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Verbal Suffix-Repetition Constructions in Korean: A Constraint-and Construction-based Approach

        ( Sae Youn Cho ),( Na Hyun Ku )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2012 언어연구 Vol.29 No.1

        Cho, Sae-Youn & Ku Na-Hyun 2012, Verbal Suffix-Repetition Constructions in Korean: A Constraint-and Construction-based Approach. Linguistic Research 29(1), 173-195. There are various Verbal Suffix-Repetition (VSR) constructions in Korean, where suffixes such as-na1 tun(ci)/ tun(ka) are attached to the repeated verbs. Calling the VSR Choice-denying Repeated Verbs construction, Lee (2011) claims that the following verb of the VSR, which can he replaced with ma!-, should contain a negative but the preceding verb should be affirmative in the VSR construction which disallows any NPI within it. Unlike Lee (2011), we claim that the verbs in the VSR can freely occur either in the preceding position or in the following one regardless of their Neg value so long as they share the same verbal suffix forms such as -tun(ka). Furthermore, NPIs may occur within the VSR construction if they occur with a negative predicate within the same clause. To implement the findings above into HPSG, we have proposed the two lexical entries for mal-, the VSR Construction Rule, and the NPI Clause-mate Constraint. These tools enable us to account for the idiosyncratic properties of the VSR constructions under this constraint- and construction-based approach.

      • KCI등재

        Effects of Sunghyangchungisan(SHCS) on Cellular Ion Contents and Metabolism in Cat Brain Cortical Slices under Hypoxic Insult

        김영균,권정남,조수인,김나리,Kim, Young-Kyun,Kwon, Jeong-Nam,Cho, Su-In,Kim, Na-Ri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01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2 No.4

        목적: 고양이 대뇌피질 절편을 사용하여 저산소 발작을 유발한 뒤, 성향정기산이 세포의 이온 환경과 대사의 변화와 관련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방법: 고양이의 대뇌 피질 절편에 저산소 발작을 유발한 뒤 flame photometry scintillation, Spectrophotometry, method of Jorgensen and Skou, method of Fiske and Subbarow, oxygen monitor, luciferin-luciferase assay 등을 이용하여 세포내 이온함량과 세포대사를 측정하였다. 결과: 성향정기산은 저산소증으로 유발된 세포내의 $K^+$와 $Na^+$의 함량의 변화를 현저하게 지연시켰다. 성향정기산은 Na-K-ATPase의 억제제인 와바인 또는 대사억제제인 2.4-DNP로 유발된 세포내 $K^+$함량의 변화에 어떤 효과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정상 상태의 절편뿐만 아니라 저산소 상태의 절편에서 분리된 과립체의 분설에 있어서 Na-K-ATPase의 활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향정기산은 저산소 발작하에서 산소 소비량과 세포의 ATP함량이 떨어지는 것을 현저하게 막았다. 또한 ATP를 생산하는 기능을 보호하는 저산소 조직의 사립체를 돕는데 효과적이었다. 결론: 성향정기산은 대뇌 조직의 저산소 발작하에서 세포의 이온 환경과 대사를 보호하는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고전 사가원림(私家园林)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셰나 ( Xie¸ Na ),조은길 ( Cho¸ Eun Kil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중국 고전 사가원림의 우수한 전통을 계승할 필요성을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중국 남북방 지역을 대표하는 원림의 시각적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고전 사가원림 공간 구성의 기본 법칙을 발견하고, 전통적인 원림을 구축하는 지혜를 계승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방 사가원림이 각자의 지역에서 고유의 사회적·문화적 특색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선조들이 과학 기술이 발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원림의 공간구성 질서관(秩序觀)을 가지고 구축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북방 고전 사가원림 공간의 시각적 접근성이 남방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북방의 지리적 조건과 인문적 배경이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남방과 북방 고전 사가원림 모두 국지적 통합도와 전체적 통합도가 상이하고 명료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전체 원림 공간에 대한 인식 수준을 고려하기 했다기보다는 원림 속 예술적 경지의 창조와 표현을 통해 문화적 사고와 사회적 현실의 통일을 실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sed on the necessity of inheriting the excellent traditions of Chinese classical private gardens, this article uses Space Syntax to analyze the visual accessibility of representative gardens covering China. This is to explore the gardening wisdom of the ancients and to discover the basic laws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garde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vate gardens can fully demonstrate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their respective regional spaces. Second, the results proved that the ancients could still maintain and inherit the space order concept of traditional gardens. Third, the visual accessibility of the private garden space in the north is slightly greater than that in the south. This is affected by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humanities and etiquette thoughts in the north. Fourth, the local spatial information and overall spatial information of the north-south and north-south classical private gardens are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garden space is low and difficult to understand.

