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양 소프트웨어 품질 제고를 위한 자동화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임상우(Sang-woo Lim),김길용(Kilyong Kim),이서정(Seojeong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추계

        국제해사기구에서는 e-Navigation의 개발과정에 소프트웨어 품질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해양 소프트웨어품질 보증을 진행해오고 있다. 소프트웨어 품질 확보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전반에 결쳐 정해진 절차를 따르고, 각 절차를 수행한 결과로 산출물의 작성이 필요하다. 이를 지원하는 도구의 활용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과 문서의 자동화가 가능한 도구를 활용하여 해양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사례를 소개한다. 도구 활용에 대한 기대효과 및 해양 SQA에 젹용하기 위한 절차의 개선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개선된 절차를 도구에 반영하여 해양 SQA에 맞춤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향후 목표로 한다. IMO has been proceeding in the maritime SQA for software quality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roduction of the e-Navigation. In order to ensure software quality, follow the prescribed procedures throughout the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and create the output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respective steps. This paper is introduced a case for applying to maritime software development using the tool that is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and automated documentation. Also, it is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procedures for applying the expected effects and maritime SQA for thr tool utilizati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tools for maritime SQA that is reflected an improved procedure for tool is the future goals.

      • KCI등재

        지적 이민(intellectual émigrés)의 명암 : 앨버트 샐러먼(Albert Salomon)과 미국 사회과학의 막스 베버 수용

        임상우(Lim, Sang-Woo)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5

        본고는 20세기 전반기 미국적 사회과학의 특성을 독일의 그것과 비교하면서 독일계 망명 지식인들이 독일의 사회과학을 어떤 과정을 통해 미국의 지식계에 전달했는지를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미국에서 막스 베버의 학문체계를 소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유태계 독일인 사회학자 앨버트 샐러먼(Albert Salomon)의 학문적 일대기를 집중적으로 돌아보며 지적 이민(intellectual émigrés)의 함의와 함께 이주 지식인의 고뇌를 되새겨 본다. 미국에서 막스 베버의 학문체계에 대한 불완전한 수용의 이유는 미국적 학문풍토의 특이성에서 찾아야 하겠지만, 독일계 망명지식인들이 지적 이민 과정에서 처했던 몇 가지의 어려움에 봉착했다는 사실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매우 다른 사회적‧문화적 환경에서 성장한 미국의 학문적 풍토에 적응하지 못했다. 샐러먼을 포함한 독일계 망명 지식인들이 Social Research 지에 게재된 주요 논문들은 New School 대학원 교수들 이외의 외부에서는 충분히 평가받지 못한 것이 주된 이유였다. 망명자로서 그들의 상당수는 이전의 탁월한 학문적 역할을 포기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들이 비록 독일에서 지녔던 영향력 있는 위치를 잃어버렸다 할지라도 독일 사회과학에 대한 가슴속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샐러먼의 막스 베버에 대한 애정은 각별하여서 여러 경로로 그 학문체계의 함의를 전달하려 했지만 결국 커다란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비록 1970년대 들어 베버 연구의 급격한 양적 팽창과 더불어 그에 대한 이해도 확대되었으나, 독일계 지식인들의 담론이라는 특수성과 망명 지식인이 가지고 있던 이중성 등으로 인해 그들의 베버 소개에 있어 많은 오해가 아직도 불식되지 않고 있다는 점들이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ccounts for the processes of transmitting German social sciences into American intellectual world in the earlier twentieth century, especially by the medium of German intellectual émigrés. In this process, the academic life of one of the most significant German Jewish sociologists who e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Albert Salomon, is focused on in order to reconsider the implications of intellectual migration and its consequent hardships. Even though the main reason for the incomplete acceptance of Max's Weber's conception of science should be found in the peculiar climate of American intellectual world, it may be also found in the fact that German émigrés scholars who were mainly responsible to introduce Weber's science into America had faced the difficulty in adapting themselves to the atmosphere of academic world in the U.S. Although those German scholars including Albert Salomon published articles on Weber and German sociology in "Social Research," they were not received well beyond the faculty members of the New School. As refugee immigrants many of them abandoned the influential academic capacity of the previous days in Germany. Nevertheless, they did not lose their concerns over German social sciences from the bottom of their heart. Particularly, Salomon's affection over Weber was more than exceptional. He tried to convey Weber's conception of science in every possible way, only to face disappointments. In the 1970's, there witnessed a rapid growth in the study on Weber in terms of quantity as well as of quality, and thus the knowledge about Weber is expanded further. But the implications of hardship experienced by the German immigrant intellectuals and the dual characteristics of German discourses in American intellectual climate still need to be understood completely.

