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금속 알콕시드를 이용한 투명 결정화유리의 저온 합성 (1) Li<sub>2</sub>O·1.7Al<sub>2</sub>O<sub>3</sub>·8.6SiO<sub>2</sub> 다공성 겔체의 합성

        전경수,탁중재,Chun, Kyung-Soo,Tak, Joong-Jae 한국공업화학회 2007 공업화학 Vol.18 No.6

        Crack-free dried gel monoliths of the composition $Li_2O1{\cdot}7Al_2O_3{\cdot}8.6SiO_2$ have been prepared as a precursor of transparent glass-ceramic by the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of mixed metal alkoxides in solutions containing N,N-dimethylformamide as the drying control chemical additive, alcohols, and water. It was investigated that activation energy for gela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water concentration ranged from 13 to 14 kcal/mol. Only when the amount of water for gelation was 3 times higher than the stoichiometric amount, monolithic dry gels were successfully prepared after drying at $70{\sim}75^{\circ}C$ and at a rate of 0.1~0.3%/h. The specific surface area, the pore volume, the average pore diameters of dried gel at $180^{\circ}C$ were about $239.40m^2/g$, 0.001~0.03 mL/g, and $145.62{\AA}$, respectively. It showed that the dried monolithic gel had a porous body. The DTA curve had the first exothermic peak around $800^{\circ}C$ and the 2nd peak around $980^{\circ}C$, which may correspond to crystallization of the gel. 투명결정화 유리의 전구체로서 균열이 없는 $Li_2O1{\cdot}7Al_2O_3{\cdot}8.6SiO_2$ 조성인 다공성 괴상 겔을 formamide를 첨가한 알콕시드 용액으로부터 sol-gel방법으로 합성하였다. 겔 합성에서 겔화 활성화 에너지, 비표면적, 습윤겔의 완전 탈수에 필요한 온도, 기공의 부피 및 기공크기와 분포를 측정하였고, 겔의 결정화온도를 검토하고자 시차열분석을 실시하였다. 겔화의 활성화에너지는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의 첨가량에 따라 13~14 kcal/mol 범위를 나타내고, 물의 첨가량이 가수분해시 필요한 이론량의 3배 이상일 경우, $70{\sim}75^{\circ}C$, 건조속도 0.1~0.3 %/h에서는 겔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한 괴상 겔을 제조할 수 있었다. $180^{\circ}C$에서 건조한 겔체는 비표면적, 기공부피 및 기공크기분포는 $239.40m^2/g$, 0.001~0.03 mL/g 그리고 1~122 nm 반지름의 미세구조로 된 투명 겔체로서 다공질 물질임이 확인되었고, 건조겔의 시차열분석 결과 $800^{\circ}C$ 부근에서 1차 발열피크, $980^{\circ}C$ 부근에서가 2차 발열피크가 확인되어 결정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保存과 接神의 醱酵文化論

        전경수(Chun Kyung-Soo)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음식은 문화의 문제이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인류학은 이 부분에 착안하여 성공적으로 ‘날 것’과 ‘익힌 것’의 이항대립을 통하여 인간의 심성을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삭힌 것’의 존재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항대립의 구조분석이 설 자리가 없음을 확인하게 된다. 본고는 음식문화의 성공적 등장으로 자리잡은 틀에서 간과되었던 ‘삭힌 것’의 존재에 착안하여, 발효라는 과정을 통한 음식의 문제를 재고하려고 한다. 발효음식의 대표적인 두 가지 종류는 유산발효의 결과인 장류와 알코홀발효의 대표인 주류가 있다. 유산발효의 목적은 보존에 있고, 알코홀발효의 목적은 접신에 있다고 생각한다. 발효에 의한 음식의 보존은 장기간 저장이라는 방식을 통하여 부족한 음식을 보완하는 목적이고, 접신 즉 신을 만난다는 것은 축제나 의례를 통하여 신과 조우하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전자를 신체적인 측면에서의 보완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보완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발효음식의 존재는 궁극적으로 심신의 보완이라는 목적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사람과 미생물 그리고 자연이 함께 어우러져서 만들어내는 조합이라고 생각한다. Food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r of culture. An eminent French anthropologist Claude Levi-Strauss has long been reaching us human mind in the form of binary opposition and he adapts this model to food as a contrast between 'the raw' and 'the cooked'. How about something fermented one ? Fermented foods are flooded in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two different ways of fermented foods: lactic acid fer mentation and alcoholic fermentation. The former aims ar preservation in everyday life, the latter does for spirit in the ritual context. Various ethnographies examine different kinds of fermented foods in various regions and different tastes of alcohols in every corner of the globe. Indonesian Tempe,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in Thailand, Sardinia's Ripe Pecorinos are good examples to consider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Fermentation process concerns microorganisms and bacteria in the context of culture through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is paper just opens an argument to raise the question of further researches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of fermentation pervailed in the realm of the indigenous foods and knowledges. As we look ar the fermented foods, we never forger the reciprocal process between biology and culture of which I would like to call it as coevolution.

