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육돈에 미생물제제 급여시 분뇨 특성에 미치는 효과

        곽정훈,최동윤,박치호,김재환,정광화,양창범,유용희,천현식,라창식,Kwag, J.H.,Choi, D.Y.,Park, Ch.H.,Kim, J.H.,Jeong, K.H.,Yang, Ch.B.,Yoo, Y.H.,Chen, H.S.,L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3

        본시험은 비육돈사료에 미생물제제를 사료에 미생물제제 A 및 B 0.1 미생물제제 C를 0.2% 혼합 급여할 경우 사료섭취량 및 돈분의 오염물질 배설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4처리$\times$반복당 5두로서 총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육돈의 일일 평균사료섭취량은 대조구 3.15 kg/일.두였고 미생물A, B, C구는 각각 3.14kg/일/두, 3.31, 3.42로 미생물제제 C구에서 일일 사료섭취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p<0.05), 2. 일일평균 음수량은 사료섭취량이 높았던 미생물 C구에서 3.95kg/일/두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p<0.05). 3. 미생물제제 처리구별로 분뇨배설량은 사료섭취량이 높았던 미생물제제 C구에서 가장 많이 배설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5), 돈뇨의 배설량도 미생물제제 C구에서 2.23kg/일/두에서 높았다(p<0.05). 4. 돈분뇨의 수분 함량은 및 비료성분인 T-N, $P_{2}O_{5}$, $K_{2}O$ 성분도 처리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5. 돈분뇨의 평균 BOD 농도는 돈분의 경우 미생물제제 B, C제제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5). 그리고 돈뇨의 BOD의 경우에는 대조구에서 $8,657.5mg/{\ell}$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6. COD 농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p<0.05). 돈뇨의 경우에는 미생물제제 A급여구에서 평균 $9,545mg/{\ell}$로 가장 높았다(p<0.05). 7. SS 농도는 미생물제제 B급여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p<0.05), 돈분뇨중의 T-N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리고 T-P 농도의 경우에는 미생물제제 C급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비육돈에 미생물제제 혼합급여시 사료섭취량과 음수량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비료성분 배설량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BOD 등 오염물질농도의 경우에는 미생물제제 A급여구에서 가장 낮게 조사되어 비육돈사료에 미생물제제 급여시 오염물질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tudy for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microbial feed additives(henceforth MA-A, MA-B, and MA-C) on feed coversion rate,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wine finisher was conducted. MA-B had higher number of Lactobacillus spp. and yeast, compared to any other. The amylase activity of MA-B was also higher than any other. The daily feed intake rates of pigs fed control, MA-A, MA-B and MA-C were 3.15, 3.14, 3.31 and 3.42 kg, respectively. MA-C had the highest weight gai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The weights of feces daily excreted by pigs fed control, MA-A, MA-B, and MA-C were 2.14, 2.02, 2.18, and 2.23 kg/day, respectively. The volume of urine daily excreted by pigs fed control, MA-A, MA-B, and MA-C were 3.14, 3.26, 3.27, and $3.41\;{\ell}/day$, respectively. Water content, T-N, $P_{2}O_{5}$, and $K_{2}O$ in swine man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e BOD were between 42,576 and $67,450\;mg/{\ell}$ for feces and were between 5,882.5 and $8,657.5\;mg/{\ell}$ for urine, respectively. The SS were between 138,000 and $180,000\;mg/{\ell}$ for feces and were between 875.0 and $1450.0mg/{\ell}$ for urine, respectively.

      • 육성돈에 미생물제제 급여시 분뇨 특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곽정훈,최동윤,박치호,김재환,정광화,양창범,유용희,라창식,Kwag, J.H.,Choi, D.Y.,Park, Ch.H.,Kim, J.H.,Jeong, K.H.,Yang, Ch.B.,Yoo, Y.H.,L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1

