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석원,Lee, Seokwo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3
Anisotropic conductive film(ACF) bonding is widely used for making fine interconnections between two different materials where soldering is not easily applicable. There are three constraint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CF bonding. A bonding contact should be pressed by a hot head with the right pressure and temperature for a pre-defined curing time. In this paper, a method for ACF bonding based on machine vision system is proposed and verified through some experiments. The system calculates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PCBs) on a bonding table and estimates the optimal hitting point where the hot head should be appli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achieves better adhesive strength by providing head flatness over contact surfaces.
MiSeAlimi : 이동 경로에 따른 개인별 미세먼지 흡입량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이석원(Seokwon Lee),박경훈(Kyeonghun Park),이형원(Hyung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2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6 No.7
최근 들어 미세먼지에 관한 염려가 점점 더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세먼지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지역별 대기오염 정보를 알려주거나 예보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호흡량에 기반하여 개인별 이동 경로에 따라 누적된 실질적인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인 MiSeAlimi에 대해 기술한다. MiSeAlimi에서는 정기적으로 변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GPS 위치 정보에 따라 추적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대기질 정보는 공공데이터 포털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누적 미세먼지 흡입량, 일간 최대(최소) 미세먼지 흡입량, 사용자 평균 미세먼지 흡입량 등과 같은 다양한 통계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Despite growing concerns about the negative impact of fine dust, currently used applications relating to fine dust are only to inform or forecast air pollution information by region. In this paper, we describe MiSeAlimi, an application that calculates the practical amount of fine dust inhalation accumula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movement path, based on personal breathing volume. MiSeAlimi regularly tracks a user’s location changing over time, based on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air quality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user"s location from public data portals. Also, it provides addit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cumulative fine dust intake, daily maximum(minimum) fine dust intake, average fine dust intake of all users, etc.
바이너리 분석을 통한 UNIX 커널 기반 File System의 TOCTOU Race Condition 탐지
이석원(SeokWon Lee),김문회(Wen-Hui Jin),오희국(Heekuck Oh) 한국정보보호학회 2021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1 No.4
Race Condition은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하나의 공통 자원에 대해 입력이나 조작이 동시에 일어나 의도치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취약점이다. 해당 취약점은 서비스 거부 또는 권한 상승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취약점이 발생하면 관련된 정보를 문서화하지만 종종 취약점의 발생 원인을 밝히지 않거나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취약점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바이너리 레벨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UNIX 커널 기반 File System의 Time-Of-Check Time-Of-Use (TOCTOU) Race Condition 취약점을 바이너리 레벨에서 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금까지 해당 취약점에 대해 정적/동적 분석 기법의 다양한 탐지 기법이 연구되었다. 기존의 정적 분석을 이용한 취약점 탐지 도구는 소스코드의 분석을 통해 탐지하며, 바이너리 레벨에서 수행한 연구는 현재 거의 전무하다. 본 논문은 바이너리 정적 분석 도구인 Binary Analysis Platform (BAP)를 통해 Control Flow Graph, Call Graph 기반의 File System의 TOCTOU Race Condition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Race Condition is a vulnerability in which two or more processes input or manipulate a common resource at the same time, resulting in unintended results. This vulnerability can lead to problems such as denial of service, elevation of privilege. When a vulnerability occurs in software, the relevant information is documented, but often the cause of the vulnerability or the source code is not disclosed. In this case, analysis at the binary level is necessary to detect the vulnerability. This paper aims to detect the Time-Of-Check Time-Of-Use (TOCTOU) Race Condition vulnerability of UNIX kernel-based File System at the binary level. So far, various detection techniques of static/dynamic analysis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for the vulnerability. Existing vulnerability detection tools using static analysis detect through source code analysis, and there are currently few studies conducted at the binary lev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tecting TOCTOU Race Condition in File System based on Control Flow Graph and Call Graph through Binary Analysis Platform (BAP), a binary static analysis tool.
18세기 말 양반중심에서 평민중심으로 천주교회의 전환 과정
이석원(Seokwon Lee)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5 No.1
1784년 조선천주교회의 성립은 양반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동시에 서울과 지방에서 사회경제적으로 성장하고 지식을 갖춘 중인층과 양인층도 참여했다. 초창기에는 중인층 이하 평민층 지도자들은 소수였고 중심적 지위를차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신분계층과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사람들[萬民]이 모두 형제[敎友]가 되는 보편교회[公敎]를 지향하면서 평민층지도자들의 역할은 점차 커져갔다. 이들은 양반 신자와 더불어 한문 천주교 서적의 한글 번역과 배포 과정에 참여했고, 적극적으로 전교 활동을 펼쳤다. 1791년 이후 천주교가 사학(邪學)으로 낙인찍히고 금압의 대상이 되자 양반 지식인층은 교회에서 대거 이탈했고, 중인층 이하 신자들이 신앙공동체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795년에 입국한 주문모 신부는교회체제를 정비하고 교육과 전교에 힘썼는데, 이에 협조한 중인층 신자들이 지도층을 구성하게 되었고, 양인층 중에서도 지도자로 성장하고있는 신자들이 있었다. 이와 같이 1784년 천주교회 수립부터 신자들은 ‘보편교회’를 지향했으며, 1791년 이후 정부의 금지와 탄압으로 일부 양반지도층이 이탈했지만, 중인층 이하 평민이 중심이 되는 교회로 변환되었다.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1784 was centeredaround the noble class of intellectuals. At the same time, socially grownand knowledgeable middle and common class people from Seoul and otherregions also participated. In the early years, middle class and lower common class leaders werefew and did not occupy central positions. However, the role of commonclass leaders gradually grew as the church moved toward a universalchurch where all people were brothers regardless of status, gender, or age. Along with yangban believers, the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and distributing Han Chinese Catholicism book into Korean, andthey actively engaged in evangelization. After 1791, when Catholicism was stigmatized as an evil religion(邪學)and targeted for suppression, the noble class left the church in largenumbers, and the middle class and below became the majority of thechurch community. Father Zhu wenmo, who arrived in 1795, reorganizedthe church system and worked on education and evangelization, and themiddle class believers who cooperated with him formed the leadership,while some of the common class believers were growing into leaders. As such,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Catholic Church in 1784,believers aimed for a universal church, and after 1791, the church wastransformed into a church centered on the middle class and lower commonclass, although some noble class leaders left due to government prohibitionand sup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