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윤유석(Yun, Yu Seok),이상영(Lee, Sang Young),강방훈(Kang, Bang Hun)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1

        ??오늘날 우리의 농촌 문화에는 전통지식, 민족정체성, 진정성 있는 삶의 모습, 다양한 자연생태자원 등의 자원들이 보전되어 있다. 이러한 자원이 문화적인 상품과 서비스로 개발될 경우 농촌의 가치와 의미는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은 농촌 문화의 상품과 서비스를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향후 농촌의 활성화를 위해 어떤 방향으로 문화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하는가를 논하고 있다.<br/> ??논의를 위해 먼저 농촌과 문화콘텐츠의 관계를 농촌 활성화의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농촌의 문화콘텐츠가 농업, 농민, 농촌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콘텐츠, 즉 농촌에 대한 농촌에 의한 농촌을 위한 콘텐츠여야 함을 전제하고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오늘날 농촌에서 제공되고 있는 재화와 서비스를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농촌의 삶과 문화가 사회구성원들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향유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br/>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농촌의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한바, 첫째, 내지인과 외지인이 문화주체가 돼 능동적으로 문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둘째, 그들이 경험을 통해 체화한 농촌의 의미와 가치를 콘텐츠로 창작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셋째, 농촌이 이들 문화주체들이 문화활동을 하며 놀 수 있는 공간, 즉 놀이터가 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창작, 여가, 예술, 오락 활동이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br/> ??이러한 논의를 통해 향후 농촌이 다양한 문화주체들의 문화활동 공간으로 활성화되고 여기에서 나오는 창작표현물들이 콘텐츠화 됨으로써 순환적인 콘텐츠의 생산과 향유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In our rural life and culture, there are traditional knowledge, national identity, authentic life style and its natural ecology. If these resources were developed to cultural goods and services, the rural could be more significant and valuable to u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way to develop the cultural goods and services for the rural revitalization in terms of the cultural contents which are goods and services on the media containing a message. At first, this paper argues that cultural contents demanded a rural society are for the rural, of the rural and by the rural, because that could have an effect on rural revitalization. And this study regarding the goods and services of rural as the cultural contents have examined how they make people enjoy the culture of rural. And then we have suggested how to develop the cultural contents for rural. Firstly it needs to support the people who is willing to expressing their own experience to cultural contents as the cultural subject. It’s not matter where they live, for anyone can be a subject if they create something. Secondly, let they enjoy and express something having a message of the rural. Finally, make the rural to be a playground which a people can play creating their contents, spending their free time, doing an artistic or recreational activity and so on. The paper concludes by arguing that more expressions in form of analog contents or digital contents like published papers, web pages, games, movies should be made by many people who have experience and recognize the value of the rural.

      • KCI등재

        이야기를 활용한 향토상품의 광고마케팅 방안 -홍천 잣을 중심으로-

        윤유석 ( Yu Seok Yun ),김미희 ( Mi Heui Kim ),안옥선 ( Ok Sun Ahn ),강방훈 ( Bang Hun Kang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1 농촌지도와 개발 Vol.18 No.4

        One of the significant element of industrialization is the marketing mixed by advertisement. This paper concerns itself with two key methodological issues that have arisen during the marketing communication research. First, it examines BTL media, appeal type and executive type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argues that story have an effect on mak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sumer and a producer as storytelling producer`s history, story of experiences of user, episode and so on. In this paper we developed contents of advertising for pine nut in Hong Cheon using the storytelling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 역사인물의 대중화

