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마을 색채경관 현장조사 방법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조은수 ( Eunsoo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70년대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주택개량사업은 한국의 농촌경관을 전통적인 이미지와는 다른 모습으로 변화시켰다. 자연과 동화되었던 한국의 농촌경관은 고채도의 색채와 인공적 재료의 오남용으로 훼손되어갔고, 4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주변 자연배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이 지닌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그동안 많은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각 지자체별로 경관계획을 실시하여 과거에 비해 한층 체계적인 색채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해결에 있어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농촌마을 색채경관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는 근본 원인을 지자체 색채경관의 현장조사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된다. 첫 단계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관련 이론을 고찰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까지 농촌마을 색채경관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하나로서 경관계획내의 색채가이드라인과 관련한 연구 자료를 통해 기존 색채경관의 현장 조사방법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앞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농촌 마을의 색채경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서 색채계획 프로세스 중 현장조사 방법 및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기존 현장 조사방식을 분석한 결과, 자연환경의 조사시기가 특정 계절에 한정되어 있고, 조사시 조망하는 거리나 위치 등의 조망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감성적·상징적 항목 등을 통해 대표색채를 추출한다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배경과 인접과의 「관계성」,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사계절특성을 반영하는 「시간성」, 원경·중경·근경에 따른 「조망성」의 세 가지 관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결론) 지금까지 농촌의 색채경관계획은 농촌건축물의 유형별 모델 한 채만을 대상으로 하는 점적인 개념의 가이드라인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앞으로의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색채경관계획은 기존의 점적인 근경위주가 아닌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면적인 개념의 접근과 함께 인접한 건축물간의 연속성을 살릴 수 있는 통일성 있는 경관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which was promoted as a part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changed the landscape of rural areas in Korea from its traditional image. The rural landscape of Korea, which was assimilated with nature, was damaged by the overuse of high-chroma colors and artificial materials, and even after 40 years it continues to be a landscape that is not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background. Many discussions have been ongoing to recognize and solve the problems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and landscape planning has been implemented in all municipalities to provide a more systematic color management plan. However, an effective solution has yet to be reach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oot causes of the problem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which have remained unresolved for a long time through field research methods of colored landscapes, and suggest a practical improvement plan. (Method)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explai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in the second stage the theoretical basis is prepar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data. In the third stag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field research method are identified through data on the color guidelines in the landscape plan as one of the various reasons that the problems of color in the rural landscape have not solved. In the fourth stage, a practical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based on the above problems is suggested as a method of field research and improvement plan.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urvey period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limited to a specific season, and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viewing environment, such as the distance and the position to be looked at in the survey, and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color through emotional and symbolic item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improvements from three persp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adjacent object, the time reflecting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seasons, and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landscape. (Conclusions) So far, the color plan related to the rural landscape has focused on the guidelines of a point concept that covers only one model of rural architecture. In the future, the landscape color plan in rural villages should be planned as a unified landscape that can represent continuity between neighboring buildings, as well as approaching the concept of an area tha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 KCI등재

