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드버게임을 활용한 패션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장 - 명품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

        임민정 ( Im Min Jung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애드버게임을 활용한 패션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장을 위한 것으로 해외 명품 패션 브랜드가 제공하는 애드버게임을 수집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게임에 어떻게 표현하고 연계시키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해외 유명 명품 패션 브랜드에서 제공하는 애드버게임을 수집하여 애드버게임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애드버게임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드버게임의 구성요소는 게임의 구성요소에 브랜드 관리 요소를 추가한 브랜드 요소,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콘텐츠로 구성된다. 둘째, 명품 브랜드가 제공하는 애드버게임은 다양한 연령대의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단순조작 게임이나 이미 잘 알려진 형식의 보편적 게임에 브랜드 캐릭터와 이미지를 결합한 게임을 제시하고 있다. 브랜드 전통성에서 벗어나 친근하고 캐주얼한 이미지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패션 브랜드의 상품보다는 브랜드 이미지나 캐릭터를 강조하고 있다. 셋째, 애드버게임과 브랜드와의 연계성 분석 결과 상품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브랜드는 샤넬과 버버리였다. 브랜드의 문화나 가치 체계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에르메스로 분석되었고, 게임과 연계된 상품을 개발하여 게임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투사하고 표현함으로써 브랜드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온·오프 연계가 이루어지는 브랜드는 구찌와 칼 라커펠트로 분석되었다. 모든 브랜드가 로고나 상징에 대한 연상 작용과 호감을 높이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루이비통의 경우는 시각적 연계보다는 즉각적 재미를 주는 게임을 제공하고 있었고 디올의 경우 매장 방문을 유도하는 온·오프를 연계 방식의 게임을 마케팅으로 활용하였다. 기성세대를 겨냥한 오프라인 마케팅 방식에서 주 소비층으로 떠오른 모바일에 익숙한 밀레니얼과 Z세대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전시적 광고보다는 참여를 유도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실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패션이 캐릭터나 스타일을 형상화시키는 유행으로서 정적인 이미지만 부각시킨다면 디지털 시대 패션에 애드버게임의 접목을 통해 개인 성향과 활동 양상에 맞춘 동적이미지로의 전환은 패션 브랜드의 온라인 게임 영역으로의 확장을 가져올 것이다. 명품 패션 브랜드의 애드버게임의 활용은 게임을 이용한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목적과 동시에 충성도가 높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을 유지하는 전략으로 온라인에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장한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fashion brand identity utilizing an advergame. The study collected advergames provided by overseas luxury fashion brands and analyzed how they expressed brand identities and connected them to the gam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dvergames provided by famous overseas luxury fashion brand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ir constituents,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brand identities of the advergam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ituents of advergames include the brand elements, interfaces, interactions, and contents added to the constituents of games. Second, the advergames provided by luxury brands suggest the games controlled simply, which can easily be approached by consumers in various age groups, or games that combined brand characters and images with the universal games in already well-known forms. They attempted a shift to familiar and casual images, breaking from the brand traditionality. They emphasized brand images or characters rather than the products of fashion brand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advergames and brands, the brands that delivered product information were Chanel and Burberry. The brand that provided experiences about its culture or value system was Hermès, and the brands in which customers formed the relationships with the brands, and the online and offline connection was achieved by projecting and expressing their personalities through games were Gucci and Karl Lagerfeld. All brands used visual images to increase associations and favorable impressions about logos or symbols; however, Louis Vuitton provided games that gave instant fun rather than visual connection, and Dior utilized online and offline games as connection marketing to induce visitation to the shops. To broaden the point of contact with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that are accustomed to mobile devices, they provided practical services that could induce participation and make customers enjoy leisure rather than exhibitory advertising, breaking from the offline marketing method aiming at the older generation. Contrary to fashion which only brings static images into relief as a trend embodying character or style, the shift to a dynamic image for the individual’s tendency and activity aspects through the connection to advergame in the digital age would bring about fashion brands’ expansion to the online game scope. Luxury fashion brands’ utilization of advergames allows them to expand their brand identities online as a strategy to increase brand loyalty using games and maintain customers by providing services for customers with high loyalt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SF영화 속 히로인(heroine) 패션이미지유형과 변화

