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작문 지도 시 협동작문 활동의 효과 및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적절성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

        이지연 ( Jyi Yeon Yi ) 한국기독교어문학회 2010 기독교와 어문학 Vol.7 No.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영작문 지도에 있어서 협동영작문 활동을 하도록 한 후 영작문 학습에 미치는 협동작문 활동의 전반적인 효과 및 기독교적 영어 교육 관점에서의 적절성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2009년 9월부터 n월에 서울 소재 한 기독교 대학에서 영어 교육과에 개설된 한 전공과목 수강생인 33명의 영어교육과 전공 (또는 복수전공) 생 3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사전 영작문 시험을 통해 이들의 영작문 수준을 파악한 후 이들을 더 우수한 학생과 그보다 못한 학생으로 구성되는 2인 1조의 조들로 편성하고, 이 기간 동안 총 6회에 걸쳐 협동영작문 활동을 하도록 하였는데 이 때 영작문 주제는 이들이 수강하고 있던 과목과 관련된 주제들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에게 협동작문의 효과 및 협동의 방식의 유형들에 대한 안내는 하였으나, 이들이 어떠한 측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협동해야 하는 지는 이들 각각의 조가 정하도록 하였다. 협동영작문 활동을 모두 마친 후 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설문 응답 결과는 sPssls. 0올 통해 빈도분석 하였다. 그 결과, 협동영작 문 활동은 이들의 영작문에 있어서 글의 내용 및 짜임새를 포함한 언어적 측면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고,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쓰기불안감 해소, 쓰기자신감 향상, 공동체의식 함양 둥의 측면에서 효과적이라는 긍정적인 인식 올 보인 응답자가 매우 많았고, 그 결과 협동영작문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역시 긍정적인 경우들이 많았다. 또한, 이러한 협동영작문 활동이 기독교적 관 점에서의 영어지도에 적절한 지에 대한 질문을 하였는데, 협동영작문 활동의 특성은 기독교에서 강조하는 특성들인 상호협동, 긍정적인 의존, 자기책임감/ 책 무성, 구성원들의 책임에 있어서의 균둥성, 공동체 의식 등의 측면이 협동작문 활동에서도 경험되는 것을 고려하여 대다수 응답자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에 덧붙여, 협동영작문 활동 시조구성 방식이 활동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조 구성 및 평가 방법을 신중히 강구한 다면 협동작문 활동은 일반적인 차원에서의 영작문 지도뿐만 아니라 기독교적인 관점에서의 영작문 지도에도 매우 적절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들의 수업능력 신장을 위한 과정중심 지도방안

        이지연(Yi Jyi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들의 교사전문성 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수업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과정중심접근법에 기반하여 수업시연을 활용한 지도방안을 제안하고 이의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하는 20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5년 2학기에 과정중심접근법에 따른 지도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2016학년도 1학기 15주간에 걸쳐 실시하고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이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단계 ‘기초 학습 단계’, 2단계 ‘설계 단계’, 3단계 ‘시연 단계’로 구성된 지도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수업시연에 대한 이론적 지식 및 개념을 학습한 후 교수피드백을 받으면서 수업지도안을 작성해보고 이를 토대로 영어수업을 실제로 시연해보이며, 수업시연에 대해 동료 피드백 및 자기평가 등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지도방안의 유용성에 대해 예비영어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자신의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료평가나 전체토론보다는 교수자에 의한 가이드라인 제공, 교수평가, 수업시연 사례 동영상 관찰, 반성적 자기평가 등의 방법들에 대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devising the process-based teaching model for develop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rough microteaching and exploring their perceptions on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vis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5.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0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who enrolled a course on English teaching methodology at a university in Seoul, Korea in the first semester of 2016. The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ed program for 15 weeks in the semester an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on the last wee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onsist of three steps which were ‘foundation step’, ‘planning step’, and ‘performing/microteaching step’. The process-based program led the learners to be taught theoretical concepts, develop a lesson plan and revise it on the basis of teacher feedback, and do microteaching with the revised lesson plan followed by teacher, self- and peer feedback.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program as useful and conducive to developing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that as for classroom activities in the program, they had a preference to specific guideline, teacher feedback, the observation of exemplary microteaching video clip, and reflective self-assessment

