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발성 경련 환아에 대한 부모와 일반인의 태도 비교

        김붕년,조수철,홍강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연구목적: 경련성 환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편견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특발성 경련 질환으로 진단받고 12개월이상 치료중인 58명의 환아 부모군과 30명의 건강한 아동을 둔 부모군을 대상으로 하여, "경련 질환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를 통해 환아 부모군과 일반인군(대조군)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환아 부모군의 인식 태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련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는 태도를 보여주어 25%의 부모군은 한번의 경련으로도 환아가 사망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경련질환의 원인에 대해서는 두부손상 -뇌 질환 - 환아의 심리적 문제 - 양육 방식- 가족의 걱정 -유전의 순서로 그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부모의 양육방식과 아이의 심리적인 문제 등과 같은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40%이상 되었다. 셋째, 60%이상의 부모가 경련질환 아동이 인지적 장애, 학습능력 장애, 정서장애, 행동상의 문제 등을 가지고 있다고 답하였다. 넷째, 약물 부작용에 대해서 행동의 변화(55%), 기분 변화(60%), 집중력 방해(73%) 등을 보고하여, 약불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한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음(95%)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에 대한 걱정때문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환아로 인한 부모의 문제 중 약을 먹이는 문제를 가장 어려워하였으며(98%), 질환과 약에 대해 설명해 주는 데에 대해서도 70%정도에서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지속적인 관찰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65%), 행동 통제가 어렵다(57%)는 호소를 하였다. 여섯째, 환아와 가족의 사회적 제한에 대해, 취업 및 결혼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고 있었고, 부모의 사회생활에서도 40∼50%에서 몇 가지 제한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일반인군은 이 병의 원인에 대해 뇌의 질환-유전-양육방식-두부손상-아이의 걱정- 가족의 걱정 순서로 생각하고 있어 환아 부모에 비해 부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경련질환을 유전병의 일종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일반인의 경우 70%나 되었다. 그리고 일반인군과 환아군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인군이 보다 심각하게 여기는 소항목은 부모의 어려움, 사회적 활동의 제한, 가족 생활의 제한 등이었다. 결론: 이 결과들은 일반인들의 경련 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제약을 실제 환아부모가 겪는 것보다 과장되게 유추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경련성 환아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아직 강하게 존재함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Objectives :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wiht idiopathic convulsive disorder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parents with healthy children. Methods :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convulsive disorder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pediatric neurolog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We excluded pati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nd overt organic brain pathology. The parents of normal students were chosen as control group. Children's sex, age, achie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matched. The author interviewed all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obtained the developmental history and family information. 'Questionnaire for adult's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convulsive disorder' was used to obtain the data about the ideas about epileptic children and their family members from both parents of epileptic and normal children. Results : First,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worried too much about the possibility that convulsion made serious damage on physical status of patients. 25% of them believed that even single convulsion could lead to sudden death. Second, as the causes of convulsive disorder, the prents chose brain damage- brain pathology- worries of children- mode of parenting- worries of family- genetic origin in order of frequency. 40% of them had false concepts that the way of rearing and childen's psychological problems might cause the convulsive disorder. Third, according to the answers of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mor than 60% of children with convulsive disorder had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learning problems. Fourth,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reported behavioral change, emotional disturbance and attentional problems as result of adverse sffect of medication. Fifth, Many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had difficulties in explaining the disease and reasons of taking medication to patients. Sixth, Many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worried about marriage and employment and reported the several limitations of social lives of parents and patients. The parents of healthy children had more tendency to believe that the convulsive disorder could be one of genetic diseases than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They chose the brain pathology-genetic origin-mode of parenting-brain damage-worries of children-worries of family as the causes of convulsive disorder in order of frequency. The parents of healthy children had overcare about the limitations of children's social activity and difficulties of parents and family members of epileptic children.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e parents of epileptic children had some overcares and misbelieves about their children's disorder. Also, the parents of healthy children had more distorted ideas about the causes of the convulsive disorder and its impact on epileptic children and their family members. So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hould prepare and conduct th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parents and public members.