        임민정(Im, Min Jung),박문희(Park, Moon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SF 액션영화 히로인의 패션이미지 유형을 분류하여 히로인의 패션 이미지 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SF액션영화 히로인에 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속 패션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온라인 영화 기사에서 영화의상을 표현한 어휘와 액션영화 속 히로인 이미지를 수집했다. 표적집단면접법(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시행하여 히로인 의상디자인 특성과 히로인 의상 이미지유형을 분류하고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히로인 의상디자인은 하이브리드, 이상적 신체미, 하이테크적 특성을 가진다. 둘째, 히로인 패션이미지 유형은 페티시이미지, 워리어이미지, 퓨쳐리즘이미지, 스포츠이미지로 분류되었다. 셋째, 유형별 히로인 패션이미지의 변화는 페티시이미지는 워리어 이미지와 퓨처리즘 이미지와 혼합되는 현상이 나타나 노출보다는 바디라인을 강조한 강하고 스마트한 지적인 여성이미지로 변화되었다. 워리어 이미지는 남성적 군복스타일 의상에 퓨처리즘 이미지가 결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포츠이미지가 퓨처리즘 이미지와 혼합되어 현대 여성이 지향하는 날씬하면서도 젊고 건강한 바디라인을 표현하는 이상적 히로인 캐릭터 이미지를 시각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F액션영화 히로인 패션이미지는 현대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지위향상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역할의 구분에서 벗어나 젊고, 건강하고 대담함을 지닌 지적인 여성적 영웅의 이미지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ypes of heroines fashion images in modern SF action films and explored changes in fashion images. Based on literature study on heroine in modern SF action films, analysis based on collected vocabulary shown on articles that expressed costumes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ostume design of the images were collected.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by type. Fashion images of action heroin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in-depth workshops and focus group interview of an exper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stumes to express heroine image are characterized by hybrid, ideal body image, high-tech. 2) Types according to fashion image of heroine with Focus group interview were classified to fetish image, warrior image, futuristic image, and sports image. 3) classified types in image of action heroine have been changed. Fetish image is mixed with warrior image or futuristic image that emphasize the body shape rather than exposure. Therefore Image of the costumes expresses a strong, smart and intelligent woman image. Warrior images were analyzed as being futuristic images are combined. Sports images are mixed with futuristic images were analyzed by expressing the slim, young and perfectly shaped female body image of modern women of heroine. As the study results, the study described classified types by year, explored change in image of action heroine, and then, drew change of female image. Fetish image in the early 2000s was changed to futuristic image and sports image in 2010s. This change means that action movies heroine images are changing to image of intellectual, perfect shaped and bold heroine, going beyond distinct roles of women and men.