        본 시험은 육성돈 사료에 미생물제제를 사료에 미생물제제 A 및 B 0.1 미생물제제 C를 0.2% 혼합 급여할 경우 사료섭취량 및 돈분의 오염물질 배설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4처리$\times$반복당 5두로서 총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성비육돈의 일일 평균사료섭취량은 대조구 2.06kg/일.두였고 미생물 A, B, C 구는 각각 2.13kg/일.두, 2.17, 2.34로 미생물제제 C구에서 일일 사료섭취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p<0.05), 2. 일일평균 음수량은 사료섭취량이 높았던 미생물 C구에서 2.89kg/일/두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p<0.05). 3. 미생물제제 처리구별로 분뇨 배설량은 사료섭취량이 높았던 미생물제제 C 구에서 가장 많이 배설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0<0.05), 돈뇨의 배설량도 미생물제제 C구에서 2.31kg/일/두에서 높았다(p<0.05). 4. 육성돈의 성장단계별 돈분뇨의 수분 함량은 및 비료성분인 T-N, $P_2O_5,\;K_2O$ 성분도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5. 육성돈 분뇨의 평균 BOD 농도는 돈분의 경우 미생물제제 A, B제제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5). 그리고 돈뇨의 BOD의 경우에도 미생물제제 A급 여구에서 $6,537mg/\ell$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6. COD의 경우에도 미생물 C급여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p<0.05). 돈뇨의 경우에는 미생물제제 A급여구에서 평균 $8,566mg\ell$로 가장 높았다(p<0.05). 7. SS 농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 되었으며(p<0.05), 그 다음이 미생물 B> 미생물 C> 대조구 순으로 조사되었다. 8. 돈분뇨중의 T-N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9. 돈분중의 T-P 농도는 미생물제제 처리 구간별로 미생물제제 A, C 급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육성돈에 미생물제제 혼합급여는 사료섭취량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나 비료성분 배설량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오염물질 배설량의 경우에는 사료섭취량이 높은 미생물제제 C 급여구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effects of microbial feedstuff additives on feed conversion rate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excreta in growing pigs were investigated. Three different products (A, B and C) were compared. Microbial population tests showed B contained higher numbers of total bacteria, Lactobacillus spp. and yeasts. The amylase activity of B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A and C. The daily feed intake rates fer control, A, B and C were 2.06, 2.13, 2.17 and 2.34 kg, respectively. Pigs feed product C had the highest liveweight gain(2.89 kg). However, the results of feed conversion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Amount of faces excreted for control, A, B and C was 1.18, 1,19, 1.23 and 1.32 kg, respectively. Urine volume for control, A, B, and C was 1.91, 1.80, 2.19 and 2.31 kg respectively. Moisture content, T-N, $P_2O_5$ and $K_2O$ in pig man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e range of BOD values was 63,453 to $73,758mg/\ell$ for faeces, and 5,678 to $7,428mg/\ell$, for urine. SS values of solid and liquid excreta ranged from 142,200 to 176,000 and from 710 to $1,025mg/\ell$, respectively.

      • KCI우수등재

        육성비육돈에 대한 사료첨가제 첨가 급여시험 - 생균제의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

        양승주,현재석,양창범,고석민,최홍훈 ( S . J . Yang,J . S . Hyon,C . B . Yang,S . M . Ko,H . H . Choi ) 한국축산학회 1998 한국축산학회지 Vol.40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feed convers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the growing-finishing pigs with 4 kinds of feed additives wmposed of probiotics which were used in the swine farm of ChejuDo area.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W-farm (high energy and protein, Spring) and B-farm(low energy and protein, Summer). The experiment was designed with 5 treatments according to the kinds of additives used(T; control, A; Biopro, B; Ataphon-o, C; YC-2000, D; Photo-plus). In the W-farm experiment, 75 three-way crossbred pigs weighing average 38㎏ were randomized with 3 replications for 102 days. In the B-farm experiment, 105 three-way crossbred pigs weighing average 33㎏ were randomized with 3 replications for 103 days. Daily weight gains were increased a little by supplementing the probiotics in comparison with control(T).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ed g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 among treatments in the W-farm. But in the B-farm a little inaease in feed intake was observed in the probiotics group. However, feed conversion rates were somewhat improved by the probiotics compared to control(T) in the W-farm,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arcass weight and percentage were increased a little in the pigs fed the probiotics compared to the control (T). The pigs fed probiotics A and B showed apparently higher carcass weights and rates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s compared to the others. In the W-farm the symptom of overfattening was observed in the control(T) and the treatment C. However, the backfat thicknesses of the treatment A, B and D were suitable. In the B-farm the backfat thicknesses of the control(T) and the treatment C were poor and scanty, but those of the treatment A, B and D resulted in suitable thickness. According to the carcass Bade analysis, the carcass grades of the experimental pigs showed the following order; A $gt; B $gt; D $gt; C $gt; Control(T). The improvement of carcass grade was made by the dietary probiotic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aste panel evaluation, the dietary probiotics made a good effect on the meat colour and marbling, tenderness, meat flavour and meat juiciness of the pork.

