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한 특수유아 또래 연구의 동향 분석

        서보순(Seo, Bo-So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유아 또래 연구의 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관련 분야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어를 탐색하고 주제어 간 구조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연구물 273편에서 총 1,269개의 키워드를 분석 자료로 선정하여,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과 중심성, 에고네트워크를 UCINET6 프로그램으로 분석하고, NetDraw로 시각화했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유아 또래 연구에는 ‘통합교육’, ‘사회적 상호작용’, ‘발달지체유아’, ‘장애유아’, ‘사회적 행동’, ‘비장애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등의 주제어가 높은 빈도로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전체 네트워크는 189개의 노드에 서브그룹을 다수 포함한 분산된 구조였다. 셋째, ‘통합교육’, ‘발달지체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장애유아’, ‘또래중재’의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은 핵심 주제어였다. 넷째, ‘통합교육’ 에고네트워크는 ‘장애유아’,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행동’, ‘비장애유아’, ‘사회적 기술’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자폐스펙트럼장애’는 ‘문제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통합교육’, ‘또래중재’, ‘비디오 모델링’과 연결강도가 높았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특수유아 또래 연구에서 핵심적으로 다루어지는 개념들의 구조를 밝혀냄으로써, 선행연구들의 관점을 확인하였고, 추후 연구와 특수유아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ain keywords and the structure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peers through keywords network analysis. Method: Keywords of 273 articles from 2000 to 2020, 1,269 key words were selected as data. The structural properties, centrality, and ego network were analyzed by UCINET6,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using NetDraw. Results: First, the keywords such as inclusive education , social interaction ,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social behavior ,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had high frequency. Second, the network was a distributed structure including a number of subgroups in 189 nodes. Third, the keywords of inclusive education ,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autism spectrum disorder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nd peer intervention were core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Fourth, the inclusive education ego network was strongly connected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social interaction , social behavior ,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 and social skills .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associated with behavior problems , social interaction , inclusive education , peer intervention , and video modeling . Conclusion: This study was explored the perspectives of studie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장애인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서보순 ( Seo Bo Soon ),안성우 ( Ahn Sung W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이 장애인을 나타낸 은유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이들의 주관적인 인식을 살펴보고, 장애인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개 대도시, 2개 도의 평생교육원 종사자, 사회복지관 종사자,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은유적 표현을 수집한 후 14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이들이 밝힌 장애인에 대한 은유와 그 근거를 반복적으로 읽고 범주화한 결과 89가지의 은유가 도출되었으며, 이 은유적 표현들은 ‘다름없는 존재’, ‘도움이 필요한 대상’, ‘힘의 잠재’, ‘제한과 불편함’, ‘삶의 동반자’의 5가지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한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장애인에 대한 은유의 범주는 성별, 연령, 근무기관에는 차이가 없으나, 장애인 교육경험 여부에 따라서는 달리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이 장애인에 대해 가지는 다양한 차원의 인식을 검출할 수 있었으며, 장애인 평생교육의 기반 구축과 인력 양성ㆍ지원체제에 주는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workers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phors analysis and find a way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ata was collected from 141 participants who are currently employed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social welfare centers, and schools in two major metropolitan cities and two provinces and this was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After reviewing participants’ responses repetitively, eighty nine metaphors were withdrawn and those were conceptually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1) General being; (2) Persons with special needs; (3) Ability with potential; (4) Limitations and discomforts; and (5) Life companion. In addition. metaphors concerning people with disabilities differed according to workers’ teaching experience. But metaphors concerning people with disabilities made little different according to workers’ gender, age, and workplace. This study found a variety of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workers on people with disabilities. On a basis of the results, ways how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rain professionals, and develop support system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유아를 위한 음악중재의 내용과 효과크기검증 문헌분석 -2005-2020년 국내 학술지논문 중심으로-

