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굴사와 선무도의 축전문화콘텐츠 연구

        고상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5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 of the festivals at Golgulsa Temple and Sunmudo.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of Golgulsa Temple and Sunmudo and then summarized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festival. Next,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 of Golgulsa Temple and Sunmudo, three directions were proposed for the naming of the inventory of the festival,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estival, and the content of the festival. First, it is the change of the festival's naming. The name we are currently using is the “Hwarang and Seung-gun's Descendant Golgulsa Traditional Martial Arts Festival". The English version of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s Festival" is called. As a name to unify them (tentative name), "Golgulsa Sunmudo Traditional Martial Arts Festival" was presented. Second, consider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Golgulsa, the space of the festival was divided into six stages: the stage performances, experiences, special events, marketplaces, food, and safety education. Third,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of the festival included the development of a silent drama to explore the source of enlightenment, a real performance us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Golgulsa temple,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using the Sunmudo and Oryun stupa (the five-part stupa), and a meditation contest. 본 논문은 골굴사와 선무도의 축전문화콘텐츠 개발에 대해 살펴보았다. 골굴사의 역사를 사료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골굴이란 명칭의 의미를 유추해보았다. 선무도의 현대적 역사를 정리하고 선무도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선무도는 화랑과 승군 및 수행승들에 의해 전승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 선무도는 1960년대 양익스님에 의해 체계화된 불교금강영관을 1984년 적운스님이 현대인들에 맞게 이름을 바꾼 것이다. 양익스님의 제자들에 의해 널리 대중화되고 있다. 선무도는 크게 앉아서 하는 좌관법(坐觀法), 서서하는 입관법(立觀法), 움직이면서 하는 행관법(行觀法)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굴사 선무도 축전인 전통무예대회의 역사와 현황, 지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골굴사와 선무도의 축전문화콘텐츠 개발과 관련하여, 축전의 고유성을 살릴 수 있는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 가지는 축전의 네이밍 재고, 축전의 공간 구성, 축전 콘텐츠 개발이다. 첫째, 축전 네이밍의 변경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름은 “화랑과 승군의 후예 골굴사 전통무예대회”이고, 영문 네이밍은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s Festival”이다. 이들을 아우르는 이름으로 (가칭)“골굴사 선무도 전통무예축전”을 제시하였다. 둘째, 축전의 공간은 골굴사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무대공연마당, 체험마당, 특별이벤트마당, 장터마당, 먹거리마당, 안전교육마당 등 6개로 나눌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축전 콘텐츠 개발로는 깨달음의 근원을 찾아가는 여정을 그린 무언 선무극의 개발, 골굴사의 자연환경을 이용한 실경 공연, 선무도와 오륜탑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선무도 수행의 하나인 영정입관을 응용한 명상대회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고상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datas, the Study of Koryeo Dynasty Suryukjae(Buddhist Ritual for the Beings of Water and Land, Shuiluzhai)can not be achieved fully. Hereupon, I aim to study about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of rituals of Suryukjae, the forms and purpose of doing Suryukjae and the building type of temple for Suryukjae through the paragraphics which were written in the days of Koryeo Dynasty. First of all, there are three articles which are directly to the publication of Suryuk ritual ceremony. 