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 기부자의 기부 지속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양성욱(Yang, Seong-woo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5

        본 연구는 기부 지속과 관련된 연구들이 횡단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 요인들에 대한 연구결과 또한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점에 주목하여 종단자료의 구축을 통해 기부 지속과 관련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부 활동 관련 정보가 포함된 한국복지패널의 2006-2015년까지 10년간의 자료를 활용하여 기부 활동에 대한 동태적 양상을 확인하고, 기부 활동이 중단과 재참여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재발사건분석(recurrent eve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부 지속 기간과 재참여까지의 소요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성별, 연령, 종교, 소득, 고용상태, 거주 지역, 삶의 만족도, 자원봉사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부와 자원봉사 참여의 종단적 관계는 보완적 그리고 대체적 관계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부 중단과 재참여라는 기부 참여의 반복적 특성을 고려한 기초 연구라는 점과 이를 통해 기부자의 기부 지속과 중단 이후 기부 활동을 유도하려는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어떠한 집단에 초점을 둘 것인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tried to substantively analyze the giving duration and gap time to re-particip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data on substantive donation persistence and to empirically validate the relevant factors. Using the 10 years data from the 2006-2015 period of the Korea Welfare Panel, the dynamic aspects of the donation duration were confirmed and Recurrent event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repeated donations and discontinu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affecting duration of donation and time to re-participation were similar. Specifically, gender, age, religion, income, employment status, residential areas, life satisfaction, and volunteer involvement affected giving duration and gap time to re-participation. Volunteer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overall giving duration and gap time to re–participation and had a negative impact on time variation. So, it is possible tha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onation and volunteering is complex. Academicall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constructing longitudinal data and empirically verifying the factors related to giving duration and gap time to re–participation. In practice, it provides idea that strategies for donor who discontinue donation. Especially, A person who has been volunteering for a long time are likely to feel the burden of donating. Therefor, It suggests that should be careful when ask for donations to them.

      • KCI등재

        사진 주사(走査)를 이용한 치과용 모형재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양성욱,임주환,조인호,Yang, Seong-Wook,Lim, Ju-Hwan,Cho, In-Ho 대한치과보철학회 199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4 No.2

        Dental cast and die materials are essential material using in almost dental prsthodontic procedure and it's most important requirement is accuracy for reqorducing the oral anatomical structures. In this study, 5 abutments A, B, C, D, E were fabricated on the metal master model to simulate the arch form and specimens were poured with 4 cast materials. Inter-abutment distances, A-B, A-C, A-D, A-E, B-C, B-D were calculated using the photo-scanning and the deviations from the metal master model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stance between A-B, A-C, A-D, A-E, B-C, B-D of the abutments A, B, C, D, E of each cast material was calculated. And after comparing the deviations between the metal master model. $Fujirock^{(R)}$ showed the lowest value with $0.20{\pm}0.22mm$, and the devia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Suprastone^{(R)}$, Epoxy $Die^{(R)}$, Die $Keen^{(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jirock^{(R)}$ and Epoxy $Die^{(R)}$, Die $Keen^{(R)}$. 2. In each calculation area,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s between cast material and metal master model showed singificant difference between A-B and Cross arch measure-ments of A-D, B-D, A-E(p<0.05). 3.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s between cast material and metal master model in the A-B area showed $Fujirock^{(R)}$ to be the lowest with $0.05{\pm}0.04$mm and increased in the order of Die $Keen^{(R)}$, $Suprastone^{(R)}$, Epoxy $Dies^{(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jirock^{(R)}$ and $Suprastone^{(R)}$, Epoxy $Die^{(R)}$ (p<0.05). 4.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s between cast material and metal master model in the B-C area showed $Fujirock^{(R)}$ to bo the lowest with $0.17{\pm}0.11$mm and increased in the order of $Suprastone^{(R)}$, Die $Keen^{(R)}$, Epoxy $Dies^{(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jirock^{(R)}$ and Die $Keen^{(R)}$, Epoxy $Die^{(R)}$(p<0.05). 5.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s between cast material and metal master model in the B-D area showed $Fujirock^{(R)}$ to bo the lowest with $0.13{\pm}0.07$mm, Epoxy $Dies^{(R)}$and increased in the order of $Suprastone^{(R)}$, Die $Keen^{(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ji-rock^{(R)}$ and Die Keen(p<0.05). 6. In this experiment, Epoxy $Dies^{(R)}$ showed mean contraction in every calculation area. And when reconstruction cross arch restorations it is thought that distortion should be considered in every cast material.