      • Control of CO<sub>2</sub> absorption capacity and kinetics by MgO-based dry sorbents promoted with carbonate and nitrate salts

        Joo, Hyeonho,Cho, Sung June,Na, Kyungsu Elsevier Science B.V. Amsterdam 2017 Journal of CO₂ utilization Vol.19 No.-

        <P><B>Abstract</B></P> <P>MgO-based dry sorbents promoted by various metal carbonate and nitrate salts were prepared via co-precipitation of three precursors (MgO/carbonate/nitrate), wherein effects of metal types in carbonate and nitrate salt, and mole ratios in MgO/carbonate/nitrate on the absorption capacity and kinetics were investigated comprehensively during CO<SUB>2</SUB> absorption/regeneration cycles under temperature swing absorption process (absorption at 300°C with 15% CO<SUB>2</SUB> and regeneration at 500°C with 100% CO<SUB>2</SUB> under dry condition). The CO<SUB>2</SUB> absorption capacity was analyzed with thermal gravimetric analyzer, and the absorption kinetics were compared with rate constant derived by using linear driving force model.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tal types among Li, Na, K and Ca while variation of the composition in MgO/carbonate/nitrate, CO<SUB>2</SUB> absorption capacity and kinetics were changed dramatically. MgO promoted with CaCO<SUB>3</SUB> and NaNO<SUB>3</SUB> (MC<SUB>0.19</SUB>N<SUB>0.20</SUB>) was the best sorbent showing 30.3wt%, but significant decrease in absorption capacity was observed during three cycles. MgO promoted with Na<SUB>2</SUB>CO<SUB>3</SUB> and NaNO<SUB>3</SUB> (MN<SUB>0.19</SUB>N<SUB>0.15</SUB>) exhibited the largest rate constant of 0.811min<SUP>−1</SUP>, whereas other sorbents are distributed down to 0.046min<SUP>−1</SUP>. In view of sorbent stability, MgO with K<SUB>2</SUB>CO<SUB>3</SUB> and KNO<SUB>3</SUB> (MK<SUB>0.40</SUB>K<SUB>0.03</SUB>) might be good sorbents since they showed very stable absorption/regeneration performances without significant decrease in working capacity during 10 cycles. The present result on the MgO-based sorbent preparation and CO<SUB>2</SUB> absorption performances would provide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for MgO-based dry sorbents based on high working capacity, rapid absorption rate, and stability showing stable absorption/regeneration reversibility.</P> <P><B>Highlights</B></P> <P> <UL> <LI> CO<SUB>2</SUB> sorbents were prepared via co-precipitation of MgO with carbonate and nitrate salts. </LI> <LI> CO<SUB>2</SUB> absorption performances were tested under temperature swing condition. </LI> <LI> CO<SUB>2</SUB> absorption performances can be promoted by addition of carbonate and nitrate salts.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Expression of the Na<sup>+</sup>-HCO<sub>3</sub><sup>−</sup>cotransporter and its role in pH<sub>i</sub>regulation in guinea pig salivary glands

        Li, Jingchao,Koo, Na-Youn,Cho, Ik-Hyun,Kwon, Tae-Hwan,Choi, Se-Young,Lee, Sung J.,Oh, Seog B.,Kim, Joong-Soo,Park, Kyungpyo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2006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 Vol.291 No.6

        <P>Patterns of salivary HCO3<SUP>−</SUP>secretion vary and depend on species and gland types. However, the identities of the transporters involved in HCO3<SUP>−</SUP>transpor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intracellular pH (pHi) regulation in salivary glands still remain unclea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the Na<SUP>+</SUP>-HCO3<SUP>−</SUP>cotransporter (NBC) and its role in pHiregulation in guinea pig salivary glands, which can serve as an experimental model to study HCO3<SUP>−</SUP>transport in human salivary glands. RT-PCR, immunohistochemistry, and pHimeasurements from BCECF-AM-loaded cells were performed. The amiloride-sensitive Na<SUP>+</SUP>/H<SUP>+</SUP>exchanger (NHE) played a putative role in pHiregulation in salivary acinar cells and also appeared to be involved in regulation in salivary ducts. In addition to NHE, NBC also played a role in pHiregulation in both acini and ducts. In the parotid gland, NBC1 was functionally expressed in the basolateral membrane (BLM) of acinar cells and the luminal membrane (LM) of ducts. In the submandibular gland, NBC1 was expressed only in the BLM of ducts. NBC1 expressed in these two types of salivary glands takes up HCO3<SUP>−</SUP>and is involved in pHiregulation. Although NBC3 immunoreactivity was also detected in submandibular gland acinar cells and in the ducts of both glands, it is unlikely that NBC3 plays any role in pHiregulation. We conclude that NBC1 is functionally expressed and plays a role in pHiregulation in guinea pig salivary glands but that its localization and rol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alivary glands.</P>

      • SCIESCOPUSKCI등재

        Are Spinal GABAergic Elements Related to the Manifestation of Neuropathic Pain in Rat?

