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들의 수업능력 신장을 위한 과정중심 지도방안

        이지연(Yi Jyi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들의 교사전문성 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수업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과정중심접근법에 기반하여 수업시연을 활용한 지도방안을 제안하고 이의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하는 20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5년 2학기에 과정중심접근법에 따른 지도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2016학년도 1학기 15주간에 걸쳐 실시하고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이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단계 ‘기초 학습 단계’, 2단계 ‘설계 단계’, 3단계 ‘시연 단계’로 구성된 지도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수업시연에 대한 이론적 지식 및 개념을 학습한 후 교수피드백을 받으면서 수업지도안을 작성해보고 이를 토대로 영어수업을 실제로 시연해보이며, 수업시연에 대해 동료 피드백 및 자기평가 등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지도방안의 유용성에 대해 예비영어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자신의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료평가나 전체토론보다는 교수자에 의한 가이드라인 제공, 교수평가, 수업시연 사례 동영상 관찰, 반성적 자기평가 등의 방법들에 대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devising the process-based teaching model for develop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rough microteaching and exploring their perceptions on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vis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5.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0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who enrolled a course on English teaching methodology at a university in Seoul, Korea in the first semester of 2016. The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ed program for 15 weeks in the semester an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on the last wee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onsist of three steps which were ‘foundation step’, ‘planning step’, and ‘performing/microteaching step’. The process-based program led the learners to be taught theoretical concepts, develop a lesson plan and revise it on the basis of teacher feedback, and do microteaching with the revised lesson plan followed by teacher, self- and peer feedback.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program as useful and conducive to developing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that as for classroom activities in the program, they had a preference to specific guideline, teacher feedback, the observation of exemplary microteaching video clip, and reflective self-assessment

      • KCI등재

        대학 영어학습자들을 위한 과업기반 학술영어 읽기 지도 방안

        이지연(Yi, Jy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영어읽기 및 읽기지도를 위해 대학 영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과업기반 학술영어 읽기에 대한 지도방안을 제시함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하고 이에 덧붙여 이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학년도 2학기에 영어교육과 전공과목 중의 하나인 ‘English Reading’ 교과 수강생 26명의 학습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과를 시작하기 전 먼저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그들의 요구 분석, 학술영어 읽기 및 읽기지도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교수자의 이전 교수 경험 등을 바탕으로 하여 교과를 설계하고 이에 따라 운영하였다. 교과 구성은 학술영어 읽기와 관련된 10개의 과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매 주별로 다른 과업들을 배치하여 각 과업을 중심으로 읽기기술 을 교수·학습하도록 하였다. 15주간에 걸친 교과 운영 뒤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설문조사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그들은 읽기 후 활동으로서 쓰기 기술이 포함되는 과업들에 대하여 어렵다고 인식하였고, 그러한 과업들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술영어 읽기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본 교과에서 수행한 읽기 기술 과업들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model of task-based teaching of English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to Korean undergraduate EFL learners and explore their perceptions on the course. 26 English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who enrolled in ‘English reading’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5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need was analysed prior to devising the cours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need analysis, literature review on EAP reading and previous teaching experiences, a task-based reading course for EAP was devised which was composed of 10 tasks and aligned on the weekly basis. After completing the cours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on the 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found out some writing skill-related tasks difficult to perform and that they did not prefer to take the tasks. Even so, it was revealed that they found the tasks for EAP reading course useful for their EAP reading skill development.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자기성찰 기반 평가과업 개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지연 ( Jyi-yeon Y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 양성프로그램에서의 교사전문성 발달과정에서 평가 전문성 발달의 필요성을 인지 하고 이들의 평가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자기성찰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평가도구 개발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한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예비영어교사 들의 인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예비영어교사의 평가전문성 신장을 위한 강좌를 2015학년도 1학기에 개발하여, 서 울 소재 한 대학교에서 2015년 2학기에 영어교육평가 관련 전공선택 강좌를 공통으로 수강하는 예비영어교사 13명을 대상으로 15주간에 걸쳐 운영하였다. 이에 대한 이들의 인식조사를 위해서 15주차에 이들에게 자기성찰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집단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질적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어평가에 관한 지식과 실제 평가 도구 개발에 학습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평가과업을 단계적으로 개발 하도록 유도하며 각 단계마다 자기성찰을 기반으로 학 습해나가도록 하였다. 둘째, 이 프로그램에 대한 이들 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평가 기능에 대한 이들의 인식 이 개선되었고, 이론과 접목하며 평가과업을 개발하는 능력이 발달되었으며, 단계적 학습과정·자기성찰활동 등이 학습과정 및 결과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ven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ir assessment expertise on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a program fo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ssessing expertise, using self reflection-based assessment development tasks and exploring their perceptions o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3 pre-service English teachers enrolled in a course of English assessment in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participants completed written self-reflection reports and participated in a 30-minute group interview both of which revealed their perceptions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according to a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that: 1) the assessment task-centered program was appropriate for assessment expertise development; 2) the program were conducive to developing their assessment expertise in various ways; 3) self-reflection activities in the program helped them become aware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motivated for learning.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for more developed assessment expertise programs in this study.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의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다각적 평가 연구

