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 ( Song Jin Y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신뢰와 자원봉사활동으로 구성된 사회적 자본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가족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에서 구축한 제7차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3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신뢰와 자원봉사활동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관계만족도는 신뢰와 우울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셋째, 가족관계만족도는 직업이 있는 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과 우울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반면, 직업이 없는 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과 우울 간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관계만족도의 향상을 통해 그들의 우울을 완화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which is composed by trust and volunteer work, and depression. For this study, data were drawn from the 7th wave panel data provided at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It included 6,859 persons of 30 years or more man and wom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rust and volunteer work directly effected on depression. (2)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trust and depression. (3) In case of having a job,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volunteer work and depression. But, in case of not having a job,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didn`t mediate between volunteer work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reduce depression through improving social capital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기업체의 인식이 고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업무강도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송진영 ( Song Jin Y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장애인을 고용한 기업체를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고용인식이 장애인의 고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업무의 육체적 및 정신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2010년도 기업체 장애인고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기업체 2,067개 중에서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으면서 2011년도에 장애인채용계획에 응답한 기업체 446개의 기업체를 대상으로 SPSS 18.0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의 육체적 강도는 기업체 장애인에 대한 고용인식과 장애인의 고용의사 간을 조절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의 정신적 강도는 기업체 장애인에 대한 고용인식과 장애인의 고용의사 간을 조절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도권이나 광역도시 등 대도시에 비해 중소도시에 소재한 기업체의 경우 고용의사가 열악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인들이 육체적이나 정신적으로 업무를 감당할 능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막연한 편견의 해소와 중소도시의 장애인 고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정부와 민간 기업, 그리고 장애인 관련 단체들의 협업과 적극적인 홍보, 그리고 단순한 업무에서 벗어나 장애인들의 능력과 적성에 합당한 고용의 질 증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degre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r`s hiring decisions and hiring recogni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 study, 466 data providing at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physical job degree played as a moderator between employer`s hiring decisions and hiring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The second, mental job degree played as a moderator between employer`s hiring decisions and hiring recogni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third, small cities are less employment rate than big cities. Therefore, effort is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 physical job degree and mental job degree without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regarding various improvement plan for increase in quality of the employment get out at simple businesses, and to be suitable for ability of the disabled and an aptitude discussed it.

      • KCI등재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참여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 ( Song Jin Yeong ),최영란 ( Choi Yeong R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참여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제5차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자료 중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90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참여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의식은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참여와 학교생활적응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참여와 학교생활적응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동체의식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통해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spirit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ctivity particip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analysed data was drawn from 1,907 2n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of the 5th wave panel data of Korea Childeren·Youth Panel Survey(KCYPS) which is establish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dolescent activity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school life adjustment. (2) Community spirit mediated between adolescent activity particip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3) Self-esteem mediated between adolescent activity particip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high school student through improving community spirit and self-esteem.

      • KCI등재후보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좋은 일자리 유지와 이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 ( Song Jin Yeong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0 No.2

        본 연구는 임금근로장애인이 겪는 일자리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확인하고, 좋은 일자리 유지와 이동의 상태변화가 그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구축한 제1차에서 제7차 장애인고용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임금근로를 하는 장애인 869명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SPSS Indirect macro를 이용하여 일자리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간 좋은 일자리 유지와 이동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차별경험은 직무만족도와 좋은 일자리 유지에 부적(-)인 영향이, 좋은 일자리이동에는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즉, 일자리차별이 심할수록 좋은 일자리를 유지하지 못하고 직무만족도가 낮은 반면, 좋은 일자리로의 이동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좋은 일자리 이동이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좋은 일자리 유지가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이론적 측면에서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차별경험으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는 상황에서 좋은 일자리의 유지와 이동과 같은 매개요인을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실천적·정책적 측면에서 일자리차별을 낮추거나, 좋은 일자리를 유지하거나, 좋은 일자리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임금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몇 가지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good job retention and mo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against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For the study, 869 data among 5,092 data, which derived from the 1st to 7th wave panel data provided at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Methodologically, SPSS Indirect Macro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mediated effects between job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job discrimination of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was negatively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and the good job retention. On the other hand, job discrimina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good job mobility. (2) The good job mobility was mediated between job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3) The good job retention was mediated between job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theoretical, it had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found the mediated effects such as the good job retention and mobility, in situations that job satisfaction could decrease due to job discrimination of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By practical and polic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the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through reducing the job discrimination, retaining the good job, and moving to a good job.

