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팔 후기 리차비(Late Licchavi) 문자 형태에 대한 연구 -7~9세기의 비문과 필사본을 중심으로-

        심재관 ( Shim Jaekwan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0

        네팔의 후기 리차비 문자는, 전형적인 굽타 문자를 사용했던 5-6세기를 지나, 대략 7세기경에 등장한다. 넓은 의미에서 후기 리차비 문자도 굽타 문자의 변형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실용적인 측에서 이를 다르게 명명하고 자형의 분석을 요할 만큼 고유의 특이성을 갖는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자의 특징은 소위 길깃/바미얀 2형의 문자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확정할 수는 없지만, 아마도 후기 리차비 문자는 간다라 지역부터 네팔과 티벳 등지의 넓은 북인도 지역들에 유포되고 사용되었던 길깃/바미얀 2형의 문자로부터 직접 파생되었을 수도 있다. 그만큼의 유사성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고유의 특징들도 보여주고 있다. 이전 시대보다 필획들이 길어지면서 전체적으로 둥근 곡선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는데, 글자 머리선이나 모음의 표시에서 두드러진다. 머리선은 둥글게 표현되면서 후대에 등장하게 되는 갈고리 문자의 초기 형태를 보여준다. 이 문자는 아직 연구를 기다리고 있는 가장 오랜 네팔 필사본들을 포함해, 초기 중세의 고문헌과 비문을 해독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문자이다. Among classical Nepalese scripts, Liccavi script that had mostly been flourished from the 5th century to 9century can be distinguished into the two types by their typical shape of the letters: one is the early licchavi from the 5<sup>th</sup> century to the 6th century, and another is the late licchavi from the 7<sup>th</sup> century to the 9<sup>th</sup> century. As we has the bird-eye`s view on it, late licchavi script as I report here, seems to has been naturally driven from the Gupta Brahmi (or Typical Gupta script) that also has one regional variation in Nepal, early licchavi. From the 7<sup>th</sup> century, however, as we see the inscription of Gaihridhara Narendradeva, a new type of script begin to show that more curves on the head line with hook of the letter, more lengths on their limbs than before, and more vertical lines for vowel. Interestingly, this new type of script have so strong similarity with the script we called `Gilgit/Bamiyan type Ⅱ` that we can`t help imaging that if the first comes directly from Gilgit/Bamiyan type Ⅱ, which originally had been spread out through almost area of North India from `greater Gandhara` to Nepal or Tibet from the 6 century. We can not have the decisive answer for the the origin of this new type of script but can not deny the strong similarity between that new type of script and Gilgit/Bamiyan type Ⅱ. This new type of script, as I call here as `late licchavi`, remains its trace in several decades of manuscripts, as far as I recognize, among which the oldest dated manuscript included, and in decades of 9 century inscriptions in Nepal. This paper has been prepared as a the stepping stone for the future study for the manuscripts and inscriptions as will come. The aksaras from Skandapur ana, Susrutasamhita and the inscription of Gaihridh ar a Narendradeva have been analysed to identify its own characteristics, and lastly, been kept in the aksara table.

      • KCI등재

        인도-동남아시아의 해양 실크로드와 7~9세기 밀교(密敎)의 확산

        심재관(Jaekwan Sh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9 아시아리뷰 Vol.8 No.2

        6세기 힌두교의 쉬바파 딴뜨라의 영향으로 시작된 인도불교의 밀교적 경향은 7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스리랑카를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자바, 말레이시아 반도에 영향을 끼친다. 7세기 이후에 밀교가 광범위하게 퍼진 것은 해양항로가 발달한 것뿐 아니라 각 왕국의 정치적 필요성, 불교의 생존전략, 그리고 상인 집단의 후원 등이 시의 적절한 교점을 찾았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종교적 전파는 이미 기원전부터 인도와 스리랑카 그리고 동남아 사이에 발전해 왔던 오랜 해상 무역로를 토대로 확산한 것이며, 당연히 밀교의 중심지는 항로를 따라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주요 무역항으로 전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한 동남아시아의 밀교 전통과 학문적 네트워크는 동아시아의 구법승들이 새로운 전통과 경전을 찾아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찾았을 때 더 큰 역할을 보여준다. 구법승들은 자신이 구하고자 했던 학문의 전통과 경전의 입수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었는데, 현장과 의정과 같은 중국의 구법승들이 그러한 노정을 잘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갔던 인도의 밀교 승려들에게도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형성된 해상 무역로는 동아시아에 밀교 전통이 정착할 수 있는 무형의 문화적 토대가 되어주었다. Around 7th century A. D., the Buddhist tantric tradition of India quickly spread across neighboring countries like Śri Lanka and other Southeast Asia areas like Sumatra, Java, and Malaysia peninsula; the speed of its influence was even faster than that of the Śaiva tantric tradition, which was also spreading around the same time. This was due to the conjoint result of few different conditions: the international maritime trade network, missionary zeal, Buddhist mariner communities, and the political interests of the royal family. The rapid proliferation of the Indian tantric Buddhism into Southeast Asia, however, depended heavily on the maritime trade route that had been in long-time use in business between India and Southeast Asia. This provides the answer for the question, in India or Southeast Asia, of why we have found many historical remains of Tantric Buddhism in the ancient port areas or the sites that can be reached through the rivers from the sea port. The network of Tantric tradition established in Southeast Asia from the 7th century is well attested by the YiJing’s travelogue that appears to have been a quest for the learning of the tantra system and the collection of tantric texts. Like the Chinese monks pursuing Tantric study on the sea trade route, Indian Tantric masters took to the very same sea route to go to China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per lineage of tantric transmission.

