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장애유아와 함께하는 음악활동이 어린이집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장혜원(Jang, Hae Won)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에 입급된 장애유아 3명을 대상으로 비장애유아 6명과 음악활동을 실시하여 자유놀이에서 장애유아의 또래를 향한 정서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간 다중기초선 설계를 실시하였다. 실험 절차는 기초선, 음악활동 중재, 유지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비장애유아와 함께 하는 음악활동 중재가 자유놀이시간에 장애유아의 또래를 향한 긍정적 정서표현을 증가시켰고 부정적 정서표현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악활동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정서표현의 변화가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음악활동이 통합환경에서의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변화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Thre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f inclusive child-care center are experimented by letting them do 10 minutes music activities together with six peers in the allocated music activity space of child-care center, and change of affect expressions are inspected.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for the experimental result. The experimental are proceeded with probe design, music intervention, and sustainability. Results of study prove that positive affect expres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peers are improved by the music intervention during free time, and that negative affect expression are decreased. The positive affect expression are sustained and negative affect expression are decreased continually after the music intervention is finished. As a conclusion, music activity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change the affect expres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on settings.

      • KCI등재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혜원 ( Hae Won J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발달장애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른 음악활동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어린이집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32명의 발달장애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7개월이었으며 중재는 주1회 30분씩 총 20회기간 발달장애유아가 생활하고 있는 본래 학급에서 실시되었다. 중재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지시적가사, 질문하는 가사, 상승하는 멜로디와 다이나믹의 변화라는 음악의 요소가 삽입된 노래부르기, 주고받는 구조라는 음악의 요소가 삽입된 연주하기와 동작하기, 같은 프레이즈가 반복되는 멜로디라는 음악의 요소가 삽입된 음악감상이었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비교집단 실험설계이었다. 연구결과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자아개념, 자기규제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은 성별과, 장애등급에 상관없이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음악활동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은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iveness of disabled infants` social development by music activities which made of music elements facilitate social skills, in the inclusion setting. Thirty-two infa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a inclusive child-care center participated in 20 sessions consist of 30 minutes from march to september. Intervention was singing made of indicative lyrics, question lyrics, ascending melodies, changing dynamic, playing and moving made of turn taking music structures, listening made of melody with repeated the same phrase. Study design is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s results of this study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skills improved the disabled infants` social development in the inclusion setting.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skills improved the disabled infants` social interaction, self concepts, self regulation. As study results, music activities facilitate social skills improved disabled infants` social development regardless of sex and retardation. and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skills improved disabled infants` sociality related the ages As a conclusion,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skills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infants` sociality with disabilities in inclusion settings.

      • KCI등재

        비장애유아와 함께하는 음악놀이가 어린이집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장혜원(Hae Won Jang) 한국언어치료학회 2007 言語治療硏究 Vol.16 No.3

        This study and program to verify effectiveness of social interaction by music therapy and to offer specified methods in the inclusion settings in Korea should be made. Thre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f inclusive child-care center are experimented by letting them do 10 minutes music activities with peers of six in the allocated music playing space of child-care center, and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for the experimental result. Results of study prove that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ith peers are improved by the music intervention during free time, and that physical behaviors and common interest behaviors are also improved. The physical behaviors and common interest behaviors are sustained after the music intervention is finished. As a conclusion, music play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on settings.

      • KCI등재

        긍정적 정서표현을 유도하는 음악활동이 장애유아의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서 또래를 향한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장혜원 ( Hae Won J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에 입급된 장애유아 3명을 대상으로 비장애유아 6명과 긍정적 정서표현을 유도하는 음악활동을 실시하여 자유놀이에서 장애유아의 또래를 향한 정서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간 다중기초선 설계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절차는 기초선, 음악활동 중재, 유지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긍정적 정서표현을 유도하는 음악활동 중재가 자유놀이시간에 장애유아의 또래를 향한 긍정적 정서표현을 증가시켰고 부정적 정서표현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악활동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정서표현의 변화가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긍정적 정서표현을 유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환경에서의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변화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Thre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f inclusive child-care center are experimented by letting them do 10 minutes music activities together with six peers in the allocated music activity space of child-care center, and change of emotional expressions are inspected.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for the experimental result. The experimental are proceeded with probe design, music intervention, and sustainability. Results of study prove that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peers are improved by the music intervention during free time, and tha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decreased.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sustained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decreased continually after the music intervention is finished. As a conclusion, music activity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change the emotional expres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on setting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통합보육기관의 음악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장혜원(Jang, Hae-Won) 한국음악치료학회 201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1

        연구는 통합보육기관의 음악치료에 참여한 유아특수교사의 관점에서 장애유아가 경험하는 음악치료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통합보육기관에서 실시 되는 음악치료에 참여한 6명의 유아특수교사이다. 연구 자료는 심층적 면담을 사용하였으며 자 료 분석은 지속적 비교방법, 선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26개의 주제, 12개의 주제모음, 5개 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통합보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음악치료는 장애유아가 흥미를 보 이는 치료, 장애유아의 자발적 참여가 가능한 치료, 장애유아의 잠재력을 볼 수 있는 치료, 장 애유아의 발달을 유도하는 치료, 치료종결이 아쉬운 치료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통합보육 기관에서 실시되는 음악치료는 장애유아에게 아동 중심적 치료접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 다. 또한 이 연구는 통합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음악치료사가 준비되어야 할 음악적, 임상적 기 술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통합보육기관의 관련서비스로서 음악치료가 실시 될 수 있다는 가능 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tried to research on the experience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music therapy of the meaning of music therap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through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sele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participating in music therapy class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dela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data was then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 method of Strauss and Corbin(1990)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of Jung and Kim(2014).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study 26 themes, 12 theme clusters, 5 categories based on interview were selected. The currant music therap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is child-centered therap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hows interests in music therapy. It would make them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music therapy activities, show potential abilities and facilitate improvement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don’t want the termination of music therapy ser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to suggested methods of musical and clinical skills that music therapist who are in child-centered therap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should obtain. Also, the study have shown the potential of music therapy as a related service of the inclusive edu-care settings.

