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연방헌법과 복지권 논의

        홍석한(Hong Seok Han) 미국헌법학회 2012 美國憲法硏究 Vol.23 No.1

        오늘날 사회국가의 이념에 따라 국가는 모든 국민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하여 자유의 실질적 조건이 되는 급부를 제공하고 나아가 사회적 정의를 실현해야 하는 폭넓은 책임을 지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념은 각국의 헌법에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미연방헌법은 자유주의 사상에 기초한 내용만을 담고 있을 뿐 사회국가에 관한 명시적인 규정을 두지 않고 있다. 이에 미국에서 복지수급권도 자유주의적 이념에 기초하여 파악되고 있으며 헌법의 내용도 우리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구체적인 사회복지제도의 형성과 실천현장에서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미연방헌법의 구조와 내용에 초점을 두고 복지수급권을 둘러싼 미국의 논의와 그에 관한 연방대법원 판례의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기본권, 특히 사회보장수급권의 법적성격에 관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미연방헌법의 권리장전에는 사회적 기본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권리장전의 규정형식도 대체로 국가에 대한 선언으로서 주로 연방의회를 비롯한 국가권력 행사의 한계를 규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위헌심사에 대해 명시적인 규정을 두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복지권은 학계와 판례에서 헌법적 차원의 권리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복지와 관련하여 사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서도 매우 부정적이다. 독립선언서의 행복추구권에 관한 규정이나, 헌법전문의 일반적 복지의 증진이라는 문구, 그리고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에 관한 수정헌법 제9조 등이 복지수급권에 대한 헌법적 권리성 인정의 근거로 해석할 수 있는지가 검토될 수 있으나 이 역시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구체적인 사례에서는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차의 원칙과 평등보호의 원칙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복지수급권이 보장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을 뿐이다. 우리 헌법은 전문과 경제에 관한 장 등을 통하여 사회국가원리를 수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기본권을 규정함으로써 사회국가의 실현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그에 따른 국가의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즉, 미연방헌법과는 그 사상적 배경이나 규범의 형식과 내용 등 어떠한 측면에서도 유사점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복지수급권의 법적 성격과 내용에 관한 논의를 하는 경우에 미국의 이론이나 판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또한 우리 헌법은 사회적 기본권을 모든 국민의 권리로 선언하는 한편 헌법재판제도를 통하여 국회에서의 다원주의적 의사형성에 대한 불신을 명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보장수급권을 둘러싼 입법권과 사법권의 권한배분과 관련해서도 예산편성권이 의회에 집중되어 있으며 헌법상 의회의 민주적 의사형성과정에 대한 신뢰가 강조되는 미국과의 차별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oday, based on the philosophy of social state, it is recognized that the country is responsible for a wide range of services to guarantee all citizens to have freedom in effect with real benefits and practice social justice. This philosophy is almost all reflect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country. But the U.S. Federal Constitution only contains information based on liberal ideology, as well on the social state does not have an explicit provision. Thus, in the United States the social welfare rights is identified on the basis of liberal ideology and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 h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However, the United States has a big impact on the formation of specific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practice in Korea.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legal implications for Korea by looking atthe discussion of the American academic world and the tendency of the FederalSupreme Court on the social welfare entitlements, focuses on the difference ofstructure and content of the U.S. Constitution and the Korean Constitution. The U.S. Constitution, Bill of Rights does not contain information on the social rights. In addition, the type of the provisions of Bill of Rights is also typically to declare for the government power including Congress that the power can not be exercised in a certain way that the Constitution prohibit, and there is no explicit provision on the constitutional review of the Supreme Court. As a result, welfare rights in the academic and precedent is not recognized as the constitutional right in the United States. Also, they are negative for the judiciary to play an active role in the realization of welfare. It may be reviewed that the provision of the right to the pursuit of happiness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 expression of promote the general welfare in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and the unenumerated rights in the Ninth Amendment are provided as a reasonable basis to accept that the social welfare rights is constitutional, but the views of the majority and precedent also can be analyzed as negative on this issue. There are, however, a few cases obtain results that the welfare rights are guaranteed indirectly, to apply the Fourteenth Amendment about due process of law and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Korean Constitution accepts social state principle through the Preamble and the chapter on economy. Furthermore, stipulates a series of social rights so that clearly expresses the rights of citizens and the obligation of the state to realization the social state. In other words, it is hard to find any similarities in terms of ideological background, including the format and content to the U.S. Constitution.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accept the theory or precedent of the United States to debate on the nature and content of social welfare rights. In addition, Korean Constitution clearly expresses the distrust on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provisions on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In contrast, in the United States the budget planning authority is concentrated to Congress and the U.S. Constitution emphasizes the Parliament's democratic decision-making. Therefore, these differences also should be considered in discourses on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legislature and judiciary to realize the social welfare rights.