        Jaehee Lee,Seung Keun Back,Eun Jeong Lim,Gyu Chong Cho,Myung Ah Kim,Hee Jin Kim,Min Hee Lee,Heung Sik Na 대한생리학회-대한약리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4 No.2

        Impairment in spinal inhibition caused by quantitative alteration of GABAergic elements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has been postulated to mediate neuropathic pain. In the present study, we tested whether neuropathic pain could be induced or reversed by pharmacologically modulating spinal GABAergic activity, and whether quantitative alteration of spinal GABAergic elements after peripheral nerve injury was related to the impairment of GABAergic inhibition or neuropathic pain. To these aims, we first analyzed the pain behaviors following the spinal administration of GABA antagonists (1Ռg bicuculline/rat and 5Ռg phaclofen/rat), agonists (1Ռg muscimol/rat and 0.5Ռg baclofen/rat) or GABA transporter (GAT) inhibitors (20Ռg NNC-711/rat and 1Ռg SNAP-5114/rat) into naïve or neuropathic animals. Then, using Western blotting, PCR or immunohistochemistry, we compared the quantities of spinal GABA, its synthesizing enzymes (GAD65, 67) and its receptors (GABA<sub>A</sub> and GABA<sub>B</sub>) and transporters (GAT-1, and -3) between two groups of rats with different severity of neuropathic pain following partial injury of tail-innervating nerves; the allodynic and non-allodynic groups. Intrathecal administration of GABA antagonists markedly lowered tail-withdrawal threshold in naïve animals, and GABA agonists or GAT inhibitors significantly attenuated neuropathic pain in nerve-injured animals. However, any quantitative changes in spinal GABAergic elements were not observed in both the allodynic and non-allodynic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impairment in spinal GABAergic inhibition may play a role in mediation of neuropathic pain, it is not accomplished by the quantitative change in spinal elements for GABAergic inhibition and therefore these elements are not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neuropathic pain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 배추 생육 중 토양 수용성 양이온의 경시적 변화 모니터링

        김용국(Yong gook Kim),Khok Pros,김경영(Kyoung young Kim),조현종(Hyun Jong Cho),나홍식(Hong Sik Na),한광현(Gwang Hyun Ha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토양의 치환성 이온 함량이 아닌 식물체에 직접 흡수되는 수용성 이온들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추가 생육하면서 토양 중 수용성 양이온들의 함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고, 각 이온의 농도에 따라 그에 알맞은 처방이 이루어져야 한다. 토양 시료는 경기도 이천시의 배추 밭에서 정식 이후 16, 35, 48, 70일에 처리구별 각 3반복씩 채취하였다. 처리구는 N 기준 무처리구(Nil), NPK 비료 표준 시비량의 50% 처리구(Con), 100% 처리구(Inf), 그리고 표준 시비량의 50% 처리구에 음폐퇴비가 100%(C100), 200%(C200), 300%(C300) 추가된 처리구가 있다. 채취한 토양은 풍건 후 2 mm 체에 거르고 1:5 비율로 증류수 추출하였으며, Whatman No.2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0.45 μm 실린지 필터로 재 여과하였다. 토양 추출액의 분석은 (주)테크넬 POCT 분석 키트를 사용하였다. 화학비료 처리구의 토양 중 Na의 농도비율은 생육기간 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K의 농도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시적 감소가 명확하였다. 음폐퇴비 처리구의 경우 토양 중 Na의 농도비율은 생육기간 중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퇴비 처리수준에 비례하여 높아졌다. Mg의 농도비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토양 중 K의 농도비율 감소는 Na 농도비율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Original Articles : Effect of aldosterone on the amplification of oncolytic vaccinia virus in human cancer Lines

        ( Hyun Ju Lee ),( Ja Sung Rho ),( Shao Ran Gui ),( Mi Kyung Kim ),( Yu Kyoung Lee ),( Yeon Sook Lee ),( Jeong Eun Kim ),( Eu Na Cho ),( Mong Cho ),( Tae Ho Hwang ) 대한간학회 2011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7 No.3

        Background/Aims: JX-594 is an oncolytic virus derived from the Wyeth vaccinia strain that causes replication-dependent cytolysis and antitumor immunity. Starting with a cross-examination of clinical-trial samples from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having high levels of aldosterone and virus amplification in JX-594 treatment,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virus amplification and aldosterone in human cancer cell lines. Methods: Cell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by a cell-counting-kit-based colorimetric assay, and vaccinia virus quantitation was performed by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nd a viral plaque assay. Also, the intracellular pH was measured using a pH-sensitive dye. Results: Simultaneous treatment with JX-594 and aldosterone significantly increased viral replication in A2780, PC-3, and HepG2 cell lines, but not in U2OS cell lines. Furthermore, the aldosterone treatment time altered the JX-594 replication according to the cell line. The JX-594 replication peaked after 48 and 24 hours of treatment in PC-3 and HepG2 cells, respectively. qPCR showed that JX-594 entry across the plasma membrane was increased, however, the changes are not significant by the treatment. This was inhibited by treatment with spironolactone (an aldosterone-receptor inhibitor). JX-594 entr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EIPA [5-(N-ethyl-N-isopropyl)amiloride; a Na+/H+-exchange inhibitor], but aldosterone significantly restored JX-594 entry even in the presence of EIPA. Intracellular alkalization was observed after aldosterone treatment but was acidified by EIPA treatment. Conclusions: Aldosterone stimulates JX-594 amplification via increased virus entry by affecting the H+ gradient. (Korean J Hepatol 2011;17:213-2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