      • KCI등재

        아시아의 신(神)들은 빨간쌀을 좋아한다: 의례용(儀禮用) 적미(赤米)와 적미박멸(赤米撲滅)의 식민정책(植民政策)

        전경수 ( Kyung Soo Chun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9 韓國文化人類學 Vol.42 No.1

        한반도에 존재하였던 적미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 기간 동안 사라지는 운명을 맞았다는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증명하는 것이 하나의 연구 질문이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삼아 온 여러 지역들, 예를 들면 일본과 베트남 그리고 중국 등지에서 발견되는 적미가 왜 한반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없을 수가 없다. 본고를 작성하는 목적은 녹색혁명이라고 하는 근대적인 지식 체계에 의해서 사라져 간 아시아의 쌀에 관해서 논하는 것이며, 특히 이미 지역에 따라서는 완전히 사라져 버린 적미와 적미에 관련된 아시아 문화의 특성에 관련된 논의이다. 지금 한국인들은 쌀이라고 하면, 백미만을 생각하게 된다. 환언하면, `쌀은 흰색`이라는 생각은 식민지배의 영향에 의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적미와 관련된 쌀의 문화론은 사라지고, 백미만이 남은 이 땅의 쌀 문화론을 논하는 것은 식민지 지배의 역사를 망각하는 셈이다. 쌀에 각인된 식민지의 역사에 대하여 무관심한 것은 역사의 핵심부분에 대해서 무관심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적미에 관련된 자료들을 집적하여 적미 박멸의 역사를 재구성해 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중국에서도, 베트남에서도, 일본에서도, 한국에서도, 아시아에서는 의례용으로 적미를 사용한 기록과 삶의 역사를 보여 주고 있다. 즉 아시아의 신들에게 바쳐지는 음식은 빨간쌀이 기본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신의 영역에서 공희로 바쳐지던 빨간쌀이 사라지는 과정에 식민주의가 개입하였다는 점에 대해서는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기록들이 증거로서 존재하고 있다. 신들을 위한 공희용으로 재배되었던 적미의 존재로 인하여 적미의 종은 유전되고 있다. This paper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red rice in the Korean peninsula has almost disappeared as an outcome of Japanese colonial policy. I focus on the process of colonial domination, and how it resulted in policies that eradicated the cultivation of red rice. In terms of comparison, red rice is still grown in China, Japan, and Vietnam, while Korean rice farmers no longer grow the red rice. The question of why red rice disappeared in Korea is addressed in this paper in the context of the green revolution in Asia. Contemporary Koreans believe that rice should be white in color, an idea which has been the result of the colonial influence. This is a reflection of the culture of colonialism, and it also reflects the tendency of forgetting about the colonial history.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red rice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uncover the colonial history. Based on the ethnographic surveys, red rice is mapped on various areas of Asian societies. Red rice has been sacrificed for the spirits in Asian culture in general. The eradication of the red rice during the colonial times in Korea should be seen as a kind of cultural genocide in spiritual terms.

      • KCI등재

        문화주권의 ‘제주해녀(濟州海女)’와 해군기지 : 사회과학의 관찰과 예측

        전경수(Kyung Soo Chun)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8 No.-

        나는 사상적 자유가 전제된 실증주의적 경험과학이 우리 세대가 천착해야할 과제라는 생각을 한다. 관찰과 예측의 대상이 된 사회 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것이 19세기 이래 근대화 과정 속에서 지배되고 속박되었던 상황이다. 학문이라는 이름하에 끊임없이 수입된 것들 □라□대 (카더라)의 수준으로 이식해온 점에 대해서 심각한 반성이 없으면, 이 땅에서 학문이 존재할 공간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게 된다. 비판을 목적으로 설정한 관찰과 예측이 준동하고, 그러한 과정을 사회운동 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하려는 시도들이 횡행하는 것은 학문도 삶도 모두 어지럽게 만들 수 있다. 地名과 고유명사의 헤게모니라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서 나는 제주 하는 단어의 포기를 주장하고, 그 대신에 문화주권과 정체성 복권에 관련된 용어로서의 耽羅 를 제안하였다. 동시에 물질에 관련된 키워드인 海女 가 내포하고 있는 植民知의 문제를 제기하여, 토속명에 바탕을 둔 □수 로 대체할 것도 제안하였다. 植民知의 정체성으로 똘똘 뭉쳐진 두 가지 단어들, 즉 濟州 와 海女 가 결합된 濟州海女 는 중층적 식민지의 극단적인 표현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그 현상에 대해서는 탐라□수 하고 적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해군기지가 들어설 수밖에 없는 상황의 이 섬이 위기의 상황을 맞을 것인가, 아니면 기회의 상황을 맞을 것인가? 우리는 여러 가지의 관찰 과정과 사실인식을 통해서 위기인가 아니면 기회인가의 예측을 해야 하는 단계에 왔다. 인간사회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비가역적이다. 내가 여기서 위기의 상황을 거론하는 것은 오키나와의 선행경험에 대한 사실인식을 기초로 하기 때문이다. 오키나와의 상황 즉 양속지배의 오키나와 상황과 같은 위기의 현상이 이 섬에 엄습하게 될 것인가. 아니면, 군사기지의 상륙을 기회의 현상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가의 기로에 선 이 섬의 운명에 대해서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는 없다. 그러나 예측은 가능하다. I like to believe that positivistic experimental science should be our target based on the freedom of thought in terms of doing social science.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its relatively long history under the endless domination and exploitation, the word society seemed not to be able to express its own reality through the necessary keen observation and careful our voice if we would not have a chance of the concerned reflexivity to review the phenomena of the perennially imported science in the name of academism. Doing social science seems not to be focusing on critics at its final purpose. If anyone tries to do that, it jeopardizes everything related with life including science because of the supposedly weak position of observation and expectation for the science as the first-hand step. I suggest that the word of Jeju in terms of the language hegemony to search for toponymy should be deleted and, instead, like to revive the word of Tamna by means of cultural sovereignty and identity of this island. I like also to ask for dropping the word of Haenyo (sea-divers) and revitalize the word of Jamsoo instead. The reason why I raise this issue is based on the colonial knowledge long and deeply rooted in the history of domination and hegemony around this island. I do especially point at the expression of JejuHaenyo as a sort of the nested colonialism. Tamna Jamsoo should be replaced for it for the shake of the islanders` cultural sovereignty and identity. There seems to be a mind-boggling and explosive feeling of unsafety and uncertainty based on ongoing debat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val base in this island. This situation could be either crisis or opportunity for the fate of this island. It is the time to use the keen observation and furthermore the careful expectation in terms of dong social science. Human issue seems to be naturally negentropic. The previous Okinawan case in the context of history can be employed for our lessons for examining the whole process of the crisis and opportunity for the future of this island. Is provides us for a role the mirror for experimentation for the necessary expectation.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土俗學”에서 “民俗學”으로