        서보순 ( Seo Bo-soon ),이지경 ( Lee Ji Ky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를 위해 적용된 음악중재의 내용을 살펴보고 중재 효과크기를 검증하여 장애유아를 위해 음악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나 연구를 수행할 때 참조가 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 및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음악은 유아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 구성요소로 포함되고 있고, 치료와 재활의 현장에서도 중재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애유아를 위해 사용된 음악중재의 내용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으며, 그 효과 크기도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2005년 부터 2020년 사이 국내에 발표된 학술지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장애유아의 발달영역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혹은 치료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적용된 음악 중재의 내용과 중재효과의 크기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문헌 고찰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별된 9편의 논문, 집단연구 5편과 단일대상연구 4편을 분석하여 상세한 중재내용을 범주화하여 살펴보고, 효과크기(Effect Size; Hedge’s g와 Percent Non-overlapping Data, PND)를 산출하여 음악중재의 효과를 검증했다. 또한 중재시간과 효과크기와의 관계도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결과]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집단연구와 단일대상연구에서 수행된 전반적인 음악 중재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장애유아에게 적용된 음악중재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크기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기간과 중재효과 크기 간에 뚜렷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발견한 다양한 관점들을 재조명하여 적용하여 장애유아를 위한 음악 중재가 현장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활용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면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Purpose]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music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o verify the intervention effect size. Furthermore, the study hopes to present useful information and basic guidelines that can be referenced when composing a music intervention program or conducting future research on children with special needs. Music is included as a component of th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in various ways, and it is used as an intervention tool in the field. However, the contents and effect sizes fo music intervention are not known in detail. Therefore, this study aimes to verify the details and effect sizes of music interventions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literatu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etween 2005 and 2020. [Method] Nin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ive group studies and four single-subject studies were analyzed to categorize the detailed intervention contents. Moreover and the effect size (Hedge's g and Percent Non-overlapping Data, PND)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vention durations and the effect sizes was also examined. [Results] Through in-depth analysis, the overall contents of music interventions conducted in group and single-object studies were reported. The effect sizes of music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urned out to be very large. However,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intervention durations and effect size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ould be great if it could be applied more systematically to the field of music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ich would re-illuminate the various perspectives found in this study.

      • KCI등재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보순 ( Seo Bo-soon ),한민경 ( Han Min-k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위해 2개 광역시와 5개도에 거주하는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IBM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방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 존중은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권리 존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양육스트레스와 자녀권리존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지체영유아의 권리 증진을 위해 어머니와 영유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thers` parenting stress effects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lso,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percep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60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elays and they were pooled from the residence in two metropolitan city and five province in Korea.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by Baron & Kenny`s statistical medication analysis. Results: First,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of children ha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stress, but it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mothers` self-esteem. Second, parenting stress has effects on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Third, parenting stress has effects on their self-esteem. Forth, there is evidence for mothers` self-esteem is working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righ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as suggeste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예비교사 교육실습 지원 경험에 대한 개념도 분석