      • KCI등재

        대학 영어학습자들을 위한 과업기반 학술영어 읽기 지도 방안

        이지연(Yi, Jy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영어읽기 및 읽기지도를 위해 대학 영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과업기반 학술영어 읽기에 대한 지도방안을 제시함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하고 이에 덧붙여 이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학년도 2학기에 영어교육과 전공과목 중의 하나인 ‘English Reading’ 교과 수강생 26명의 학습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과를 시작하기 전 먼저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그들의 요구 분석, 학술영어 읽기 및 읽기지도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교수자의 이전 교수 경험 등을 바탕으로 하여 교과를 설계하고 이에 따라 운영하였다. 교과 구성은 학술영어 읽기와 관련된 10개의 과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매 주별로 다른 과업들을 배치하여 각 과업을 중심으로 읽기기술 을 교수·학습하도록 하였다. 15주간에 걸친 교과 운영 뒤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설문조사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그들은 읽기 후 활동으로서 쓰기 기술이 포함되는 과업들에 대하여 어렵다고 인식하였고, 그러한 과업들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술영어 읽기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본 교과에서 수행한 읽기 기술 과업들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model of task-based teaching of English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to Korean undergraduate EFL learners and explore their perceptions on the course. 26 English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who enrolled in ‘English reading’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5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need was analysed prior to devising the cours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need analysis, literature review on EAP reading and previous teaching experiences, a task-based reading course for EAP was devised which was composed of 10 tasks and aligned on the weekly basis. After completing the cours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on the 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found out some writing skill-related tasks difficult to perform and that they did not prefer to take the tasks. Even so, it was revealed that they found the tasks for EAP reading course useful for their EAP reading skill development.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의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다각적 평가 연구

        이지연(Yi, Jyi yeon),김영숙(Kim, Youngsook)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1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8 No.3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multiple evaluation of microteaching lessons delivered b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Seoul. With the inclusion of teaching performance test in teacher employment process, the importance of microteaching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before for the preparation of student teaching. 33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a fifteen-minute peer microteaching practice and turned in lesson CD, lesson plan,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Three Korean professors teaching EFL practicum courses evaluated all of the students’ microteaching with the same evaluation sheet.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 inter-rater reliabilities among the rater groups(professors, self and peer assessment groups) were not achieved, with self-assessment most severe and peer assessment most generous. Even so, all of the assessments were predictably inconsistent and their ratings showed differences in severity Nor did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ffect overall assessment of microteaching. It can be concluded, therefore, that multiple evaluation including self-, peer and professor assessments would be conducive to both valid assessment and balanced development of microteaching skills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자기성찰 기반 평가과업 개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지연 ( Jyi-yeon Y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 양성프로그램에서의 교사전문성 발달과정에서 평가 전문성 발달의 필요성을 인지 하고 이들의 평가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자기성찰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평가도구 개발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한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예비영어교사 들의 인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예비영어교사의 평가전문성 신장을 위한 강좌를 2015학년도 1학기에 개발하여, 서 울 소재 한 대학교에서 2015년 2학기에 영어교육평가 관련 전공선택 강좌를 공통으로 수강하는 예비영어교사 13명을 대상으로 15주간에 걸쳐 운영하였다. 이에 대한 이들의 인식조사를 위해서 15주차에 이들에게 자기성찰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집단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질적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어평가에 관한 지식과 실제 평가 도구 개발에 학습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평가과업을 단계적으로 개발 하도록 유도하며 각 단계마다 자기성찰을 기반으로 학 습해나가도록 하였다. 둘째, 이 프로그램에 대한 이들 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평가 기능에 대한 이들의 인식 이 개선되었고, 이론과 접목하며 평가과업을 개발하는 능력이 발달되었으며, 단계적 학습과정·자기성찰활동 등이 학습과정 및 결과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ven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ir assessment expertise on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a program fo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ssessing expertise, using self reflection-based assessment development tasks and exploring their perceptions o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3 pre-service English teachers enrolled in a course of English assessment in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participants completed written self-reflection reports and participated in a 30-minute group interview both of which revealed their perceptions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according to a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that: 1) the assessment task-centered program was appropriate for assessment expertise development; 2) the program were conducive to developing their assessment expertise in various ways; 3) self-reflection activities in the program helped them become aware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motivated for learning.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for more developed assessment expertise programs in this study.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영작문 평가를 위한 평가 척도 개발의 필요성

        이지연(Yi, Jyi-ye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8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5 No.3

        As writing skill is considered important in globalised societies nowadays, the skill is taught and assessed in English classrooms in Korea. As for assessment, however, there are no authoritative rating schemes suggested for classroom testing contexts. Given this lac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one of the existing scales, the FCE rating scale for writing assessment, to Korean high school contexts through bo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 empirical study. From both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the empirical study, in which three English teachers at Korean high schools were asked to assess 6 writing samples using the FCE scale and to do think-aloud during the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the FCE scale in this context tends to cause problems for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for the sake of validity, this kind of scale cannot be applied to the context for which it was not developed, an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ating scale,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est-takers, raters and assessment context in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