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건양건에 의한 발음성 슬관절

        양보규(Bo Kyu Yang),한성호(Sung Ho Hahn),이승림(Seung Rim Yi),안영준(Young Joon Ahn),유재호(Jae Ho Yoo),전도환(Do Whan Jeon),길경민(Kyung Min Kil)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여러 원인에 의해 드물게 슬관절에 마찰음을 감지할 수 있는데 대부분 외측 반월상 연골판의 전위나 원판형 연골판을 가지고 있는 예에서 나타나며, 그 외 대퇴 이두건, 반건양건, 장경대, 슬와건 등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외상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 슬관절의 내측부에 동통과 함께 반건양건에 의해 생기는 발음성 슬관절 환자를 경험하여 수술적 치료 후 좋은 결과를 얻어 문헌과 함께 보고하과 한다. Snapping syndrome has rarely been reported in the knee. A snapping knee mainly occurs in the case of a translation of the lateral meniscus or a lateral discoid meniscus. Other causes include biceps femoris tendon, semitendinosus iliotibial band, and popliteus tendon.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a snapping knee caused by the semitendinosus tendon passing over the medial tibial condyle as a result of trauma.

      • KCI등재후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재발률과 생존율

        양보규(Bo Kyu Yang),하정현(Jeong Hyun Ha),한성호(Sung Ho Hahn),이승림(Seung Rim Yi),정선욱(Shun Wook Chung),안영준(Young Joon Ahn),김민석(Min Se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요추 추간판 탈출중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진성 재발률(true recurrence rate)을 추정하고, 추시 가능한 증례만을 포함하는 기존의 단순 재발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분리증, 척추관 협착증 등의 척추 기타 병변이 동반되지 아니하고, 단일 병소에만 발생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관혈적 수핵 제거술을 시행 받은 30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결과 및 전화 조사를 병행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전례에서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은 MRI를 통하여 확진하였다. 재발의 판정은 증상의 재발 및 MRI의 확진이 동반된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타 병원에서 같은 부위의 재발로 진단받고, 재수술 받은 경우도 포함하였다. 장기추시에 따른 증례 탈락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통계학적 생존분석 (survival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생존분석은 해당 증례의 모든 환자가 동시에 수술 받았다고 가정하고 최종 추시기간이 11년까지 포함하는 생명표(life table) 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5.9년(1-11년)의 장기 추시 중 18%의 추시 소실이 있었다.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52명(82%)의 경우, 남녀 비는 11.6:1로 남자가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7.1세(17-75세)였고, 가장 많은 발생 부위는 요추 제 4-5번간(74%)이었다. 추시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단순 재발률은 8.3% (21예)였으며, 이 중 요추 제 4-5번에서(16예; 76%)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추시 중 소실된 증례를 포함하는 생존 분석의 경우, 연간 재발률(annual recurrence rate)이 수술 첫해에 가장 높은 3.4%를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추시 9년에 누적 생존율(cumulative survival rate)은 88.9%로 나타났으며, 이후 최종 추시 11년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이에 따른 장기 추시 재발률은 11.1%로 추정되었다. 결론: 생존 분석을 이용하여, 장기 추시에 따른 증례 소실을 고려한 진성 재발률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술 후 재발률은 추시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연간 재발률은 추시 기간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인 진성 재발률은 추시 가능한 증례만을 이용한 단순 재발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true recurrence rate of lumbar disc herniation after open discectomy, and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ose from other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2 to June 2002,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including a telephone survey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is study examined 306 cases, who had been operated by an open discectomy on a single level and had no other spinal lesions such as spondy-lolisthesis, spondylolysis, or spinal stenosis. MRI was used to confirm the diagnosis of a lumbar disc herniation in all cases. The recurre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was diagnosed only in those cases who had the same pattern of symptoms and was confirmed by MRI. The cases who had undergone additional surgery at another hospital at the same spinal level were also included as recurrence. In order to make up for weak points such the losses to a long term follow-up, statistical surviv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life table method. In the life table method, the assumption is that all patients undergo surgery simultaneously. The longest follow-up duration was 11 years. Results: In 252 of the 306 cases (82%), follow-up study was possible. The average duration of the follow-up was 5.9 years (from 1 to 11 year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27.1 years (17 to 75),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6:1. The most common lesion of lumbar disc herniation was L4-5 (74%) at the initial diagnosis. The simple recurrence rate was 8.3% (21 cases)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ases lost to follow-up were excluded.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the annual recurrence rate was highest at the first year postoperatively as 3.4%, but decreased with time. At the last follow-up of 11 year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88.9% and the recurrence rate was estimated to be 11.1 % at final stage. Conclusion: Using survival analysis, the true rate of a recurre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after an open discectomy calculated. Even though the annual recurrence rate decreased with time, the true recurrence rate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may be higher than the results obtained suggest.

