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6개월된 영아에서 발견된 메틸말로닐 산혈증 1례

        조성종,노영일,문경래,Cho, Sung-Jong,Rho, Young-Il,Moon, Kyung-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2

        저자들은 출생 3개월 경 모유에서 분유로 수유를 바꾸면서 시작된 반복되는 구토, 탈수, 성장장애, 대사성 산증, 고암모니아혈증을 보이는 6개월된 남아에서 메틸말로닐 산혈증으로 진단하고 단백질 제한 식이와 비타민 $B_{12}$ 투여로 호전을 보이고 있는 환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ethylmalonic acidemia is a rare congenital autosomal recessive metabolic disease. It is caused by blocking in the pathways of isoleucine, valine, threonine, methionine, cholesterol and odd-chain fatty acids to succinyl CoA,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L-methylmalonyl CoA and methylmalonic acid. In most cases, there are symptoms such as recurrent vomitings, lethargy and laboratory abnormalities including metabolic acidosis and hyperammonemia from the neonatal period. We had a 6-month-old infant with methylmalonyl acidemia who presented with recurrent vomiting episodes since 3 months of age, failure to thrive and developmental delay. The laboratory findings showed hyperammoninemia and ketotic metabolic acidosis. Plasma amino acid analysis showed nonspecific finding. Urine organic acid ananysis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detected large amount of methylmalonic acid excreted in the urine. We restrained the supply of protein in the amount of 1~1.5 g/kg of body weight a day using leucine, isoleucine and valine-r-estrained milk and administered vitamine $B_{12}$, in the amount of 1mg per day. During the follow-up in the outpatient clinic, He could control his head and showed increased muscle strength.

      • 소아 비만아의 사춘기 이후까지 장기간 추적 관찰

        조성종,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영봉,문경래,이철갑,Cho, Sung-Jong,Kim, Eun-Young,Rho, Young-Il,Yang, Eun-Suk,Park, Young-Bong,Moon, Kyung-Rye,Lee, Chul-Gab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1

        목 적: 소아 비만의 관리에 도움이 되는 평가자료를 삼고자 성장이 완료되는 사춘기 이후까지 비만아의 변화 상태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방 법: 1992년에 7세였던 아동들 중 13세(1998년)와 17세(2002년)에 추적이 가능하였던 학생 1559명(남아 753명, 여아 806명)을 대상으로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여 비만도를 계산하였다. 비만도는 1998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측정한 한국 소아의 신장별 체중의 50백분위수를 표준 체중으로 하여 비만도를 계산하였다. 결 과: 1) 7세 때 비만의 유병률은 3.1%였고 13세 때 7.1%, 17세 때 13.0%로 증가하였다(p<0.05). 2) 남아에서 7세 비만아 중 66.6%가 17세에도 비만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아에서는 68.4%가 17세에도 비만을 유지하고 있었다. 3) 비만아에서 비만율의 변화를 보면 남아에서 는 7세 때 경도 비만 60%, 중등도 비만 37.7%, 중증 비만 2.3%였고, 17세 때는 각각 50%, 41.1%, 8.9%였다. 여아 비만아에서는 7세 때 경도 비만은 73.7%, 중등도 비만은 21.1%, 중증 비만은 5.2%였고, 17세 때에는 각각 66.7%, 30%, 3.3%였다. 4) 성별에 따른 비만의 발생율은 7세 때 정상이었던 남아들 중에서는 12.7%가 17세 때 비만이 발생하였고, 여아 중에서는 9.8%가 17세 때 비만이 발생하였다(p>0.05). 결 론: 소아 비만아의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춘기 이후에도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고, 남아에서 여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비만한 남아에서는 여아와 달리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도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경도와 중등도의 비만한 남아들이 중등도 비만이나 고도 비만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여아에 비해 많았다. 따라서 소아 비만아에서 학동기 뿐만 아니라 사춘기에도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치료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studied the prevalence and long-term trend of childhood obesity after puberty to help in managing and treating obesity. Methods: We surveyed obesity index of children at age 13 and 17 who was diagnosed as obesity at their age 7. 1,559 students consisting of 753 boys and 806 girls had followed up since 1992 until 2002. Obesity was defined as the obesity index over 20 percent.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3.1% at age 7, 7.1% at age 13 and 13.0% at age 17, whic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getting older in age in both sex. Among obese children at age 7, 67.5 percent remained obese at age 17. 66.6% of the obese boys at age 7 and 68.4% of the obese girls at age 7 remained obese at age 17. The proportion of severe obesity in obese boys was increased as they were old, but not in obese girls. The progression to moderate and severe obesity at age 17 was prominent for obese boys at age 7, compared to the obese girls. 12.7% of normal weight boys at age 7 and 9.8% of normal weight girls at age 7 became obese at age 17.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during puberty is as important as those in the childhood.