        서보순(Bo Soon Seo)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을 지원하는 경험을 들여다보고, 교육실습 지원에서 일어난 현상과 이를 통해 교사들이 형성한 개념을 탐색하며, 개념의 잠재적 구조와 동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참여자는 실습지도교사 경험이 있는 3개 대도시 1개도 소재 공립·사립유치원 교사 24명이었다. 교사들은 3그룹으로 나뉜 소집단면담에서 교육실습 지원 경험을 공유하였으며, 면담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50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진술문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유사성 분류와 동의 정도 평정을 토대로 다차원척도 분석과 군집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육실습 지원 경험 개념도는 2차원으로 설정되었으며, X축은 ‘관계적 성장 및 체계적 한계 요인’으로, Y축은 ‘갈등 및 수행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진술문은 4개의 군집을 형성하였으며, 군집 1 ‘자신을 성찰하며 함께 이루어가는 변화’, 군집 2 ‘예비교사와 얽혀 일어나는 어려움’, 군집 3 ‘예비교사의 교육적 실천을 위한 지원’, 군집 4 ‘교육실습 지원체계의 요구’로 명명되었다. 셋째, 교사들은 군집1과 군집 3의 진술문들에 더 높은 동의를, 군집 2와 군집 4의 진술문들에 더 낮은 동의를 나타내었다. 교사들은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 지원의 어려움과 실습체계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지만, 성찰과 실천 속에 예비교사와 함께 변화를 만드는 긍정적 경험이라는 점에 더욱 동의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들이 교육실습 지원 경험에서 예비교사와 얽혀 일어나는 변화와 성장에 주목하고, 교육적 실천을 위한 지원에 초점을 두며 딜레마와 어려움, 지원체계를 아우르는 개념을 형성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실습의 다양한 주체를 포함하는 교육공동체가 생동하는 교육실습 생태계를 만들어가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henomenon and concept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the experiences of preschool teachers in supporting preservice teachers, to identify the potential structure of the concept and the degree of agreemen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eaching practice systems. Participants were 24 teachers with experience as practicum supervisors, working in public or private preschools in three metropolitan areas and one rural area.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three groups to share their experiences of supporting teaching practice, and 50 statements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s and expert review.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participants' categorization of similarity and assessment of their level of agreement with the stat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ual map of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of educational practice support was set to be two-dimensional, with the x-axis interpreted as 'relational growth and systemic limiting factors' and the y-axis as 'conflict and performance factors'. Second, the statements were organized into four clusters, which were named cluster 1, “Change together through reflection”, cluster 2, “Difficulties related to preservice teachers”, cluster 3, “Support for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practice”, and cluster 4, “Needs for a support system for teaching practice. Third, teachers expressed higher agreement with statements in clusters 1 and 3 and lower agreement with statements in clusters 2 and 4.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 supporting preservice teachers and the need to improve the practice system, but they were more likely to agree that it was a positive experience in which they made a difference with preservice teachers through reflection and practice.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noticed the changes and growth that occurred in their experiences with support for teaching practice, focused on the support for teaching practice, and created concepts that encompassed dilemmas, challenges, and support systems. It also discussed implications for creating a vibrant teaching practice ecosystem that includes diverse actors in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내용 분석

        서보순 ( Seo Bo-so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언어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통합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게 다루어지는 주요 단어와 단어 간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 대도시에서 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164개 교육기관의 유치원 수준교육과정에 제시된 통합교육 관련 내용을 UCINET 6.0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 분석하고, NetDraw로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련 내용에는 ‘활동’, ‘지원’, ‘개별성’, ‘발달’, ‘또래’, ‘다양성’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 언어 네트워크는 조밀하지 않고 넓게 분산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셋째, 연결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연령’, ‘상호작용’, ‘통합학급’, ‘교육과정 수정’ 순으로, 매개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연령’, ‘개별성’, ‘통합학급’, ‘상호작용’ 순으로, 위세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교육과정 수정’, ‘통합학급’, ‘연령’, ‘지원인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협의회’, ‘교육과정 수정’, ‘지원인력’과 연결강도가 높았으며, ‘연령’은 ‘통합학급’, ‘일과’, ‘활동’과, ‘통합학급’은 ‘특수학급’, ‘연령’, ‘활동’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단어들을 통해 교육실행에서 강조되는 점들을 확인하는데 기여하고, 추후 연구 및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words that were meaningful i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kindergarten-level curriculum. Curriculums of 164 kindergartens in 7 metropolitan cities, were network analyzed using UCINET 6.0 program and visualized with NetDraw.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Activity', 'Support', 'Individuality', 'Development', 'Peer', and 'Diversity' frequently appeared. Second, the words were not dense but widely distributed networks. Third, the degree centrality were higher in order of 'Special education law for disabled persons', 'Age', 'Interaction', 'Inclusive class', and ‘Curriculum modification’, the betweeness centrality were higher 'Special education law for disabled persons', 'Age', ‘Individuality’, 'Inclusive class', and 'Interaction'. And the eigenvector centrality were higher in 'Related law', 'Curriculum modification', ‘Inclusive class', ’Age’, and ‘Support staff'. Fourth, 'Related law' had high connection strength with 'Consultation', 'Curriculum Modification', and 'Support staff'. 'Age' were strongly related to 'Inclusive class', ‘Daily schedule’, and 'Activity'. And 'Inclusive class' was strongly related to 'Special class', 'Age', and 'Activ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identify concepts tha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support policies.