      • KCI등재

        역사주의의 위기 : 특집기획논문 : 에른스트 트뢸취의 상대주의적 역사주의

        임상우(Lim, Sang Woo)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3

        근대 역사학은 그 성립 이래 자신의 최고의 덕목을 엄정한 사실의 확립이라는 데 두었다. 그러나 가치와 사실의 이분법적 세계에서는 사실을 추구하면 할수록 가치의 세계는 멀어져 가는 것이고, 이에 따라 학문 세계에서는 의미의 문제를 추구하는 일이 무의미하게 된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괴리의 양상을 20세기 초 독일의 종교사학자 에른스트 트뢸취(Ernst Troeltsch, 1865-1923)가 제시했던 ‘역사주의의 위기’라는 현상을 통해 검토했다. 트뢸취는 일단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적 접근을 거부하고 인문학적 전통 속에서 역사주의를 파악했다. 역사주의의 가정에서 볼 때, 역사는 어떠한 최종 목적을 가질 수 없으며, 역사 사건 각각은 개별적 목적과 가치를 갖는 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의 역사주의는 자가당착적 모순에 직면하게 된다. 개별 사실의 고유성을 강조하다 보면 그 사실 각각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고 그에 따라 가치의 상대주의 내지는 가치의 해체에 이르게 되는 것이었다. 이 점이 바로 트뢸취가 그의 서구 기독교 문명에 대한 연구에서 봉착한 딜레마였다. 고전적 역사주의가 아직도 전통적인 인문학적 이상을 견지하고 있었는데 반해, 20세기의 인문학은 객관적 사실에 대한 역사화만을 학문의 목표로 하고 있다. 결국 이와 같은 역사주의의 위기 속에서 가치추구에서 사실추구라는 인문학의 변전이라는 계기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고, 그것이 가장 첨예하게 표출된 예를 에른스트 트뢸취의 역사주의적 세계관의 추구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ical science, its ultimate virtue had lied in finding facts. But in a world of dichotomy between value and fact, the more one pursuits the facts, the farther the values recede. Thus the pursuit of meanings in the scientific world becomes senseles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of this estrangement between fact and meaning through the conception of “the crisis of historicism” raised by a German theological historian Ernst Troeltsch(1865-1923). Troeltsch grasped the historicism in the tradition of humanities, rejecting natural and social scientific approaches to it.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ism, history itself can not possess any teleological goal but each historical event possess its own goal and value. By asserting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historical event, however, his historicism had to face a self-contradiction. To empathize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event would logically lead into a recognition of innate value of the event, and thus into a relativism of value or a de-construction of value system. This was the dilemma that Troeltsch had to face in his study of the Christian civilization of the West. While the classical historicism had adhered to the traditional ideal of humanities, the humanistic study of the 20th century only aims at the historicization of objective events. In the end, in the midst of this crisis of historicism, a moment of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from value-pursuit to fact-finding can be observed. And we find an extreme case of the contradiction in the historicist Weltanschauung of Ernst Troeltsch.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의 유럽 중심적 역사관의 극복

