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을 위한 찾아가는 상담사의 역할정체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민아(Min-Ah Jung) K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학리뷰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사용하여 청소년을 위한 찾아가는 상담사가 인식하는 역할정체성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Q모집단 구축을 위해 문헌조사 등을 실시하여 36개의 예비진술문을 추출한 후, 전문가 사전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29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인 P표본은 찾아가는 상담사 22명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에게 Q표본분류를 수행토록 하고, 그 결과를 PQMETHOD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을 위한 찾아가는 상담사가 인식하는 역할정체성은 ‘전통적 상담사 역할에 충실한, 신뢰와 이해 중심의 상담가’, ‘자원연계와 문제해결 중심의 활동형 상담가’,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융합형 상담가’의 세 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각 유형별로 찾아가는 상담사로 본인의 역할에 대해 어떠한 정체성을 갖고 있는지 그 특성을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을 위한 찾아가는 상담사 및 관련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ived role identities of on-site counselors for youth using Q-methodology. For this purpose, 36 preliminary stat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the final 29 Q samples were chosen through experts’ preliminary research. The P sample, comprising 22 counselors, was then tasked with categorizing the Q sampl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QMETHOD program. The result presented threefold role identity perceptions among on-site counselors for youth: counselors who are loyal to the traditional counselor role, emphasizing trust and understanding; active counselors focusing on community resource connection and problem-solving; convergence counselors employ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e research discussed the features of counselors regarding their role identity types and suggest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research findings will serve as fundamental data to improve the system for on-site counselors and related services.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민아(Jung, Min Ah),김희성(Kim, Heesung),김은혜(Kim, Eun Hy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2년제 전문대학 사회복지 전공생이 인지하는 전공만족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 2년제 전문대학 3곳의 사회복지 전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최종적으로 236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각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을 통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전공만족의 영향에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 과, 2년제 전문대학 사회복지 전공생의 전공만족은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전문직 정체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발달의 행동적 측면인 진로준비행동이 사회복지 전공생의 전공만족과 전문직 정체성 간의 관계를 매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진로준비를 통해 사회복지 전공생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함으로써 실천역량을 갖춘 사회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college social welfare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social welfare students at three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 total of 236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analyzed for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identified that students’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major had a direct effect on profess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rofessional identity was mediated b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eaturing behavioral aspects of the social welfare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t college to facilitate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 identity of students leading to the competent social workers in practice.

      • KCI우수등재

        지원생활모델(Supported Living model)을 적용한 발달장애인의 자립

        김미옥(Kim, Mi-Ok),정민아(Jung, Min Ah)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1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개념적 모델로서 지원생활모델을 소개하고, 이의 한국 장애인 복지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원생활모델의 개념 및 그 의미, 원칙을 살펴보고, 이 모델이 먼저 도입된 서구 서비스 현장에서 보고된 지원생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함께 다룸으로써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지원생활모델이 발달장애인 자 립에 적용되는 실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영국의 지원생활네트워크와 호주의 지원생활유형을 살펴보았 다. 이와 함께 영국과 호주에서 개발․사용되고 있는 지원생활 매뉴얼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난 지원 생활 실천의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개념적 모델로서 지원생활모델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제도적, 기관, 이용자 차원에서의 향후 적용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가능성과 함의를 논의한 연구로서, 향후 관련분야의 기초 자료로서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main concepts of Supported Living(SL) model, very few of which hav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 Korea, explore the potential to employ SL model, and draw the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S.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al background, main concepts, and principles of SL model, compared SL with supported housing and explained the features of SL model. Additionally, this study reviewed SL schemes in the UK and Australia to understand how SL schemes impact the lives of people with DD. Furthermore, this study addressed the contents of SL manuals used in the UK and Australia and identified the core aspects of SL practi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L as the conceptual model for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SL model in S. Korea in terms of the national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D, service agencies, and service us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SL model as a conceptual model for the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D, potentials to employ SL model, and its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 Korea. SL model and its application showed that SL model is effective and flexible in supporting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 Findings and implications regarding SL model could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upported living system to improve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D.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을 위한 지원주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원주택의 구성요소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성경(Kim, Sunkyung),정민아(Jung, Min Ah),김희성(Kim, Heesung),이경혜(Lee, Kyounghy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을 위해 주거공간과 자립지원서비스를 결합해 제공하는 지원주택(Supportive Housing)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한국적 적용을 고려하여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지원주택의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복지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실시하고 주제분석과 내용분석의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지원주택의 구성요소로 3개의 주제 범주와 10개의 하위내용 범주를 분류하였다. 지원주택의 구성요소는 첫째, 입주 당사자인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과 관련된 것으로, 지원주택에 입주하는 동안 자립을 위한 ‘출발 준비’를 할 수 있는 역량과 의지를 지닌 청소년이다. 둘째, 주거 공간과 관련된 주제로 청소년이 ‘살고 싶은 집’에 대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주거조건을 갖춘 공간이어야 한다. 셋째, 지원주택의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청소년에게 ‘실질적으로 자립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원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실천적 대안으로 지원주택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현장 실무자의 경험과 인식을 토대로 하여 우리 사회에 적합한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을 위한 지원주택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청소년, 주거공간, 지원서비스의 주제 영역 및 구체적 내용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향후 실천현장에서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지원주택을 설계하고 실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supportive housing for youth who have been discharged from Korea’s child residential care system.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ervice practitioners for youth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institution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identified three main components and the related contents of supportive housing for the independence of youth discharged from child residential care.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 was conceptualized as a youth-related component. “The home in which I want to live” was conceptualized as a housing service component. “Support and assistance” was conceptualized as social welfare service component. The research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service paradigm that supports youth who have been discharged from the child residential system to make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 KCI등재