      • KCI등재
      • KCI등재

        골반부에 발생한 다발성 거대 종양성 석회증

        양보규(Bo Kyu Yang),이승림(Seung Rim Yi),송중원(Joong Won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5

        종양성 석회증은 대사장애나 기저질환과 무관하게 석회성분의 침착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동양인에게는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양측 고관절부와 둔부 및 천추부에 걸친 골반부에 다발성으로 발생한 거대 종괴를 주소로 방문하여 타 질환과의 감별을 위한 진단적 검사를 시행하고, 절제술로 치료한 거대 종양성 석회증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umoral calcinosis is a very rare disease in which calcium deposit is accumulated on soft tissue around joints without specific metabolic disorder of calcium or predisposing illnesses. Its causes have not been revealed clearly, and the disease has been known to occur rarely among Asian patients. We report a case of a multiple giant tumoral calcinosis patient who complained of painful masses in the groin region as well as in both buttocks and sacral area. The patient was evaluated to differentiate with other causes and have been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We presen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몬테지아 골절에 동반된 불완전 전방 골간 신경 마비

        양보규(Bo-Kyu Yang),김성완(Seong-Wan Kim),이승림(Seung-Rim Yi),안영준(Young-Jun Ahn),노정호(Jung-Ho Noh),노영학(Young-Hak Roh),이승원(Seung-Won Lee),제민수(Min-Soo Je),김석진(Seok-J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1