        임상우 (Lim Sang-Woo)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4 No.-

        본고는 동아시아의 지성계에 아직도 식민성(coloniality)이 문제되고 있다는 일반적 관찰과 관련된 글이다. 특히 동아시아(일본, 중국, 한국)에 서구의 근대역사학이 도입 된지 한 세기 이상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탈식민주의시대 라고 불리는 이 시대에 있어서도, 아직도 이 지역에서의 역사학과 그에 따른 ‘세계사’의 관념은 한마디로 유럽 중심적(eurocentric) 역사관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럽 중심적 역사관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러한 역사관이 동아시아의 역사학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두 기본 개념이 ‘근대화 (modernization)’와 ‘단선적 진보사관’이라는 것을 밝힌다. 이어서 유럽 중심적 역사관의 핵심적 내용은 근대화 패러다임이며, 이는 세계 역사를 일관된 이야기로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었다는 점을 살핀다. 다음으로 서구로부터 수입된 유럽 중심적 역사관은 제국주의적 팽창을 주도한 유럽의 국가들이 강요했다기보다는, 동아시아 3국이 모두 자발적으로 이를 수용하고 나아가서는 이를 내면화하였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유럽 중심적 역사관에 대한 비판은 먼저 서구의 지성들 사이에서 제기되었으며, 특히 20세기 말에 들어와 대두하기 시작한 여러 종류의 ‘포스트담론(post-structualism, post-colonialism, post-modernism)’과 깊은 관련을 맺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유럽중심주의를 극복한 또 하나의 보편적 세계사를 제시하기에는 아직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과, 대안적 세계사를 위한 전제조건은 다양한 문화적 콘텍스트에서의 역사서술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라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서구의 자기중심적 역사관이 극복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에서 유럽 중심 역사관의 수용과 변용에 대한 지난 100년간의 근대 역사학의 발전에 대한 사학사적 검토와 철저한 비판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라 제언한다. This account is related to the general observation that the colonial remnants are still lingering in the intellectual discourses in the East Asia. It should be noted that it has been more than a century since the modern historical science of the West was introduced in the East Asian countries(Japan, China and Korea). This account is to review a problematic situation that, in this time of post-colonial era, historical studies as well as the conception of ‘world history’ are still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so-called ‘eurocentric’ view of historical development. First, it takes a glance at the formation of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history in the West, and indicates that the two debatable conceptions, ‘modernization,’ and ‘unilateral progress in history,’ are most problematic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Western historical science in the East Asia. The core of the eurocentric view of history is ‘the modernization paradigm’ which enables to construct ‘the world history’ as a coherent narrative. Second, it emphasizes that the eurocentrism has been ‘internalized’ by the East Asian historians in the process of its reception, voluntarily rather than being forced in the course of the imperialistic intrusions by the West into the East.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the criticisms against the eurocentrism was raised first, not by the colonial intellectuals but by those within the West. Those criticis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various kinds of ‘post-discourses,’ namely, post-structualism, post-colonialism, post-modernism and so on. Last, it indicates that a new ‘universal history’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eurocentric world history is still difficult to write for many reasons. The pre-requisite for an alternative world history is the comparative studies of historiography in the diverse cultural contexts. In conclusion, in order to make possible to overcome the selfconcentrated conception of eurocentric view of history, a thorough examination and criticisms are needed over the re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eurocentrism by the East Asian historical science during the last 100 years and mo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사회과학적 역사학 : 시대를 앞선 역사가의 지적 투쟁

        임상우(Lim, Sang-Woo)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9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at there is a theoretical unity in Max Weber's works, in contrast to the general evaluations of his works as denoting too diverse themes and fragmental subjects. One can find an unseen unity in Weber's diverse works, when one consider his aspiration for a universal and developmental analysis of world civiliz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he aspired to develop a unifying theory that is able to explain the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soci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eventual motives for historical progress. With these objects, it first explores Weber's endeavor for an establishment of a new field of study, 'historical social science.' Then it maintains that his new social science was based essentially on his historical perspectives and methodology as well as his own philosophy of history. Lastly, it clarifies that his scientific achievements were focused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a new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that is ultimately susceptible to the dominance of rationalistic bureaucracy that was taking shape in his age. Through the above observations, it is to emphasize three following points. Although Weber has been frequently introduced as 'sociologist,' or 'social scientist,' (1) his scientific vision derived from his own pessimistic philosophy of history over the historical world, (2) his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was based essentially on a historical approach, and (3) this methodology of historical approach has contributed decisively to the enrichment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various social scientific histories in the 20th century. 본고는 막스 배버 저작들이 다양한 주제들과 그에 따른 산만한 편린적 저작들만 포함하고 있다는 일반적 평가에 반하여, 그의 저작들은 이론적 통일성이라는 시각에서 하나의 일관된 지향점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세계문명에 대한 보편사적, 발달사의 해석을 향한 베버 자신의 열망을 숙고해보면 그 안에 보이지 않는 통일성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궁극적으로 변화의 진보적 계기뿐만 아니라 경제와 사회 제도간의 보편적 관계를 고려하는 설득력 있는 통일적 이론을 그 자신의 역사적 비전 아래서 만들어내길 열망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고는 먼저, 베버가 하나의 새로운 학문적 영역 즉 '역사적 사회과학'을 확립하려 한 내용을 검토한다. 이어서 그 사회과학은 기본적으로 그의 역사학적 전망과 방법론 및 그 자신의 독특한 역사철학에 근거했다는 점을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베버의 학문적 업적이 결국은 당대에 있어 자리 잡아 가고 있던 합리적 관료주의의 지배라는 근대 사회의 새로운 성격을 분석하고 규명하는데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을 밝힌다. 이와 같은 관찰을 통해, 베버가 '사회학자', '사회과학자'로 흔히 소개되고 있지만, 그의 학문적 비전은 역사 세계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역사철학적 관점에서 비롯했고, 그 사회과학의 방법론은 기본적으로 역사적 접근방법에 기초하였으며, 이러한 역사적 접근방법은 20세기 사회과학적 역사학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는 점을 밝힌다.