1st is Suryuk ritual sentences. Choi Sa - Geum had brought this articles from the Song(宋) country at Sun - Jong 7accroding to 『Koryeo - sa『(高麗史). The second is 『A new edition Suryuk ritual sentences』(新編水陸儀文)volume 2 which is written by monk Hon-gu. Lee Je - Hyun wrote an inscription for monk Hon - Gu. The third is 『Chunji myungyang suryuk jaeui chanyo』(天地溟陽水陸齋儀纂要) and 『Chunji myungyang suryuk jabmun』(天地溟陽水陸雜文) etc. Some articles were published in Joseun Dynasty and remains until now. And others were written by monk Jukam in Koryeo Dynasty and were remained only the part of epilogue. Although direct articles are not remained today. But judging from the records in the days of Koryeo, we can find that various rituals were published several times. It has continued until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is fact from Lee Jae Hyun’s epilogue of 『Chunji myungyang suryuk chaeui chanyo』 which is edited by Ssangbong temple. That book is in Yong Nam University’s library. Next, I try to find the purpose of doing Suryukjae. First, Suryukjae is for the meritorious retainer at the founding of Koryeo dynasty. Second,Suryukjae is for attaining enlightment for Buddha, that is Nirvana. We can find this from 『Hosanrok』(湖山錄)and 「Suryukjaeso」 written by Jin-Jung national affairs(眞靜國師). Third, Suryukjae is for Cheondo(薦度, The Buddhist ritual or service to help). The largest number of records about Suryukjae is for Cheondo. Fourth, it is for the Healing. Fifth, it is for removing the bad luck by Haeaeksuryukjae(解厄水陸齋). Sixth, it is for expiation of the sin. Seventh, it has been used to pacify the people and unify them spiritually and politically through buddhism which was spread among the people at that time. Likewise Suryukjae has been done in a various purposes but among them Suryukjae for the Cheondo was recorded the largest number. The first structure associated with Suryukjae was built Suryuk house(水陸堂) in Bojesa at Sunjong sixth 1089 year. Suryuk house where builds in Bojesa. There are some records for Suryukjae in the early of the Joseon dynasty. They are 「Jinkwansa Suryuksa Josunggi」(The record which creates) on 『Collections of Yang - chon』(陽村集) which is written by Kwon Keun and 『Muwisasajeok』(無爲寺事蹟), 『Deadunsaji』(大芚寺誌) in the lat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e record of Suryuksa(水陸社) or Suryukjeon(水陸殿) from those books. As above, it is thought that there are various type of buliding temple for Suryukjae. 고려시대 수륙재에 대한 연구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거의 이루어지지못했다. 이에 필자는 시론적인 성격으로 고려시대의 수륙재에 대한 단편 기사를 통해 수륙의례집의 간행과 유포, 수륙재의 설행 형태와 목적, 수륙재와관련한 도량 건립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수륙의례집의 간행과 관련한 직접적인 記事는 『고려사』 선종7년조에 최사겸이 송나라에서 구해 온 수륙의문과 이제현이 쓴 혼구의 碑銘에 『신편수륙의문『 2권을 스님이 편찬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에 간행되기는 하였으나 현존하는 수륙의례집인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천지명양수륙잡문』 등에 고려 죽암공이 편찬하거나 또는 고려시대에 쓰여진 발문이 전하는 의례집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의 기록을 통해 볼 때 고려시대에도 여러 의례집이 수차례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도 이어져서 간행되었음을 쌍봉사에서 간행된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의 이제현의 발문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었다. 수륙재의 설행 목적으로는 첫째는 혜거 국사가 하산소로서 갈양사를 중창시 설행한 낙성고불식이며, 둘째는 진정국사가 백련사, 만연정사, 조계사에서설행한 것으로 적멸의 근원인 佛德을 깨닫도록 하였으며, 셋째는 治病을 위한 수륙재이며, 넷째는 액을 없애는 解厄水陸齋이다. 다섯째는 追善의 재의로, 공민왕이 죽은 승의공주를 위해 국행수륙재를 설행하는 등 현전하는 기록으로 가장 많은 횟수가 설행된 예이다. 여섯째로는 수륙재와 유사한 무차대회로 개설된 공신들을 위한 공신재이다. 일곱째로 광종이 설행한 무차수륙회로 罪業을 消滅하고자 한 것이다. 수륙재와 관련한 도량이나 당우는 혜거국사의 하산소로서 갈양사에 수륙도량을 개설한(971) 것과 선종 6년(1089)에 보제사에서 수륙당을 건립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조선 건국 직후에 국행수륙도량으로 진관사에 수륙사를조성한 것이나 조선후기에 간행된 無爲寺事蹟, 大芚寺誌 등에 수륙사,수륙전 등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여러 형태로 수륙재 관련 도량이나 당우(전각)가 계속 건립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독일민법 제84조와 우리 민법 제48조 제2항의 비교법적 고찰