      • KCI등재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에서의 정량화 뇌파 소견

        김붕년,권준수,신민섭,조수철,홍강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연구목적 :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ADHD) 환아군과 나이 및 성별을 일치시킨 정상 대조군간의 정량화 뇌파 소견상에서의 차이를 규명하여 ADHD의 병태생리를 시경생리학적인 견지에서 이해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스펙트럼 뇌파 분석법을 이용하여, 20명의 약물 비노출 ADHD 환아군과 20명의 정상 대조군간에 차이를 보았다. 분석영역은 8개의 양극성 영역으로, 알파, 베타, 델타, 쎄타등 4개의 주파수 영역에 대해 각각 상대력(relative power), 반구간 비대칭성(interhemispheric asymmetry), 반구간 동시성(interhemispheric coherence)의 값을 구하여, student t-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상대력에 있어서, 환아군이 대조군에 비해 베타파는 두정- 후두엽, 중심역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소견을 보였으며, 델타파에 있어서는 전두-측두엽, 두정-후두엽, 중심역 등 다양한 영역에서 증가 소견을 보여, 같은 나이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미성숙한 뇌파 양상 보여주었다. 2) 양반구간 동시성에 있어서는 환아군이 대조군에 비해, 베타파에서 유의한 감소 소견을 보여 주었고, 쎄타파에서도 일부 영역에서 감소 소견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양상은 양반구의 기능적 결합도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 소견으로 판단된다. 3) 양반구간 비대칭도 평가에 있어서는, 환아군에서 우측의 기능 저하로 인한, 비대칭도 증가 소견을 몇몇 영역에서 보여 주었는데, 베타파는 두정-후두엽, 델타파는 두정-후두-측두엽 등에서 였다. 결 론 : 이러한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 환아군과 정상 대조군의 차이는 기존의 뇌 영상학 연구 및 신경 심리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소견이며, 뇌파의 미성숙과 우반구 기능이상 가설을 지지하는 소견이라고 생각된다. Objectives : To find out the distinctive topographic EEG profiles of subject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aring with age & sex matched control. Methods : The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ies(QEEGs) of 20 drug-native ADHD patients without any other psychiatric diagnosi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age and sex-matched controls using spectral analysis. Results : 1) Slow waves(delta and theta) bipolar relative powers of the diverse areas in both hemispheres increased in drug-free ADHD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2) Delta and theta bipolar relative powers of localized centro-temporal areas in left hemispheres increased in drug free ADHD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3) Interhemispheric coherence and asymmetry are increased in diverse areas in ADHD patient compared to controls. Conclusions : We confirmed QEEG abnormalities in pure ADHD patients, especially in frontal and parietal areas. These results are compatible with other structural and functional imaging studies of ADHD.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증상과 연관된 임신, 분만 및 주산기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연구 Community Study

        김붕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2

        연구목적 :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ADHD 증상을 심하게 보이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ADHD증상에 대한 임신-분만-주산기의 생물학적인 위험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대상아동들은 자립형 지방도시(진주) 한 곳에서 모집되고 평가되었다. 무작위로 선택된 10개 초등학교의 1학년부터 4학년까지 1800명의 아동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로부터는 소아행동조사표와 DSM-Ⅲ-R과 DSM-Ⅳ에 기반을 둔 파타적행동장애척도를 통해 아동 문제를 조사하였고, 담임교사로부터는 특정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지목하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부모로부터 임신-분만-주산기 문제들을 조사하였다. 결 과 : ADHD군 아동이 대조군에 비해 남아, 낮은 경제상태, 임신기의 심한 정서적 스트레스, 임신중 신체적 상해, 분만시 난산, 겸자의 사용, 출산후 우울증 빈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과 경제상태를 통제한 뒤 logistic regression으로 평가하였을 때 임신기 스트레스, 난산, 산후우울증 등 세 요소가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결 론 : 본 연구결과는 임신-분만-주산기의 생물학적인 환경적 위험요인들이 ADHD 증상 발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내용이다. 향후, 유전적 위험요인과 사회 심리적 위험요인과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환경적 요인의 원인적 관계 여부를 규명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방법의 지역사회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s : This community based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 and perinatal factors symptoms of ADHD. Method : 1800 children fro, 10 elementary school in an urban community were recruited by randomized sampling method. We evaluated the symptoms of ADHD by Chiid Behavior Check List,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from 2 sources(parent & teacher). A thorough evaluation of peri-natal problems was carried out. Data were analyzed by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 using SPSS 10.0 window version. result : In the pre- & peri-natal events, boy, low SES, use of forceps, emotional stress, prolonged labor time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attention deficit group compared to normal group. After controlling sex and SES, further analyses we revealed emotional stress, prolonged labor, and postpartum depression as risk factors of ADHD symptoms. Conclusion : These findings implied that pre- & perinat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could be symptom risk factors of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urther research should prove the etiological association of these factors.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운동 장애 아동의 상대적 뇌 혈류에 미치는 Methylphenidate의 효과 : SPECT 관심 영역법 연구