      • KCI등재

        유아기 교육격차에 관한 언론 기사의 토픽 모델링 분석

        서보순(bo soon Seo)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언론 기사 분석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유아기 교육격차의 개념과 논점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보도된 1,525건의 기사에서 5,241종 31,222개의 단어를 분석했다. 7년을 주기로 시기별 출현 빈도와 토픽모델링 분석을 하였으며, 토픽 구성을 검토하여 시기별로 5개의 토픽모형을 채택하고 토픽명을 부여했다. 그 결과, 20여 년의 기사에서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 ‘유치원’, ‘어린이집’, ‘교육’, ‘유보통합’이었으며, ‘교육청’과 ‘부모’, ‘유보통합’, ‘교육’이 핵심어로 사용되었다. 2003년-2009년에는 ‘인구구조 변화와 얽힌 교육격차’, ‘교육수요자를 위한 행정적 지원’, ‘공교육 체제 정비를 통한 격차 해소 노력’, ‘취약계층을 위한 부처의 움직임’, ‘우리 아이들과 부모의 삶 조망’이, 2010년-2016년에는 ‘국제 동향으로 들여다보는 교육 불평등’, ‘교육과 복지로 접근하는 격차’, ‘격차 해소를 위한 기관차원의 지원’, ‘교육에 대한 국가책임’, ‘교육 지원으로 대응하는 인구구조 위기’가, 2017년-2023년에는 ‘유보통합을 통한 격차 해소 노력’, ‘통합체계의 추진 방안 모색’, ‘정부와 지자체를 잇는 정책 실천’, ‘유보통합 실현의 격차’, ‘영유아 발달 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 토픽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유아기 교육격차 논의가 저출생과 양극화의 사회구조적 특성을 반영하면서 공립과 사립, 교육과 보육으로 양립된 기관 간 격차에 주목하여 이루어져 왔음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analysed media article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gap and the debate surrounding it. For this, from 1,525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23, 31,222 words of 5,241 types were analysed. Word frequencies were examined over seven years, with five topic models derived for each time period using topic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daycare center', 'education', 'ECEC integration', and 'office of education' appeared frequently. Furthermore, the keywords 'office of education', ‘parents’, 'ECEC integration' and ‘education’ were used. Second, the topic model of 2003-2009 consisted of 'Gap entangled with changing demographics', 'Administrative support', 'Efforts to bridge by public system', 'Ministries'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s', and 'Perspective on the lives of children and parents'. Third, 2010-2016, there were 'Inequality in international trends', 'Access to education and welfare', 'Institutional support for closing', 'National responsibility', and 'Responding to the demographic crisis with supports' topics. Fourth, 2017-2023, there were 'Efforts to close through ECEC integration', 'Ways to promote the integrated syste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policies', 'Gaps in realizing integration', and 'Support for development of children'. This study found that discuss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gap in Korea have focused on institutional gap betwee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nd childcare, reflecting the socio-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ow birth rates and polarisation.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자기평가척도 개발 연구

        서보순(Seo-Bo-Soo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해 유아특수교사의 자질에 관한 자기평가척도 시안을 개발하고 시안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척도시안의 적절성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반분신뢰도, 문항내적합치도)과 문항의 적절성(문항변별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특수교사의 자질에 관한 자기평가척도 시안은 문항 양호도와 검사양호도가 적절한 수준을 보여주어, 유아특수교사의 자기평가척도가 유아특수교사의 자질을 평가하기에 적질한 척도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elf-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quality. The scale was developed by studying past studies, conferring with education professionals, and pre-observation. The scale contained 60 items in 6 sub-areas of 2 major are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method adequacy shows that content validity by professionals rated 3.93~4.79 on 5 point scale and construct validity was .36~ .70.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91, and split-half reliability was .98.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item discriminato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level group and low-level group. It means that this method is considered as a proper assessment tool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reacher's quality.