      • KCI등재

        카오스이론의 특성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임민정(Im Min Jung),박문희(Park Moon He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Modern fashion demands novel designing methods to satisfy a variety of creative individual sentiments as the complex of new science, technology, and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rchitected to apply Chaos Theory in design in which complex and irregular orders and rules are scientifically explained within the unpredictable nature, and therefore, to provide creative novel designing methods that can fulfill a range of distinctive modern demands. The method of research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haos Theory by literature study. As an empirical study, design cases were gathered to be analyzed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relationship with Chaos Theor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design and Chaos Theory, fashion design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expression method of fashion design. The analyzed results were applied to fashion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os Theory potentializes the systematization of complex nature and art works made by human. The major concepts of Chaos Theory were analyzed to have characteristics of non-equilibrium, instability, irregularity, irreversibility, self-similar fractal structure, collapsed structure, and self-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Chaos Theory enabled application of design concept via design case analysis, which proved that it can be used as one of the principles of fashion design by fashion design case analysis. The application of Chaos Theory in fashion design would provide emergence effects and creative expression in fashion design being utilized as a method developing high value-added products. 현대 패션은 새로운 과학과 기술, 예술의 복합체로서 그 변화를 수용하고 개인의 가치와 신념을 표현하는 것으로 인식되면서 개인화되고 차별화를 위한 다양한 개인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복잡하고 불규칙하며 비예측적인 자연에 내재하는 질서와 규칙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카오스이론의 특성을 디자인에 적용시킴으로서 현대의 개성적이고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새로운 디자인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카오스이론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로 디자인 사례를 수집하여 카오스이론의 특성과 디자인과의 연관성 분석하였다. 카오스이론과 디자인 원리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패션디자인 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패션디자인의 표현방법을 규명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패션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카오스이론은 복잡한 자연물과 인간이 만들어낸 조형물을 체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오스이론의 주요개념은 비선형성, 비평형, 불안정성과 불규칙성, 비가역성, 프렉탈 구조와 자기유사성, 무산구조와 자기조직화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카오스이론의 특성은 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 개념의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카오스 이론의 조형적 특성은 패션디자인에서 패턴의 구조, 소재, 디테일에서 우연적이면서 다양한 형태의 표현을 가능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아이템의 상호유기적 결합과 개인화를 제공하는 패션디자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카오스이론의 패션디자인의 적용은 창조적 디자인 개발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상품개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협력적 소비를 위한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임민정 ( Im Min Jung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4

        이 연구는 협력적 소비 활성화를 위한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협력적 소비 관련 사례를 수집하여 분류하였고 제품의 수명 단계별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패션 전문가 집단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협력적 소비를 위한 지속가능 패션디자인을 조사하였다. 이 두 결과를 지속가능 의류 제품 수명 단계에 적용하여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협력적 소비 서비스 사례 분석 결과, 협력적 소비는 중고거래, 대여 서비스, 의류 기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의류 제품의 내구성, 독창적 디자인, 제품의 위생 관리, 유행성, 재테크 수단으로의 가치, 상품 사이즈의 유연성은 협력적 소비를 활성화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시간을 절약하는 간편한 절차, 의류 제품의 위생 관리 서비스, 진품 보장과 가격 책정에 대한 신뢰성 확보, 편리한 수거와 배송 서비스, 교환 및 환불 처리, 세탁과 수선과 같은 편의성 제공이 협력적 소비를 활성화하고 있다. 협력적 소비를 위한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 설계 및 생산 단계에서는 친환경 의류 소재 사용, 의류 내구성을 높이는 디자인, 의류 재사용을 고려한 패턴 제작과 봉제 방법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의류 유통 단계에서는 재사용을 고려한 유통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의류 사용 단계에서는 자원의 사용을 줄이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의류 세탁과 관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의류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을 제거하고, 사용자 요구를 오랫동안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과 의류 수선이 쉬운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의류 수선 서비스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의류 폐기 단계는 의류를 재활용할 수 있는 분리 작업과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디자인으로 해체가 쉽게 디자인해야 한다. 유해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의류 폐기량을 줄이는 소비자의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이나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으로 효율적 회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속가능 디자인 요소에 협력적 소비를 위한 요소를 추가하여 재구성한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이 기획 단계부터 폐기과정까지 반영될 때 사회적 가치변화에 부응하고 심각해지는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패션 산업 실무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guidelines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s for the revitalization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and classified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drew sustainable design elements by the stage of the life of product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fashion expert group to investigate sustainable fashion design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It proposed fashion design guidelines, applying the results to the stages of life of sustainable clothing products.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as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services, it showed collaborative consumption was done in the forms, such as the trade of used goods, rental services, and clothes donation. It was found that the durability of clothing products, original design, hygiene management of products, trend, value as a means of investment techniques, and the flexibility of product size were the factors increas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Easy procedures saving time, sanitary administration service for clothing products, gaining confidence in authenticity assurance and pricing, convenient pickup and delivery services, exchange and refund processing, and the provision of conveniences like laundry and repair revitalize collaborative consumption. Fashion design guideline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stages, the use of eco-friendly clothing materials, the design to increase clothing durability, pattern making, and sewing method considering the reuse of clothing should be integrated. Second, in the clothing distribu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stribution system considering the reuse. Third, in the stage of the use of clothing, accurate information on clothing washing and care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the use of resources and minimize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causes of the shortening of the life of clothing, develop designs that can meet the user’s needs for a long time and the designs of the clothing easy to repair and expand clothing repair services. Fourth, in the clothing disposal stag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lothing to take it into pieces easily with the separation operation that allows the recycling and minimizes wastes. It is necessary to do the efficient collection by providing substantive benefits or economic incentives for consumers’ voluntary participation that limits the use of harmful substances and reduces clothing wastes. The fashion design guidelines reconstructed by adding design element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to sustainable design elements can be utilized as a practical plan for the fashion industry that can meet the changing social values and resolve growing environmental problems when the guidelines are reflected from the planning stage through the disposing process.