      • 입자도가 다른 제주 화산암 분말(Scoria) 급여가 돼지의 성장, 도체특성 및 분성분에 미치는 영향

        양창범,고서봉,조원탁,한인규,Yang, C. B.,Ko, S. B.,Cho, W. T.,Han, In K. 한국축산환경학회 2005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1 No.2

        Scoria의 입자도를 달리하여 양돈사료내 첨가급여시 돼지의 성장효과, 사료이용성, 도체 특성 그리고 분중의 주요 오염물질인 질소와 인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 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구(기초사료)와 대조구 사료의 $3\%$ 수준을 500, 1,000, 1,700 ${\mu}m$로 제조된 scoria로 대체하여 배합된 사료로 나누어 급여한 처리 등 모두 4처리를 두어 143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는데 각 처리당 3반복(반복당 male 4, 거세돈 3두)으로 총 84두의 이유자돈을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종료 후 전두수를 축협공판장(등급판정소)에서 돼지등급판정 기준에 의해 도체등급을 조사하였고, 육색은 Chromameter를 사용하였으며, 분중의 질소와 인의 함량은 A.O.A.C 분석법 (1990)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돈기에는 scoria 첨가구 모두가 대조구에 비해 증체량이 낮았고, 사료요구율은 높았으며 육성기에는 scoria 입자도 $1,700\;{\mu}m$ 급여구가 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가장 높았고, 비육기에서는 $1,000\;{\mu}m$ 입자도 첨가구가 일당증체량이 높고 사료요구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전기간($0{\sim}143$일) 동안을 비교하면 scoria 입자도 $1,000\;{\mu}m$가 증체량 및 사료효율면에서 $1,700\;{\mu}m$ 보다 유리하였다. 2. 도체중은 모든 scoria 첨가구가 유의적 (P<0.05)으로 높았으나, scoria 입자도간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등지방두께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도체등급에서 A+B 등급인 상등급 출현율은 대조구에 비해 scoria 첨가구가 월등히 증가하였으며, scoria 입자도간에는 $500\;{\mu}m$가 A등급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 3. 돼지고기의 육색은 명도(L값)의 경우는 대조구가 약간 높았으나 $1,000\;{\mu}m$ 및 $1,700\;{\mu}m$ 입자도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적색도(a값)는 scoria 입자도 $1,000\;{\mu}m$ 급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황색도(b값)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4. 분중의 총질소 함량은 육성기에서 scoria 입자도 $1,000\;{\mu}m$ 급여구가, 비육기에서는 scoria 입자도 $1,700\;{\mu}m$ 급여가 가장 감소효과가 컸고, 인의 함량은 자돈기에서 scoria 입자도간 차이는 없었으나, 육성기와 비육기에는 각각 $1,700\;{\mu}m,\;1,000{\mu}m$의 scoria 입자도에서 배설량 감소효과가 낮았다. The effect of different particle sizes of scoria inclusion in weanling-growing-finishing die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reatments were the control (basal diet), and 3 scoria treatments with different partical sizes (500, 1,000, 1,700 ${\mu}m$, respectively) in which $3\%$ of basal diet was replaced by scoria.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143 days using 84 pigs. Each treatment has 3 replicates (4 gilts and 3 barrows per pen). 1. During nursery period, all scoria treatment levels showed poor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efficiency compared to the control. During growing period, The ADG and feed efficiency of pigs fed the $1,000\;{\mu}m$ swine treatment tended to improve. For the whole growth period (d 0-143), $1,000\;{\mu}m$ scoria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0.05) ADG and feed efficiency than the $1,700\;{\mu}m$ scoria treatment. 2. Carcass weight was higher in all of scoria treatment levels Either the control (P<0.05), while backfat thickness was unaffected among treatments. Carcass Grade A or B grade appearance was more evident in all of scoria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3. Hunter L value was numerically higher in the control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ntrol, $1,000\;{\mu}m$ scoria and $1,700\;{\mu}m$. Hunter a value was highest (P<0.05) in $1,000\;{\mu}m$ scoria, while Hunter b valu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scoria treatment levels. 4. The different scoria treatment levels reduced N and P excretion. For growing period, $1,000\;{\mu}m$ scoria was most efficient in reducing N excretion, while during the finishing period, $1,700\;{\mu}m$ scoria was the best. The P excretion was affected by scoria particle size during growing-finishing periods rather than weanling period. The abov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clusion of different scoria partical sizes in nursery diet resulted to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in contrast to the growing finishing diets wherei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were not affected. Finally, scoria regardless of particle size prov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N and P excretion and can be considered an environment friendly mineral source for growing-finishing hog diets.