        전방 골간 신경은 장 무지 굴근, 제 2수지의 심 수지 굴근과 방형회내근에 분포하며 감각 신경 섬유 없이 운동 신경 섬유로만 분포되어 있다. 몬테지아 골절에서 전방 골간 신경의 마비는 드물게 보고 되고 있으나, 이 중 불완전 마비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는 몬테지아 골절의 합병증으로 장 무지 굴근 마비의 불완전 전방 골간 신경 마비가 발생한 환자 1예를 경험하였다. 요골 두에 대한 도수 정복을 시행한 후 수술적 치료로 척골 근위부 골절에 대해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을 시행하였으며 술 후 4개월에 장 무지 굴근 마비의 회복을 보였다. The anterior interosseous nerve innervates the flexor pollicis longus,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and the pronator quadratus. There are no sensory fibers from the anterior interosseous nerve leading to the skin. Paralysis of the anterior interosseous nerve that accompanies a Monteggia fracture has rarely been reported, and incomplete paralysis of the anterior interosseous nerve has almost not been reported. We experienced a patient with incomplete anterior interosseous nerve palsy involving the flexor pollicis longus as a complication of a Monteggia fracture. The paralysis of the flexor pollicis longus recovered 4 months after the surgery for the Monteggia fracture.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 선열의 변화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권기두,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Chung Shun-Wook,Kwon Gi-Doo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2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의 문제중 슬개건의 길이 변화, 슬개-대퇴 관절의 선열의 변화 및 환자의 주관적 증상으로 비교 하였고 슬개건의 침습이 없는 동종 이식술과 슬개건을 침습한 자가 이식술을 비교하여 슬개건의 침습이 슬개-대퇴 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52예를 제 1군, 동종 골-슬개건-골과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35예를 제 2군으로 하였다. 수술 전, 후 단순 방사선 사진상에서 Blackburne-Peel 방법, 일치각(Congruence angle), 외측 슬개-대퇴 각(Lateral patellofemoral angle), 환자의 주관적 증상에 기초를 두어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 시상면에서 슬개골 위치는 제 1군에서 술전 0.86에서 술후 0.80으로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제2군에서 술전 0.87에서 술후 0.83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외측 슬개-대퇴 각은 양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으며, 일치각은 제 1군에서 술전 $-1.43^{\circ}$에서 술후 $-5.43^{\circ}$로 $4^{\circ}$내측으로 전위되었고 제2군에서 술전 $-1.53^{\circ}$에서 술후 -3.65로 약 $2.12^{\circ}$내측으로 전위되었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의 선열은 변하며 이러한 변화는 자가 이식건의 채취, 십자 인대 재건술 자체, 대퇴 사두근 약화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compare the changes of the patellar height, patellofemoral alignment and subjective symptom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patellar tendon harvest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autograft and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 : AC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on 87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minimum 1 year. The group I was 52 patients who were operated with bone-patellar tendon-bone autograft and the group II was 35 patients who were operated with bone-patellar tendon-bone allograft and achilles tendon allograft. At the time of follow-up, the authors evaluated the patellar height by Blackburne-Peel method, Merchant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and subjective symptoms were assessed. Results : The patellar h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86 preoperatively to 0.80 postoperatively in the group I and from 0.87 preoperatively to 0.83 postoperatively in the group I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s between the both groups but in the Merchant congruence ang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both groups, from$-1.43^{\circ}$ preoperatively to-$5.43^{\circ}$ postoperalively in the group I and from$-1.53^{\circ}$ preoperatively to$-3.65^{\circ}$ postoperatively in the group II. Conclusion : After ACL reconstruction, the patellofemoral alignment was changed and this kind of changes may be caused by multiple factorials such as harvest of autografts, ACL reconstruction itself, and quadriceps muscle atrophy.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수술적 치료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이동호,김민석,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Chung Shun-Wook,Lee Dong-Ho,Kim Min-Seok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2

        목적 : 본 연구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 방법으로 절제술 및 봉합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두 군의 임상 결과를 통하여 치료 결과를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9월부터 2001년 8월까지 본병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로 관절경 수술을 받은 45명 4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위되어 대퇴과 절흔에 감입된 연골 단편을 봉합한 23예를 I 군, 절제한 23예를 II 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 전방십자인대 파열 동반 유무, 파열의 부위, 전위된 연골의 정복 정도 및 보존 상태를 조사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I 군이 29개월, II 군이 28개월이었고, 최종 추시시의 평가는 Lysholm knee score측정, 방사선학적 변화 및 추시 관절경을 실시하였다. 결과 : 평균 연령은 I 군과 II 군이 각각 25세였고,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I 군이 평균 12주, II 군이 17주였다. I 군의 경우 red-red 구획에서 파열을 보인 7예 중 6예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으며, red-white 구획에서는 전위된 연골이 안정적으로 정복되었던 15예 중 12예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 3예 중 1예는 새로운 종주 파열이 관찰되었으며, 봉합술 당시 연골 단편은 불량이었고, 2예는 대퇴 경골 구획 증상이 있어 실패 판정하였으며, 불완전 정복된 1예에서 재 파열이 관찰되어 실패 판정을 하였다. II 군의 경우 red-white 구획에서 파열을 보인 9예와 white-white구획에서 파열된 14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술을 시행하여 전예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에서 파열 부위, 연골 단편의 정복정도 및 보존상태를 고려하여 봉합술 및 절제술을 결정하는 것이 봉합술의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result of repair and resection in displaced bucket handle medial meniscal tea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Sep. 1998 to Dec. 2001, we experienced 46 cases, 45 patients. We classified them into repair group (group I, 23 cases) and resection group (group II, 23 cases). We analyzed the time interval between injury and operation, zone of tear, the status of reduction and quality of displaced fragment of all cases. Average follow-up period is 29, 28 months, respectively. We evaluated the final results of both groups as Lysholm knee score, radiologic changes and 2nd look arthroscopy. Results : Mean age was 25 years old in both group, respectively. Mean interval between injury and surgical treatment was 12 and 17 weeks. respectively. In group I, 6 of 7 cases were evaluated as clinical success in red-red zone, 12 of 15 cases were assessed as clinical success in red-white zonal tear, stable reduction. Another case which is evaluated as clinical failure showed red-white zonal tear, unstable reduction and poor quality meniscal fragment. 5 cases showed variant degrees of tibio-femoral compartment symptom. In group II, red-white zone (9 cases) and white-white zone (14 cases) were treated as resection and got good results. Conclusion : Considering zone of tear, reducibility and quality of meniscal fragment before treatment will improve the success rate of meniscal repair.