        김붕년,이재성,조수철,이동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목적: 순수 ADHD 환아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MPND치료 전후에 있어서의 상대적 뇌 혈류량의 변화를 관심영역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MPND 치료에 의한 혈류 변화의 양상을ADHD환아에서 관찰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약물 작용기건의 일부를 이해하려 하였다. 방법: 약물투여를 받지 않고 있으며, 다른 어떤 신체적, 정시과적인 진단도 받지 않은 32명의 환아군에대해, WISC, LNNB등 심리검사를 실시하였고, 환아군의 문제 행동에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환아 부모를 대상으로 해서는, CBCL, DBDS, YCI, CPRS를 실시하였고, 교사를 대상으로 해서는 CTRS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평가과정을 거쳐, 정상기능 범위의 순소 ADHD 아동만을 대상군으로 선정하여 첫번째SPECT를 촬영하였고, 약 6주간의 약물 치료를 MPND로 실시하였으며, 이후 두번째 SPECT 촬영과 각종 척도 평가를 다시 한번 실시하였다. 매 환자마다 치료 전후의 SPECT 영상을 얻은 후, OML 20,40, 60mm 상방 세 단면에 관심영역을 치정하여 정량화된 상대적 혈류량을 구했고, 치료전후의 차이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OML 20mm 상방 단면에서는, 유의미한 혈류량 증가가 없었다. OML 상방 40mm의 단면상에서, 피질부에서는 좌우 측부 전두엽에서, 피질하 구조물에서는 좌우측 미상핵과 시상에서 유의한 혈류 증가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OML 상방 60mm에서 단면에서는 12개의 관심 영역 모두에서 아무런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결론: 8세에서 12세까지 ADHD 아동군에서 MPND 치료에의해, 전전두엽과, 시상, 미상핵에서의 혈류량 이 증가됨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혈류량의 변화는 최근 연구에서 증명되고 있는 전전두엽-시상-비상핵-전전두엽 회로 이상의 기능적 회복이라는 치료 기전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으로 생각되었다. 향후 다른 영상도구를 통한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중심단어: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SPECT 관심영역법·MPND 치료 전후의 변화.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opographic changes of cerebral perfusion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t state via region of interest method by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Method: By DSM-Ⅳ criteria, we selected 32 patients with pur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rough various assessment scales, psychometric tools and neuropsy-chological batteries. All the patients with ADHD were studied by TCnm-HMPAO Brain SPECT, before methylphenidate(MPND) treatment and after 6 weeks treatment. Three transaxial brain slices delineating anatomically defined region of interest at approximately 20, 40, 60mm above the orbitomeatal line(OML) were us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counts for each region of interest normalized to the area of cerebellar maximal uptake. Results: In the plane 20mm above OML, None of areas showed significant perfusion changes. In the plane 40mm above OML, lefe and right prefrontal areas, caudate and thalamic areas showed increased relative perfusion compared to pretreatment state. In the plane 60mm above OML, there were no increases in all regions of interest. Conclusion: The MPND treament improved cerebral blood flow in some specific brain regions : prefrontal lobe, caudate and thalamic area. We found neuroanatomical action sites of MPND might be the pathophysiologic sites of ADHD which had been proved in previous studies. These findings implied that MPND treatment could correct the underlying pathologic brain dysfunction of ADHD. KEY WORDS:SPECT ROI method·ADHD·Pre and posttreatment by MPND.