      • SCOPUSKCI등재
      • 기업 임직원의 사회공헌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성욱 (Yang, Seong Wook) 한국비영리학회 2010 한국비영리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기업 임직원들의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부와 관련된 일반적 요인과 조직관련 요인이 기업 임직원의 기부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보생명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 및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부참여여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책임의 인식보다는 일반적인 기부활동과 유사하게 이전의 기부경험, 근속연수와 같은 일반적 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임직원들은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부참여활동을 개인적인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론적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조직적 활동임을 임직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donation in the workplace and to analyze what factors affect their philanthropic activities in the workplace.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oth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The first factors included employees’ percep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otivations, and the latter included employees’ general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previous experiences of donation. This study has two major findings. Frist of all, this study presented that employees’ donation in the workplace have been affected not only by individual factors, but also organizational factors. This showed that their philanthropic activities through donation in the workplace have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coercive motivation. Second, the perceived level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ed donation of employees in the workplace. It indicated that Kyobo’s employees were likely to understand their donation in the workplace not as a par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ut as individual behaviors with regardless of their job in the workplace. The study ha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found organizational factors to explain employees donation in the workplace in addition to individual factor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on general donation. Practically, it suggested how efficiently and effectively corporations encourage their employees to take part in corporate donation and manage employees’ participation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by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employees’ individual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마을공동체 지원사업과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의 관계에 대한 질적연구

        양성욱(Yang, Seong wook),서종건(Seo, Jong Gu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4 No.2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확대가 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의 주장과 같이 마을공동체 형성이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의 중심인지,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확대는 어떻게 인식되고, 그들의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치구 및 시 단위 조례가 비교적 최근에 재·개정된 D시의 6개 복지관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관의 지역조직화는 기관 중심에서 주민욕구 중심으로, 자원개발과 네트워크 중심에서 주민조직화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마을공동체 형성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혼란과 사회복지관의 중심적 역할에 대한 내부 갈등도 존재하였다. 또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에서 사회복지관은 구조적으로 배제되고 있었고, 이에 대한 참여는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은 사회복지관 내에서 주민조직화와 분리되고 예산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었으며, 기관이 주도하는 사업이 되기도 하였다. This study is interested in how community building ordinance project has effects on the community organiz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As argued in previous studies, we tried to analyze whether the formation of community building is the center of community organization in social welfare centers, how the expansion of community building support projects is perceived, and how they affect their activities. To find the phenomenon, 6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in 6 agencies’ managers in city of D where the community building ordinance was enacted recentl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Fritst, the community organiz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was changing from organization to local resident needs, and from resource development and network to community building. On the contrary, there was confusion over areas related to community building and internal conflict over the central role of social welfare centers. Second, social welfare centers were structurally excluded from the community building support project, and their participation was informal. As a result, community building support project was recognized as a means to secure a budget and was separated from the community building within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it became a project led by them.