      • KCI등재

        새로운 국가역할 모델로서 보장국가론의 의미와 가능성

        홍석한(Hong, Seok-Ha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6 公法學硏究 Vol.17 No.2

        본 논문은 새로운 국가역할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현대적 계기를 분석하고, 독일 공법학계에서 주목을 받아온 보장국가론이 이러한 계기에 부응하는지와 관련하여 보장국가론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다. 이에 먼저, 오늘날 국가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도록 만드는 계기와 그 특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독일에서 전개되어 온 보장국가론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와 관련한 우리 공법학계의 논의현황을 정리해본다. 그리고 보장국가론이 오늘날 국가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배경과의 관계에서 갖는 의의와 한계를 제시한다.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응하여 인간우호적이며 인간에 의한 통제가 가능한 과학기술질서를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다양한 위험요소가 확대되면서 안전의 중요성 부각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의 위기와 함께 공동체의 건강한 유지 및 존속을 위한 다양한 노력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보장국가론은 공적과제를 스스로 이행하던 것에서 벗어나 이를 민간에 맡기면서도 이러한 과제의 이행을 보장하는 국가를 구상한다. 보장국가는 민관협력을 중시하는 가운데 특정한 영역에서 자율적인 규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장책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규제의 목표와 전제조건, 한계 등을 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장국가론은 오늘날 국가의 현황을 이해하는데 적합한 분석의 틀을 제시한다는 점, 규제와 자율의 조화를 강조함으로써 현대국가의 모순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단순하게 제시한다는 점 등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면이 많다. 그러나 아직은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적이지 않고 검증이 부족하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자율과 규제가 실질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보장책임이 실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찾는 것도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보장국가론을 수용하여 관련 법제를 정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리 현실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헌법적 가치의 후퇴를 방지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보장국가론이 오늘날 국가역할 변화와 관련한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새로운 계기들에 부응하는 국가상을 제시하는 것인지 여부는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합리적인 수용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드러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many issues that cause a dispute about new roles of state and evaluates the Ensuring State Theory receiving attention from german academia of public law. Today the society has been suddenly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aking a change to the states’ rol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science and technology order amicable to human. As many risk factors increase, the importance of safety is being emphasized. A number of efforts are needed to keep our human society safe and health to response many crisis issues with sustainability. The Ensuring State Theory formes an idea of the state that does not directly provide benefits for their people’s livelihood, but entrust civil organizations to play the role to deal public tasks. The Ensuring States take count of private-public partnerships to provide structural frameworks to let social autonomy work smoothly and establish appropriate legal frameworks. Recently, this ideas are actively discussed in South Korea. This model of the roles of state has many advantages as follows. Especially, it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current national operations and status of states. it also is offering unique way to solve the modern states’ contradictional situation to seek regulation and autonomy at the same time. However, despite many advantages it can not be ignored that the idea is on a path to progress and lacks clarity and experience in specifics yet. It is also difficult to mix regulation and autonomy in an effective way.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or not the Ensuring State Theory is really appropriate to current states’ situation living up to people"s particular expectations through a proces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2009년 헌법재판소 판례 회고 : 위임입법에 관한 위헌심사 사례와 평가

        홍석한(Hong, Seok Han) 한국국가법학회 2010 공법논총 Vol.6 No.1

        The administrative power performs a reinforced role with the necessity of quick, specialized and flexible legal action. A broader delegation of the legislative authority become increasingly in need and justified as the society changes into a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one. The legislature tends to delegate the legislative authority without serious and careful consideration. Rather the regulatory agencies of government have established real laws. In any event, the legislative body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mission from the constitution and the guarantee of people s fundamental rights. This paper deals with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 judgments of delegated legislationin 2009. Although, we should appreciate the great resul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o the control of the delegated legisl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arouses criticism in some respects; the constitutional court s criteria lacks consistency, a proper balance between necessity and constitutionally limits of the delegated legislation is needed, concreteness and clarity of delegation should be applied consistently with the occasion, more active attitude should be took up to set up an accurate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e constitution provides constitutional constraints on the delegation of legislative authority saying that it can be permitted only when concrete and bounds should be limited. Also, the constitution shows concrete examples of the doctrine of legal reservation here and there. Even if it is needed to admit the delegation, it may violate constitutional principles like as Parliamentarism, Separation of powers, Rule of law. So, essential legislative powers have been reserved and protected from the administrative abuse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make greater efforts to present the mission of the legislators and avoid an arbitrary decision of the executiv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민영화의 헌법적 한계와 규제