        고상현 한국민사법학회 2009 民事法學 Vol.46 No.-

        Nach § 48 Abs. 2 KBGB wird bei einem Stiftungserrichtungsakt durch die letztwillige Verfügung das Vermögen vom Zeitpunkt des Wirksamwerdens der Verfügung, also des Erbfalls, der Stiftung zufallen. Heftig umstritten ist ob, der Übergang des besonderen dinglichen Übertragungsakts noch bedarf. Nach einer Meinung sind zum Erwerb der einzelnen Vermögensgegenstände die Übertrgungshandlungen nicht erforderlich, weil § 187 KBGB(die Vorschrift über Grundstückserwerbe aufgrund von anderen gesetzlichen Bestimmungen) für § 48 KBGB gilt. Demzufolge wird das zugewandete Vermögen ohne dessen Eintragung ins Grundbuch ipso jure mit der Entstehung oder dem Erbfall auf die Stiftung übertragen. Dagegen ist nach der anderen Auffassung nur § 186 KBGB(die Vorschrift über die rechtsgeschäftlichen Rechtsänderungen) auf den § 48 KBGB anwendbar, da der Stiftungserrichtungsakt ein Rechtsgeschäft ist. Nach Rechtsprechung bedarf es zwischen Stifter und Stiftung keiner Grundbucheintragung, ist vielmehr einem Dritten gegenüber eine Grundbucheintragung erforderlich. Meiner Meinung nach hat die Fiktion des § 48 Abs. 2 unterschiedliche Folge, je nachdem, ob es sich um eine Stiftung unter Lebenden oder von Todes wegen handelt, und ob in letzterem Fall der Stiftungserrichtungsakt mit dem Erbvermächtnis oder mit dem Erbstückvermächtnis an die Stiftung verbunden wird. Beim Erbvermächtnis geht die Erbschaft mit dem Erbfall als Ganzes auf die Stiftung über. Sie erwirbt unmittelbar das Eigentum ohne Grundbucheintragung. Demgegenüber erhält die Stiftung beim Erbstückvermächtnis einen schuldrechtlichen Anspruch gegen den Erben. In diesem Fall muss sie den vermachten Gegenstand noch übereignen. Weiter zu fragen ist ob, eine noch nicht genehmigte, also noch nicht existierende Stiftung als Vermächtnisnehmerin eingesetzt werden könnte? Meines Erachtens ist es nach koreanischem Recht möglich, soweit durch die letztwillige Stiftungserrichtung das Vermögen für einen bestimmten Zweck ausgesetzt und damit rechtlich verselbstständigt wird. Ja, die Stiftungserrichtung durch letztwillige Verfügung ist ein 'eigenständiger, zur Erbeinsetzung, Vermächtnis, Auflage hinzutretender erbrechtlicher Verfügungstypus“, bei dem je nach Ausgestaltung des Stiftungsgeschäfts die Regeln über das Vermächtnis oder Erbeinsetzung anzuwenden sind. Nach § 47 KBGB sind im Falle der Stiftungserrichtung durch letztwillige Verfügung die Regeln über das Vermächtnis analog anzuwenden. Das koreanische Stiftungsrecht in seiner Systematik für das einaktige Modell spricht. Das zugewendete Vermögen gilt mit dem Tode des Stifters als der Stiftung zugefallen. Sodass könnte die Stiftung zum Zeit des Erbfalls als Rechtssubjekt existieren. Zum Schluss ist die Einführung des § 48 Abs. 4 Reformentwurfes des koreanischen BGB sorgfältig in Erwägung zu ziehen. Eine ausdrückliche Normierung des § 84 deutschen BGB ist entbehrlich, weil die Norm eine überschießende Rechtsfolge enthält, würde sogar die Auslegung zwischen dem geltenden § 48 KBGB und künftigen § 48 Abs. 4 KBGB noch mehr kompliziert. Es hätte ausgereicht, den rückwirkenden Zuwendungsanfall als mit dem Erbfall erfolgend zu bezeichnen.