      • KCI등재

        사회서비스 공공성 측정의 한계와 과업 - 공공성 평가 틀의 재구성 -

        양성욱(Yang, Seong-Woo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사회서비스 공공성 측정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관련 연구 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측정은 공공성 추구 주체에 기반을 둔 해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공공성 측정의 한계는 상반된 관점의 공공성 측정 기준을 동시에 적용하고, 사회서비스를 포함하는 공공서비스와 관련된 가치들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다.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적 논의들에서 언급된 사회정의, 민주주의, 공평, 공정 등 공공성의 속성, 내용, 기준으로 제시된 개념들은 공공성의 실제 내용이라할 수 있는 공공 가치로써 공공성을 평가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 가치를 반영하는 공공성 평가의 틀을 재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 가치를 반영함 있어 공공의 의미로서 사회구성원인 시민에게 초점을, 가치의 의미로서 성과나 결과뿐만 아니라 공공의 가치가 반영되는 과정과 내용까지 포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성 평가에 대한 실증적 방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못하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제시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공공성의 본질적 개념으로서 공공 가치를 고려하는 새로운 평가 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publicness measurement and provide new tasks directions. Despite the discussion of various views, measure of publicness has limitations on the extent of public disclosure, which is considered to be a the public sector. Additionally, previous empirical studies are inconsistent and subject to conflicting measurement criteria. According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review development process of publicness and find that the public s perception of public values, or the ways of determining or simplifying public values, could distort or reduce the meaning of public values. Therefore it need for comprehensive visibility into public and values in terms of publicness.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that public disclosure of public values in evaluating public values should reflect the process of values, values, and outcomes as a means of achievement, as a means of evaluating public valu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has not specifically mentioned the feasibility of public values scrutiny and suggested that it is presented in an abstract dimension.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assessment as a fundamental concept of public values and publicness.

      • KCI등재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비스 주체에 따른 공공성의 내용을 중심으로-

        양성욱 ( Seong Wook Yang ),노연희 ( Yeon Hee Rh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의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성은 최근의 사회서비스 영역의 시장화 경향하에서 사회서비스가 담보해야 하는 핵심적 내용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공공성은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다른 방식으로 정의되고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념의 다의성이나 모호성은 사회서비스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학문영역에서의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성이 사회서비스의 영역에서 어떻게 논의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서비스 전달방식의 시장화라는 현실상황하에서 다양한 서비스 주체에 따라 어떤 내용의 공공성이 요구되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을 서비스 수혜자의 범위, 수혜자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내용의 구성과 규제, 사회통합 등의 사회적 목적 달성,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사이의 신뢰를 포함하는 사회서비스의 대한 신뢰형성, 재정적 책임성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국가-공공영역 그리고 비영리·영리-민간영역 등 각 주체별로 주로 요구되는 공공성의 구체적인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에서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에 대한 경험적 논의의 기반을 제공하였고, 실천적 측면에서는 비영리·영리 민간영역에서 사회서비스가 본래의 목적달성의 수단으로서 공공성을 적용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publicness be one of the key elements of social services even under the current social service marketization. Although publicness has been discussed in different ways in various academic areas, there is no consensus of what publicness really means, especially in social services. Therefore, reviewing discussions on publicness,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commonly shared aspects of publicness, and ultimately to suggest meanings of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discuss whether different types of social service producers require different types of publicness under the context of welfare mix and social service marketization. The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is related to various aspects: the scope of service recipients, trust toward social services, appropriate composition of services, social integration,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accountability.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fic meaning and contents of publicness can be used in different ways for each social service producer, such as public, nonprofit, or profit sector. The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further empirical studies on publicness academically and for implementation of publicness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s practically.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과 사회참여의 관계 : 매칭이중차이의 적용

        양성욱(Seong Wook Ya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3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의 사회참여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1~3차년도를 활용하여 준실험설계인 성향매칭점수와 이중차이분석을 결합한 매칭이중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 간 차이에 초점을 두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방향에서 사회참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순이중차이분석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더욱 엄격한 회귀모형에서는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장애인활동지원이 모든 이용자의 사회참여 장벽을 극복할 만큼 충분한 것은 아니며, 사회참여의 증진을 위한개별적 사정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관련 환경을 포괄하는 개별화된 사회참여에 대한 사정과 그에 대응하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PAS) on social participation of disability. And the data set of this study used the first to third waves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2nd ver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PAS on social participa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previous study, which focuses on differences between user. As the analysis, PAS had no impact of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simple difference-difference analysis. But in the regression model, PAS was affecting the number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ese findings may be that PAS is not sufficient to overcome barriers to social participation of all PAS users and each type of social participation needs assessment and corresponding PAS. In conclusion, it suggest that personalized assessment and PAS for increase in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