      • KCI우수등재

        암모니아 처리가 귀리짚의 일반조성분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양창범(C . B . Yang),이희석(H . S . Lee),백윤기(Y . K . Paik) 한국축산학회 1989 한국축산학회지 Vol.31 No.5

        Oat straw was treated with 1.5% and 3.0%. anhydrous ammonia of the weight of air dry oat straw in stack,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ies were compared with untreated and anhydrous ammonia treated oat straw. Crude protein content of ammonia treated oat straw was increased 1.3-1.4 fold as compared with untreated oat straw. Neutral detergent fiber (NDF)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lt;0.05) but acid detergent fiber(ADF) and cellulose content were not different from untreated and ammonia treated oat straw. Dry matter,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NFE digestibility of oat straw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ammonia treatment (p$lt;0.05). And, the ammoniation oat straw significantly improved the DCP and TDN at level 3% especially (p$lt;0.05). The feed intake of the oat straw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mmonia treatment (p $lt;0.05).

      • 육성$\cdot$비육돈사 내에서 환기형태별 환경조사 연구

        송준익,유용희,정종원,김태일,최희철,강희설,양창범,이영윤,Song J. I.,Yoo Y. H.,Jeong J. W.,Kim T. I.,Choi H. C.,Kang H. S.,Yang C. B.,Lee Y. Y. 한국축산환경학회 2004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건축되어져 있는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나 무창식 육성$\cdot$비육돈사에 대한 효율 비교분석 연구가 없는 실정으로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와 무창식 육성$\cdot$비육돈사의 환경효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겨울철과 여름철로 나누어 실시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창식 육성 비육돈사는 외부의 기온 변화가 심하더라도 돈사내부의 온도는 외부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여름철 $31.8\~33.8^{\circ}C$, 겨울철 $17.9\~19.5^{\circ}C$를 유지하였으나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32.1$\~$32.9, 겨울철 $15.8\~16.7^{\circ}C$를 유지하여 온도효율이 낮았다. 2. G2, G4 육성$\cdot$비육돈사는 돼지생활 공간(하부) 지점에서의 공기유속은 겨울철 최소환기($5\%$) 수준으로 하였을 때 0.2$\~$0.3 m/s 였으며, 여름철 최대환기($95\%$) 수준에서는 0.5$\~$0.6 m/s로 분포되어 여름철 및 겨울철의 육성$\cdot$비육돈사내 공기유속이 G1, G3 육성$\cdot$비육돈사보다 양호하였다. 3.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바 G2, G4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13.3$\~$16.6 ppm, 겨울철14.0$\~$~14.6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G1, G3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14.6$\~$20.3 ppm, 겨울철 20.3$\~$25 ppm을 유지하여 G1, G3 육성$\cdot$비육 돈사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comparison of ventilation efficiency in an enclosed and conventional growing-finishing pig house. The experimental pigs were in winter and summer.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 Then the air from planar slot inlet the pig house flow out through the sidewall outlet operated by exhaust fan(Gl). The second structure has an air input through the circular duct inlet are plated side the juncture of the entering wall and the air into the pig house flow out through the chimney and pit outlet are operated by exhaust fan(G2). Through the air into relay fan the pig house flow out through the curtains in sidewall(G3). Similarly, air comes in through the circular duct inlet are placed the air into the pig house flow out through the curtains in sidewall (G4). Air flow rate on the floor level which is the low part of pen and the living area of pigs in the G2 and G4 system during winter was measured at 0.2 to 0.3 m/s at the 0.5 to 0.6 m/s at the maximum ventilation efficiency. As for the results of detrimental gas(ammonia) concentration ratio analysis, while G2 and G4 system sustained of summer 13.3 $\~$ 16.6 ppm, winter 14.0 $\~$ 14.6 ppm level, Gl and G3 system sustained of summer 14.6 $\~$ 20.3 ppm, winter 20.3 $\~$ 25.0 ppm, and the latter one is lower than that of the G1 and G3 system.