      • KCI등재

        석가 · 미륵 투쟁신화와 힌두신화의 한 유형

        심재관(Shim Jae-Kwan) 비교민속학회 2007 비교민속학 Vol.0 No.33

        As a tentative proposition this paper suggests a long-distance travel of a mythical cycle or a myth(eme) that couldn't be found out its origin, even though the similarity among the myths are so striking but the countries to which the myth(eme) belonged are far from each other. Myth of struggling Buddha-Maitreya is very the case in hand. This myth have been founded out by the scholars in many Asian countries like Korea, Japan, Mongolia, China, and even in the tribal minority of their countries. Specially the likeness between Myth(eme)s of struggling Buddha-Maitreya found at Korea and Ryukyu is noteworthy and also well recognised by the scholars from those countries. Because the Buddhistic hew of the myth(eme)s are so distinct, some scholar have insisted that the Myth(eme)s are of Buddhist origin or derived from the buddhist texts. But such argument easily lost their credibility for destitute of convincing evidences. And the story's backbone that describes the struggling and cheating between Buddha and Maitreya is totally out of Buddhist doctirinal context. In many way, thus, we can conclude that the Buddhism is not a spring fountain at all to give a source to the story, but could be a vehicle to convey or spread out the myths over the world. Buddhist story of J?taka will be one possible answer for the question how the Buddhism could be a vehicle to convey the Myths of Buddha-Maitreya to many countries. J?taka is so flexible literary genre among other Buddhist literatures that heterogenic elements are easily allowed to come inside and turned out to be the Buddhistic. This point will be well testified when it comes to consider the various local versions of R?m?ya?a story in J?taka format. In a big scale of hindu myth that, however, should have to includes the vedic cycle of myth, R?m?ya?a recapitulates the cycle of struggling Deva-Asura which is so archaic source as to go back to Indo-Iranian myths or even to Indo-European myths. At this comparitive sight on hindu myths, we have a very small fraction of fossil to trace back the origin of the Myth of Buddha-Maitreya Struggling.

      • KCI등재
      • 이것도 저것도 아닌 것에 대한 인도인의 사유

        심재관(Shim Jae-Kwa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2 동서사상 Vol.13 No.-