        이지연(Yi, Jyi yeon),김영숙(Kim, Youngsook)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1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8 No.3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multiple evaluation of microteaching lessons delivered b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Seoul. With the inclusion of teaching performance test in teacher employment process, the importance of microteaching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before for the preparation of student teaching. 33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a fifteen-minute peer microteaching practice and turned in lesson CD, lesson plan,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Three Korean professors teaching EFL practicum courses evaluated all of the students’ microteaching with the same evaluation sheet.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 inter-rater reliabilities among the rater groups(professors, self and peer assessment groups) were not achieved, with self-assessment most severe and peer assessment most generous. Even so, all of the assessments were predictably inconsistent and their ratings showed differences in severity Nor did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ffect overall assessment of microteaching. It can be concluded, therefore, that multiple evaluation including self-, peer and professor assessments would be conducive to both valid assessment and balanced development of microteaching skills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이지연(Jyi-yeon Yi),김영숙(Youngsook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중등영어교사 양성과정의 전공 교과목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도입하여 수업 운영을 한 후 수업 개선의 양상과 학습자 및 교수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실행연구로서 총 4단계에 걸쳐 체계적으로 실시되었는데, 이는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2개 선정, 교과목 평가 계획 재설계 및 다양한 평가 도구 활용을 위한 평가 루브릭 개발, 설계된 교수⋅학습 평가 방법으로 교과목 운영, 그리고 설문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및 성찰일지를 통한 교수자 인식분석이다. 선정된 교과목에 적용된 평가 방법은 기존의 지필평가 이외에 프로젝트 평가, 자기평가, 동료평가, 관찰평가, 발표평가, 과업수행평가 등 다양한 과정 중심 평가 방안들이었다. 결과 2022학년도 2학기에 수업 운영 결과, 2개의 전공 수업의 개선된 양상은 균형 잡힌 성취기준의 설정, 교수⋅학습⋅평가의 연계성 구축, 평가의 타당성 제고,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와 자율성 제고 측면이었다. 또한 2개 전공 교과목의 수강생 5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말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은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수업이 예비영어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과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교수자들은 과정 중심 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 개선을 통해 교수활동의 변화와 학습자들의 성장을 돕는 ‘학습을 위한 평가’를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도한 과정 중심 평가의 전환은 대학 및 교원양성과정의 전공 교과목 평가 방법의 개선과 교수 방법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Objectives The study attempted to implement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POA) in secondary English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examined the aspects of course improvement an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instructors. Methods As an action research,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systematically in four stages, which included selection of two major courses, redesign of course evaluation plan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rubrics, the administration of the POA-based courses, and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survey and instructors’ reflective journals. Various POA-based methods such as project-based assessment, self-assessment, peer assessment, observation, presentation, and task performance evaluation were adopted including existing paper-and-pencil test. Results As a result of the one-semester class operation, the improved aspects of the courses were the setting of balanced achievement standards, the establishment of connectivity between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the improvement of validity of evaluation, and the enhancement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autonomy. In addition, 52 students in the courses recognized the POA-based courses helpful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as pre-service English teachers. Furthermore, the instructors perceived positive changes in their instructional behaviors conducive to students’ learning growth through adopting POA-based courses.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ajor subject assessment methods in universities and teacher training courses.