      • 기계교반 퇴비화시설에서의 구간별 발효온도에 따른 수분 증발량 및 특성 변화 연구

        곽정훈,최동윤,박치호,정광화,김재환,강희설,양창범,라창식,Kwag J. H.,Choi D. Y.,Park C. H.,Jeong K. H.,Kim J. H.,Kang H. S.,Yang C. B.,La C. S. 한국축산환경학회 2004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0 No.3

        에스커레이터식 기계교반 퇴비화시설의 적정관리를 위해 돈분 및 톱밥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투입량에 따른 발효온도 및 수분 함량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조 내 온도는 발효조 내 혼합물 투입 후 4일 이상 경과해야 발효온도가 $70^{\circ}C$이상 유지되었으며, 발효조 내 투입되는 혼합물(돈분+톱밥)의 수분 함량은 평균 $72.9\%$로 추천치 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나, 적정수분 함량 조정은 발효조 27m 지점 즉, 투입후 5$\~$6일 후에나 적정수분 함량이 되었다. 2. 발효조 내 평균 수분 감소량은 $12.5\%$였고, 유기물량은 건물기준으로 $93.9\%$에서 $92.5\%$로 거의 감소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아는 후반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3. 투입되는 열량가는 현물상태에서 평균 1,127.3kcal/kg이고 질소, 인산 가리성분은 각각 $1.0\%$, 1.1, 및 $0.38\%$로 조사되었으며 OM/N은 26.3로 조사되었으며 완제품의 수분 함량은 평균 $65.3\%$였으며 열량가 및 질소, 인산, 카리 등 비료성분은 각각 1,348.8Kcal/kg, $0.58\%$, $1.47\%$, $0.49\%$로 조사되었다. 4. 퇴비화 과정 중 중금속 함량은 Cu 58.9ppm, Cr 1.55 ppm, Pb 2.16 ppm, Cd 0.07 ppm, As 0.3 및 Hg 0,003ppm으로 조사되었으며 6 성분의 중금속은 비료관리법 기준치 이하로 조사되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oisture evaporation and property change depenging on the composting temperature for the escalator reversing composting system. The system was supported by the Y livestock cooperative composting factory. According to the test, the composting remperature eas varied in the range of $65\~80^{\circ}C$. The water content was de-creased to $75\%$ and became about $60\%$ at the end of the phase. Total nitrogen became $0.58\%$, total phosphoric acid $1.47\%$ and potashium $0.49\%$ at the end of the phase.

      • 말 분뇨의 비료성분 및 오염물질 특성 조사 연구

        곽정훈,정민웅,최동윤,김재환,김영화,박준철,김인철,양창범,라창식,Kwag, J.H.,Jeong, M.W.,Choi, D.Y.,Kim, J.H.,Kim, Y.H.,Park, J.C.,Kim, I.C.,Yang, C.B.,La, C.C.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3