      • 학동기 아동에서 변비의 실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조성종,안영준,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영봉,문경래,Cho, Sung-Jong,Ahn, Young-Jun,Kim, Eun-Young,Rho, Young-Ill,Yang, Eun-Suk,Park, Young-Bong,Moon, Kyung-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1

        목적: 소아에서 변비는 흔한 소화기 증상 중 하나로써, 그 유병률에 대한 보고가 다양하고,원인은 대부분 기능적인 원인으로 정신적 성향, 식이습관, 신체의 활동성, 그리고 배변 훈련 등이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변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일부 초등학교 아동의 변비의 유병률, 원인, 특징 및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0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2개 초등학교 1학년, 6학년 학생 1793명 (남아 830명, 여아 9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학부모의 지도하에 응답하게 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변비의 유병률, 원인, 배변 특징, 관련요인, 그리고 치료 방법에 대해 빈도 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1) 변비의 유병률은 전체 15.4%이고 남아 14.2%, 여아 16.5%였고, 1학년 13.9%, 6학년 17.6%로 남녀의 성비, 연령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변비의 원인은 야채를 적게 먹는 식이 습관 24.8%, 불규칙한 식이 습관 14.6%, 편식 12.5%, 운동부족 11.5%, 학교 화장실을 가기 무서워서 7%, 식욕이 없어서 6.6%, 생우유를 많이 먹어서 6.3%, 물을 적게 마시기 때문 5.9%순이었다. 3) 변비와 연관성을 보이는 관련 인자로는 운동량이 적은 경우 87.0%, 습관적으로 인스턴트 식품이나 기호식품을 먹는 경우 62.5%, 장시간 TV를 시청하는 경우 40.4%, 편식을 하는 경우 30%, 과거력에서 유뇨증이 있는 경우 2.9%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4) 변비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는 관련 인자 중에서 운동량이 적은 경우, 장시간 TV를 시청하는 경우, 편식을 하는 경우, 과거에 유뇨증이 있는 경우가 변비를 일으키는 유의한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5) 변비의 치료는 27.1%에서 받고 있었고, 그 중 변비약을 이용하여 15.5%, 관장을 이용하여 11.6%로 변비약을 이용한 경우가 더 많았으며, 대다수인 72.9%는 치료를 전혀 받지 않고 있었다. 결론: 학동기 아동에서 변비의 유병률은 높았으나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변비의 관련 인자들을 파악하여 변비의 예방에 힘쓰고,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Constipation in childhood is a significant problem, however, understanding of its epidemiology has been limited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onstipation in school-aged children, helping to manage and prevent it.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sive observational prevalence study included children (2grade, 1st and 6th grade) who were attending two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ssociated symptoms, and risk factors were evaluated by questionnaire. A child was considered to be constipated when he or she defecated two or less times per week. Results: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was 15.4%.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and grades. Of the causes of constip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deficiency, frequent intake of convenience food, long-time watching TV, unbalanced diet and enuresis history between constipation and normal group. Especially, long-time watching TV, exercise deficiency, and enuresis history were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constipation. Only 27.1% of children with constipation were treated by laxative and enema. Conclusion: Even though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was high, more than half of them was not treated at all. We should endeavor to educate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prevent constipation by evaluating the feeding and behavioral habit completely, and treating them properly.