      • KCI등재

        요가의 종류와 동작에 따른 현대 기능성 요가복 디자인 특성

        임민정(Im, Min J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현대요가의 종류를 규명하고 요가의 동작과 자세의 특성을 고찰하여 현재 유행하고 있는 요가복 브랜드의 기능적 요가복 디자인특성을 분석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요가의 종류, 요가자세와 동작에 대해 고찰하였다. 2014년 S/S여자 요가복 전문브랜드 15개를 선정하여 탱크톱(tank top)434개와 하의(bottoms)요가복 519개를 전문가집단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디자인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대 요가의 종류는 대상과 목적에 따라 동작과 자세를 결합하거나 변형한 다양한 종류가 있다. 둘째, 여자 요가복의 탱크(tanks)를 캐미솔형태와 탱크톱형태로 나눌 수 있다. 캐미솔형태의 탱크톱은 어깨끈의 형태에 따라 일자형, T-Back형 ,X-Back형, Y-back형, 홀터넥(halterneck)형, 그리고 혼합형으로 분류했다. 어깨끈의 형태가 X-Back형과 Y-back형이 많았는데 동작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이러한 형태가 많이 제시되고 있다. 탱크톱은 몸판이 피트되는 정도에 따라 레이서 형이 37.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반형이 28.1%로 많았다. 몸에 딱 붙어 거꾸로 서는 동작에도 흘러내리지 않는 활동성을 가지며 피부 쓸림을 방지하고 땀이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몸에 피트되는 X-Back형과 Y-back형의 탱크톱이 기능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하의는 길이에 따라 클래식 길이형태가 40.1%로 많았고 그 다음으로 카프리 형태가 37.8%로 조사되었다. 하의는 신축성이 좋은 소재의 클래식 길이나 카프리형태의 레깅스형태가 가장 기능적인 형태로 분석되었다. First of all,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types of yoga. Also, this research analyzed the functional design elements of the functional yoga clothes according to the recently popular yoga brands in consideration to the features of the movements and postures of yoga. A documentary research about the types, posture and movement of yoga was us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functional features about the yoga clothes design. 15 brands were chosen by selecting yoga clothes brands. The female 434 tank tops and 519 bottoms of the year 2014 S/S were analyzed using FGI(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types of contemporary yoga combine or change its postures and movements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purpose. Second, the tank of the yoga clothes can be divided into the camisole form and tank top form. The tank top of the camisole form can be classified into a straight-line form, T-Back form, X-Back form, Y-Back form, halterneck form and mixed form. Many types of among the shoulder strap form are in the X-back and Y-back type, which were proposed in order to prevent any flow down while doing movements. Regarding to the tank top, the racer form is mostly used by 37.3% depending on the how fit the body is. The next mostly used type is the general type with a rate of 28.1%. The most functional clothes were X-back and Y-back type tank tops that tightly fit with the body, which prevents the clothes from flowing down while doing movement such as standing upside down. Also, clothes that prevents skin leaning and sweat flowing is expanding. Third, the bottom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length. Regarding to the length, the classic length form was mostly used by a rate of 40.1%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next mostly used form was the capri form by a rate of 37.8%.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pants made of elastic material at the length of the classic style or leggings at the capri style are most functional.