        홍석한(Hong Seok Han) 미국헌법학회 2010 美國憲法硏究 Vol.21 No.1

        Today, the tasks left to the state are quantitatively increasing as well as qualitatively changing. On this account, many people raise questions whether a State can play an independent role to overcome public challenges amid rapid changes in high technology society. We are used to hearing privatization as a means to overcome waste and inefficiency in government and the neoliberalism, adhering to market competition, increases the tendency of the privatization. However, The theme privatization is connected with appropriate roles of a state and it is required to consider correlation with changing roles of a state. Besides privatization has an important bearing on the whol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the people. In this regard, this study insists that privatization should be proceeded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constitution and regulations which are the measures for a state to play its role in terms of the privat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includ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ization 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Rule of law, Democracy, Welfare state. and the provisions on the economy. privatization policy should be performed on legal basis and the interested parties must have the equal opportunity to take part in the discussion. In the case when privatization related to necessary goods and services to live like a human being is performed, a strict standards for selection should be applied. Furthermore, the Korean Constitution has many clauses related to the economy, so we have to consider carefully the limitations of the privatization defined by the constitution. Especially,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guidelines like a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romotion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decentralization of economic power, the privatization policy should be performed. The public sector should not shift the duty for public tasks onto the private sector by privatization. A state has the constitutional duty to guarantee th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fore, a state is required to regulate after the privatization to prevent the violation of th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caused by the privatization. In this case, the regul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changing roles of a state and a cooperative system with the private sector. So, the regulation system is to set up in flexible and specialized way while respecting social autonomy. 국가가 담당해야 하는 과제가 양적으로 크게 증대되고 질적으로 고도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민영화는 이미 오래전부터 논의되고 시도되어 왔다. 이는 공공부문의 비효율성에 대한 비판과 신자유주의 사조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서 우리나라도 1980년대 이후 민영화가 국가정책으로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민영화는 공적과제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국가와 국민의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헌법적 틀이 준수되는 가운데 국민적 합의를 통해 이루어져야만 한다. 민영화의 대상과 범위, 절차 등 민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 대한 법적인 검토와 충분한 합의가 있어야 하며, 민영화 이후에도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민영화 추진과정과 그에 따른 규제체계의 정립에 고려되어야 할 헌법적 요소들을 고찰한다. 민영화는 그 대상과 유형이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헌법이 명시적으로 민영화에 대한 명령이나 금지를 규정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헌법의 기본원리와 국민의 기본권 보호의 관점에서 민영화에 대한 헌법적 요청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영화는 법치국가의 이념에 따라 법적인 근거와 의회유보의 이념을 준수하여야 하며, 민주주의적인 투명하고 공개된 절차에서 이해관계인의 참여가 보장되는 가운데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민영화에 따라 사회기반시설의 설치 · 운영 또는 국민의 생존배려와 관련된 급부의 제공이 민간에 위임되는 경우에도 국가가 국민생활의 기본적 수요를 충족시켜주어야 한다는 사회국가원리의 핵심적 이념과 경제질서에 관한 헌법규정의 이념이 준수되어야 한다. 민영화에 의해 국가가 자신의 책임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은 아니며, 국가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해야 하는 주체로서 민영화에 따른 규제제도를 정립하고 시행해야 한다. 이러한 규제체계는 공사협력의 관점에서 시장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조정과 감시를 가능하도록 다양한 방식과 수준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 KCI등재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홍석한(Hong Seok Ha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3

        정부가 발표한 '4차 투자활성화 대책'에는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목적 자법인 설립 허용 및 부대사업 범위의 대폭 확대, 의료법인간 합병의 허용, 법인약국의 허용, U-Health 활성화 등이 보건의료 서비스 분야 대책으로 포함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이전 정부에서도 시도되었던 보건의료 산업화 정책과 유사한 내용이지만, 특히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의료법인의 부대사업을 대폭 확대하고, 이처럼 확대 된 범위의 부대사업을 의료법인이 자법인을 설립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으로 허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우회적인 의료영리화 추진이라는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보건의료는 강한 공공재적 성격을 지니고, 관련 정책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보건의료정책의 수립과 시행은 헌법적 차원에서 그 정당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에는 보건의료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사회국가원리를 구현하는 것이며 국가는 사회정 의의 실현을 위한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책임을 진다는 점, 보건의료정책은 국가공동체의 이익 및 다수 국민의 기본권 실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이해관계의 대립이 첨예하며 또 충돌하는 이해당사자의 범위도 매우 광범위하므로 국회의 법률로써 규율되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에 대해서는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보건의료의 공공성 약화에 대해 충분하고 구속력 있는 대비책을 마련하기 보다는 보건의료 관련산업에 대한 투자와 수익창출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또한 의료기관 개설 주체를 제한하고 의료법인의 영리추구를 금지한 의료법의 취지, 부대사업 위임에 관한 동법 제49조의 내용과 그 입법연혁 등을 고려할 때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의료법인의 부대사업을 지나치게 확대함과 동시에 가이드라인의 형식으로 자법인 설립을 허용하는 것은 법률유보원칙에 위반될 소지가 크다.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Fourth Investment Promotion Measures' on December 13, 2013. The main contents of these measures are deregulations and with regard to health and medical care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ill be allowed for the medical corporation to establish the profit-making subsidiary corporation and run a wider range of incidental businesses, It will also be allowed the mergers between medical corpor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pharmacy corporation, Ubiquitous-Health will be widely used. Most of these measures were attempted by the previous governments bu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incidental businesse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Rule of the Medical Service Act」 and the permission of the profit-making subsidiary corporation through the guideline drawn up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e in for fierce criticism. This criticism is within reason because profit-making subsidiary corporation and the increase of incidental businesses may be regard as an expedient for Commercialization of the health and medical care without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Act」. Constitutionally, the health and medical care policy should aim to guarantee the right to health of the people and realize the principle of the welfare state as the Korean Constitution requires. Furthermore, as the health and medical care policy has a great effect on not only the individual life and health, but national interests, the basic direction of the policy should be decided by the National Assembly where a variety of views can be presented and publicly debated, disputed, reviewed. In this sense,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incidental businesses and the permission of the profit-making subsidiary corporation pushed by the Korean Government possibly violates the Constitution.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a measure to strengthen the public character of health and medical care and the constitutional right to health. At the same time,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derived from the rule of law should be observed to give priority to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power.

