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ollnow 시간론의 교육적 함의

        예철해 ( Cheol Hae Y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본 연구에서는 교육인간학적 관점에서 시간과 인간의 관계를 연구한 Bollnow의 시간론을 고찰하여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교육에서 중요시해야할 시간은 학생들이 체험하는 시간이라는 것을 밝혔다. 둘째 과거, 현재, 미래는 각각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드러내었다. 셋째, 교육 활동은 근본적으로 미래지향적이므로 미래가 과거나 현재에 비해서 교육적인 의의가 크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현상학적 시간의 차원에서 Bollnow의 시간론과 Husserl, Heidegger, Langeveld의 시간론과 연결시켜서 연구했을 때,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분야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교육자들은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시간과 적절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from Otto Friedrich Bollnow's theory of time. The way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ollnow's theory of time and compare with E. Husserl, M. Heidegger, and M. J. Langeveld. Bollnow insist that the way of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time is important. Thus he suggest three educational task for right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time: first, to live in harmony with haste and hesitance, second, to develop the patience as the ability to live in harmony with flow of time, third, to have the calmness as the ability to allot the time. And Bollnow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lan, the prevention, and the hope in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educational task that to plan for future, to prevent unexpected problem, and to hope the futu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ime which is measured by clock is different from the time which we experience. And it is revealed that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s not separated each other, but they are combined. We found that the future is more important tha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education. So the educators have to recognize that there are two modes of temporality, authentic mode and the inauthentic mode. Thus they have to try to guide students can live in the authentic time.

      • KCI등재
      • KCI등재

        부버 교육철학의 통합교육적 함의

        이동윤 ( Lee Dong Yoon ),예철해 ( Ye Cheol Ha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3

        특수교육에 대한 철학적 연구는 그 필요성에 비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연구자는 마르틴 부버의 교육철학에 대해 고찰하고 통합교육적 함의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부버의 존재론은 교사는 통합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함을 역설한다. 교육은 “비에로스적”이어야 하므로, 선택적인 교육은 포용적 관계가 될 수 없다. 둘째, 부버의 ‘교육적 관계’의 개념은 통합교육의 이론적 근거가 된다. 부버의 교육적 관계는 교사가 학생을 일방적으로 포용하는 관계를 말하는데, 통합교육은 이에 부합한다. 셋째, 부버는 잠재적 교육과 인성교육을 강조하였으며, 이는 통합교육과 결부될 수 있다. Philosophical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is not being actively conducted compared to its necessity. Accordingly, the researcher tried to examine Martin Bube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of inclusiv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Buber's ontology emphasizes that teachers should actively accept inclusive education. Since education must be “non-erosive”, selective education cannot be an relationship of inclusion. Second, Buber's concept of 'educational relationship' serves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inclusive education. Buber's educational relationship refers to a relationship in which a teacher inclusives students unilaterally, and inclusive education corresponds to this. Third, Buber emphasized potenti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which can be combined with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서당과 소학의 전통교육이 현대 인성교육에 주는 함의

        신창호 ( Shin Chang-ho ),예철해 ( Ye Cheol-hae ),윤영돈 ( Yoon Young-don ),임홍태 ( Lim Hong-tae ),지준호 ( Chi Chun-ho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조선시대 아동·청소년 교육의 중심이 된 서당과 소학교육을 검토하고, 그것이 현대 인성교육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는 작업이다. 이른바 전통교육을 현대 인성교육의 차원에서 모색하는 시도이다. 소학의 경우, 효(孝)와 경(敬)을 교육의 핵심내용으로 담고 있으며, 그것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행위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소학의 기본인 쇄소응대진퇴(灑掃應對進退)와 예악사어서수(禮樂射御書數)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현대적 독해를 시도하였다. 소학에서 주의할 만한 함의는 교육내용의 습관화(習慣化)이다. 습관은 행위의 지속을 보장하기 때문에 인성을 강화하고 성장시킨다. 그것이 인성교육의 근본내용이자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서당의 경우, 소학의 내용을 현실적으로 담보하며 실제로 가능케 하는 교육공간, 즉 학교라는 점에서 소학의 내용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실천하는 역할을 한다. 서당의 교육에서는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는데, 강독(講讀)과 제술(製述), 습자(習字)를 중심으로 교수-학습법을 구명하였다. 그 결과 소학과 서당의 전통 아동·청소년 교육은 현대 인성교육의 차원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건전한 인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의 습관화, 둘째, 지식과 도덕의 융합과 통일화, 셋째, 인성확립을 위한 개별 수준의 학문과 깨달음의 전수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So-Hak(小學) and Seodang(書堂) education, which were at the heart of child-adolescent education in Cho-Sun dynasty, and their implications on character education.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review a traditional education from a modern character education perspective. So-Hak contains as major educational concepts Hyo(孝) and Kyeong(敬), guiding principles of daily lives. In this research, two basic concepts of So-Hak were reinterpreted from a modern perspective, namely, Soe-So-Eung-Dae-Jin-Tae(灑掃應對 進退) and Ye-Ak-Sa-Eu-Seo-Su(禮樂射御書數). One of major implications of So-Hak lies on the habituation of what is learned, for habit leads to continuation of action, out of which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merges. As such, the role of habituation in character education is twofold, namely, basic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Seodang is a school in which the teachings of So-Hak is realized. From an educational method perspective, Seodang`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reading, writing, and calligraphy method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ree implications of So-Hak and Seodang were drawn, the habituation of what is learned, unification of knowledge and morality, and individualized learning based on one`s own level.