      • KCI등재

        비영리법인에서 계약상의 제 문제 - 이사의 대표권의 제한을 중심으로 -

        고상현 한국재산법학회 2020 재산법연구 Vol.36 No.4

        오늘날 법인은 사법상의 독립한 권리주체로서 다양한 법적 거래에 참여한다. 법인이 거래 당사자가 되는 계약은 우리 사회에서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고 있다. 그런데 법인이 형성하는 계약은 자연인 상호 간의 계약과 비교할 때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일단 계약에 의한 법적 효과보다는 계약이 유효하게 성립하기 위한 요건 면에서 차이가 두드러질 것이다. 계약은 당사자의 합의를 필수적 요건으로 하는 법률행위로서 그 성립에는 일반적으로 당사자, 목적, 의사표시의 합치가 존재하여야 하며, 또한 각각의 요소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유효하다고 평가되어야 한다. 법인이 형성하는 법률행위도 이와 같은 요건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법인은 법률행위의 당사자가 될 수 있는지, 법률행위의 목적 실현에 무엇이 요구되는지, 법인의 의사표시는 어떻게 유효할 수 있는지를 각각 살펴보아야 한다. 즉 법인의 능력, 법인의 법률행위에서 목적, 법인의 대표 등의 분야를 논의한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아래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였다. 1) 법인의 권리능력에 대한 여러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2) 비영리법인에 관한 강행규정의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3) 이사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규정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제한의 방식에 따른 효력을 단계별로 재구성해 보았다. 4) 법인에서 무권대표 및 표현대표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그 유효성을 따져보았다. 논의의 범위는 비영리법인과 계약에 한정한다. 영리법인과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포함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법인의 권리능력이라든지 이사의 대표권 제한과 같은 고전적인 논제들을 피해갈 수 없었다. 어찌 보면 유행이 지난 진부한 테마일 수 있겠지만, 법인의 법률행위가 유효하게 성립하기 위한 전반적인 과정을 묘사해보면서, 종래의 해석론을 복기해 보는 것도 나름의 의미가 없진 않을 것이다. Heute sind juristische Personen an verschiedenen Rechtsverkehr unabhängiges Rechtssubjekt beteiligt. Dieser Aufschrift bietet einen Überblick über Vertrag der juristischen Personen. Der Vertrag muss auch die Anforderungen des Rechtsgeschäfts im Allgemein erfüllen, d.h., es muss eine Partei, einen Zweck und eine Vereinbarung geben, und sie muss als rechtswirksam behandelt werden. Für idealen juristischen Personen entspricht ihre Handlungsfähigkeit dem Umfang ihrer Rechte. Nach koreanischem Zivilgesetzbuch § 34 sagt „Die juristische Person ist im Rahmen des nach den entsprechenden Vorschriften in ihrer Satzung bestimmten Zwecks Rechtssubjekt“. Dieser Vorschrift wurde sogenannte „Ultra-Vires“ Prinzip eingeführt. Der Inhalt des Rechtsgeschäfts darf ebenfalls gegen ein gesetzliches Verbot oder guten Sitten nicht Verstoßen. Die juristischen Personen als künstlich gegründete Organisationen haben keine andere Wahl, als an Rechtsverkehr durch Vertreter teilzunehmen. Das Vertretungsmacht der Vorstand kann jedoch durch die Satzung eingeschränkt werden. Jedoch auf die Wirkung der Beschränkung des Vertretungsrechts gegenüber Dritten zu bestehen, muss es registriert werden. Das KBGB § 41 schreibt „Die Beschränkung eines Umfangs der Vertretungsmacht des Vorstandes ist nur wirksam, wenn sie in der Satzung vorgesehen ist“. Der § 60 sagt, „Die Beschränkung der Vertretungsmacht des Vorstandes kann, soweit sie nicht eingetragen worden ist, einem Dritten gegenüber nicht geltend gemacht werden“. Die Einschränkung des Vertretungsmachts handelt es sich auf theoretisch wichtige Fragen. Die Rechtswirkung bleibt unberührt, ob die Änderung im Vereinsregister dem Dritten bekannt oder unbekannt ist. Beim Vertragsabschluss mit juristischen Personen muss man prüfen, ob das Vertretungsmacht des Vorstands nach der Satzung und dem Vereinsregister eingeschränkt is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공익법인제도와 그 개선방향