        신상보호 영역에서의 지원의사결정 제도 : 영국 정신능력법상의 제도를 중심으로

        제철웅(Je, Cheol-Ung),정민아(Jung, Min-Ah)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20 의생명과학과 법 Vol.23 No.-

        본 연구는 신상보호 영역에서 의사결정능력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존중과 실행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없는 우리나라에 관련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전제로서, 영국 정신능력법하에서의 지원의사결정제도 및 의사결정 대행 제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제도에의 함의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의료, 요양, 복지의 영역에서의 영국 정신능력법의 의사결정원칙, 범위, 의사결정지원의 구조, 의사결정대행 및 신체자유박탈조치 및 그 안전장치 등에 관한 법규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영국 정신능력법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개인의 정신적 능력으로 정의하고, 모든 성인은 의사결정능력이 있음을 전제한다. 따라서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미래의 의사결정을 현재 미리 준비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개인의 권리, 희망, 선호도를 반영하여 그 개인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도록 지원하여야 한다고 본다. 이는 개인의 의사결정능력 정도에 관계없이 적용되는 원칙이며, 의사결정능력이 부족한 개인을 위한 의사결정대행에서도 이 원칙이 최우선적으로 적용되도록 한다. 이는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신체적 자유를 박탈하는 의료, 요양,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때도 그대로 적용되며, 그것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 의료, 요양, 복지 서비스 현장에서는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강조하고 있으나, 이를 법 제도로 뒷받침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 정신능력법의 자기결정권 존중, 의사결정지원, 개인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는 의사결정 대행 등 지원의사결정 제도는 우리나라의 지원의사결정를 제도화할 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cision making system and supportive policies for people who lacks capabilities under the England and Wales Mental Capacity Act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stitutional devices for respecting self-determination rights in personal care. Relating to medical care, health care, and welfare services, the features of decision-making principles, scopes, structures, procedures and the application of law in decision-making support and the deprivation of physical freedom are analyzed. Under the Mental Capacity Act, the mental capacity means the ability to make decisions, and all individuals are assumed that they have these capabilities. It means that the law guarantees self-determination rights for people who lack capabilities and the past decision-making can be effective in the present even if a person currently lack capabilities for decision-making. Moreover, the best interest for a person is sought from the law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on the basis of their rights, wishes and preferences. This is a principle that applies regardless of the degree of individual decision making ability, and it also serves as a top priority for everyone involved in decision making proces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 the ‘best interest’ rule should be applied when limiting individual freedom or providing medical,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that deprive the individual of physical freedom, and safety devices is accompanied for these measures by the law. While person-centered approach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Korean service areas than the past, there are no solid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at the moment. In this situation, th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of Mental Capability Act in England and Wales including the exercise of self-determination rights and the application of ‘best interest’ rule for people who lacks capabilities gives implications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upport decision-making in Korea.

      • 장애여성 일자리 개선방안

        김은혜(Kim, Eun Hye),정민아(Jung, Min Ah)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기본과제보고서 Vol.2022 No.-

        Difficulties experienced by women with disabilities are not identical with those faced people with disabilities. Instead, these problems are intertwined through which women with disabilities are deeply involved with more troubles in their lives. Yet studies on them have to date been focused on promoting ways to expand their employment. The low quality of their jobs such as vulnerable jobs and low-income positions gained widespread attention despite employment rate of women with disabilities has late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at the ongoing low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women with disabilities is attributed to the underlying matter of social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ment their jobs. For methodologies, this study carried out reference and a mixture of different methodologies (e.g., quantitative study: analysis of situations, qualitative study: in-depth interview). A total of 9 employment quality indexes were used to see their employment status in the quantitative study. In the qualitative study, the author interviewed 10 women with disabilities and gathered five big topics and 13 subsequent topic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make changes to jobs for the women with disabilities by eliciting common findings from the two studies. 1. Enhancing both paternal and maternal protection rights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2. Providing support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 taking care of preschoolers. 3. Improving the quality of jobs not merel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emporary or part-time positions 4. Offering customized job consultation and training servic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disabilities by life cycle 5. Making assessments abou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with regard to employment for women with disabilities 6. Enhancing public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gaining better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 KCI우수등재

