 95개 조사지를 TWINSPAN에 의하여 classification을 분석한 결과, 남사면에서는 양수인 소나무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북사면에서는 활엽수흔효군집으로 구분되었다. 2. 백운산지역 조사지는 DCA에 의하여 1, 2축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소나무군집, 굴참무군집,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서어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고, 상, 하로 신갈나무군집, 활엽수흔효군집, 고로쇠나무군집 등의 8개 군집으로 분리되어 TWINSPAN보다 DCA방법이 효과적이었다. 3. 백운산 지역 군집간의 유사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소나군집과 졸참나무군집, 소나무군집과 서어나무군집, 소나무군집과 고로쇠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과 고로쇠나무군집의 유사도지수가 20%미만을 나타내어 이질적인 군집임을 알 수 있었고,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과 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활엽수흔효군집 그리고 굴참나무군집과 활엽수흔효군집간에는 55%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4. 백운산지역 토양 환경인자의 DCA분석에서 토양산도를 제외하고 모든 인자의 A군집(소나무군집)에서 E군집(서어나무군집)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백운산지역 토양산도, 수분함량, 유기물함량 및 K^+, Ca^++, Mg^++ 등 토양환경요인을 DCA기법을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요인에서 소나무, 신갈나무군집은 낮은 계급을 나타내었고, 서어나무군집, 활엽수흔효군집, 고로쇠나무군집 등에서는 높은 계급에 위치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plant community in Mt. Bakwoon area. The plant community in Mt. Bakwoon was divided into 95 plots by clumped sampling method. According to DCA ordination, Mt. Bakwoon is composed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and Q. serrata communities.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Quercus variabilis and mixed stands of broad leaved trees was more than 55%.

      • 삼나무와 편백林分의 地位指數에 關한 硏究

        趙顯瑞 진주산업대학교 1989 論文集 Vol.27 No.-

        Result from comparing the site indices of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calculated by the Burce method. 1. Among them, the model of H=aT^becT was evaluated to be best fit for estimating average tree height(H) with tree age(T). 2. Equations, InH=1.0223+0.10181nT-3.8125^1/T and InT=1.0052+0.1129InT-3.26871/T were situated form the model for estimating average tree height of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3. Site indices of Cryptomeria japonica were higher than those of Chamaecyparis obtusa up to the site index classes of 4 and 6,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reversed each other when the site index classes were increased to over 8 and 10. Considering the site indices obtained, the nutritional requirement of Chamaecyparis obtusa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Cryptomeria japonica. Under the circumstance, it is recommendable to grow Chamaecyparis obtusa in relatively fertile soil and Cryptomeria japonica in lower fertile soil. The critical value for choosing the site was considered to be site index class 8.

      • RAPD分析法에 의한 참나무 優良種의 PCR反應 分析

        趙顯瑞,李喆浩,李正煥 진주산업대학교 1999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6

        RAPD를 이용한 참나무류의 band pattern은 primer의 종류에 따라 공시 수종별로 구분이 가능한 표식인자(marker)를 가지고 있었고, 상수리나무 (lane 1-11) band pattern에서는 고유 band를 보였다. Primer OPA-10, OPA-16에서 갈졸참나무 (lane 28)은 갈참나무(lane 22-25) 및 졸참나무 (lane 12-17)와 공유 band가 있었으마, 갈참나무와 유사한 band pattern을 보여 갈참나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촐참나무 (lane 12∼17), 갈참나무 (lane23∼27)와 갈졸참나무(lane28) 집단 간에는 유사한 band pattern을 보여 갈졸참나무가 갈참나무에 근접한 교잡종으로 인식되었다. 군집분석결과 28개 집단은 7개 Grpup로 분류되었는데, 제1 집단은 상수리나무, 제 2 집단은 갈참나무, 제 3집단은 졸참나무 등으로 집단간 종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Random Amplified Polymerase (RAPD) DNA analysis was performed on DNA samples obtained from leaf collected from wild Quercus spp. in Kyeongnam Province. PCR - DNA markers were used as a predictor of superior tree in future Quercus spp. breeding development. Eight primers were used for PCR and generated a total of 122 RAPD markers. According to the PCR products bands of Q. acutissima (lane 1-11), Q. serrata (lane 12-17), Q. uariabilis (lane 18-22), Q. aliena (lane 23-27) a n d Quercus x urticaefolia (lane28)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28 individual samples were analyzed by the cluster analysis of 122 RAPD markers, which divides seven group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es, First group are contains Q. acrtissima. Second group are Q. aliena, third group Q. serrata and so on. And close relationship between Quercus x urticaefolia and Q. aliena were ascertained by cluster analysis.