        윤유석(Yun Yu-Seok)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역사인물은 문화적으로 왜 이야기되고, 또 어떻게 이야기되는가? 이 논문은 안산“최용신 문화콘텐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최용신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역의 역사인물이 문화적으로 이야기된 이유, 원리, 전략을 담론화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역사인물이 스토리텔링 되어 온 이유에 대해서는 문화과학 이론가인 리케르트(H. Rickert)와 딜타이(W. Dilthey)의 주장을 통해 최용신에 대한 이야기가 문화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수하고 개성 있는 삶을 살았던 최용신의 삶에 이야기할 만한 보편적인 가치가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역사인물이 이야기되는 원리에 있어서는 최용신거리와 샘골강습소 전시실을 중심으로 최용신의 이야기가 대중들에게 전해지는 방식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최용신이 이야기되는 방식은 공간 구성을 통한 이야기 방식, 직접화법을 통한 이야기 방식, 화자가 개입한 이야기 방식, 수화자를 참여시키는 이야기 방식, 이야기를 활용한 이야기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이야기 방식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스토리텔링 전략에 의해 수행되었다. ① 역사인물을 이해시켜 자아의 변화를 유도시킨다. ② 지금 연관된 가치를 이야기한다. ③ 의미를 체험하게 한다. 오늘날 지역의 역사인물은 관광이나 문화콘텐츠의 소재가 되는 문화자원의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특히 지역의 역사인물은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자원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필자는 지역의 역사인물이 역사적 사실의 가치와 의미를 간직하면서, 우리 사회에 맞는 서사 목적에 따라 어떻게 이야기될 수 있는가를 최용신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를 통해 논하고자 하였다. Why have the historical person been narrated and how could it be told a story in cultural way of enjoyment like book, movie, tourism and exhibition? This article is to discourse on the reason, principle and method on storytelling a historical person, with a concrete example of the Choi Yong Shin’s culture contents at An-San. Choi Yong Shin’s culture contents are contents of books, avenue and exhibit hall as form as text in the critical biography, photo essay, sculptures’ sign and exhibition’s description. These are results of a project of “Choi Yong Shin’s culture contents” of An-Sa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I would hope to organize the way of writing to present a real method of storytelling a historical person, which means communicate it with act of narrative and discourse by expressing on media. Choi Yong Shin’s stories have started since 80 years ago. It means people have talked about her for 80 years. In the opinion of Heinrich Rickert and Wilhelm Dilthey, people would like to make or to preserve something, for there are some value to do that. In the story of Choi Yong Shin, there have been some value to tell someone about something. Though she lived in personality, her life involves a general value, what can people recognize. By the value Choi Yong Shin’s stories have been made and could be going on today. Then how we can tell a story about her life to communicate the value without damaging the historical facts? Writing the text of the signs and description at Choi Yong Shin’s avenue and exhibition of Sam-Gol where she had taught the village people, I have applied some rules. In the method of storytelling, I have wrote about her life and thoughts by narrating at the avenue and exhibition, using the direct narration, involving a speaker, participating visitors and quoting the stories what were told before. And there are 3 principles to communicate her. At first, make one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person into change himself. Secondly, tell about the connected value. Thirdly, make someone experience the meaning. These days historical persons have a worth to be a resources on culture contents. Since they could be representative the regional history and culture. So in this writing I have tried to present the way of storytelling them keeping the historical fact and meanings, in the case of Choi Yong Shin at An-San.

      • 뒷간문화 전통지식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소고

        윤유석 ( Yu Seok Yun ),강방훈 ( Bang Hun Kang ),김미희 ( Mi Heui Kim ),이상영 ( Sang Young Rhee ) 한국농업사학회 2011 농업사연구 Vol.10 No.1

        전통지식은 특정인이나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형성되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해 끊임없이 진화하면서 대대로 전승되어 오는, 즉 전통을 토대로 산업적, 과학적, 생태적, 문화적, 예술적 분야에서 지식활동의 결과를 생성된 기술 또는 창조물에 내재하는 지식체계이다. 오늘날 한국의 뒷간문화는 환경생태산업 분야와 문화예술 분야에서 현대의 생활환경에 적응해 새롭게 적용·활용되고 있다. 뒷간문화의 대표적인 전통지식으로는 환경생태를 보전하는 생활기술과 농사를 위한 비료를 만드는 생업기술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생태적인 자원순환원리와 발효과학이 내재되어 있다. 환경오염과 식품안정성이 현대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뒷간문화에 담긴 전통지식은 어느때 보다 그 활용 가치가 높은 자원이다. 뒷간문화에는 똥을 퇴비로 만들어 농사에 활용하는 생업기술과 음식물쓰레기, 농업부산물, 인간과 가축 분뇨를 재활용해 환경오염을 막는 생활기술이 담겨져 있다. 이러한 전통지식자원을 활용해 생태·산업 분야에서는 이미 2000년대 초부터 자연발효식 화장실이 개발돼 농촌에 보급되었으며, 최근에는 바이오플랜트와 같은 생태산업과 순환농법 기술에 활용되고 있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출판물과 전시물에서 뒷간문화의 전통지식이 이야기되고 있다. 이 글은 뒷간문화의 전통지식을 산업자원의 측면을 살펴보고, 그것이 오늘날 생태산업적, 문화예술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뒷간이 과거에 존재했던 화장실이라는 유물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선조들의 인식, 생활·생업지식을 도출하고 그것이 오늘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Traditional knowledge is defined as system that is formed with an identical person or regional society for a background, and then handing down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 continuously developing and adaptation to its transit circumstances; namely, knowledge system that is inherent in the technology and creature, based on tradi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human knowledge activity in the fields of industry, science, ecology, literature, and art, and so on. Recently traditional knowledge on korean culture of outer toilet, called ``Dwit Gan``, have had been applicated to the eco-technological and cultural creative industry. Fermenting technology in culture of korean toilet have developed from their eco-oriented lifestyle and organic agriculture. So the traditional knowledge on korean toilet culture have been considered a measure taken agains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food safety. Though it discontinued, korean people had recycled the excrement to manure mixing ashes and agricultural byproducts in the toilet. Applying the knowledge environment-friendly toilet and Bio energy plant have built in the field of eco-technological industry. Over there it has used on contents of books, exhibitions and even a garden item.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korean toilet culture a traditional knowledge, we have seen how it applied for eco-technological and cultural creative industry. This study aims at estimating the korean toilet culture as traditional knowledge for applying moren organic agriculture, eco life and industry.