      • KCI등재
      • KCI등재

        [서양사] ‘과학적’ 역사학과 국가주의 역사서술

        임상우(Lim, Sang-Woo) 역사학회 2014 역사학보 Vol.0 No.224

        This article reviews the fatal limitation of the myth of “scientific objectivity” in modern historiography of the West. The European model of “historical science,” from its outset, was geared not to rational and coherent logics of science but to an ungrounded premises of universal laws or a metaphysical conceptualization of the state (or nation). It examines the two main currents in the “historical sciences” of the 19<SUP>th</SUP> century: positivistic view of historical science and Rankeian model of historische Wissenschaft. It reconsiders how the positivistic view of history was only to declare that the development of modern European nations including France and Great Britain show the universal law of history according to the positivistic conception of science. It also examines how the Rankeian conception of history was based on the nationalistic outlook through and through with its unique premise of historicism. It concludes that those historical writings of various sorts in the 19<SUP>th</SUP> century would only result in a ‘civil religion’ rather than in ‘science’ as such. All of those histories as civil religion culminated in the worship of the nation affected by the overwhelming mandates of nationalism of the age. It also indicates that historians accepting modern historical science in the East Asia, including half-colonized Korea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disregarded the essential implications of ‘science’ in their responding to Western invasion to their new born or struggling nations.

      • KCI등재

        통합적 유럽 연구를 위한 제언

        임상우(Sang Woo Lim) 통합유럽연구회 2010 통합유럽연구 Vol.- No.1

        This article is to raise a suggestion that Europe as a whole should be assessed academically as a historical unit and as an object of regional studies. The ground for the regional studies of Europe as a whole lies in the necessity to recognize Europ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a civilization rather than that of nation states. The conventional historical studies or regional studies have frequently lost the sight of recognizing the unity of European civilization because of the fact that it showed a great diversity in history and culture of numerous nation states that consist of Europe. The historical unity of Europe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especially when the integration of European Union is in on-going process. Under these academic and political circumstances, the study of Europe should be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approaching Europe as a region-state. In order to study Europe as a regional entity, a new research paradigm can be established, that is to say, a transnational approach and the methodology of histoire croisée.

      • KCI등재

        베를린 훔볼트 대학

        임상우(Lim Sang Wo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2

        베를린 훔볼트 대학은 가치중립적 연구 및 학문적 자유 등, 근대 과학의 이상과 기준을 설정하고 제도화한 근대적 대학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그 모델은 오늘날까지 대체로 존중되고 있는 결과 “모든 근대 대학의 어머니”라고 불리고 있다. 지성사적으로는 18세기 후반부로부터 연원하는 낭만주의와 계몽주의를 결합하여 독일 지성의 이상주의적 전통을 확립한 대학이었다. 과학사에서는 근대 물질문명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다수의 기념비적 업적을 산출한 대학이었다. 그러나 제국주의라는 시대적 배경아래서 국가지상주의를 함양하는 지적 토대 마련에 기여한 대학이라는 평가를 동시에 받기도 한다. 이와 같이 독일사의 특수성에서 기원한 가장 독일적인 대학이면서도, 유럽사의 변곡점에서 긍정적이던 부정적이던 커다란 전환의 지적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유럽 역사의 굴곡을 극명하게 반영했던 대학으로서 훔볼트 대학의 역사적 위상을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Humboldt University at Berlin has been regarded as the origin of modern university that conceptualized and institutionalized the ideals and standards of modern science, including the conceptions of value-free research and academic freedom, As a result, its model for modern university has been by and large respected as “mother of all modern universities.” Seen from the viewpoint of intellectual history, it was the university that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German idealism which was in turn based on a synthesis of the Enlightenment and Romanticism that had become prevalent sinc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n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it has produced numerous and monumental achievements by providing fundamental theories and practices to modern scientific world. On the other hand, it is observed that this university contributed to the imperialistic ultra-nationalism of the age in its providing an intellectual rationales for the idealization of the state. Thus this university is characterized as an exemplar that provided the momentums in those turning points in European history,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