        ‘이것이나 저것’ 또는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것과 같은 모순적이고 애매한 표현들이 다른 모든 종교나 철학전통 속에서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특히, 신비주의적 전통 속에서), 인도 고전의 모든 장르 속에서 볼 수 있을 만큼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애매성이나 모순의 표현들은 다양한 맥락 속에서 등장하는데, 때로는 논리학 속에서, 또는 우파니샤드와 같은 신비주의적 종교문헌 속에서, 또는 뿌라나의 신화 속에서 이야기의 갈등을 해소하는 서사장치로서 빈번히 등장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도, 모순적인 표현, 또는 더 적당히 경계성(문지방성 liminality: 안과 밖, 포함과 배제의 경계라는 점에서)의 소질은 인도인의 사유방식의 하나로 제안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중관학의 四句(부정)(특별히, 제3구나 제4구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또는 자이나교의 스야드바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기서 우리는 배중률의 침해, 모순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논리학뿐만 아니라, 뿌라나와 같은 보다 대중적인 문학 속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뿌라나의 히라냐까쉬뿌와 나라싱하의 전투 장면이나 인드라와 나무찌의 대결 장면 속에서 ‘거품’, ‘문지방’, ‘어스름’, ‘해변’ 등과 같은 단어는 서사를 이끌어가는 매우 중요한 단어들이다. 이러한 단어들도 역시 모순, 애매함, 중간성 등을 보여준다. (어스름은 낮도 아니고 밤도 아니며, 문지방은 안도 아니고 밖도 아니다.) 하지만, 인도 고전들 속에서 이러한 ‘중간성’ 또는 ‘경계성’ 등에 대한 무수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고, 이러한 경향들을 인도인의 사유방식의 하나라고 규정한다 하더라도, ‘중간성’이나 ‘모순성’을 보여주는 논리적 표현들과 종교적인 표현들은 서로 구분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것들은 아마도 서로 다른 배경 속에서 등장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중간성’에 대한 논리적 표현들을 예로 들자면, 이러한 인도의 논리적 표현은 우리가 v?da라 부르는 논쟁술 전통, 또는 pram??a라 부르는 인식(수단)론의 전통을 다시 되돌아보게끔 한다. 인도의 논리학은 매우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논쟁술이나 인식론의 배경 속에서 성립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도의 논리적 사고나 인식론적 특징을 고려할 때, 우리는 그리스에서 기원한 형식주의적 논리와는 완전히 다른, 자신의 체험에 기반한, 또는 사례중심의 논리적 사고를 만나게 될 것이다. As though the contradictory or ambiguous expression like ‘both this and that (non this)’ or ‘neither this nor that’ is to be not unfamiliar in all othe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specially, in its mystic tradition), the expression is, however, very common in the all different genre of Hindu classics. Sometimes this ambiguity or contradiction show up itself clearly as a logical formular, sometimes as a sign of intuitive experience by the mystics (like in Upani?ads), or simetimes as the strategic apparatus that enable to solve the conflicts in pur??ic narratives. For this reason, I propose that the aptitude for the contradictory or ambiguous expression, or, more roughly, the expression of liminality(that admits both inclusion and exclusion) should be one type of Hindu way of thinking. In the Madhyamika Catu?ko?i (especially, the third and the fourth member of catu?ko?i) or the Jaina theory of syadv?da, we can find an example of the violation of non-contradiction or the excluded middle. And the key words like ‘foam’, ‘liminal’, ‘dusk’, and ‘shore’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of Pur??ic battle story between Hira?yaka?ip and Narasinha and the battle between Indra and Namuci clearly demonstrate the great aptitude of the Hindu for the liminality or middle-ness. However, even though we can find the numerous example of the pondness of the middle-ness or liminality from the Hindu classics and can also brand it as their aptitude or as an Hindu way of thinking, it would be necessity to distinguish the the logical expression of the middle-ness from the religious one, which seem to had been developed from the very different backgrounds. As for the logical expression of the middle-ness (or the violation of the excluded middle as presenred in catu?ko?i), for example, it rather leads us to the background and the nature of Indian logic that had been developed oUt of slightly ditinct traditions called as v?da(debate) and pram??a(means of knowledge). Thus, when it comes to the Indian tradition of debate and epistemological character we will meet the very different way of logical thinking that comes out of the one’s own experience-oriented and example-pointed thinking, which quite different from the Greek logical thinking which lay weight on the formality itself.

      • KCI등재

        인도 빠따다깔(Paṭṭaḍakal) 비루빡샤(Virupakṣa) 사원의 라마야나(Rāmāyaṇa) 서사 조각의 분석__라바나의 시따 납치 패널을 중심으로__