        고상현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叢 Vol.44 No.-

        Das öffentliche Interesse ist kein Staatsmonopol. Bürger können aufgrund ihrer kreativen Motivation verschiedene Organisationsformen organisieren und dadurch den Zweck der Förderung allgemeiner Interessen realisieren. Der Staat hat an der autoritären Kontrolle der Gründung von gemeinnützigen juristischen Personen beteiligt und unterdrückt den autonomen Willen der Bürger, eine juristische Person für gemeinnützige und öffentliche Interessen zu schaffen. Dies liegt daran, dass die freie gemeinnützige und öffentliche Beteiligung der Privaten in einer kooperativen und skeptischen Perspektive gesehen wird. Durch langjährige historische Erfahrung haben wir jedoch erkannt, dass private Organisationen oder Stiftungen ein Ergänzungsmittel sind, sich das unsere Gesellschaft vielfältig und dynamisch wandelt, die Kooperation aktiv zu fördern. Diese Perspektiv sieht eine Revision des Zivilgesetzes in Bezug auf die Gründung einer Stiftung und eines Verband vor, und außerdem wurden im Bereich des öffentlichen Treuhandrechts revolutionäre Reformen durchgeführt. In letzter Zeit hat das Gesetz der gemeinnützigen juristischen Personen die Änderung schrittweise erweitert. Ziel dieser Arbeit ist es, zu untersuchen, wie das Gesetz über gemeinnützige juristische Personen als Sondergesetz des Zivilrechts regelt werden muss. 공익은 국가의 독점적 전유물이 아니다. 시민들은 창의적인 동기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단체를 조직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해 보편적ㆍ일반적 이익을 증진시키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국가는 사법상의 비영리법인 및 공익법인의 설립에 허가주의라는 권위적인 통제로 일관해왔고, 공익목적의 독립적인 법적 주체를 창설하려는 시민들의 자율적인 의지를 억압하였다. 이것은 사인의 자유로운 공익 참여를 견제적, 회의적 시각에서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랜 역사적 경험을 통해서 민간의 단체나 재단이 우리 사회를 다양하고 역동적으로 결속시키는 윤활제이며, 오히려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할 협력체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의 전향은 비영리법인에 관한 민법의 개정을 예고하게 되었고, 공익신탁의 분야에서는 이미 획기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최근 공익법인의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도 변화를 위한 기지개를 조금씩 펼치고 있다. 공익법인법은 비영리법인을 규율하는 민법의 특별법으로서 공익법인의 설립 요건, 조직과 운영, 주무관청의 감독 및 통제, 조세감면 기타 지원 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다. 동 법률은 1975년 12월 31일에 제정되었고 여러 차례의 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다양한 공익 활동에 대한 오늘날의 변화된 인식과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공익법인법의 규정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개선되어야 할 지점 및 방향을 종합적으로 모색해보고자 한다.

      • 조경수의 병해충 -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외래돌발해충

        고상현,Go, Sang-Hyeon 한국조경수협회 2015 造景樹 Vol.147 No.-

        최근 기후변화 개방화로 산림과 농경지 모두가 서식처인 외래종 꽃매미,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등의 새로운 해충이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그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 해충들은 흡즙성의 가해양상을 보이며 알로 월동하고 생활사가 유사하며 기주범위가 상당히 넓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꽃매미의 유입 정착사례에서 보듯이 최근의 기후변화가 발생과 관련되어 있어 앞으로 수목과 농작물 모두에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 온화한 겨울 기온과 봄철 이상기온으로 인해 알로 월동하는 해충들의 월동치사율이 감소하고 발생시기가 빨라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이들 문제 해충의 생태 및 방제법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종교 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수륙재를 중심으로

        고상현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 Study of Religious Festival to make a Cultural Contents : Focusing on the Suryukjae Ko, Sang-hyun This study has been searched to make a Cultural Contents for the Suryukjae(水陸齋, the Buddhist Rite for Deliverance of Creatures) which is religious festival as well. The root of festival is based on the religious thought. Cultural Contents is all about research as well as industrial and popularize, knowledge of cultural. On the whole, making Cultural Contents of Suryukjae festival can be considered as approaching in that point of view. Suryukjae is festival of harmonization between God and man, man and nature, this life and eternity, man and man with equality without any wall or distintion. Suryukjae continues in day and night for 7days in the longest term. It reflects current social aspects of dance, music, buddhist painting as well as various tangible or intangible elements. Suryukjae is stand for contents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buddhist culture, but it has not been studied deeply and has no firm foundation in a various use of Cultural Contents. Suryukjae seems to be on the decline, but recently it is starting to revive from the center of Jinkwan temple(津寬寺), Samhwa temple(三 和寺) etc.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is study has been emphasized in terms of each period, classes and regional form of examples,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contemplated to make a method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recently revitalized together with popular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a local festival. There are several ways of developing about Suryukjae and ritual series. 1. based on prototype of study 2. applying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historical education program 3. making use of video and audio contents: buddhist music of Beom-Pae, buddhist dance of Cymbals Dance, Dharma Drum Dance, Butterfly Dance 4. polytechnic contents making use of paper-flower, the making coins 5. contents of food which are set for Suryukjae 6. developing to make a festival contents of Suryukjae 7. fieldtrip of watching the Suryukjae in a temple. Making a culture and tourist industry contents 8. developing a product of culture and tourist industry contents 9. preparation of effective distribution. 수륙재라는 종교 페스티벌을 문화콘텐츠화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페스티벌은 종교적인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문화의 원형소스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산업화, 대중화를 아우르는 인문지식의 총합이다. 수륙재라는 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도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수륙재는 신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이승과 저승이, 인간과 인간이 평등하고막힘이 없이 원융화합하는 페스티벌이다. 수륙재는 길게는 7주야로 행해져, 그 속에서는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무용과 음악, 지화장엄 등 다양한 유ㆍ무형적 요소를 담고 있다. 수륙재는 한국의 문화, 그 가운데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원형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빈약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인천 수륙재보존회, 서울 진관사, 강원도 삼척 삼화사, 전남 영광 법성포 등을 중심으로 한동안 명맥이 끊기는 듯 했던 수륙재가 복원되고있다. 이러한 시기에 맞춰 수륙재가 각 시대별, 계층별, 지역별 설행 형태에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최근에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축제 콘텐츠로서의 대중화, 산업화를 아우러는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현행 수륙재와 의식집 등에 대한 ①원형연구를 바탕으로 ②역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③불교음악인 범패나 불교무용인 바라무, 법고무, 나비무 등의 영상 또는 음성콘텐츠 ④지화, 지전 등을 활용한 공예콘텐츠 ⑤수륙재에 차려지는 음식콘텐츠 ⑥수륙재의축제콘텐츠 개발 ⑦수륙재 설행 사찰순례 등 문화 관광산업 콘텐츠 ⑧문화 관광산업 상품 개발 ⑨효율적인 유통 방안 마련 등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징벌적 손해배상의 수용 가능성 - 민법을 중심으로 -