      • 영작문 지도 시 협동작문 활동의 효과 및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적절성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

        이지연 ( Jyi Yeon Yi ) 한국기독교어문학회 2010 기독교와 어문학 Vol.7 No.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영작문 지도에 있어서 협동영작문 활동을 하도록 한 후 영작문 학습에 미치는 협동작문 활동의 전반적인 효과 및 기독교적 영어 교육 관점에서의 적절성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2009년 9월부터 n월에 서울 소재 한 기독교 대학에서 영어 교육과에 개설된 한 전공과목 수강생인 33명의 영어교육과 전공 (또는 복수전공) 생 3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사전 영작문 시험을 통해 이들의 영작문 수준을 파악한 후 이들을 더 우수한 학생과 그보다 못한 학생으로 구성되는 2인 1조의 조들로 편성하고, 이 기간 동안 총 6회에 걸쳐 협동영작문 활동을 하도록 하였는데 이 때 영작문 주제는 이들이 수강하고 있던 과목과 관련된 주제들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에게 협동작문의 효과 및 협동의 방식의 유형들에 대한 안내는 하였으나, 이들이 어떠한 측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협동해야 하는 지는 이들 각각의 조가 정하도록 하였다. 협동영작문 활동을 모두 마친 후 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설문 응답 결과는 sPssls. 0올 통해 빈도분석 하였다. 그 결과, 협동영작 문 활동은 이들의 영작문에 있어서 글의 내용 및 짜임새를 포함한 언어적 측면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고,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쓰기불안감 해소, 쓰기자신감 향상, 공동체의식 함양 둥의 측면에서 효과적이라는 긍정적인 인식 올 보인 응답자가 매우 많았고, 그 결과 협동영작문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역시 긍정적인 경우들이 많았다. 또한, 이러한 협동영작문 활동이 기독교적 관 점에서의 영어지도에 적절한 지에 대한 질문을 하였는데, 협동영작문 활동의 특성은 기독교에서 강조하는 특성들인 상호협동, 긍정적인 의존, 자기책임감/ 책 무성, 구성원들의 책임에 있어서의 균둥성, 공동체 의식 등의 측면이 협동작문 활동에서도 경험되는 것을 고려하여 대다수 응답자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에 덧붙여, 협동영작문 활동 시조구성 방식이 활동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조 구성 및 평가 방법을 신중히 강구한 다면 협동작문 활동은 일반적인 차원에서의 영작문 지도뿐만 아니라 기독교적인 관점에서의 영작문 지도에도 매우 적절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중등영어교사양성 프로그램에서 전공 교과와 창의성의 통합 지도 효과 연구 : 영어 읽기 교과를 중심으로

        이지연(Yi, Jyi-yeon),김영숙(Kim, Yo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들 창의성 계발의 가능성 및 필요성을 주지하여 이를 계발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영어 읽기라는 전공교과와 창의성을 통합한 교과를 설계· 운영하고, 예비영어교사들 자신의 창의성과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에 2학기에 C 대학교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하는 38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읽기 이해도 활동들로 구성된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운영하고, 영어 읽기 능력과 창의성에 대해 자기평가하도록 한 후 이를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창의성 자기평가에 있어서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고차적 사고력, 확산적 사고력, 호기심 등에서는 점수 향상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읽기 능력 자기평가에서도 세 그룹으로 구분한 영어 읽기 능력 수준에 상관없이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점수가 높아지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인지적·종합적·분석적 사고력을 요하는 영어 읽기 능력 측면에 대해서는 점수 향상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등영어교사양성에 있어서 전공교과와 창의성 간 통합 지도의 실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도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Recognizing the possibility and the need for creativity development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eativity integrated instruction in major courses of secondary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focusing on English reading course. The objectives of the course were two-folds; one was to improv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reading ability and the other was to enhance their creativity. The English reading course with 38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t C University in the fall semester of 2018 was instructed using creativity integrated reading comprehension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ssessment of creativity and reading ability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vity integrated English reading instruction significantly enhanc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in the area of divergent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nsitivity. In spite of the overall increase in creativity, certain areas such as high-order thinking, divergent thinking, curiosity and etc. were foun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other aspects of creativity. In addition, self-assessment of read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egardless of three reading levels. Findings revealed that the integration of creativity into English major courses has its potential in improv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creativity and competencies for English teachers. Further suggestions and implication have been discussed regarding integration of major courses and creativity education in secondary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방법 지도 방안