      • KCI등재

        전기집진기 Layout 설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조현덕,윤문철,박기서 한국공작기계학회 1997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6 No.1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the equipment that separates dust particles from the gas in which they are suspended. Specially, for the construction of industri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corporations would send the layout design to a customer to accept an order. Therefore, it is mae a detail drawing after accept ance. Since the layout design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very complex, it takes time and design errors are included. Thus, for competitiveness in these industries, the development of software for the layout design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important. In this study, the developed software deals with technical concept and layout design of industri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By using the software, design time was very short, design errors reduced largely, and the standardization of design c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RESTORED WITH VARIOUS POST-AND-CORE APPLICATIONS

        서민석,손원준,이우철,유현미,조병훈,백승호 大韓齒科保存學會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4

        근관 치료된 치아의 수복에 있어서 파절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점이다. 포스트를 사용해서 수복한다는 것은 치수와 다른 단단한 물질을 근관 내에 삽입한다는 것으로 자연스럽지 못한 구조를 만들어서 고유의 응력분산을 변화시킨다. 오랫동안 수많이 in vitro 연구들이 post-and-core로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에 대해서 이루어졌지만 어떤 것이 최상의 선택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상충되는 관점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한요소분석법을 사용하여 post-and-core system의 물리적인 성질이 치질의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어떤 조합이 파절 저항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근관 치료된 상악 중절치를 삼차원 유한 요소법으로 Modeling하였다. 1.5 mm의 ferrule 높이를 부여하고 외관은 zirconia ceramic crown으로 지정하였다. 세가지 평행한 형태의 포스트 (zirconia ceramic, glass fiber, and stain-less steel)와 두 가치 코어 (Paracore and Tetric ceram) 물질을 6개의 모델로 조합하였다. 각각의 모델은 해면골, 피질골, 치주인대 , 그리고 4 mm 근관 충전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50 N의 정적인 교합력이 치아 장축에서 60도 각도로 치관의 설면에 적용시켰다. 모델들의 응력전달 특징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결과를 나타내는 데는 Maximum von Mises stress 값을 사용하였고 최대 변위량과 정수압도 계산하였다. Glass fiber post로 수복된 경우 높은 탄성계수를 가진 레진 코어 모델 (29.14 MPa)에서 낮은 탄성계수의 코어 모델(29.21 MPa)보다 더 낮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Glass fiber post로 수복된 모델 (0.03497-0.03499 mm)은 다른 포스트로 수복된 모델들 (0.03245-0.03452 mm)보다 더 많은 최대 변위량을 보였다. 이는 glass fiber post로 수복된 치아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치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더 많이 움직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Zirconia ceramic 이나 stainless steel과 같이 탄성계수가 큰 포스트는 응력을 증가시키지만 포스트가 스트레스를 대부분 흡수하여 치질에는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Glass fiber post로 수복된 모델에서는 코어와 크라운이 만나는 순면 치경부에서 가장 높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gidity of post core systems on stress disthbution by the theoretical technique, finite element stress-analysis metho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simulating an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restored with a zirconia ceramic crown were prepared and 1.5 mm ferrule height was provided. Each model contained cortical bone, trabecular bone, periodontal ligament, 4 mm apical root canal filling, and post-and-core. Six combinations of three parallel type post (zirconia ceramic, glass fiber, and stainless steel) and two core (Paracore and Tetric ceram) materials were evaluated, respectively. A 50 N static occlusal load was applied to the palatal Surface of the crown with a 60° angle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The differences in stre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models were analyzed. von Mises stresses were chosen for presentation of results and maximum displacement and hydrostatic pressure were also calculated. An increase of the elastic modulus of the post material increased the stress, but shifted the maximum stress location from the dentin surface to the post material. Buccal side of cervical region (junction of core and crown) of the glass fiber post restored tooth was subjected to the highest stress concentration.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remaining radicular tooth structure for low elastic modulus resin core (29.21 MPa)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for high elastic modulus resin core (29.14 MPa) in case of glass fiber post. Maximum displacement of glass fiber post restored tooth was higher than that of zirconia ceramic or stainless steel post restored tooth.

      • Co-계비정질 리본의 자기특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에 관한 연구

        조치현,신용진,문현욱,서강수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3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2 No.-

        This thesis describes the effect of annealing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Co-bsaed amorphous. The basic composition of the chosen samples were Co82Si2B15 of zero magnetostriction. The sample was melted in the quartz tube with 0.5[mm∮) nozzle. and the single roll technique was used to make a amorphous ribbon, under Ar-gas pressure 0.6〔kg/cm2] and ro11 speed 28[m/sec]. The average width and thickness of sample ribbons 2.4[mm] and 45(㎛). The sample ribbons were annealed to improve the magnetic properties at temperature of 325,350,375,400 and 450℃ respectively, for 15,30,45,60 and 120 [min] at each temperature. And I have measured high per meability of 8,000∼ 13,000 through the annealed amorphous ribbons. Especially, when the amorhpous samples were annealed at 325 for 45min, the permeability of the ribbon was 13,589. Consequently. I had effects of the improvment of permeability and the average loss at the low-frequency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