      • KCI등재후보

        소아 비만에서 Leptin, Adiponectin 및 Leptin/Adiponectin Ratio와 대사 장애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조성종,김은영,문경래,Cho, Sung Jong,Kim, Eun Young,Moon, Kyung 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1

        목 적: 연구자는 adipocytokine의 일종인 leptin, adiponectin과 leptin/adiponectin 비를 이용하여 비만아에서 신체 계측치와 인슐린, 지질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방문한 BMI 95백분위수 이상인 7~15세 사이의 비만군 25명(남: 20명, 여: 5명)과 정상 체중 아동인 대조군 25명(남: 20명, 여: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 계측(신장, 체중, 팔둘레, 피부주름두께, 체지방률)을 시행하고 공복상태에서 채혈하여 adiponectin, leptin과 혈당, 인슐린,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는 Student t-test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팔둘레, 삼두박근 피부주름두께 및 견갑골하 피부주름두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인슐린 농도($17.9{\pm}15.6{\mu}U/mL$ vs $6.5{\pm}2.7{\mu}U/mL$, p<0.05)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고밀도 지질 단백 콜레스테롤($50.0{\pm}12.4mg/dL$ vs $68.9{\pm}15.9mg/dL$, p<0.005)은 유의하게 낮았다. Leptin은 비만군에서 $10.6{\pm}5.1ng/mL$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01), adiponectin은 비만군에서 $2.85{\pm}0.7{\mu}g/mL$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비만군에서 leptin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adiponectin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조군에서 leptin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인자가 없었으나, adiponectin은 인슐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Leptin/adiponectin 비는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4.03{\pm}2.8$ vs $1.53{\pm}0.74$, p<0.01), 비만군에서는 체지방률, leptin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소아비만에서 leptin과 adiponectin은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사장애를 나타내는 인자들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Leptin/adiponectin 비는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비만군뿐만 아니라 대조군에서도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the serum leptin, adiponectin, and leptin/adiponectin ratio with metabolic disorders in the childhood obesity. Methods: Fifty children (25 obese and 25 non-obese) were recruited in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 of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st to June 30th 2005. Adiponectin, leptin, anthropometric parameters, glucos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insulin levels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s of leptin and adiponectin levels with anthropometric parameters, glucose, insulin and lipids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Insulin and leptin levels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obese group (p<0.05, p<0.001 respectively). HDL-cholesterol and adiponectin levels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n-obese group (p<0.005, p<0.05 respectively). In the obese group, lep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iponectin level. Moreover, adiponectin level of the obese grou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level. In the non-obese group, only insul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iponectin. In the obese group, leptin/adiponectin rati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leptin level. Also, leptin/adiponectin rati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in the non-obese group. Conclusion: Leptin, adiponectin, and leptin/adiponectin ratio did not appear to have a major role linking various metabolic disorders in the childhood obesity, even though they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obesity indices. Also, leptin/adiponectin ratio was associated with obesity indices even in non-obese children.

      • SCOPUSKCI등재

        학동기 아동에서 코골이의 유병률과 관련인자

        조성종,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영봉,문경래,이철갑,Cho, Sung Jong,Kim, Eun Young,Rho, Young Il,Yang, Eun Suk,Park, Young Bong,Moon, Kyung-Rye,Lee, Chul-Gab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1