        고상현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7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0 No.3

        기업 등이 소비자의 피해가 예상됨에도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고의로 또는 악의적으로 불법행위를 감행하는 상황이 거듭되고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 뜨거운 이슈가 되었던 가습기 살균제 사건이나 배출가스 조작 사건 등은 우리 법질서의 엄정한 대응을 요청하였다. 그 대안으로 강력하게 부각되는 제도가 영미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은 이미 오래전부터 학계와 시민사회단체, 정당 등을 통해서 주장되어 왔다. 그런데 이 제도를 어떠한 방식과 내용으로 수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격론이 반복되었고, 우리 법질서는 현재까지 분명한 답변을 유보해왔다. 도입의 형태와 관련해서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었는데, 먼저 우리 민법의 해석론으로서 이를 인정하자는 견해로부터 민법 개정안의 입법이 필요하다는 주장, 이와 달리 민법 영역 외의 별도의 일반법을 제정하자거나 혹은 특별법에 개별적으로 도입하는 형태로 처리하자는 제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입의 필요성을 전제한다면 일단 시민 사회의 당사자 간에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일반법인 현행 민법의 해석론으로부터 논의를 전개하여야 한다. 특별법은 일반법을 고려하여야 하고, 입법론은 해석론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영미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대해서 간략하게 개관한 다음, 불법행위의 책임 원인을 중심으로 우리 손해배상법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법의 해석을 통해서 혹은 입법에 의해서 이 제도를 포괄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손해배상의 범위와 위자료의 기능, 손해배상법의 목적 등에 관한 해석상의 쟁점과 마주하게 되었으며, 제도의 도입을 가정하였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체계정합성의 문제를 법리적으로 검토하였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민법의 외곽’에서 도입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일단 도달했다. Corporations, etc. increasingly commit illegal acts intentionally or maliciously to create more revenues despite the expected damage to consumers. Our recent hot social issues in South Korea, such as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cident or the manipulation of discharged gases called for the stern legal measures. The punitive damages system of British and American laws has been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to such stern measures. The adoption of punitive damages system has long been insisted by the academia, NGOs, political parties, etc. However, severe arguments over how to accept and implement this system have been repeatedly made thus far, and our law has thus far reserved its answer to the question. Regarding the types of adopting the system, various measures have been proposed; a suggestion that our Civil Act should admit this system according to its interpretation; a suggestion to amend and legislate the Civil Act to that effect; and a suggestion to legislate a separate general law to that effect outside the Civil Law or to incorporate the system into the special law. If the adoption of the system is assumed to be required, discussions should begin with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Civil Law which is a general law that regulates legal relationships between relevant parties in the civil society. This is because the special law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general law, and the theory of legislation should premise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Thus, this study briefly reviews the British-American punitive damages system, identifi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damages law in terms of illegal acts and liability for them, and determines the boundary between the acceptability of this system in term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ystem and leg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