        조망거리별 색채경관 분석기준에 관한 연구

        조은수 ( Cho Eunsoo ),채민규 ( Chae Min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은 오랜 세월동안 자극적이고 자연배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모습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60년대 경제개발 시기를 기점으로 시작된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이농(離農)현상과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70년대 새마을 운동의 주택개량사업을 들 수 있다. 주택개량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농촌의 모습은 과거 전통적인 마을의 모습과는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띠게 되었다. 어떠한 기준이나 제지 없이 지붕에 도색된 무절제한 색채의 남용은 이 시기부터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혼란스러운 색채의 남용은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못한 채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는 원인 중 하나로 각 지자체의 색채경관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사 및 분석방식, 관리방식 등이 색채경관의 본질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색채경관 가이드라인의 조사 및 분석방식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그것을 보완할 방안의 하나로 조망거리에 따른 색채경관 현장분석기준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색채경관관련 이론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적용할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색채경관 현장 분석을 위한 분석기준을 설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기준의 적합도를 검증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조망거리에 따른 색채분석의 기준은 인간의 시지각 현상에 기반을 둔다. 시지각 현상을 근거로 하여 조망거리, 시각적 형태를 이루는 기본요소이자 경관 구성의 주요 요인인 점ㆍ선ㆍ면, 색채의 동화현상에 해당하는 시각적 혼색,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성의 네 가지 요인을 분석기준의 주요 개념으로 적용한다. 이것을 조망거리별 원경, 중경, 근경관점의 색채 분석기준으로 분류한다. 원경 분석기준에서는 사계절 배경색과 대상색과의 상호관련성을 통하여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성 및 조화여부를 파악한다. 중경 분석기준에서는 색상, 명도, 채도의 색차 그래프를 통하여 인접 건축물과의 연속성 및 조화여부를 파악한다. 근경 분석기준에서는 개별 건축물의 구성요소별 색채조화여부를 파악한다. (결론) 지금까지의 점적인 근경위주의 색채계획은 주변과의 조화 및 배경과의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속되어 왔으며, 오늘날까지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색채경관의 본질적 개념인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적용한 조망거리에 따른 새로운 방식의 색채분석기준을 제안하는 바이다. 향후 본 연구의 방안이 우리나라 농촌경관의 색채를 조금이나마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lor landscape of rural villages in Korea has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as stimulating and inconsistent with the natural background.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is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started in the 1960s, and the displacement from agriculture, and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The appearance of rural areas in Korea took on a completely different aspect from the appearance of traditional villages in the past. As a result, the abuse of the roof color painted of this period has not been resolved yet. As the main factor in this phenomenon,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field survey and analysis method suggested in the color landscape guideline of each local government did not reflec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landsca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lor landscape field analysis standard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theoretical basis to be applied to this study is prepared through the study of color landscape related theories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the second stage, color landscape field analysis standards are established. In the third stage, the suitability of the analysis criteria is verified through case analysis. In the fourth stag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presented. (Results) The standard of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is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phenomenon. Four factors are applied as the main concepts of the analysis criteria: viewing distance, the main factors of landscape composition: dots, lines, and planes, visual color mix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Thi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lor analysis criteria by viewing distance. In the distance view analysis standard, it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object color through the four seasons analysis tool. In the mid view analysis standard, the continuity and harmony with neighboring building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olor difference graph. In the near view analysis standard, it presents whether color harmony of each component of housing or not. (Conclusions) The near-sighted color scheme has continued without considering the harmony with surroundings and has been the main cause in polluting the colors of rural village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cept of 「time」and 「space」, which are the factors of color landscape, is introduced to propose a standard for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It is hoped that the method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changing the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n Korea in a better way in the future.

      • KCI등재

        BTS ARMY에서 페미니스트 팬으로: 3세대 K-Pop 아이돌 팬의 페미니즘 실천과 한계

        조은수(EunSoo Cho),윤아영(AhYoung Yoo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5 No.3

        본 연구는 팬과 페미니스트의 정체성이 공존하며 팬덤 내에서 비판적 팬 수행을 하는 이들을 ‘페미니스트 팬’이라 정의하고, 2015년 한국의 페미니즘 재점화 이후에 나타난 3세대 K-Pop 남성 아이돌의 여성 페미니스트 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팬 수행 경험과 감정을 질적 연구로써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과 달리 팬덤 이탈(‘탈덕’)을 의미 있는 팬 수행이라 여기는 이들의 인식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방탄소년단(BTS)의 팬덤 아미(ARMY) 내 페미니스트 팬들을 대상으로 선정, 심층 인터뷰를 통해 페미니스트 팬 경험을 자료화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페미니스트 팬 수행 경험은 페미니스트 팬 정체화, 이에 따른 비판적 팬 수행, 그 과정에서의 페미니스트/팬 정체성 모순에 대한 갈등, 이로 인한 팬덤 이탈(고려)까지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팬덤 이탈은 아이돌에 대한 감정적⋅물질적 소비에 대한 개인적⋅정치적으로 의미 있는 팬 수행이자 운동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팬덤 이탈을 포함한 이들의 운동은 엄밀히 볼 때 실패한 운동으로, 인간의 상품화로 자본을 얻는 아이돌 산업의 근원적 구조는 페미니즘을 불필요한 담론으로 여기고 페미니스트 팬들의 이탈은 결국 배제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스트 팬들은 결론적으로 페미니스트 대중의 한 부분이 되고, 이들은 대중문화의 여성혐오적 구조에 균열을 일으킨다. 3세대 K-Pop 아이돌 페미니스트 팬들의 팬덤 이탈을 포함한 팬 수행 경험을 고찰하는 것은 페미니즘이라는 사회적 의제 아래 K-Pop과 그 팬덤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 한국 대중문화와 여성 대중이 앞으로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지 질문을 던지는 것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feminist fan experience and their narratives since 2015 when feminism has re-captured public attention in South Korea. With BTS and its fandom ARMY as a main case study, we try to identify who the feminist fans are and what makes their fan practice critical to K-Pop industry and our society. Selecting six (former/current) BTS ARMYs who claim themselves as feminist fans,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terms of their feminist fan experience on misogynistic lyrics and controversial attitude of BTS after 2016. By analyz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narratives of feminist fan practice, we found that “declaring leaving K-Pop fandom” has crucial meaning to feminist fans. Four common experiences have been examined: (1) identifying him/herself as both fan and feminist, (2) practicing feminism in their fandom group, (3) self-conflict between two different identities, (4) (considering leaving or) leaving fandom as a feminist fan statement. We also discovered that they considered “leaving fandom” as the strongest political/public statement as a fan, a K-Pop consumer, as well as a feminist. While the emergence and practice of feminist fans have its own importance, it obviously did not succeed in expanding its implications to either K-Pop idol scene or Korean feminist movement. It also fails to fracture dominant structural tendency to neglect feminist perspective in K-Pop idol industry or culture which considers human being as a major capital or a product. Despite these limitations, we argue that exodus of feminist fans from K-Pop fandom allows a critical question to current misogynic K-Pop idol scene, and K-Pop industry in general: “is feminism really unnecessary to K-Pop idol scene?” We expect this study to bring attention to changes in K-pop and its fandom under the growing influence of feminism. Furthermore, it can shed new light on how the relation between Korean popular culture and Korean feminist public will evolve.