      • KCI등재

        패션을 콘텐츠로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유형화와 네트워크 형성 방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프로세스

        임민정(Min Jung Im),김영인(Young In Kim) 한국복식학회 2014 服飾 Vol.6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s a method to develop designs. Fashion design process was systemized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nd element and method of network form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design processes using SNS were suggested through survey study. This was done by applying formation of network and its method in SNS with contents of fashion to stage of process to develop fashion desig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NS is composed of 5 stages. Second, SNS types with contents of fashion were classified to five types: blog, community, connection of fashion web service and SNS, fashion SNS, and fashion SNS game. Among them, types wher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nd product distribution was done by formation of network are connected type of fashion web service and SNS, fashion SNS type. Fashion design development can be done by compiling, having contests, and cooperative work. A method that can be used for making assessments and decision is voting and predicting the market. Third,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NS is composed of the stages such as planning, compiling, analysis, decision, implementation, and formation of network. It was analyzed that by connecting stages of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through participation of users, new contents were produced and there was a structure that was cycled continuously.

      • KCI등재

        중고 의류의 재판매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임민정 ( Im Min Jung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2

        플랫폼의 증가와 소비 패턴의 변화로 중고 의류의 재판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고 의류의 재판매 특성을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특징과 유입 경로, SNS의 활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재판매 거래 플랫폼 56개를 선정하여 재판매 상품의 유형과 판매 방식을 직접 관찰하였으며, 플랫폼 유입 방식 및 활용 SNS 조사는 알렉사와 시밀러웹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각 플랫폼에서 취급하는 재판매 상품은 럭셔리 상품과 매스 밸류 상품으로 분류된다. 둘째, 재판매 의류 플랫폼을 취급 상품과 판매 방식에 따라 럭셔리 상품-위탁 판매형(B2C), 럭셔리 상품-직접 거래형(C2C), 매스 밸류 상품-직접 거래형(C2C), 매입 판매형(B2C), 보상 판매형(B2C)의 5가지로 유형화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럭셔리 상품-위탁 판매형(B2C)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정도에 따라 판매금액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는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다. 럭셔리 상품-직접 거래형(C2C)은 럭셔리 브랜드의 중고 상품을 개인 간 거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품의 진품 보증과 상품 감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매스 밸류 상품-직접 거래형(C2C)은 자유로운 가격 책정, 개인 간 가격 흥정이나 정보 교류가 가능하며 플랫폼 사용료가 수익 모델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매입 판매형(B2C)은 의류 수거 서비스와 빠른 결재 시스템을 갖추고 매입한 의류의 재판매 매출로 수익을 얻는다. 보상 판매형(B2C)은 플랫폼 내에서 커뮤니티 지향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고 의류 재판매금액을 크레디트로 제공하고 다른 상품 구매에 사용하도록 한다. 수익은 패션 잡지 형식의 정보 제공으로 광고를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품 유형에 따른 판매 방식은 매스 밸류 상품은 직접 판매 비율이 높고 럭셔리 브랜드 상품은 위탁 판매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 활용은 럭셔리 상품과 매스 밸류 상품 모두 페이스북을 선호하였으며, 매스 밸류 상품은 유튜브 사용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입과 위탁 방식은 페이스북 사용 비율이 크게 높은 것과 비교해 직접 판매 방식은 유튜브 사용 비율이 높고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an increase in platforms and a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s, the secondhand clothes resale market grows up fast. This study analyzed the resale characteristics of secondhand clothes, focusing on online platform service characteristics and influx, and the utilization of social media.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selected 56 resale trading platforms to directly observe the resale product type and selling method of each platform and used Alexa and Similar Web for investigation of platform influx method and SNS utiliz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sale products treated in each platform were classified into luxury goods and mass volume products. Second, resale clothing platform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Luxury Goods - Consignment Sale type(B2C), Luxury Goods - Direct Sale type(C2C), Mass Value Products - Direct Sale type(C2C), Purchase and Sale type(B2C), and Trade-in type(B2C), and the analytic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lling method are as follows. Luxury Goods - Consignment Sale type(B2C) provides various services and has a revenue model that imposes fees on selling pri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vision of the service. Luxury Goods - Direct Sale type(C2C) provides a service so that used goods from luxury brands can be traded between individuals and services for the warranty of genuine products and product valuation. Mass Value Products - Direct Sale type(C2C) can make free pricing, bargaining between individuals, or information exchange and has a characteristic that platform fee is a revenue model. Purchase and Sale type(B2C) prepares clothing pickup service and quick payment system to get profits from sales by the resale of the purchased clothing. Trade-in type(B2C) provides a community-oriented service in the platform and the amount of money from secondhand clothes resale to be used in purchasing different products. Profits were made through advertising by providing information in a fashion magazine format. Lastly, as for the selling method according to product type, the ratio of direct selling was high, while for luxury brand merchandise, the ratio of consignment sale was high. As for the utilization of social media, for both luxury goods and mass value products, Facebook was preferred, and for mass value products, the use of YouTube was also high. Also, as for the purchase and consignment methods, the ratio of the use of Facebook was high, but as for the direct selling method, the ratio of the use of YouTube was high. In addition, various social media were utilized compared to the purchase and consignment methods.

