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30대 한국 성인의 코로나19로 직면하게 된 도전과 위험 음주의 관계에서 분노의 매개효과

        양소남(So-Nam Yang),박소영(So-Young Park),박소연(So-Youn Park) 한국보건복지학회 2021 보건과 복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 한국 성인 76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직면하게 된 도전과 위험 음주의 관계에서 분노(직접 분노 표출, 분산)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에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사용하였고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집단이 여성 집단에 비해 위험 음주가 높았다. 둘째, 남성과 여성 집단 모두 코로나19로 직면하게 된 도전은 직접적으로 위험 음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남성과 여성 집단 모두 코로나19로 직면하게 된 도전과 위험 음주 간의 관계에서 직접 분노 표출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로 직면하게 된 도전, 분노, 위험 음주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분노 관리의 중요성과 위험 음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direct anger out, diffusion) on the associations between COVID-19 challenges and risk drinking among 762 Korea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by gender. This study used the online survey data conducted by Institute for Life and Culture at Sogang University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data analyses. The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 group showed higher risk drinking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Second, COVID-19 challenges did not directly impact on risk drinking for both male and female groups. Third, direct anger-out complete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OVID-19 challenges and risk drinking for both gender groups. Fourth,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ssociations among COVID-19 challenges, anger, and risk drink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healthy anger management and practical measures for reducing risk drinking.

      • KCI등재

        상담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양소남(Yang, Sonam),김재인(Kim, Jae-In),박소연(Park, So-You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성인의 상담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으로 구성된 앤더슨 모델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여부, 가능요인으로는 소득, 동거여부, 인터넷 사용 여부, 그리고 욕구요인으로는 우울증, 자살생각,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갈등 등을 선정하였다. 2014 한국복지패널 9차년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20세 이상 성인 14,419명의 상담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선행요인에서는 연령이 낮은 경우,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가능요인에는 소득이 낮은 경우, 욕구요인에서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는 경우, 가족갈등이 많은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상담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counseling service based on Andersen model which is composed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s factors. Predisposing factors included gender, age, education and religion; enabling factors included income, living with someone and internet use; and needs factors included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family conflict. Using 2014 Korean Welfare Panel Study 9th Data, the sample was used 14,419 adults over the age of 20 years and hierarch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counseling service use. The study main results showed that as for predisposing factors, younger and lower level of education are; as for enabling factors, lower level of income; as for needs factors,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igher level of family conflic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use of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counseling services use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어린 자녀를 둔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족양립 고충

        양소남 ( Yang Sonam ),신창식 ( Shin Chang Si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생애주기 상에서 일 - 가족 갈등이 보다 첨예하게 경험되는 시기에 있는 맞벌이 여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직장과 가족이라는 두 영역에서 균형 잡힌 삶을 살아가 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역할 간 갈등과 고충을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관찰과 반구조화된 심층인터뷰를 사 용하였으며, 15명의 맞벌이 여성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불충분한 양육대안, 자녀에 대한 죄책감, 취업모의 일상과 괴리되는 학교운영, 전통적인 성역할에 의한 역할분담, 취업모를 평가하는 이중잣대, 시간배분의 어려움, 형식적인 가족친화제도 등으로 인해 긴장과 갈등의 연속인 삶을 살고 있었다. 이러한 부담과 갈등 은 이들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참여자들 대부분이 신체적으로 늘 피곤한 상태에 있었고, 자녀에 대해 죄책감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직장과 가족생활에 몰입하고 시간과 에너지를 이 두 영역에 배분하게 되면서 자신 에게는 소홀해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일가족양립을 지원하기 위해서 정부, 노동시장,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 차원의 과업으로 총체적인 입 장에서 접근할 것과, 맞벌이 부모의 목소리가 반영된 실제적인 제도의 운영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llenges mothers tend to face in dual-earner family settings.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dual-earner families with childre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se working mothers appear to believe there are inevitable and significant challenges that are intrinsic to the dual-earner family arrangement. These are lack of good quality of child care, feelings of parenting guilt, gaps between working mother`s work schedule and the education system, gender inequality in unpaid work, prejudice against working mothers, difficulties of time division and unavailable family-friendly system are the important sources of work-family conflicts. In addition, paid work and its intersection with family life imprints deeply into the health and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Poli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are identified.

      • KCI등재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의 직무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양소남 ( Yang So Nam ),장현석 ( Jang Hyun Seok ),박소연 ( Park So Youn ),이상훈 ( Lee Sang Hun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3

        본 연구는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의 독특한 직무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월에서 3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8명의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수행 경험의 핵심주제는 ‘피해자를 대하며 정체성 혼란에 빠짐’, ‘이상과 현실의 간극으로 딜레마에 직면함’, ‘피해자의 고통을 함께 함’, ‘회복력을 키우기 위해 고군분투 함’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ㆍ실천적 대안으로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들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예방하고 회복력을 키우기 위하여 피해자 보호 및 지원업무가 경찰활동의 중요한 기본업무라는 경찰조직내 인식확산과 현장중심의 성과평가 지표개발, 전담경찰관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체계적으로 통제ㆍ관리할 수 있는 정신건강 및 심리지원센터 등 시스템 운용확대, 그리고 이를 위한 현실성 있는 예산확보 및 임파워먼트 확대도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unique work experience of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in-depth interview based on qualitative methodology study. Data was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March of 2016 and the eight crime-victims support police offic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for the results, the main theme were analyzed into ‘drown to identity confusion in working with victims’, ‘facing dilemma which was caused by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being with victims’ suffering’,‘raising resilience through struggling’.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raising awareness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that victim protection and victim support are important and basic duty in order to prevent burnout and secondary trauma stress of crime-victims support police officers, developing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which considers practical setting, and expanding a system of operation such as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support centers to systematically control and manag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 stress of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In order to do aforementioned, securing feasible budget and strengthening empowerment are important.