      • KCI등재

        Lexicon transducer를 적용한 conformer 기반 한국어 end-to-end 음성인식

        손현수,박호성,김규진,조은수,김지환,Son, Hyunsoo,Park, Hosung,Kim, Gyujin,Cho, Eunsoo,Kim, Ji-Hwan 한국음향학회 2021 韓國音響學會誌 Vol.40 No.5

        최근 들어 딥러닝의 발달로 인해 Hidden Markov Model(HMM)을 사용하지 않고 음성 신화와 단어를 직접 매핑하여 학습하는 end-to-end 음성인식 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conformer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end-to-end 음성인식 방법은 현재 시점에서 어떤 자소 또는 단어가 나타날지에 대한 확률에 대해서만 초점을 두고 있다. 그 이후의 디코딩 과정은 현재 시점에서 가장 높은 확률을 가지는 자소를 출력하거나 빔 탐색을 사용하며 이러한 방식은 모델이 출력하는 확률 분포에 따라 최종 결과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end-to-end 음성인식방식은 전통적인 음성인식 방법과 비교 했을 때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외부 발음열 정보와 언어 모델의 정보를 사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학습 자료에 없는 발음열 변환 규칙에 대한 대응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발음열 정보를 담고 있는 Lexicon transducer(L transducer)를 이용한 conformer의 디코딩 방법을 제안한다. 한국어 데이터 셋 270 h에 대해 자소 기반 conformer의 빔 탐색 결과와 음소 기반 conformer에 L transducer를 적용한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학습자료에 등장하지 않는 단어가 포함된 테스트 셋에 대해 자소 기반 conformer는 3.8 %의 음절 오류율을 보였으며 음소 기반 conformer는 3.4 %의 음절 오류율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신규 간호사 태움의 개념분석

        박수현 ( Suhyun Park ),송지현 ( Jihyeon Song ),송혜리 ( Hyery Song ),조은수 ( Eunsoo Cho ),최기쁨 ( Gipeum Choi ),최은주 ( Eunju Choi ) 이화간호과학연구소 2018 Health & Nursing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of Taewom in Korean new nurses and its specific attributes. Methods: This study used Walker and Avant’s process of concept analysis. Results: The attributes of Taewom have been identified as followed. 1) Negative behaviors of the senior nurses, 2) Absence of a standardized training curriculum for new nurses 3) A shortage of Registered Nurses, 4) The atmosphere of taking it granted. Antecedents of Taewom are as follows. 1) Excessive workloads, 2) Authoritative organization culture, 3) The innate personality of the new nurses. Consequences have been demonstrated as follows. 1)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2) Burnout and leave the work, 3) Decreased quality of patient care, 4) A vicious circle of a nursing shortage. Conclusion: Taewom can be defined as senior nurses’ unjustifiable teaching ways originated in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toward new nurses in Korea.

      • A way of measuring learner's ongoing changes of interest and comprehension

        Hun Jeon(전훈),Sun-Hee Back(백선희),Yoonkyung Chung(정윤경),Eunsoo Cho(조은수),Soongoo Kwon(권순구),Eun Mo Yeon(연은모),Min-Hye Lee(이민혜),Yeonhee So(소연희),Dong Sung Choi(최동성),Sung-il Kim(김성일)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This study conducted to tried to find a way of on-line assessment of learner's interest and comprehension during interactive learning process. The result of experiment confirmed that learners' behavior patterns acquired from log data could be good predictors of learner s level of interest and comprehension in actual performance on KORI program. To predict learning outcome depending on the behaviors of individual learners, self-efficacy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ere measured as individual differences. Th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use TA program KORI program at home for ten days and their response patterns were recorded through network. After using KORI, the levels of interest and comprehension were measured.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ach learner' s interest and comprehension were predicted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log data captured on real-time. This prediction process was done differently depending on learners' characteristics. Since equations which predict learners' interest and comprehens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learners' characteristics, differential interfaces should be provided depending upon changes in their level of interest and compreh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