      • KCI등재

        자서전 『백범일지』의 문화적 수용과 창작

        윤유석(Yun Yu-Seok)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본고는 백범 김구의 자서전 『백범일지』(1947)와 김별아의 소설 『백범』(2008)의 비교를 통해 김구의 삶과 그 시대의 역사가 어떻게 읽히고 다시 쓰여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역사가 문화적, 정신적으로 어떻게 수용되고 창작되는지를 연구 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은 작가의 말과 본문의 내용이며, 분석 방법은 문화적 수용에 있어서는 문화과학과 정신과학의 방법론을, 창작에 있어서는 서사학의 후기 구조주의 이론과 개념들을 사용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는 자서전 『백범일지』가 역사와 인간을 이해하는데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김별아가 왜, 어떻게 『백범일지』를 문화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를 다루었다. 3장에서는 자서전 『백범일지』가 소설 『백범』으로 어떻게 다시 쓰여지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자서전을 텍스트로 하는 글쓰기의 과정과 방법을 다루었다. 분석 결과, 『백범일지』는 사회적-역사적 맥락 속에서 자기 성찰을 통해 ‘나’ 개인의 삶을 표현한 자서전의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이 작품을 통해 독자인 ‘너’가 저자인 ‘나’의 시대와 인물을 추체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너’의 한 명인 김별아는 자신의 상상력과 감정이입을 통해 『백범일지』에서 김구의 ‘슬픔’을 이해하고 추체험하였으며 이 슬픔을 담화로 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창작하였다. ‘슬픔’이라는 담화에 의해 『백범일지』의 시간, 공간, 인물, 사건은 재구성되었으며 서술의 초점, 방식, 내용도 변화되어 새로운 문화콘텐츠가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자서전 『백범일지』가 역사와 인간을 정신적이고 문화적으로 추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작품이라는 것과 이것이 인간의 정신적인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문화적으로 수용되고 창작되는 문화소비재임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학문적으로 접근되었던 『백범일지』와 김구의 삶이 인간의 정신적인 니즈와 욕망을 충족시키는 문화 연구 대상으로써의 가치가 있으며 문화콘텐츠가 추구하는 인간 본능의 보편요소 담지 가능성을 찾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하겠다. Paikbum Ilji is an autobiography of Kim Koo. Kim Koo(1876-1949) was the leader of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in Sanghai and Chongqeng. He lived in 19-20C, in which there were huge changes and challenges in korean history. Written in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Paikbum Ilji makes reader to understand this period's korean culture, social and history. Kim Peal-A, an author, had read it, and wrote a novel Paikbum. In an epilogue she tells us why she had read Paikbum Ilji and wrote the Paikbum. So this article analyzed these two books, to explain how the Kim Koo's life story meets the cultural demand and supply. For studying cultural demand I used a general idea of science of culture, which is scientifical method to understand human and his creation, culture.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writing a novel is creative cultural behavior and it makes a supply in the market of culture contents. So for cultural supply post-structuralism theory was applied. Kim Koo wrote ills life with self-reflection in social-historical relations. As it tells an individual life, if a reader understand his life, he/she can gain an experience of that time putting oneself in his place. Kim Peol-A read it, because she had an interest in unjust human's life way in history. After reading Paikbum Ilji, she felt a sorrow. Through this empathy she could understand it, and gain a power to live and to write. Using the sorrow in discourse, she wrote a novel Paikbum that reconstruct Paikbum Ilji's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As a result, Kim Koo's autobiography, Paikbum Ilji is a culture contents satisfying one's mental needs and making oneself create something to supply. If we find objective and universal worth, Paikbum Ilji and Kim Koo's life story can be universal story satisfying culture consumer who demands an understanding of human and history by worth conn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