        탈시설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모색

        김미옥(Kim, Mi Ok),정민아(Jung, Min Ah)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 Vol.70 No.3

        이 연구는 미국과 호주의 발달장애인 지원생활 서비스 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도 및 실천차원에서 한국의 발달장애인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 정부 사례와 호주의 Lotterywest의 지원을 받아 2007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ISL(Individual Supported Living) 매뉴얼(Cocks et al., 2011)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미국의 경우, 캘리포니아 주정부에서 랜터만 발달장애 서비스 법(Lanterman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rvices Act)하에 시행하고 있는 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체계는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에 대한 법적 권리 명시, 행정조직인 리저널 센터(Regional Center) 설치 운영을 통해 권리보장 및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개인별지원계획을 통한 자립지원서비스 제공, 지원생활서비스에 대한 실행과 관리감독까지 일련의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호주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살펴본 개인별지원생활매뉴얼은 서비스 기관들이 지원생활서비스 제공·관리가 용이하도록 지원생활서비스를 총 8개 영역(서비스 제공기관, 서비스 장소, 지원계획, 서비스 가치 등)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 기관의 실천방향 및 평가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과 유용성을 갖춘 형태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외국 사례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한국의 탈시설 정책이 시설에서 지역사회로의 공간적 변화에 국한되지 않고, 제도적 및 실천적 차원에서 탈시설 발달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변화와 대응이 필요함을 제기하였으며, 이에 기초한 한국 장애인복지에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are mainly discussed issues at the mo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upport system for independent and supported living in the USA and Australia and draw the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upported living system for people with DD. Regarding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community support system, this study reviewed ‘Lanterman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rvices Act’ and related policies governed by the California State, USA and identified the right to live independently for people with DD, Regional Centers as administrational agencies for Supported Living services, and the enforcement of Individual Program Plan including supported living services. Additionally, this study reviewed ‘Individual Supported Living Manual’ in Western Australia featuring the eight themes for supported living services, service policies and contents, and evaluation standards and found its specificity and practic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the appropriate preparation for the supported living system and draw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D after deinstitutionalization.

      • KCI등재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과 성장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김경희 ( Kim Kyung-hee ),김미옥 ( Kim Miok ),정민아 ( Jung Min Ah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4 No.-

        이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과 성장경험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하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초점집단인터뷰와 개별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은 “눈앞이 캄캄해도 걸어감”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어머니들은 “동행하며 함께 나아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자녀의 발달장애로 인해 여러 고통과 어려움을 경험하면서도 양육과정에서 또 다른 기쁨과 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오케스트라 활동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어머니는 자녀에 대한 인식 뿐 아니라 양육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 주변 지지체계와의 관계에도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hild rearing burden of mothers of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others` inner growth through their rearing experiences. The researcher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the `photovoice` method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a mothers` group of an orchestra whose members are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pplying systematic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iv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framed as `keeping walking, even it`s invisible`, and their experiences were summed up by the phrase `coming together and growing with their children.` Although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d distress and difficulties, they also experienced joy and growth while parenting their children.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orchestra we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 as well as their self-perceptions as caregivers,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 support syst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에서의 발달장애인 지원의사결정(Supported Decision Making) 경험

        김미옥(Kim, Mi Ok),박지혜(Park, Ji Hae),정민아(Jung, Min Ah)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0 No.50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 경험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아직 현장에서 지원의사결정에 대해 정확히 개념적으로 정의하지는 않고 있으나, 지원의사결정은 이미 적용되고 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원의사결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용성은 여전히 부족한 현실도 드러났다.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과 관련하여,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발달장애인 권리를 제대로 존중하지 않은 현실 인지, 선호와 욕구가 있는 보통사람으로의 자각의 중요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반성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의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경계의 모호성, 상호 평등한 관계형성의 어려움, 명확한 의사파악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쉽지 않은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한편, 조직차원에서는 지원의사결정을 위한 것은 아니나 장애인복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조직구조의 변화와 학습조직 전환의 혁신을 모색하고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이 도입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쟁점들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지원의사결정의 중심에 당사자가 있는가? 지원자의 위치와 역할은 적절한가? 지원의사결정에 대해 충분히 아는가? 정말 당사자에게 최선의 이익인가? 지원의사결정의 경계는 어디인가?”에 대한 다섯 가지 쟁점들이 도출되었다.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에서 발달장애인 지원의사결정제도 도입과 관련된 논의 및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rvice providers’ experiences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qualitative case study showed that supported decision making has been practiced, although the understanding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were scant. First, the research results found that the righ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less exercised and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m as general people with preferences and needs was accepted. Moreover, service agency has tried to make organizational changes and innovations to transfer it to learning organization, although it was not only for supported decision making. Second, some issues to be considered are identified as follows: who plays the main role, to what extent supporters’ roles and positions are appropriate, how well they knows supported decision making, what means by the best interes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ow to draw a borderline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e article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Supported Decision Making’ practic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ies and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rvice fiel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