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화에서 재현되는 시각장애인의 이미지와 성차-2000년대 이후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박홍근 ( Park Hong-ge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4

        이 연구는 장애인이 등장하는 영화에서 재현되는 장애의 양상이 남성중심 이데올로기에 근거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성차(性差)에 따라 같은 장애 유형도 전혀 다른 사회적 의미로서 재현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영화 속에서 재현되는 장애인의 이미지는 거부된 몸, 통제 불가능한 몸이라는 편견을 확대재생산하여 장애인은 의존적이고 수동적으로 보이게 만든다는 지적을 해왔다. 이러한 기존의 문제 제기는 ‘장애인 일반’의 왜곡된 스테레오 타입을 지적해 장애 인식 개선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장애인을 ‘무성’적인 존재로만 인식한다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애인 일반의 왜곡된 이미지 연구를 넘어서, 성차에 따라 장애가 어떻게 재현되며 그것이 무엇을 (재)생산하고 있는지 주목한다. 이 연구는 멀티플렉스 도입이후 한국영화의 대중 영향력이 두드러지기 시작한 2000년을 기점으로 해서 2016년까지 장애인이 주연이나 비중 있는 조연으로 나온 한국 대중영화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성차에 따라 재현되는 장애의 양상을 시각장애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시각장애에 있어서 여성 장애인은 남성에게 의존하며 남성지배 질서에 예속되어 마땅한 존재로, 남성 장애인은 장애에 굴하지 않고 타인에게 헌신적이거나 비범한 이미지로 재현된다. 이러한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는 서사차원의 전략뿐 아니라 카메라의 응시, 등장하는 남성 캐릭터의 응시에 의해서 공고화 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images of the disabled in movies represented differently based on gender and explains those images are grounded in male-dominated media ideology. Generally, images of the disabled in movies shows prejudices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they are passive because the disabled can not control their body and mind as they wish. The earlier studies have questioned the problems of those images. However, this perspective can lead to misinterpretation that the disabled are asexual. This study focus on Visual Impairment represented by male gaze discuss of Laura Mulvey. This study examines 35 korean films with characters playing the disabled released from 2000 to 2016 in Korea. Those characters who have a visual impairment can be divide into two categories. Male characters are represented like an self-sacrificer. Female characters are represented like a immature girl controlled and protected by men. This study concludes that images of visual impairment in movies reinforced the male ideology.

      • KCI등재

        사회적 배제의 형성과 변화

        박홍근 ( Hong Geun Park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8

        이 연구는 사회적 배제자를 만드는 사회적 배제의 형성 방식을 넝마주이의 국가동원 역사를 통해 살펴보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1950년대에는 부랑아, 1960년대에는 근로재건대, 1980년대에는 자활근로대, 그리고 199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포이동 주민들로 불린 사람들의 역사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1950년대 국가는 구걸을 하거나 넝마를 주워 팔던 부랑아를 수시로 단속하여 수용보호시설에 보냈다. 1961년대 5·16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정권은 사회악 일소를 내세우며 넝마주이를 깡패와 함께 주요갱생대상으로 지목하였다. 국가는 넝마주이를 모아 근로재건대를 조직하여 군대식 규율 하에 관리하였다. 1979년대에 자활근로대로 재편된 넝마주이들은 강제이주 되어 집단거주지를 형성하게 된다. 1980년 말 해체 통보를 받은 후 여전히 집단거주지에서 생활한 자활대원들과 그가족은 불법 점유자로 낙인찍혀 거액의 누적 벌금을 물게 되었다. 사회적 배제자는 시대마다 생산되는 방식의 형태를 달리하면서, 그 시대가 원하는 정상성의 대립항으로서 지속적으로 주조되며 재생산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ate``s mobilization of ragpickers in Korea to analyze the formation of social exclusion. Here the state``s mobilization of ragpickers is traced and distinguished by juvenile vagrants in 1950s, the rebuilding work corps in 1960s, the self-support working corps in 1980s, and Poi-dong residents from 1990s to the present. The state tried to make juvenile vagrants invisible by arresting them and sending them to camps. In 1961, the military government classified juvenile vagrants and ragpickers as the social evils that must be eradicated. The state rounded ragpickers up, managed them with local police forces. In 1979 those ragpickers were forced to migrate and form a village in order for the state to control them efficiently at the local level. In the end of 1980s, notified to be disband, the people residing at the village where they were forced to migrate previously were now seen as illegal occupants and were levied great fines. The excluded have been continuously recreated and reproduced in different ways in different times. It must be examined through the society that created and defined their abnormality.