      • KCI등재

        특수교육철학의 필요성과 나딩스 교육사상의 통합교육적 함의

        이동윤(Lee Dong Yoon),예철해(Ye Cheol Ha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특수교육철학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딩스의 교육사상에서 특수교육적 요소를 도출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하나의 담론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수교육철학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특수교육의 규모가 급격히 증대되어 특수교육철학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철학 연구는 사실상 부재 상황에 가깝다. 둘째, 특수교육철학의 가장 시급한 부문은 통합교육이며, 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일반교사들은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육적 접근이 아닌 일반교육적 접근을 함으로써 통합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셋째, 나딩스의 교육사상은 통합교육적 함의가 있다. 나딩스의 교육목적론과 모델링, 실천, 확언의 교육방법은 통합교육을 난해한 것으로 여기는 일반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시작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Nel Noddings on inclusive education. It aims to crystallize a concrete argument of inclusive education as an example of what it means to approach special education philosophically, i.e. philosophy of special education. First, philosophy of special education needs a particular attention in educational practice and research. The paper argues that we live in a decisive period wher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is significant to create the integrated society. Second, inclusive education is one of the urgent issues in philosophy of special education. It is common to take the matters of inclusion in ways of special education. This paper, however, suggests an effective way for teachers to engage with inclus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non󰠏special education. Third, educational thoughts of Noddings show some implications on inclusive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argues that inclusive education shares some ideas of Noddings on the aim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such as modeling, practice, confirm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concrete ways for teachers in general to practice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show a philosophical approach to special education in analysis of inclusive education with Nodding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미래인재전형의 평가기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비교 : 서울시교육청 특성화고 사례를 중심으로

        조성란 ( Cho Sung Ran ),이화영 ( Lee Hwa Young ),한지윤 ( Han Ji Yoon ),예철해 ( Ye Cheol Hae ),신창호 ( Shin Chang Ho )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과 평가기준에 대한 입학사정교사와 지원학생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 미래인재전형의 학생선발과 평가방향에서 고려할 시사점을 탐구하기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입학사정교사와 특성화고 1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래인재전형에 관한 실태조사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인재전형제도에 관한 인식의 측면에서 교사들은 그 선발 의도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성적블라인드와 전형 방법에 부정적 평가를 하였으나 미래인재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평가요소의 영향력 측면에서 교사들은 면접과 출석을 가장 중시하며 학업계획서ㆍ자기소개서ㆍ봉사활동ㆍ포트폴리오 순으로 고려하였으나, 학생들은 출석ㆍ면접ㆍ자기소개서ㆍ포트폴리오ㆍ학업계획서ㆍ봉사활동 순으로 중시하여 자기소개서와 포트폴리오의 영향력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의 지원사유와 교사의 선발기준 측면에서 학생은 꿈ㆍ끼ㆍ취업가능성을 중시하였고 교사는 인성과 역량을 중시하였다. 이와 같은 몇 가지 측면의 결과로 볼 때, 선발자인 입학사정교사보다는 지원학생들이 미래인재전형의 선발의도에 상대적으로 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인재전형이 설립취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특성화고 별로 원하는 인재상의 정립과 지원학생들과의 전형에 관한 인식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평가방향을 정하고, 그에 맞는 평가기준과 선발 전략을 세워,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양성의 기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applicants and admissions committee members regarding evaluation criteria for admission to career and technical high schools in Seoul. This investigation, based on “The survey on policy for career and technical high school admissions,” seeks to explore and consider the various criteria for selecting and evaluating students. The target populations of the survey were the educators in charge of admission and freshmen in Seoul career and technical high schools. We report three major findings, with the first pertaining to the existing criteria and policies for admission to career and technical high schools. While educators agreed with the intent and reasoning behind the school’s competitive spots, they were overall dissatisfied with the selection method and the lack of a requirement for academic transcripts. Matriculated students, in comparison, expressed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existing criteria for admission. Secondly, when assess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evaluation components in an application, educators viewed the interview and attendance record as the most valuable components of the application, followed by future plans, personal statement, volunteer work, and portfolio, in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Students ranked attendance record, interview, personal statement, portfolio, future plans, and volunteer work as most to least important components of their application. Thus, students regarded the personal statement and portfolios as being of higher priority than did the educators. The last major finding pertained to students’ rationale for applying and educators’ selection criteria. At the time of application, students focused on aptitude and job prospects after graduation, while educators valued personality and competence. In summary, the applicants’ viewpoints and actions aligned much more closely with the miss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an did those of the educators in charge of admission. Thus, in order to establish a consensus between the policy and mission of career and technical high schools, each career and technical high school should clarify the exact criteria for their ideal candidate. There is also a need to bridge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the applicants and educators regarding selection strategy, to establish a harmonized evaluation criteria. These goals are necessary to attract and recruit talented, bright individuals who will meet the demands of today’s society.

      • KCI등재

        듀이 교육이론의 연구 동향과 과제 :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접근과 재해석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new approaches and reinterpretation after the 1990s

        예철해 韓國敎育史學會 2005 한국교육사학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for research streams and tasks of John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in Korea after 1990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 have been analyzed two aspects of the research streams of John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One is researches about the new directions of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and the other is reinterpretations about his theories. First, new directions were researches in the light of postmodernism, transaction, qualitative thinking, and ecological perspective. And the viewpoint of postmodernism included neopragmatism and critical pragmatism. Second, reinterpretations were concept of experience and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concept of growth, and his theory of religion. And I suggested Dewey's educational ideas need to be studied in three directions in order to meet the future challenge of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First, the researches for subject-matter which is play and work, geography and history, and science. Second, the researches in the light of the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for example,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can connect with the concept of Welt(world) in phenomenology. Third, the researches for the technology and technoscience of Dewey's theories. In conclusion, Dewey's educational ideas need to understand in the context of the whole picture of his theories and to extend the revised understanding to the education of Korea. There are many ideas and concepts in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need to be reinterpreted in new ways of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