      • KCI등재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이동호,이철호,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Chung, Shun-Wook,Lee, Dong-Ho,Lee, Chul-H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2

        Purpose: We present our experience about the clinical aspect and treatment modalities of oste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Material and Method: This study included 35 patients, 38 cases diagnosed as oste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that were proved by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 The methods of treatment were conservative (2 cases), multiple drilling (1 case), excision (1 case), excision, curettage & multiple drilling (23 cases), curettage & bone peg fixation (2 cases), curettage & bone graft (2 cases), and autogenous osteochondral transfer(Mosaicplasty) (7 cases). Results: Of the 38 cases, 30 cases were associated with a history of trauma (17 cases of medial lesion, 13 cases of lateral lesion), and 9 cases of which had major trauma history and 21 cases, minor repetitive trauma history. According to O'Farrel grading system, 21 cases (55%) had good results, 11 cases (29%) had fair results, and 6 cases (16%) had poor results. Of the medial lesion 16 cases had good results, 6 cases, fair results, and 2 cases, poor results. Of the lateral lesion 5 cases had good results, 5 cases, fair results, and 4 cases, poor results. Conclusion: There were fair or good results in 84% of patients with surgical treatment. Curettage and multiple drilling reveals a good result in medial lesion in grade I, II, III and lateral lesion in grade I, II. Autogenous osteochondral transfer(Mosaicplasty) is considered for the cases in grade III, IV(medial and lateral), lesion exceeds 1Cm of size and poor result with another treatment modality.

      • 관혈적 방법과 관절경적 방법을 이용한 재발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의 치료 결과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이동호,오세진,이철호,하권익,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Chung Shun-Wook,Lee Dong-Ho,Oh Se-Jin,Lee Chul-Ho,Ha Kwon-Ic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 No.2