        전경수(Chun Kyung-soo)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6

        민속학이란 용어의 안착과정에 관한 논의를 위해서 “토속”과 “토속학”에 관한 용례들부터 정리한 결과, 초창기 영어의 ethnography가 츠보이 쇼고로에 의해서 “토속학”으로 번역 확산되었음을 밝혔다. 19세기말과 20세기 초 일본에서 인류학이란 학문이 정착하는 과정에 “토속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민속”이 등장하는 배경에는 영어의 folklore에 대응하는 용어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미나가타 구마구수를 중심으로 민속학과 민속의 용례들이 등장하였음도 밝혔다. 학문이 세상살이와 직결되는 정치성과 연계되면서, 토속학의 의미가 변질되는 경험을 하였고, 그 과정에는 두 가지의 메커니즘이 개입되어 있음을 본론에서 논증하였다. 첫째, 1910년대 민중론의 확산에 의해서 자극받은 관제정치운동이 가세하면서, “民”의 힘이 전면에 배열되는 사회적 현상의 일환으로 “토속”의 “土”자가 “民”자로 대체되었을 것이라는 문제제기를 하였다. 둘째, 제국일본의 국민창출과 “문명화” 작업과정에 개입된 관제정치운동에 의해서 종래 제국의 내/외로 적용되어 사용되었던 “토속”이 의미변질을 수반하게 되었음도 논의하였다. “토인”의 “토”와 동일한 선상에서 취급된 “토속”의 “토”자가 제국일본의 내지에 대해서 적용되는 용례들이 기피되는 현상이 노골적으로 제시되면서 “토속학”은 “민속학”으로 개명하였다는 점이 구체적으로 증언되기도 하였다. 두 가지 메커니즘의 동시적 출현이 창출한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토속학”이란 명칭이 사라지면서 “민속학”으로 대체된 과정을 본고에서 논의하였다. The terminology of ethnography was at first translated into the Japanese language by Tsuboi Shogoro(坪井正五郞) as dozokukaku(土俗學) in the late nineteen century. In contrast to this, the English word of folklore was eventually initiated to be introduced to Japan by Minagata Kumagusu(南方熊楠) and this term was finally translated as minzokukaku(民俗學) in the early twenty century to cover the field of stories, songs, myth and legends, etc. By the way, around the middle of 1920"s there was an interesting trial to switch the word of dozokukaku into minzokukaku both in terms of the academic organization and individual researchers. Why this change has happened ? This is the research question on this article. This paper pinpoints out two dimensions of the reason why the change happened. One is a kind of sociopolitical aspect of the recognition to the people(民) after the WWI and various worldwide social movements by people including the Russian revolution. This recognition was also caught on time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have a nationwide level-up policy by means of people"s life style. Another one is tied up with the conception of the word of dozukukaku in the realm of the Imperial Japan. The colonies and the occupied areas by Japan and the Imperial Japan had to be cognitively differentiated in the sense of evolutionary scheme by employing the different words for each other. Minzokukaku was willingly appled to the Imperial Japan while dozokukaku to the colonies and the occupied areas when ethnographers described the ethnographic documents based on fieldwork. The latter was finally stigmatized to be applied to the so-called “savage” and “primitive”. The Imperial Japan needed to have the designated sections within the empire for their own orientalism fulfill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