        이지연(Jyi-yeon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영어 교과에서 창의성 교육 및 창의성 함양 수업방법의 필요성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의 학교 현장에서 창의성 함양 수업방법을 운영해야 할 예비영어교사들의 수업역량 계발을 위해 창의성 함양 수업방법의 특징들을 고찰하고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창의성의 특징 및 창의적 수업방법과 기법들에 대한 연구들을 문헌연구하였다. 결과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지도 방안으로서 첫째, 영어 교과와 창의성 간 통합 수업으로 설계하도록 지도하고, 둘째, 과업 중심 교수법을 토대로 수업을 구성하도록 지도한다. 마지막으로, 과업 중심 교수법을 운영하는 과정 중에 학습자들의 생각을 유도하기 위한 창의성 촉진 사고기법 및 전략들을 적절히 활용하도록 지도한다. 결론 이와 같은 지도 방안이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예비영어교사들에게 있어 창의성 교육 및 창의적 수업역량에 대한 인식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이들이 교원양성과정에서 전공교과목들을 이수하는 중에 이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Give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and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s in English subjec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ing for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of pre-English teachers who need to design and manage creative teaching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creative teaching competency.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Result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develop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creative teaching competency, they need to be taught: first, to design integrated classes between English subject and creativity; second, to construct classes using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nd finally, to appropriately incorporate creativity- promoting think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into the task-based classes.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pre-service English teacher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fully experience creatively taught major courses o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me which could lead to development of their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competency.

      • 기독교 세계관을 통해 본 영어평가의 양상

        이지연 ( Jyi Yeon Yi ) 한국기독교어문학회 2011 기독교와 어문학 Vol.8 No.1

        Nowadays English is used as a lingua franca all over the world and many attentions have been paid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English at different school levels. As a result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ologies have been presented up to date since the early 20th centuiy, which has lent itself to the shift in assessment. Assessment in 1950-60s put an emphasis upon reliability in testing and mainly employed traditional testing methods-one-shot, decontextualised, mutliple-choice type of testing- whilst assessment since 1990s may be characterised into the following fIve aspects: focus-on validity, test-takers, and authenticity and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alternative assessmentS From the Christian world view, the former (1950-60s) could be understood to be the aspects of corruption while the latter (since 1990s) to be those of redemption, i.e, the recovery into the nature of creation. That is, since current testing is to try to assess test-taker`s ability as with validity as possible and accordingly to increase positive washback effects of testing upon teaching and learning, it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nature of creation from the Christian world view: to assess learner`s English ability and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s, and then to help develop service mind for others, and use English for God and His nation. The marks of corruption with language testing are, unfortunately, still observed from the current testing methods. Efforts should be, therefore, made to make it recovered to the nature of creation with language testing as far as possible and it would be one of the responsibilities of Christian English teache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고등학교 영작문에 있어서의 유창성의 개념에 대한 고찰 - 실제 작문 샘플 분석을 바탕으로

        이지연(Yi Jyi-ye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7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4 No.3

          Although fluency is included as one of main aspects to teach and assess in the course of "English Writing" for special-purposed high schools in Korea, any concrete and detailed idea has not been suggested in the guidelines to the course on how this concept could be understood and dealt with both in teaching and testing. This study, therefore, aims at exploring the concept of fluency in writing through both reviewing literature on fluency which is mainly with regard to speaking skills and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luency which are observed from 390 writing samples written by 195 Korean students at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s a result of induc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ata, specific features were observed with regard to quantity, coherence, cohesion and language level. It is suggested that these features could be considered when we trying to understand fluency in depth and establish a rating scheme for it in the context of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