        말의 성장단계별 분뇨의 시료를 채취하여 비료성분 및 오염물질 성분을 채취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말의 분뇨의 수분함량은 각각 76.1%, 96.0%로 조사되었다. 2. 또한 말의 분 중 유기물함량은 21.3%로 조사되었으며, 뇨는 약 2.0%로 조사되었다. 3. 또한 말의 분뇨 중 비료성분인 T-N, T-P, T-K의 성분이 각각 0.18%, 0.10% 및 0.23% 이며, 뇨는 각각 2.88%, 0.0015% 및 0.84%로 조사되었다. 4. 말 분뇨의 오염물질을 조사한 결과, 말의 분뇨의 pH는 각각 7.10, 8.48이며, BOD는 분이 26,906.2 $mg/{\ell}$, 뇨는 14,298.9 $mg/{\ell}$, COD는 분이 36,642.3 $mg/{\ell}$, 뇨는 7,484.3 $mg/{\ell}$, SS (Suspended Solid, 부유물질)은 분에서 89,375.0 $mg/{\ell}$, 뇨에서 6,987.0 $mg/{\ell}$로 조사되었다. 5. 말의 분과 뇨의 중금속함량 중 Cr은 각각 2.65 mg/kg, 1.52 mg/kg으로 조사되었으며, Cu 성분도 7.05 mg/kg, 1.62 mg/kg 으로 조사된 반면에 Ni 성분은 말의 분뇨에서 각각 1.24 mg/kg, 0.0 mg/kg으로 조사되었다. 6. 따라서 말의 분뇨는 퇴비원료물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 분석되었으며, 향후 승마사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말의 분뇨 발생량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적정 처리하기 위해서는 퇴비화 방법으로 자원화가 가능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Horse manure general composition and contaminants, heavy metals content analysis was investigated as follows. The moisture content of horse feces was 76.1% and 96% for horse urine. The average T-N, T-P, T-K concentrations of the racing horse were 0.18%, 0.10%, 0.22% respectively and 2.88%, 0.0015%, 0.84% for urine. And the average BODs, COD, SS concentrations were 26,906 $mg/{\ell}$, 36,642 $mg/{\ell}$, 89,375 $mg/{\ell}$ respectively and 14,298 $mg/{\ell}$, 7,484 $mg/{\ell}$, 6,987 $mg/{\ell}$ for urine. In addition, the Cr, Cu, Ni, Cd, Pb, Zn concentrations of feces were 2.65 mg/kg, 7.05 mg/kg, 1.24 mg/kg, 0.07 mg/kg, 0.01 mg/kg, 45.11 mg/kg respectively and 1.52 mg/kg, 1.62 mg/kg, 0.00 mg/kg, 0.03 mg/kg, 0.03 mg/kg, 4.49 mg/kg for urine on the fresh matter basis. The end of the survey was that the quality of the compost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and manure is necessary to constantly driven forward horse manure composting research.

      • 돈 분뇨 액비에 미생물 첨가가 배추의 발아지수에 미치는 영향

        김태일,유용희,정의수,양창범,김민균,Kim, T. I.,Yoo, Y. H.,Chung, E. S.,Barroga, Antonio J.,Yang, C. B.,Kim, M. K. 한국축산환경학회 2005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돈 분뇨 액비에 미생물 첨가가 배추의 발아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돈 분뇨 액비는 107일 동안 폭기와 무폭기 상태로 액상비료를 제조하여 공시하였고 미생물 첨가는 $0.05\%,\;0.1\%,\;0.2\%,\;0.3\%$ 수준으로 하였다. $0.05\%$ 미생물 접종 처리구에서 식물 독성이 낮고 발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첨가수준별 돈분 액비 이용시험에서 초기 돈 슬러리의 액비성상은 T-N 2,873 ppm, T-P 753 ppm, $NH_4-N$ 1,441.6 ppm, $NO_3-N$ 16.48ppm으로 50일이 되면서 폭기조건에서 T-N 3,672 ppm, T-P 164 ppm, $NH_4-N$ 183.87 ppm, $NO_3-N$ 21.97 ppm로 변화하였으며, 무폭기 조건에서 T-N 1,261 ppm, T-P 68 ppm, $NH_4-N$ 161 ppm, $NO_3-N$ 16.87 ppm로 나타났다.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고 107일동안 폭기조건과 무폭기 조건으로 액비화한 시료의 발아지수는 각각 83과 40.4이였다. 돈 분뇨 액비를 무산소 제조시 $40\%$ 이상, 호기제조시 $50\%$ 이상의 발아지수가 개선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액비제조 처리가 무산소 제조보다는 호기제조 처리가 작물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이는 호기처리시 총질소의 함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ynechocystis sp. KACC 91007 when added to a pig slurry or pig liquid fertilizer (PLF) on germination index (GI) of Chinese cabbage. The preliminary experiment involved the screening of inoculant levels which were; 0.05, 0.1, 0.2, and $0.3\%$, respectively. The $0.05\%$ level of inoculant was selected based on low phytotoxicity and high GI.. The PLF underwent a 107 day aerobic and anoxic processing conditions. The T-N, T-P, $NH_4$, and $NO_3-N$ concentrations of the untreated pig slurry were; 2,873, 753, 1,441.6, and 16.48 ppm, respectively. Using aerobic processing treatment, the fertilizer value of the PLF was 3,672, 164, 183.87, and 21.97 ppm,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fertilizer value of the PLF processed under anoxic condition was reduced to 1,261, 68, 161, and 16.87 ppm. The GI value of the untreated PLF under aerobic and anoxic processing condition was 83 and $40.4^{*}\%$, respectively. With the addition of the $0.05\%$ microbial inoculant, the GI improved by more than 40 and $50\%$ respectively, when the PLF was processed under anoxic and aerobic conditions. The above findings proved that the aerobic processing of PLF for 107 days was better than anoxic and yielded higher T-N which is a macro-nutrient fertilizer material. Consequently, the addition of $0.05\%$ microbial inoculant resulted to a higher GI of the Chinese cabbage specifically under aerobic processing condition.