      • KCI등재

        임금근로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진영(Song Jin Yeong),유광수(Ryu Kwang Soo)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4

        본 연구는 임금근로장애인이 겪는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이 그들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우울, 장애수용,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 등의 정신건강 요인들이 그들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구축한 제4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임금근로를 하는 장애인 835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와 SPSS Indirect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울은 장애인의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장애수용은 장애인의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장애인의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만족도는 장애인의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밝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금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which is composed of depression, disability acceptance, social-economic position,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against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A data of 992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which derived from the fourth wave panel data provided at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SPSS 20.0 and SPSS Indirect macro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SPSS 20.0 and SPSS Indirect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pression influenced between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2)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between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3) Social-economic position mediated between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4) Life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ed some methods of ascent of job satisfaction for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 ( Song Jin Y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수준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서울대학교에서 구축한 제8차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조사자료 중 40세~59세에 해당하는 중년여성 1,136명을 대상으로 SPSS 20.0과 Preacher와 Hayes(2008)가 개발한 SPSS Indirect macro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총효과는 문제음주수준과 생활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우울은 문제음주수준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은 문제음주수준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문제음주로 인해 생활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는 상황에서 우울의 낮춤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통해 그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drinking level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women. For this study, data were drawn from the 8th wave panel data provided at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It included 1,136 persons of the middle-aged women. To analyze the data, SPSS 20.0 and SPSS Indirect macro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otal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fluenced between problem drinking level and the life satisf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2) Depression mediated between problem drinking level and the life satisfaction. (3) Self-esteem mediated between problem drinking level and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married middle-aged women through depression`s reduction and self-esteem`s improvement.

      • KCI등재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차별의 상태변화가 좋은 일자리의 유지와 이동에 미치는 영향

        송진영 ( Song Jin Y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를 통해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차별의 상태변화가 좋은 일자리의 유지와 이동의 상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구축한 제3차년도와 제7차년도의 `장애인 고용패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등록 장애인 5,092명 중 본 연구에 부합한 65세 미만의 임금근로장애인 686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SPSS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일자리차별의 상태변화와 좋은 일자리의 유지 및 이동 간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차별이 없음을 지속적으로 유지한 경우는 좋은 일자리의 유지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일자리차별이 있음에서 없음으로 변화된 경우는 좋은 일자리의 유지에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자리에서의 차별이 없음에서 있음으로 전환된 경우는 좋은 일자리로의 이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임금근로장애인의 좋은 일자리의 유지와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천적·정책적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workplace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wage workers influences on maintaining good job and moving for better job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Using the data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for the third and the seventh year provided by Korea Employment Agency, this study is targeting a total of 686 disabled wage workers under the aged of 65 among 5,092 disabled individuals registered in the agency. This data is analyzed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to examine the workplace discrimination effect on employment retention in favorable jobs and job mobilit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sistent abs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was confirmed to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maintaining good job. Second, a change to the abs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was determined to have negative effect on maintaining good job. Third, a change to the pres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oving for better job. Based on what has been found so far, the study provided some practical suggestions and political implications to secure good job retention and better job mobility of disabled wage worker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통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송진영 ( Song Jin Yeong ),( Baek Byeol Ah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통합의 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그들의 성공적인 사회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관찰과 심층면담을 사용하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초등학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 자녀와 부모 각 5명과 교사 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통합에 대한 단순한 인과관계 위주의 일반화를 지양하고, 그들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의 사회통합의 양상은 정체감에 대한 개방적 인식 부족, 경제적 어려움,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편견, 자조그룹의 부재 등으로 집약되었다. 이 중 정체감에 대한 개방적 인식부족에서,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어머니의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사회문화적 환경과 자부심의 정도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4개의 범주에 대한 논의와 몇 가지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study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empirical aspects of social integ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plore how their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could be achieved. For this, the study adopted ethnographic method, a kind of qualitative methods which use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selected fiv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five mothers one from each children and five teachers from four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intended to avoid generalization of simpl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social integration and to comprehend the various aspects of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jor categories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as follows: the lack of open awareness of identity, economic difficulties, social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bsence of self-help groups. Among those, identities of the children and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lack of open awareness varies according to their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self-esteem. The implications and discussion on the four findings we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s.

      • KCI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직무만족도 간 장애수용과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송진영(Song, Jin Ye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장애차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장애수용과 고용안정성이 이들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010년(3차)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SPSS 18.0을 이용하여 이들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수용은 장애차별과 직무만족도 간에 정(+)적으로 완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고용안정성은 장애차별과 직무만족도 간에 정(+)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수들의 일반적 특성 분석에서, 직무만족도는 임금, 복리후생, 개인발전성, 직장의 안정성 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차별을 더 많이 경험하였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기술훈련참여 유도를 통한 직무불만족에 대응하는 사후관리프로그램, 장애에 대한 인식과 수용, 고용안정성, 그리고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방안과 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job re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against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the goal, "2010 Disability and Employment Panel Survey Data" was utilized for analysis. SPSS were applied in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ly and secondly, disability acceptance and job retention positively mediated between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Thirdly,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not relatively satisfied during job searching or preparing process against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ing programs to increase the disability acceptance, job re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