        심재관 ( Shim Jaekwan )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6

        이 논문은 빠따다깔에 소재한 비루빡샤 사원의 만다빠 기둥에 새겨진 하나의 라마야나 조각을 분석한 것이다. 초기 서부 짤루끼야 왕조 당시 건립된 사원들 가운데 많은 수는 라마야나를 적극 사원 내외벽에 조각했으며 조각의 규모도 이전 시대보다 대폭 확장되었다. 여러 패널에 나뉘어 연속적인 사건의 진행이 표현되기도 했고, 이번 연구처럼 단일한 하나의 조각패널 속에 내용상 많은 분량이 길게 표현된 조각도 있다. 특히 <라바나의 시따 납치>조각 패널은 비루빡샤 사원 만다빠 내의 남측 기둥에 새겨진 조각으로서, 하나의 패널을 횡으로 네 개의 열로 나누어 아란야칸다의 주요내용을 거의 다 조각해놓았다. 슈르빠나카가 단다까 숲에 거주하는 라마의 아쉬람에 찾아오는 장면부터 라바나가 시따를 납치한 후 자따유스와 전투하는 장면에 이르기까지 묘사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발미끼의 라마야나와 비교하면서 가능한 이 조각들에 대해 상세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조각은 특히 화면 속에 등장하는 인물 모두에 대해 명문을 남겨놓았는데 이 명문의 방향과 조각의 방향은 반대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짤루끼야의 많은 사원들은 라마야나 조각을 남측에 조각하는 관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조각의 방향과 방위에 대한 기존의 관점들에 대한 해석도 함께 제시되었다. 이러한 관점이 완결된 답이라고는 할 수 없어도 차후 연구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sculptural tradition of Rāmāyana in Early Western Cāḷukyan temples at Paṭṭaḍakal shows the transitional progress from the preceding Gupta period in some aspects. The Rāmāyaṇa panels carved on the outer wall of temples become larger than before and appear on the main part of the outer walls, which had been usually carved along the recess of the base molding or on the frieze of the temples. Moreover, the long narrative scenes from Rāmāyaṇa begin to appear at one small panel in which, however, the successive scenes are divided again in a few bands and compartment. Virupakṣa temple at Paṭṭaḍal constructed by Lokamahādevī, around the middle of 8th century A.D. well demonstrates the transitional changes mentioned above through the Rāmāyaṇa narrative sculptures that appear on the main body of outer walls and the pillars inside of Maṇḍapa also. This paper focus on the one single panel portrayed the most favored theme to be sculpted in Cāḷukya temples, "the abduction of Sītā by Rāvaṇa" carved on the pillar(the left 3rd from the entering) inside of Maṇḍapa of Virupākṣa temple. The panel divided into four band raws by the horizontal lines that have the Cāḷukyan inscriptions begins its story with the scene that Śurpaṇakhā encountered Rama and goes through the final one of the abduction of Sītā by Rāvaṇa. In this paper, the detail description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comparison with the Vālmīki text go for each band of the panel. Interestingly enough, the serial narration of the sculptures runs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every band raws, which is opposite to the way of writing at that time as the inscriptions of the panel show. The southern assignment of the panel in Virupākṣa temple is also needed to be discussed because the other Cāḷukyan temples around Bādāmi, Paṭṭaḍakal and Mahākuṭa seem to share a sculptor's homogeneity in this context.

      • KCI등재

        거품, 어스름, 그리고 해변 -인도 신화 속에 나타난 신들의 속임수와 경계성-

        심재관 ( Jae Kwan Shim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1

        데바-아수라의 투쟁신화는 고대 힌두신화의 가장 흔하고 중요한 신화적 모티프로서 초기 문헌인 『베다』로부터 서사시 『마하바라따』와 『라아야나』 그리고 『뿌라나』 문헌들 속에 광범위하게 등장하고 있다. 어떤 신화소는 이들 문헌 속에서 여러 번 재활용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신들이 보여주는 속임수이다. 전투 속에서 등장하는 속임수는 신과 악마가 합의하에 맺었던 평화협정이나 약속을 교묘하게 피해서 상대방을 살해하는 모습에서 나타난다. 이런 모습은 언제나 신들의 행위이며 또한 최고의 신인 비슈누의 계략임이 드러난다. 신들의 속임수는 상대방과 맺었던 평화협정의 빈틈을 찾아서 그 협정을 가능한 깨뜨리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는 교묘한 전략이다. 신이 악마에게 약속했던 것이나 서로가 맺었던 평화협정의 내용은 대개 아수라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것이지만, 아수라를 살해하기 위한 방법은 그 계약내용 어디에도 해당하지않는 ‘중간상태’ 또는 ‘양가적(兩價的)인 경계’에서 만들어진다. The conflict between deva and asura is one of the most famous and important mythological cycle that has been highly accepted in the Hindu myths, which are repeatedly presented in many texts like Vedas, Mahabharata, Ramayana, and Puranas. Among the mythemes that are most favored in the myth of deva-asura combat is of trickery or deceit intended by the gods like Indra or Visnu, and this is the subject that is most seldomly researched by the scholars. In the myth of Indra-Vrtra, specially presented in Mahabharata, the trickery deliberately intended by Indra clearly be exposed as he try to breach the armistice agreement to kill his enemy, Vrtra, although the truce had been suggested by Indra himself(or, by Visnu) immediately after he(or, devas) had been defeated in the combat with Vrtra. The term of truce that Vrtra asked for as a requital was that he would not be killed with anything that is dry or wet, nor during the day or the night. Indra(or Visnu who control behind him) was so trickery as to strike Vrtra with a lump of foam that is not dry nor wet, and it was twilight. Regarding this context, the Indra`s trickery on truce could be only successful with the liminality of the terms of truce that had been already engaged between adversaries. In case of Visnu`s avatara myth, specially of Narasimha, the plot of the myth is very similar to the Indra-Vrtra myth in the sense that Narasimha is supposed to kill his enemy, Hiranyakasipu, with the liminality of the conditions that Hiranyakasipu could ensured his own life against the death. As a result of the extreme penance for a long time, Hiranyakasipu had a chance to ask for a boon from the Brahma that he would not be killed by anything that is dry or wet, nor human or demon, neither the day nor the night, neither indoors nor outdoors, and so on. However, the boon from the Brahma is nullified when Narashimha kills Hiranyakasipu on the threshold of doorway(this is not outdoors nor indoor) with his claw(not living thing nor non-living thing) at twilight(not the day nor not the night). Penetrating the crevice of the conditions for the asura`s immorality is an kind of clever but wicked strategy played often by the gods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their enemies that they could not overcome, ``In-betweenness`` or ``liminality`` is thus an another characteristic that we can meet as we search for the trace of god`s trickery in Hindu myths.