      • KCI등재

        현대패션에 표현된 곤충모티프의 조형적 특성

        임민정(Im, Min Jung),이숙녀(Lee, Sook Nyeu)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현대패션디자인에서 표현되고 있는 곤충모티프의 표현방법과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곤충과 관련된 문헌과 연구논문 등에서 자료를 수집, 정리하였으며 시각적 자료 수집은 패션 컬렉션지와 인터넷사이트를 통해 분석하였다. 현대패션에 표현된 곤충모티프의 조형적 특성 연구범위는 곤충장식이 나타나기 시작한 2008년 SS컬렉션부터 2013년 FW까지 4대 컬렉션으로 한정하여 곤충을 모티프로 한 패션디자인 및 곤충장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곤충의 형태는 기하학적, 비례, 반복, 대칭, 유선형, 추상적, 투명성의 특징이 있으며 구조성, 기계성, 유기성의 조형성을 가진다. 또한 곤충 변태과정의 생태적 특징은 가변성이라는 조형적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곤충의 상징적 의미는 건강, 젊음, 장수, 행운, 청렴 등의 긍정적 이미지와 동시에 부패, 무책임 등의 부정적의미도 있으며 이러한 상징성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우의적, 장식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셋째, 현대패션에서의 곤충 모티프는 텍스타일문양의 표현, 곤충의 형태적 조형미의 표현, 프린트와 장식의 표현, 액세서리 및 소품의 모티프로서 활용되고 있다. 넷째, 현대패션에 나타난 곤충모티프의 조형적 특성은 자연성, 기계성, 상징성, 유희성, 추상성이며 여기에 더하여 그로테스크성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analyzed expression method and formative characteristic expressed in modern fashion design. Data were collected and arranged through literature and thesis related to insect. Visual data were collected in fashion collection magazine and internet site to be analyzed. Study range on formative characteristic of insect motif expressed in modern fashion was limited to four great collections from SS collection in 2008 when decoration with insect first appeared to FW in 2013. And the study mainly analyzed fashion design with motif of insect and decoration with insec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m of insect is characterized by geometrical proportion, repetition, and symmetry; streamline shape; abstraction; transparency. And form of insect has formative aspects of structure, machinery, and organic. And it was analyzed that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metamorphosis process of insect has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hangeability. Second, Insect has symbolic meanings of both positive images like health, youth, long life, good luck, uprightness etc. and negative meanings like corruption, irresponsibility etc. Such symbolism is expressed allegorically and decoratively according to era and culture. Third, Insect motif in modern fashion is used as expression of textile pattern, expression of formative beauty of form of insect, expression of print and decoration, motif of accessory and props. Fourth,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nsect motif shown on modern fashion are aspects of nature, machinery, symbolism, play, and abstraction.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rtificial grotesque aspect in contrast to natural beauty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