      • KCI등재

        만성 경련 질환 환아의 정신병리

        김붕년,조수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정상지능 범위의 만성 특발성 경련질환(chronic idiopathic epilepsy)환아의 정신병리를 표준화된 도구들로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만성 특발성 경련질환(chronic idiopathic epilepsy)으로 진단받고 치료중인 환아 40명을 환아군으로하고, 신체적 질병이 없으며, 환아군과 나이, 성별, 사회 경제적 상태, 학업성적 등이 일치하는 학생3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환아 및 부모와의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발달력과 학습 및 학교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병록지 검토를 통해 신경학적인 특성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국내외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가 확인된 여러 평가 도구들을 사용하여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s according to DSM-Ⅲ-R의 한국판, Yale children's inventory의 한국판,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과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의 한국판, Piers-Harris self-concept ques-tionnaire 의 한국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첫째, 환아 자신이 평가한 우울, 불안수치가 대조군보다 현저히 높게 나왔고, 자기개념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낮게 보고하였다. 둘째, 환아부모가 평가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 등에서도 환아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 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이러한 차이는 연령변인 보다는 주로 질병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 론 : 정상지능 범위의 만성 특발성 경련환아들의 약 50% 정도는 다양한 종류의 정신병이를 가지고 있으며, 효과적이고도 즉각적인 정신과적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Objectives :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Psychopathology in chronic epileptic children compared to normal controls. Methods : The participating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patients attending the epilepsy clinic of department of pediatric neurolog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We excluded seizure disorders associated with mental retardation,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or brain organic pathology. As the control group, normal students whose sex, age, IQ, achie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matched to patients were sellected. The authors interviewed the children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obtained the developmental history and famil infor-mation. We used the following 5 scales to asses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Each scale was standardized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in previous study. Parent rating scales : Yale children's inventory,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Children's self rating scales :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anxiety. Piers-Harris self-concept inventory. Results : Compared to normal controls,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were increased and self-concept score was decreased in patient group. The prevalence of ADHD, conduct disorder and ODD estimated by parental report was higher in patient group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 According to this study, chronic epileptic children showed divers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needed urgent professional psychiatric help.

      • KCI등재

        소아청소년 정신의학에서의 뇌영상연구

        김봉년,김예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4

        Brain imaging techniques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re developing at an astonishing speed. Neuroimaging techniques in the field of psychiatry have yielded many meaningful and significant scientific results. Until 1980's, its application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has been somewhat limited by technical and ethical reasons. Recently, however, there are cascade of neuroimaging studies in the field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owing to rapid progression of the technical aspect of imaging and confirmation ofthe safety of human young subjects. In this article, we summarize scientific results in neuroimaging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field from early 1990's up until now. We described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application of diverse structural and functional imaging techniques and suggest future prospect on imaging techniques.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동반한 알코올 의존환자들의 특성 : 임상적/유전학적 자료분석

        김붕년,손기현,전지현,곽욱환,유희정,조수철,박철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3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omorbidity rate of ADHD in a group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y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ic patients with ADHD using the diverse clinical and genetic variables. Methods : Eighty fiv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y were recruited from 4 mental hospitals in Kyoung-Nam and Kyoung-Ki province. For the evaluation of ADHD symptoms in both childhood and adulthood, the highly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IV (DISC-FV)-ADHD module was used. The various standardized scales and questionnaires were also applied to evaluate the comorbid conditions and psychopathological status. All the subjects' blood was collected and genetic study for the polymorphism of DRD2, TH, 5-HTTLPR, COMT, ALDH2 was performed. Results : 1) The comorbid rate of definite ADHD in alcoholic patients was 38% (28/85). 2) The frequency of unmarried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HD group compared non-ADHD group. 3) The onset of pathologic drinking and auditory hallucination was significantly earlier in ADHD group than non-ADHD alcholic group. 4) In ADHD alcoholic group, antisocial behavior was more frequently reported, and the score of co-dependency scale, depression/anxiety, aggression and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non-ADHD alcoholic group. 5) No sign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requency of polymorphic alleles in COMT, DRD2, 5-HTTLPR, ALDH2, TH between ADHD and non-ADHD alcoholic group. Conclusion : In alcoholic patients, the rate of adult type ADHD was higher than expected rate in general population. The alcoholic patients with ADHD suffered from more sever degree of alcohol dependency and earlier alcohol related problems. ADHD-alcoholic group showed higher diverse comorbid psychopathology and lower marital status compared to non-ADHD-alcoholic group. No difference, however, was found in genetic data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주의력결핍 / 과잉운동장애에서의 뇌혈류 이상