        목 적 : 코골음은 소아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 중 하나로, 일부에선 주간의 과다졸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야뇨증, 두통 등의 행동장애와 수면 시간 감소와 수면 중 잦은 깸 등의 수면장애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엔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동반하기도 한다. 수면 무호흡의 고위험 인자로 비만이나 코골음의 가족력 그리고 동반질환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코골음의 유병율, 유발인자, 동반되는 수면장애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소아에서 수면 장애를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7월 광주광역시에 소재 2개 초등학교 학생 1,707명(남학생 816명, 여학생 89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분하여 부모님의 지도하에 무기명으로 기입하도록 하여 최근 6개월 이내의 코골음의 발생 빈도 그리고 코골음으로 인해 수면시간 감소, 잠꼬대, 낮잠, 졸음 및 학교 성적 저하 등의 수면장애로 인한 결과들과 비만이나 여러 질환 등의 유발인자와 코골음과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 1) 전체 대상 아동 29.0%에서 최근 6개월 이내에 코골음을 경험하였고 15.6%에서는 1주일에 1회 이상씩 자주 경험하였고 거의 매일 코를 고는 아이들은 4.3%이었다. 코골음군에서는 남녀 각각 19.5%, 12.0%로 남아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2) 두 군 모두 저녁에 잠자는 시간은 8-10시간이 가장 많았고, 코를 자주 고는 군에서 8시간 미만으로 자는 경우와 수면 중 잠꼬대를 하는 경우가 의의있게 많았으며, 주간에 과다하게 졸음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나 낮잠, 야뇨증, 학교 성적 저하, 피로감, 아침에 일어나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 등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3) 코를 자주 고는 군에서는 남아인 경우, 편도 비대,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비만 등이 의의있게 많았고, 의의있는 관련 요인들 중에서 남아인 경우, 편도 비대, 비만, 부비동염 등이 의의있는 위험요인이었다. 특히, 비만인 경우는 고도 비만일수록 코골음과의 연관성은 증가하였다. 결 론 : 1주일에 1회 이상 자주 코를 고는 아이들의 유병율은 15.6%이었고 코골음으로 인해 수면시간의 감소, 수면 중 잠꼬대, 주간의 심한 졸음 등 수면장애로 인한 증상들이 의의있게 많았다. 유발인자들 중에서 편도 비대, 비만, 기관지 천식, 부비동염의 병력이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학동기 아동에서 적극적인 체중 조절과 호흡기 및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로 코골음의 발생을 줄여 수면장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We studied the prevalence of snoring and its association with diseases, obe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sleep disturbance arising from snoring, in school-aged children. Methods : The survey was performed by a special questionnaire on 1,707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from 1 to 30 July 2001 in Gwangju City. The prevalence of snoring, associated factors, and sleep disturbance were evaluated. Results : 266(16.5%) of the children snored at least once a week. 73(4.3%) of the children snored almost every day. Regarding the associated factors of snoring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noring and nonsnoring groups due to gender, obesity, sinusitis, tonsillar hypertrophy,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Of them, male gender, tonsillar hypertrophy, and obesity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snoring. Especially, the odds ratio increased to 1.048(CI, 1.004-1.659), 1.748(CI, 1.175-2.599), and 2.266(CI, 1.300-3.950) in children with an obesity index of 20-29%, 30-49%, ${\geq}50%$,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of snoring with decreased sleep duration, sleep talking, and drowsiness during the day as a result of sleep disturbance. Conclusion : 16.5% of school-aged children snored at least once a week. The association of snoring with tonsillar hypertrophy, obesity and gender as risk factors w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이사의 회사에 대한 손해배상책임과 경영판단원칙

        조성종(Cho Sung-Jong),윤영수(Yoon Young-Soo) 한국법학회 2006 법학연구 Vol.23 No.-

        주식회사의 이사회에는 경영의 능률성이란 관점에서 자율성과 이에 따른 책임의 문제가 상존하게 되는 것이다. 상법은 이러한 이사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한편 이사회의 구성원인 이사에게 권한강화에 따른 무거운 민사책임을 지우고 있는데, 최근의 판례는 미국의 경영판단의 원칙을 도입하여 이사의 경영상의 자율권을 보다 광범위하게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이러한 경영판단원칙을 지나치게 확대 적용하는 경우 자칫 이사의 안이하고 방만한 경영으로 무책임한 경영을 조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경영판단의 원칙을 도입하되 그 적용은 엄격한 기준에 따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사회의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경영판단과 책임 있는 경영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경영판단원칙의 객관적이고도 합리적인 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What about the potential legal liability of directors of corporation for the losses incurred by their company? In the U.S. this issue is governed by what has come to be known as the director's 'oversight function', It is a branch of the larger duty of care. Most of the focus on the director's duty of care in recent decades has concerned specific decisions or actions by the board that turn out poorly, and the availability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to protect the directors from personal liability for the resulting losses. The duty of oversight, which in contrast deals with the board's failure to take action, has received less attention and is, as al result, less well developed. Directors and top management cannot be guarantors of the lawful conduct of every employee or manager in a large organization - particularly in view of the fact that legal and regulatory requirements currently imposed on corporations are so numerous, so wide-ranging, so obscure and complex. On the other hand, some recent lapses in corporate behavior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policies and implementing procedures be designed to promote such compliance on a sustained and systematic basis by all levels of operating management. Certain requirements are of major importances from both business and public points of view. Examples of these are antitrust compliance and provisions of the federal securities laws calling for timely disclosure, It is appropriate in these cases for the board to assure itself that there are policy directives and compliance procedures designed to prevent breaches of the law.