      • KCI우수등재

        동남아시아의 불교 딴뜨라에 대한 몇몇 연구 동향들

        심재관(Shim, Jaekwan) 불교학연구회 2021 불교학연구 Vol.68 No.-

        7세기 후반을 동남아에 밀교가 유입되기 시작한 시기로 보는 것은 주로 그 지역을 거쳐 갔던 인도나 중국 승려들의(에 대한) 간접증거들을 통해서 추정된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해당 지역에서 발굴되는 비문이나 불상과 같은 고고학적 일차 자료들을 통해 얻은 결과들은 이보다 다소 늦게 나타나는데, 대부분 9세기말이나 10세기초반 정도가 되어서야 명확한 밀교의 흔적이 나타난다. 참빠는 10세기초에 안 타이(An Thai) 비문을 통해 나타나는 것처럼 매우 명확한 불교 딴뜨라의 흔적이 나타난다. 12세기 미 썬(My Son)에 헤루까(Heruka)상을 안치했다는 비문의 설명으로 보아 요기니딴뜨라(Yoginītantra) 전통이 유행했었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 크메르의 밀교도 10세기 초 라젠드라바르만을 시작으로 자야바르만 5세와 자야바르만 7세에 이르는 11세기와 12세기에 전성기를 누린다.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밀교적 경향이 뚜렷이 확인되는 이유는 가장 많은 비문과 조각을 통해 불교사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크메르 왕조에서도 헤바즈라(Hevajra)를 모신 요기니딴뜨라의 전통이 분명히 나타난다. 수마트라는 가장 일찍 밀교의 명확한 흔적이 드러나는 지역이지만 밀교를 위한 고고학적 단서들은 기대만큼 풍부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짠디 굼뿡(Candi Gumpung)의 밀교적 해석을 예외로 한다면, 7세기 후반의 비문과 빠당 라와스(Padang Lawas) 지역 등에서 발견되는 13세기경의 단편적인 명문(銘文)들이 밀교의 단서가 된다. 바간의 경우는 밀교의 흔적을 찾을만한 단서가 거의 발견되지 않지만 아베야다나(Abeyadana)같이 밀교적 대승불교의 특성을 보여주는 곳도 존재한다. 이러한 동남아시아의 대승적 밀교, 혹은 불교 딴뜨라의 동향은 주로 비문과 도상을 연구하는 소수의 학자군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여전히 일차 사료들의 발굴과 연구자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청된다. Tantric Buddhism in Southeast Asia was thought to have been introduced in the 7th century through indirect evidences by or about Indian and Chinese monks who passed through the areas. Paradoxically, however, the result of the researches on the primary archaeological artifacts and inscriptions shows a different conclusion; in most of the cases, it was not until the end of the 9th or early 10th century that the tantric Buddhism seems to have been accepted as a state cult and supported by the royal sponsors. Champa has very clear traces of Buddhist tantra, such as the An Thai inscription of the early 10th century. Judging from the inscription saying that the statue of Heruka was enshrined at My Son in the 12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radition of Yoginītantra was very popular. As for Khmer, from early 10th century in the reign of King Rajendravarman, the tantric Buddhism was praised by royal kings, and rapidly reached its high glory i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under the regime of Jayavarman V and Jayavarman VII. The comparative abundance of the inscriptions and other archeological artifacts provides the ground to delineate the tantric tendency of Khmer Buddhism. The tradition of yoginītantra is also evident. Sumatra is recognized as an exemplar of the early acceptance of tantric Buddhism among the countries, however, the archaeological sources for tantric Buddhism are not so abundant as expected. The inscriptions of the late 7th century (from Palembang) and of 13th century (from Padang Lawas) can be taken into account as the clues to the tantric Buddhism. In the case of Bagan, there are few clues to find traces of Tantric Buddhism, but there are place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antric Mahāyana Buddhism, such as Abeyada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