      • KCI등재후보

        3D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오페라 나부코의 시각적 연출과정

        이태용(Tae-Yong Lee),장혜원(Hae-Won J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4

        현재까지 3D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공연제작 과정은 디자이너들의 표현력을 돕기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개별적으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급속한 컴퓨터기술의 발전으로 3D 시뮬레이션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범용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그동안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오던 디자인 작업(무대, 조명, 영상, 의상, 소품 등)에 대해 통합적인 디지털화를 통해 장면 디자인으로 공연제작에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페라 ‘나부코’의 공연제작을 위해 3D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장면의 시각적 연출 과정을 예시하고, 그 장점과 제한점을 명확히 한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 시각적 연출에 활용된 3D 시뮬레이션 기술이 단지 참고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가 아닌, 실제 공연제작을 위해 충분히 적용될 수 있는 ‘가상 프리뷰’와 ‘제작구현’을 제공하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A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 of utilizing the 3D simulation has been ongoing individually to support the expressiveness of designers as a secondary method till now.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wide use of hardware and software for the 3D simula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the performance produced by the scene design through an digitalization integrated from the design works (stage, lighting, video, costume, props, etc ) which has progressed individually. Therefore, this study illustrates the process of the scene’s visual direction by utilizing 3D simulation for the performances of the opera ‘Nabucco’, and is to clarify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And one step further, 3D simulation technology which is utilized in the visual direction is not merely to reference as a digital data, but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which can be applied sufficient to provide ‘virtual preview’ and ‘production implementation’ for the actual performance.

      • SCOPUSKCI등재

        고체상 추출법(SPE: Solid Phase Extraction)을 이용한 국내 사과주스 중 Patulin 간편ㆍ신속 분석방법

        임종갑(Jong-Gab Yim),장혜원(Hae-Won Jang),이광근(Kwang-Ge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3

        Patulin은 곰팡이의 이차 대사산물로 주로 썩은 사과의 병반에서 발견된다. 사과주스 중에 포함된 patulin에 대한 실험법은 LLE법을 이용한 방법이 대부분이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SPE 법을 통한 사과주스 중 patulin 분석법을 본 연구에서 시행하였다. 시료인 사과주스를 다공성 중합체인 고체상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1% sodium bicarbonate 용액 5 mL와 1% acetic acid 5 ㎖를 차례로 흘려 방해물질 등을 제거해준 다음 정제가 끝난 카트리지를 상온에서 1시간 정도 방치한 후 ethyl acetate/ethyl ether 5 ㎖를 이용해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액을 질소 농축기를 이용해 완전 농축한 후 1% acetic acid 용액 0.5 ㎖를 넣고 혼합 후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amber vial에 보관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HPLC 분석에 사용된 이동상은 THF 8 ㎖를 1 L 정용 플라스크에 넣고 물로 채워 사용하였다. HPLC 분석조건은 이동상을 0.7 ㎖/min 유속으로 흘려 276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샘플주입은 20 ㎍/ℓ로 하였다. LOD는 30 ng/㎖ 수준이었다. 실험결과 SPE 법은 기존의 식품공전시험법(LLE)보다 분석시간이 1/3로 줄어들었고, 적은 양의 용매만으로 추출 및 정제가 가능하였으며 실험과정이 간단하여 공전의 방식보다 손쉽게 분석할 수 있었다. 특히, strata-X를 통한 SPE 추출방법은 재연성과 회수율 또한 우수해 저 농도 분석에도 적합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 분석법에 비해 신속하고 간소하며 정확한 정량분석 및 우수한 회수율과 신뢰도를 얻을 수 있어 다량의 분석을 요하는 연구기관 및 단체에 매우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Patulin, a secondary metabolite of mold, is commonly found in rotten apples. Many countries regulate patulin at levels ranging from 30 to 50 ㎍/ℓ. Most analytical methods for removing patulin from apple juice include liquid-liquid extraction (LLE), which is time and labor intensive. To replace the LLE method, a solid-phase extraction (SPE)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apple juice and unfiltered apple juice. A portion of the test sample was applied to a macroporous copolymer cartridge and washed with 5 ㎖ of 1% sodium bicarbonate, followed by 5 ㎖ of 1% acetic acid. Patulin was eluted with 5 ㎖ of 2% acetonitrile in anhydrous ethyl ether. The mobile phase was tetrahydrofuran in water (0.8:99.2) and was detected with a UV detector at 276 ㎚. Recoveries ranged from 95 to 101% in test samples, and the minimum detectable level was 30 ppb. Because this SPE method is fast, easy, reliable, and inexpensive, it could be applicable for companies or analytical agencies to analyze patulin concentrations in apple ju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