        김붕년,이동수,조수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순수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pure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이하 ADHD)로 진단된 환아군 21명과 성병, 나이, 지능지수 및 학력을 일치시킨 정상대조군 아동 1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양군간의 뇌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촬영(Tc-99m-HMPAO Brain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 이하 brain SPECT)을 실행하였고, 이 두군간 뇌 혈류 분포의 특성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ADHD의 병태생리 규명을 이한 뇌 긴을 영상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방법: DSM-IV의 진단 기준과 타당도 및 신뢰도가 확립된 평가척도, 그리고 여러 심리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다른 공존 장애를 배제한 ADHD 환아군 2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군은 연구 시작 전부터 약뮬에 노출된 적이 전혀 없는 아동들이었다. 환아군에대해서는 아동용 지능검사, 루리아 네브라스카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하였고 행동이상에관한 정보를 얻기위해, 부모와 선생님을 대상으로 해서 각종 행동평가 척도를 적용하였다. 모든 환아군은 brain SPECT를 촬영하였고, 각 환아의 영상중 안와외이공선에서 20, 40, 60mm 떨어진 단면들을 골라 관심 영역법에의해 정량화 분석을 하였다. 대조군은 과거 5년간 brain SPECT를 촬영한 아동중, 환아군과 성별, 연령, 지능지수, 학력등이 일치하고, 뇌의 기능적 이상이 없다고 확인된 아동 11명을 대조군에 포함시켰다. 대조군 아동의 영상도 역시 같은 방법으로 정량화 하였다. 결과: 관심영역 정량화 방법을 통하여, 정산대조군과 ADHD 환아군 사이의 각 영역별 뇌 혈류계수비를 비교해 본 결과, 전두엽과 기저핵 및 시상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부위에서의 차이는 Bonferroni correction 후에도 계속 그 유의성이 유지되었다. 이외에 두정엽과 측두엽의 일부에서도 차이를 보여 주었지만, Bonferroni correction 후에는 그 유의성이 사라졌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ADHD환아군의 시상, 기저핵, 전두엽에서 유의미한 뇌 혈류량의 감소 소견, 즉, 뇌기능 저하 소견이 발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영역에서의 기능 저하 소견은 그간 알려진 ADHD의 병태생리 가설과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might have distinctive findings from normal controls in brain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T) and to figure out the possible pathophysiology of this disorder. Methods: By DSM-IV criteria, we selected 21 pure ADHD through various assessment scales, psychometric tools and neuropsychological battery. All the patients were studied by 99m Tc-HMPAO Brain SPECT. Three transaxial brain slices delineating anatomically defined region of interest at approximately 2, 4, 6cm above the orbitomeatal line were us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counts for ezch region of interest normalized to the area of cerbral maximal uptake. Eleven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from age, sex, IQ- matched children whose previous SPECT findings had been normal. Results: Compating ADHD group and control, we found highly significantly decreased cererbral blood flow in both frontal lobes, caudate nuclei and thalamus in ADHD group. Addtionally, ADHD group showed reduction of blool flow in some parietal and temporal lobe are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ietal and temporal areas was vanished after Bonferrroni correction due to multiple comparis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implied that the rCBF reduction in ADHD in frontal lobe, caudate and thalamic areas might be related with the pathophysiogy of ADHD.

