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최지혜(Jihea Choi),박미정(Mi-Je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는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정도와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이다.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 139명을 연구대상으로, 2012년 9월 1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양적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질적자료는 면담 녹취록을 Strauss & Corbin(1990)의 개방코딩과 범주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96점이었고, 전공 선택이유(F=6.23, p=.003), 학업 부담감(F=4.47, p=.013) 및 지각된 학업성취도(F=6.87,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 경험으로는 ‘학업 부담감 극복’, ‘취업 부담감 극복’, ‘다양한 지지자원 확보’, ‘다양한 교과외 활동 참여’ 및 ‘질 높은 실습교육’의 5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향상을 위하여 학업과 취업 부담감 경감, 지지자원과의 연계, 다양한 교과 외 활동의 계획 및 질 높은 실습교육의 제공 등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겠다. This is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study to investigate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139 associat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5 to November 17, 2012.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20.0.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and categorization. Mean value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2.96.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nursing major (F=6.23, p=.003), study loading (F=4.47, p=.013),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F=6.87, p=.001). ‘Burden on study loading’, ‘Burden on job finding’, ‘Securing diverse support’, ‘Diverse extra-curricular’, and ‘Qualified practicum education’ were extracted from the qualitative data. Results suggest diverse program development to decrease study loading, increase chances to connect with supporters, provide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guarantee qualified practicum education are important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KCI등재

        대학생활 특성이 대학 신입생의 우울, 불안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박미정(Mijeong Park),최지혜(Jihea Choi),이은영(Eun Young Lee),박미영(Miyo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우울, 불안 및 신체증상에 대한 확인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활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H대학에 진학 중인 300명의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수가능범위 1~5점 중 우울 2.33점, 불안 1.94점, 신체건강 1.63점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일수록, 지각된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 불안, 그리고 신체증상 점수가 높았다. 둘째, 대학생활 특성은 우울을 46.1%, 불안을 26.3% 설명하고 있었으며, 대학생활 특성과 우울 및 불안은 신체건강을 35.8% 설명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대학 신입생들의 정신 및 신체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신체증상으로 인한 건강문제 발생을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college freshmen’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and clarify college lif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it.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300 freshmen from H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2 to 26, 2013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first, the mean scores of the subjects were 2.33 in depression, 1.94 in anxiety, and 1.63 in somatic symptoms. Their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were higher as their sex and perceived self-efficacy. Second, college life characteristics explained 46.1% of variance in depression and 26.3% of variance in anxiety. college life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anxiety explained 35.8% of variance in somatic symptoms among freshmen. These results will be used for developing programs to increase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to adapt in college life for freshmen.

      • KCI등재

        Extract from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Prevents LPS-induced Homotypic Aggregation of Monocytic THP-1 Cells via Suppress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F-κB Activation

        Hye-Rim Lee(이혜림),Youngsook Park(박영숙),Hyun Jeong Kim(김현정),Aram Lee(이아람),Jihea Choi(최지혜),Jaeho Pyee(피재호),Heonyong Park(박헌용),Jongmin Kim(김종민)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7

        활성화된 단핵구의 동형성 세포 부착(동형성 응집)은 염증반응, 분화, 이동과 같은 생리학적, 병리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매실 추출물은 항바이러스, 항균, 항암작용과 같은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 져있다. 따라서, 매실 추출물은 단핵구의 동형성 응집 억제를 통해 염증반응을 조절할 가능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 질환에서 매실 추출물의 치료효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분자적 기전을 조사하였다. 매실 추출물이 지질다당질(LPS)로 활성화된 단핵구의 동형성 응집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LPS로 활성화된 THP-1 세포의 iNOS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해, 산화질소(NO) 생산의 감소로 조절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NO 생성물질인 SNAP 처리 실험을 통해 단핵구 동형성 응집을 억제하는데 매실에 의한 NO 억제가 필수적인 기작임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매실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IκB-α 의 인산화와 NF-κB의 핵내로의 이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매실 추출물은 NO생성과 NF-κB 활성 억제를 통해 LPS로 활성화된 단핵구의 동형성 응집을 저해하고 이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결론으로부터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매실 추출물의 효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Homotypic cell adhesion (homotypic aggregation) in activated monocytes plays a central role in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including inflammatory responses,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The extract of th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Maesil) has potential benefits to human health; such as anti-viral,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Indeed, Maesil extract may modulate inflammatory responses via interference with homotypic aggregation in monocytes. In the present study,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pinning the therapeutic efficacy of Maesil extract in inflammatory disease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Maesil extract inhibited homotypic aggrega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monocytes. This was mediated by reduc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partly via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in LPS-activated THP-1 cells. It was confirmed that NO inhibition is a key mechanism in Maesil induced blockade of monocyte aggregation through identification of reversal of this inhibitory effect by the NO-producing agent S-nitroso-N-acetyl penicillamine (SNAP). In addition, Maesil extract significantly attenuated LPS-induced IκB-α phosphorylation and NF-κB translocation into the nucleus. In conclusion, Maesil extract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via inhibition of homotypic aggregation of LPS-activated monocytes through mechanisms involving the suppression of NO production and NF-κB activity, suggesting Maesil extract as a potential therapeutic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허혜경(Hea Kung Hur),신윤희(Yun Hee Shin),박소미(SoMi Park),임영미(Young Mi Lim),김기연(Gi Yon Kim),김기경(Ki Kyong Kim),송희영(Hee-Young Song),최향옥(Hyang Ok Choi),최지혜(Jihea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58명의 학생이었으며, 연구는 2013년 6월 24일부터 7월 12일까지 실시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과 교육효과(비판적 사고성향,문제해결과정, 협력, 실습만족도, 자신감)를 조사하였으며, 서술통계, t-test, ANOVA, Mann-Whitney U 검정, Kruskal-Wallis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은 수렴자 46.6%, 융합자 34.5%, 적응자 15.5%, 분산자 3.4%이었다.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은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협력, 자신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학습유형에 따른 교육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기초로 학습유형과 시뮬레이션 교육효과 간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을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involving one group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for evaluation of an effectiveness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Participants were 58 senior nursing students. Learning style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cooperation, satisfaction with learning, and self-confidence) were measured. Learning styles of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converger 46.6%, assimilator 34.5%, accommodator 15.5%, and diverger 3.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cooperation, and self-confidence were significantly enhanced by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Otherwise, educ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devising stratagem to maximize an educ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needed trough re-evalu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effectiveness of a simul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