        목적: 관혈적방법과관절경적방법을이용하여재발성견관절전방불안정환자를수술후추시결과를비교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1995년1월부터2000년4월까지관혈적및관절경적Bankart repair를시행하고1년이상추시가가능한68명을대상으로하였으며, 23명은관절경적방법으로45명은관혈적방법으로수술을시행하였다. 추시기간은12개월에서64개월로평균34개월이었다. 결과: 관혈적수술을시행한환자들중2예에서아탈구가발생하여보존적인방법으로치료하였으며관절경적그룹에서는2예에서탈구, 2예에서아탈구가발생하여이중탈구된1예에서관혈적방법으로재수술을시행하였다. Rowe 등에의한기능적평가에서는관혈적그룹에서평균87 점이었고관절경적그룹에서평균85점이었다. 환자의주관적인만족도는관혈적그룹에서84.6 점이었고관절경적그룹에서72.5점이었다. 두그룹간의결과의통계분석상안정성과운동범위점수이외에는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는없었다.결론: 관혈적수술방법은안정도가높았고, 관절경적수술방법은견관절운동범위에장점이있었다. 견관절재발성전방불안정환자의수술적치료에있어서이학적검사및방사선학적검사, 진단적관절경에의해적절한수술방법을선택하는것이환자의예후에중요한요소가될 것이다.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s of open and arthroscopic method in recurrent anterior should er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68 patients who have been taken the open or arthroscopic Bankartrepair for the period of Jan. 1995 to April. 2000. One group (23 patients) had elected an arthroscopic Bankart repair, the other group (45 patients) had chosen open stabilization. Patients were followed up12 to 63 months (ave. 34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We found 2 cases of subluxation out of open repair group, and then treated by conservative method. There were another 2 cases of dislocation and 2 cases of subluxation out of arthroscopicrepair group, and we have taken out 1 case of reoperation by open method. Using the functional scales by Rowe, the patients who have taken the open method posted at the average point of 87, while the arthroscopic method posted 85 points. Patients satisfaction points were 84.6 and 72.5 respectively. There were no criteria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stability and motion score. Conclusion: Open Bankart repair would be better in stability, and arthroscopic method in ROM gain. Proper patient selection based on physical examination and arthroscopic inspection to optimize the indications contributed to successful treatment.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2차 관절경 검사 소견 - 이식건 주위의 변화 -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황훈,고동오,권기두,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Chung Shun-Wook,Hwang Hoon,Ko Dong-Oh,Kwon Gi-Doo 대한관절경학회 200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5 No.1

        목적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시행한2차 관절경 소견을 통하여 이식건 주위의 반흔 조직의 형태와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1월부터 1999년 6월 사이에 본원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고 2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환자중 임상적 증상이 없는 14명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학적 검사 및 단순 측면 방사선 검사 상 터널의 위치를 측정하였는데 경골 터널은 경골 고평부 전-후방 길이에서 터널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대퇴골 터널은 Blumensaal선 전-후방 길이에서 터널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2차 관절경 검사에서 이식건 주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단순 방사선 측면 사진 상 경골 터널의 위치는 $27\%$에서 $58\%$로 평균 $41\%$였으며 대퇴 골 터널의 위치는 $58\%$에서 $83\%$로 평균 $76\%$로 모든 예에서 이상적으로 위치하였으며 관절경 소견상 모든 예에서 이식건 감입 현상은 없었으며 3예를 제외한 대부분의 예에서 대퇴과간 절흔과 이식건 사이 혹은 이식건 주위에 섬유성 반흔 조직 형성을 하였는데 그 형태로는 세동성 섬유(fibrillated fiber)가 6예, 섬유성 결절(fibrous nodule)이 5예, 섬유성 띠 (fibrous band)가 1예 있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이식건의 감입 현상 없어도 이식건 주위에 섬유조직의 형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types of the fibrous scar formation around graft after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Nov 1997 and Jun. 1999, the second look arthroscopy was performed on 15 knees of 14 patients. We evaluated the changes around graft and measured the tunnel position that the tibial tunnel position as a percentage along the length of the tibial plateau from the anterior-to-posterior as seen on a lateral radiograph and the femoral tunnel position as a percentage along Blumensaat's line from anterior-to-posterior as seen on a lateral radiograph. Results : The tibial tunnel position was from $27\%\;to\;58\%(mean\;41\%)$ and the femoral tunnel position was from $58\%\;to\;83\%(mean\;76\%)$, so the tunnel position was ideal in almost cases. By arthroscopic findings, the grafts were not impinged in all cases and tile fibrous scar was formed between intercondylar notch and graft in almost cases except 3 cases. The types of fibrous scar formation were 6 cases of fibrillated fiber and 5 cases of fibrous nodule and 1 case of fibrous band. Conclusion : There was no impingement on graft in all cases and various types of fibrous scars were formed around graf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