      • KCI등재

        경증 역치하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특성에 관한 지역사회기반연구

        김붕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1

        연구목적 : 지역사회내의 초등학생 군에서 분명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증을 보이는 군(defibite group). 역치 이하(subthreshold) 경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증을 보이는 군(mild group), 그리고 대조군간에 사회-인구학적 변인, 공존 증후군, 아동 성격양상, 가정내 결속 적응 및 기능도를 비교하여, 경증 아동군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경상남도 진주지역 내의 초등학교들로부터 무작위 표집법에 의해 1학년부터 6학년까지 707명의 초등학생 들이 모집되었다. 부모용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L:CBCL), DSM-Ⅳ에 의한 파탄적행동 평가척도(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 DBDS), 가족적응/결속척도(Family Adaptation/Cohesion Evaluation Scale 3rd version : FACES-Ⅲ). 가족기능/만족도척도(Family Adaptation/Cohesion Character Inventory : CCI)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대상군을 DBDS점수와 CBCL의 주의력문제 소척도점수. 담임교사에 의한 보고를 기준으로 하여 분명한 ADHD군, 경증ADHD군, 대조군으로 나누었고, 세 군사이의 공존증후군, 가족결속과 적응 및 가족 기능도, 아동성격에서의 차이, 사회경제적 변인 등을 비교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8.0 윈도우 버전에 의한, 일원분산분석과 이원분산분석, 그리고 사후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 과 : 분명한 ADHD군 29명(4.3%), 경증 ADHD군 136명(15.7%), 대조군 542명(76.7%)이 비교대상군으로 설정되었다. 경증 ADHD군은 CBCL상의 학업기능, 사회성, 전체사회능력면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분명한 ADHD군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여 중등도의 기능 저하소견을 보였다. CBCL의 불안/우울, 사회 미성숙, 공격성, DBDS상위 반항장애 소척도에서 분명한 ADBD군보다는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대조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 중등도의 정신 병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BCL상의 위축, 신체증상, 사고장애, 비행, 내향화 점수, 성격척도의 새로운 것 추구성(novelty seeking trait)에서는 분명한 ADHD군과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 분명한 ACHD군과 유사한 특성을 보여준 반면, 사회경제적 수준, 급료, 가족기능과 만족도 면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고 분명한 ADHD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 대조군과 유사한 특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차이는 나이와 성별의 보정하여도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결 론 : 본 역학 연구를 통해, 경증의 역치하(subthreshold) 주의력결핍-과잉행동증을 보이는 아동들이 위축, 내향화 증상, 비행, 기질적 성격양상 면에서는 ADHD와 거의 같은 정도의 문제를 보이고, 불안, 우울, 사회적 미성숙, 공격성, 외향화증상 등에서는 ADHD와 대조군 사이의 중등도 정도의 문제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증 ADHD는 가정내의 불리함이 대조군과 비슷한 정도이고, 중등도의 기능저하 소견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향후 관련 질환에 대한 예비사업에서 명백한 ADHD군뿐만 아니라 경한 형태의 역치하 ADHD군에 대해서도 철저한 정신과적 평가와 치료적 개입이 요구됨을 시사해 주는 소견이라고 생각되며, 역치하 ADHD군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Object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sub-threshold mile ADHD symptoms from community samples from the views of demographic factors, socio-school function, comorbidity, character trait and family function. Method : The subject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primary schools in Jinju. They were composed of 702 students attending ordinary school and living with parents. Based on scores from 2 scales and report from teachers in charge,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finite ADHD group(29), mild ADHD group(136) and control group(542). They were evaluated through DBDS, CBCL,FACES-Ⅲ, Family APGAR, CCI by parents.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by PC version SPSS. Results : Compared with the definite ADHD group, the mild ADH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anxious/depressive symptoms, social immaturity, aggression, ODD score, although they scored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withdrawal, somatic complaints, thought disorder, delinquency, internalizing symptoms and novelty seeking score, the mild group was similar to the definite group. The mild group, however, had mild functional impairment in socio-school activities. family function. Distribution of frequency in SES was almost same in the mild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implies that children with mild ADHD symptoms seem to have diverse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Carful psychiatric attention must be paid to this group to improve their functional impairment and to prevent further functional decline.

      • KCI등재

        한국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도파민 D4 수용체 유전자의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s (VNTR) 다형성과 Methyphenidate 치료 반응간의 연관성

        천근아,김붕년,조수철,김재원,황준원,신민섭,홍강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6

        Objectives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omozygosity of the 4-repeat allele (4/4) at the DRD4 and the response to the treatment with MPH in Korean children with ADHD. Methods : The present study included 71 children with ADHD (8.231.78 years) from two children's psychiatric clinics in South Korea. All drug-naive children with ADHD were treated with MPH for about 8 weeks. The subjects who showed improvement of over 50% compared with the baseline ARS score after 8 weeks of treatment were termed as the 'good response' group. The subjects who showed an improvement of less than 50% were considered as the 'poor response' group. After genotyping for DRD4 were performed, we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homozygosity for 4-repeat allele at DRD4 and the response to MPH treatment. Results : We found that while 79.5% (31/39) of the subjects with homozygosity of 4-repeat allele at DRD4 showed good response to MPH treatment, 68.8% (22/32) of the subjects without homozygosity of 4-repeat allele at DRD4 showed poor response to MPH treatment according to ARS scores assessed by their parents (χ²= 16.762, df= 1, p<0.01). We also found that while 61.5% (24/39) of the subjects with homozygosity of 4-repeat allele at DRD4 showed good response to MPH treatment, 87.5% (28/32) of the subjects without homozygosity of the 4-repeat allele at DRD4 showed poor response to MPH treatment according to ARS scores assessed by their teachers (χ²= 17.698, df= 1, P<0.01). Conclusion : Our findings support an association between the homozygosity of 4-repeat allele and a good response to MPH in ADHD of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