      • KCI등재

        20-30대 성인의 코로나19로 인한 고립감과 분노반응행동 :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소영(Park, So-Young),양소남(Yang, Sonam),박소연(Park, So-Yo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 76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고립감과 분노반응행동(직접 분노 표출, 자기 표현, 사회적 지지 추구, 분산, 회피, 반추)의 관계에서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에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고립감과 분노반응행동의 평균 점수는 5점 척도에서 3점 이상으로 높았고 인터넷 중독의 잠재적 위험군과 고위험군은 거의 25%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로 인한 고립감, 인터넷 중독, 분노반응행동의 여러 하위 요인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인터넷 중독은 고립감과 직접 분노 표출 간의 관계, 고립감과 반추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인터넷 중독 예방과 분노관리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on the associations between isolation due to COVID-19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direct anger out, assertion, social support seeking, diffusion, avoidance, rumination) among 762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reside in the community. This study used the online survey data conducted by Institute for Life and Culture at Sogang Univers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s of isolation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 were above 3 out of a 5-point scale and both potential risk and high risk of internet addiction groups were found to be almost 25%. Second, the associations among isolation due to the COVID-19, internet addiction and sub factors of behavioral anger respons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ternet addiction showe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association between isolation and direct anger out and the association between isolation and ruminat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s, practical measures for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and anger management under the COVID-19 situ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자조집단 참여가 쉼터 퇴소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안효원(Hyo Won Ahn),양소남(So Nam Y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쉼터 퇴소 후 자조집단에 참여하고 있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자조집단 참여가 이들의 사회적 지지와 대처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일시보호시설인 쉼터를 퇴소한 후 자조집단에 참여하고 있는 70명의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조집단 참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둘째, 자조집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처방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조집단에 참여하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자조집단에 참여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을 때 보다 많은 사회적 지지를 얻게 되며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서 긍정적인 대처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쉼터를 퇴소 한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보다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사후관리의 방안으로써 자조집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자조집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되며,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조집단 참여자들의 참여 만족도가 높을 때 구성원 간 사회적 지지와 유대가 증진되고 이는 대처방식을 긍정적으로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어 가정폭력으로 인해 손상된 자존감 회복 및 스스로의 역량을 강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s of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of battered women on their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to stress. In order to address this, 70 battered women who are participating in self-help groups after being left shelter nationwide were surveyed. The findings suggest that women who have been abused were socially more supported than unemployed women, and those with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from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s felt they received more social support. In addition, women with a higher satisfaction level on coping strategies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coping strategies to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d a systematic foundation where abused women who left the shelter can actively participate in self-help groups and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raise satisfaction levels. The benefits of providing ongoing support to the majority women who come through the shelter and helping them to integrate safely back into the community seem clear.

      • KCI등재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의 자살시도 경로 분석

        박소연(Park, So-Youn),양소남(Yang, Sonam),박소영(Park, So-Young)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우울 증상과 자살시도의 관계에서 음주 여부와 고민상담 여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 관계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 총 7,58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에서 스트레스와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고민상담 여부가 매개효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우울 증상과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음주 여부가 매개효과로 작용한 반면, 중학생 집단의 경우 음주여부의 매개효과 없이 음주 여부와 자살시도 간의 직접적인 효과만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 집단에서만 우울 증상과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고민상담 여부가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통합적인 우울과 음주 예방 교육,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자살예방 프로그램, 그리고 청소년의 주류 접근성을 줄일 수 있는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rinking alcohol and counseling mediate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attempts ; and these relationships are district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2017 the 13rd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a sample of 7,584 adolescents with suicide though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First, counse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attempt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drinking alcohol was a mediator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attempts for high school students, while drinking alcohol was not a mediator but a direct effect of drinking alcohol on suicidal attempt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counse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attempts only for middle school stud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epressive and alcohol use, differentiated suicidal prevention programs which reflect characteristic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regulations that reduce youth access to alcohol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희주 ( Hee-joo Kim ),양소남 ( So-nam Yang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4 발달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인구사회학적요인, 내적요인, 외적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실태조사’ 데이터의 3,000명 중에서 주요 변수에 모두 응답한 2,020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구사회학적요인에서는 부모의 최종학력이 높아질수록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내적요인에서는 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녀의 자립의지 정도가 강할수록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돌봄부담이 높아질수록 부모의 삶의 만족도는 낮아졌다. 외적요인에서는 자녀를 위한 미래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경우, 자녀가 취업한 상태인 경우, 자녀가 사회활동과 교육에 참여하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odemographic, internal, external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mong parents who care for thei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the ‘2022 Work and Life Survey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and selected 2,020 parents out of a total of 3,000 respondents,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found that as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parents’ final education level; as for internal factors, subjective health of parents, care burden, self-reliance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s for external factors, future plan for children, employment status of children, social participation of children, education participation of childr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s’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who care fo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