      • KCI등재후보

        민영화에 따른 국가의 책임에 관한 독일에서의 논의

        홍석한(Hong, Seok-Ha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叢 Vol.17 No.3

        Today, we are used to hearing privatization as a means to overcome waste and inefficiency in government and the neoliberalism, adhering to market competition, increases the tendency of the privatization. However, the theme privatization is connected with appropriate roles of a state and has an important bearing on the whol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the people. So, privatization should be proceeded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constitution. However, in the Constitution there is no clear rules for privatiz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o our discussion of the privatization and state responsibility, the discussion of Ensuring State and Ensuring Responsibility in Germany seem to be able to give suggestions. The Ensuring State does not simply retreat as the privatization, rather, is responsible for the appropriate and sufficient supply of public services. In other words, the state should not have responsibility for implementation and it is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however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adopt a strategic approach to ultimately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ponsibility. In order to perform the Ensuring Responsibility, the state transfer preemptive and immediate role to the private sector, at the same time to achieve certain positive situation, needs to continue to retain ultimate responsibility. The state should to arrange a legal structure for the division of labor with the private sector, urge private performers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y, and establish reserved regulations for the case of unexpected result or unsatisfactory result. this legal system of the Ensuring State is named regulated-selfregulation. The discussion of Ensuring State and Ensuring Responsibility can not solve all the problems with privatization. In fact, their are differences of opinion concerning Ensuring State and Ensuring Responsibility. In spite of that, the discussion about responsibility of the state on privatization from the view of Constitu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to us. Not only provides a framework for more concrete and lively argument, but shows the way to go to state. 국가정책으로서의 민영화도 헌법적 틀을 준수하는 가운데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에는 의문이 없으며, 민영화가 경제는 물론 국민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 국가의 역할과 국가와 국민의 관계에 초래하는 변화 등을 고려할 때 민영화에 따른 국가의 책임에 대해 헌법적 고찰을 하는 것은 더더욱 중요한 문제가 된다. 하지만 헌법에는 민영화와 그에 따른 국가의 책임에 관한 직접적인 규정이 없어 이와 관련한 논의의 기반이 부족한 면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민영화 논의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것이 독일의 보장국가론 내지 보장책임론이다. 보장국가론은 민영화에 있어서도 국가는 단순히 후퇴하는 것이 아니라 급부의 최종적 보증자로서 여전히 기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즉 국가는 과제의 이행에 관한 책임을 민간에 이양하되 민간과의 유기적인 협력과 전략적인 기능 수행을 통해 적정하고 충분한 급부의 제공을 관철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보장책임은 국가가 공익에 관한 독자적인 관할권을 고집하지 않고 우선적이고 직접적인 과제의 이행을 민간에 맡기면서도 특정한 긍정적 상황을 실현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책임을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국가는 분업적으로 공익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를 마련하고, 보충적인 규제의 여지를 둠으로써 궁극적으로 민영화에 따른 자신의 보장책임을 입법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보장국가에 대해서는 그 개념의 유용성에 관한 논란이 있고, 민영화에 따른 국가의 보장책임에 관한 논의를 통해 민영화의 대상이나 범위, 형식 등이 구체적으로 한정되거나, 국가의 영역별 책임의 내용이 명확하게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들 논의는 현상에 대한 단순한 관찰과 분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영화 이후에 국가와 법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헌법적인 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도 크다고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