      • 경종농가에서의 액비이용 실태조사

        최동윤,곽정훈,박치호,정광화,전병수,최희철,강희설,양창범,최홍림,Choi D. Y.,Kwag J. H.,Park C. H.,Jeong K. H.,Jeon B. S.,Choi H. C.,Kang H. S.,Yang C. B.,Choi H. L. 한국축산환경학회 2004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0 No.3

        The livestock liquid manure is one of important source for production of friendly environmental crops and have been used widespreadly in recent years. This survey is to eventually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liquid manure utilization for cultivation of crops in the agricultural farm, based on the survey for 61 selected farms in 8 provinces(except Jeju province) included 22 countie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 $72.1\%$ of liquid manure storage tank(44) was located in the farmland and $27.9\%$(17) was in the fm. Most of liquid manure tank volume and material were 200 M/T($67.2\%$) and Polyethylene Double Frame panel($44.3\%$). The pro-portions of liquid manure application land were $45.9\%$ for rice paddy, $36.1\%$ for dry field, $16.4\%$ for orchard and $1.6\%$ for other, respectively. The controversial points of liquid manure utilization were malodor($60.7\%$), equipment possession($22.9\%$), no problem($13.1\%$) and farmland possession ($2.3\%$), respectively. 농가에서의 액비이용 실태조사를 위하여 액비저장조가 설치된 22시군 61농가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액비 저장조 설치농가의 유형은 경종농가가 전체의 $68.8\%$인 42농가였으며, 양돈농가는 $31.2\%$인 19농가였고, 액비 저장조 설치 장소는 농경지에 설치한 농가가 44농가( $72.1\%$), 농장 내에 설치한 농가가 17농가($27.9\%$)였다. 농가에 설치된 액비저장조의 용량은 50톤에서부터 1,000톤 규모로 다양하였으나, 200톤 규모의 저장조가 41농가($67.2\%$)로 가장 많았다. 2. 액비살포 대상지는 $45.9\%$가 논이었으며, 밭 $36.1\%$, 과수인 $16.4\%$, 기타 $1.6\%$ 순 이였으며, 대상작물은 벼>채소>과수>사료작물>기타 순이었다. 300평당 액비 살포량은 전체 농가 중 23농가($37.7\%$)가 농가 임의로 살포한다고 답하였고, 연간 액비살포횟수는 2회가 37농가로 가장 많았다 3. 액비 살포방법은 지표살포가 $88.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액비를 살포한 후 조치는 농경지를 바로 경운하는 농가가 $86.9\%$, 그대로 방치하는 농가가 $13.1\%$로 조사되었다. 액비 살포농경지와 인근농가와의 거리는 1.0km 이내가 전체의 $86.9\%$를 차지하고 있어, 액비 살포시 인근 농가와의 악취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액비 살포시 당면하는 문제점은 악취에 의한 민원발생이 $60.7\%$로 가장 많았고, 적기에 액비를 뿌릴 수 있는 장비의 확보가 $22.9\%$로 그 뒤를 이었으며, 문제점이 없었다는 농가도 $13.1\%$를 차지했다 4. 농가들이 액비화 관련기술을 문의하는 기관으로 소재지 시군농업기술센터를 가장 많이 꼽았고($50.8\%$), 도 농업기술원, 기타의 순이었으며, 기술을 문의할 기관이 없다는 농가도 $32.8\%$에 달하였다. 조사대상 22개 시군농업기술센터의 액비 분석 장비 보유현황을 조사해 본 결과 $77.3\%$인 17개소가 분석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농가들이 액비 살포량을 결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