      • 실패한 견관절 불안정증의 봉합술에 대한 재수술

        박진영,박홍근,오정환,Park, Jin-Young,Park, Hong-Geun,Oh, Jeong-Hwan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불안정성 견관절에 대한 진단과 치료는 정형외과 영역에서 가장 어려운 분야 중에 하나이다. 관절와 위에서 움직이는 상완골두의 아탈구와 정상적인 전이, 통증과 기능 저하를 일으키는 이완의 정도는 구별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불행하게도 이 불안정성을 일으키는 모든 병변에 시행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한가지의 치료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불안정성의 방향과 정도뿐만 아니라 동반된 문제까지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해부학적 결손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불안정성에 대한 봉합술의 실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잇는 흔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정확한 해부학적 병리소견을 확인하는 올바른 진단, 올바른 치료 방법에 대한 이유, 필요 없는 내고정물의 사용이나 불안정성, 관절염, 신경 및 혈관 손상 등을 남길 수 있는 도달법의 사용과 같은 기술적 결함 등이 있다. 술후 견관절의 안정성, 유연성, 지구력을 회복시켜 강도높은 스포츠나 노동에 복귀할 수 있는 잘 준비된 재활을 통해 추가적인 손상을 막아야 한다.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unstable shoulder is one of the more difficult problems in orthopaedic surgery. There is confusion between the normal laxity with translation and subluxation of the humeral head relative to the glenoid and an abnormal amount of laxity, leading to pain and dysfunction. Unfortunately, there is no single treatment that applied to all lesions that cause the instability. It is imperative, therefore, that an accurate diagnosis be made, including the directions and degree of shoulder instability as well as any coexisting problems. Anatomical defects must be defined. Common factors that could most readily compromised instability repair are examined. These include techniques for making an accurate diagnosis with identification of the precise anatomical pathology, and the rationale for appropriate surgical treatment with the avoidance of technical complication such as unnecessary hardware or exposures that might lead to residual instability, arthritis, and nerve or vascular injuries. Additional injuries may be prevented by careful rehabilitation postoperatively to restore shoulder stability, flexibility, and endurance prior to an individual's return to stressful sports or work.

      • 실외기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시스템

        박세훈(Se-Hoon Park),김원중(Won-Joong Kim),김민제(Min-Je Kim),박홍근(Hong-Geun Park),김현준(Hyeon-Jun Kim),김형준(Hyung-Jun Kim),박동삼(Dong Sam Park)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10 No.1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에너지 절약 시스템은 IOT(Internet-Of-Things) 시스템이 결합된 빗물회수통을 구비하고 여기에 저장되는 빗물을 재활용하는 구조이다. 에어컨 실외기에서 나오는 폐열로 빗물에 열전도를 시켜 가열된 빗물을 보일러 물탱크로 보내 보일러 예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하는 시스템이다. 에어컨 실외기 상단에 빗물회수통을 설치함으로써 고열에 의한 화재예방 효과는 물론 실외기의 효율이 증대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The energy saving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combines the rainwater recycling reservoir and the IOT(Internet-Of-Things) system to transfer heat to rainwater using waste heat from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e heated rainwater is then sent to the boiler water tank to save the energy needed to preheat the boiler. Therefore, by installing a rainwater recycling reservoir on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utdoor unit and prevent fire accidents due to high h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