      • KCI등재

        브랜드경영과 상표권

        윤영수(Yoon Young-Soo),조성종(Cho Sung-Jong)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5 No.-

        브랜드경영과 상표권, 브랜드는 현대사회의 화두중의 하나로서 기업에 있어 브랜드경영은 선택요소가 아닌 필수요소이기에 기업의 브랜드경영과 그 상표권의 연구는 실질적인 법정책과 제도의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브랜드경영은 현대 기업경영의 지향점으로 모든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개발 그리고 홍보ㆍ판매 등 마케팅의 전 과정이 브랜드관리를 주축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기업체의 구조도 기존의 마케팅부서에서 브랜드매니저조직으로 재편되어 브랜드가 기업경영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브랜드에 관한 사회적 수요와 발전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토대와 법제도적인 정비 그리고 사회 일반의 인식은 아직 개념조차 체계화되지 않은 황무지이다. 우리나라에서의 브랜드경영의 정착은 브랜드경영=지식경영 지식재산권과 산업재산권 그리고 상표권이라는 이해가 선행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므로 브랜드경영과 지식재산권, 상표권을 중심으로 21세기 지식사회에서의 지식경영을 위한 올바른 제도의 정립과 활용을 기한다. The theme of this study is brand management and trademark right. Brand has become one of major concerns in a modern society and the brand management of a corporate has also become not an optional factor but an indispensable on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setting up the practical legal policy and systematic formation by dealing with the brand management of a corporate and trademark right accompanying it. Brand management as a major pursuit of modern company mainly covers the whole marketing process such as the development of goods & service and publicity & sales, on the basis of it. Also, as the stucture of corporate is rearranged to a brand management one from a marketing department, a brand tend to be put an emphasis on as the core of corporate management. However, in spite of this social demand for brand and development, the legal system for accademic foundation and even the general recognition of concept are not systematized yet. Accordingly, the brand management in our country can be settled, when the general recognition of brand management & intellectual managemen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 industry property right, and trademark property is don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for setting up the desirable system and application directions for the intellectual management of the 21c intellectual society, on the basis of brand managemen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trademark right.

      • KCI등재
      • KCI등재

        A new Noctuid pests, Protegira songi Chen & Zhang (Lepidoptera, Noctuidae, Hadeninae) Attacking to Eucommia ulmoides Oliv. in Korea

        변봉규,전준형,김영재,조성종,고상현,박재호,Byun, Bong-Kyu,Han, Huilin,Jeon, Jun Hyoung,Kim, Young-Jae,Cho, Sung-Jong,Koh, Sang-Hyun,Park, Jae-H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2013년 하계기간 중 우리나라의 서울, 충남, 전북 지역 등지에서 유충이 두충(Eucommia ulmoides Oliv.)의 잎을 가해하며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해충을 채집하여 사육한 후 우화한 성충을 분류동정 한 결과 두충밤나방(신칭) (Protegira songi Chen & Zhang)으로 확인되어 보고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상기종의 기주식물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된다. 아울러 본 종에 대한 발생 및 피해상황과 분류학적 특징을 기재함과 동시에 암수생식기의 특징을 도해하여 제시하였다.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larvae attacking leaves of Eucommia ulmoides Oliv. and causing serious damage on the plant in Seoul, Chungnam and Jeonbuk Province in Korea during summer in 2013, Protegira songi Chen & Zhang of the family Noctuidae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we report the host plants of it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with larval damage and taxonomic information by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genital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