      • KCI등재

        아동의 놀 권리 기사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서보순(Bo Soon Seo)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3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보도된 언론 기사들이 아동의 놀 권리를 다루는 경향과 내용의 흐름을 확인하고, 주요하게 조명해 온 핵심어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으로 기사에 언급된 단어들을 탐색하고, 그 흐름을 보여주는 토픽을 확인하며, 텍스트가 형성하는 네트워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아동의 놀 권리를 바라보는 관점과 현상을 짚어보고,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선행연구와의 비교논의를 수행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08년부터 2022년까지 보도된 기사 992건을 선정하고 단어를 정제하여, 총 5,241종 31,222개의 단어를 분석자료로 투입했다. 기사에 나타난 각 단어의 출현 빈도를 확인하고, TEXTOM 6.0에서 토픽모델링 과 TF-IDF지수를 살펴보았으며, 5회 이상 등장한 단어를 UCINET6프로그램에 입력해 언어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에고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첫째, 아동의 놀 권리 기사에 쓰인 단어는 ‘아동’, ‘놀이’, ‘놀이터’, ‘서울’, ‘놀 권리’, ‘학교’, ‘사업’, ‘부모’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에서 ‘놀면서 배울 권리 보장의 움직임’, ‘놀 권리 증진을 위한 논의’, ‘공공의 협력을 통한 놀이기반 조성’, ‘지자체에서의 정책 실행’의 4개 토픽으로 구성된 모형이 채택되었다. 셋째, 놀 권리 기사를 대표하는 핵심어로 ‘놀이’, ‘놀이터’, ‘놀 권리’, ‘서울’, ‘학교’, ‘사업’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아동의 놀 권리 기사가 교육 및 정책과 연결되어 보도되며, 권리 존중을 위한 협력을 공공의 차원에서 강조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정책적 실행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함께 놀 권리 기사들을 관통하는 핵심어들을 찾고, 이들과 연결성을 가지는 단어들을 발굴함으로써, 우리 사회가 놀 권리를 바라보는 초점을 확인했다. 또한, 우리나라 아동의 놀 권리에 관한 후속 연구와 권리 존중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ends and content flow of media articles on children's right to play in South Korea and to analyze the keywords that have been highlighted. This was done through text mining of the articles to explore the words used in the media, identify the flow through topics, and examine the networks formed by the texts. In doing so, this study examined how the public views children's right to pla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pecting the right to play and conducted a comparative discussion with previous researc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992 articles reported from 2008 to 2022 were selected and reviewed for words, and a total of 31,222 words in 5,241 categor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word in the articles was counted, topic modeling and TF-IDF index were calculated in TEXTOM 6.0, and words that appeared more than five times were entered into the UCINET6 program to examine the centrality of the language network and the ego net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used in the articles on children's right to play were 'child', 'play', 'playground', 'Seoul', 'right to play', 'school', 'project', and 'parent'. Second,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dopted a model consisting of four topics: 'Movement to ensure the right to play and learn', 'Discussion to promote the right to play', 'Building a foundation for play through public cooper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local governments'. Third, 'play', 'playground', 'right to play', 'Seoul', 'school', and 'project' were identified as keywords. This study found that articles on children's right to play tend to be reported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and policy, emphasize cooperation in the public sector to respect the right, and reveal policy implementation in local governments. By exploring the keywords that run through the articles and uncover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m, the focus of society's view of the right to play was identified. Also, this study discussed follow-up research on children's right to play in South Korea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respecting the right.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조현진 ( Hyun Jin Cho ),서보순 ( Bo Soon Seo ),박재국 ( Jae Kook Park ),박량은 ( Lyang Eun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들이 진로결정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이상의 장애대학생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이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 진로결정 과정을 분석한 결과 99개의 개념과 31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은 ‘진로를 위한 대학진학’과 ‘미룰 수 없는 진로결정’의 인과적 상황에 따라 ‘제한되지만 뚜렷한 진로결정’의 중심 현상을 경험하였고, 이 현상은 ‘인적자원들의 지원’, ‘장애인을 위한 진로지원 체계’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체적ㆍ심리적 어려움’과 ‘진로준비의 어려움’의 중재적조건에 따라 ‘대학제도의 활용’, ‘내면적인 노력’, ‘취업 후의 삶에 대한 희망’의 작용/상호작용전략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적극적인 진로준비’와 ‘지속적인 자기노력’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과정은 ‘탐색과 선택’, ‘불안과 혼란’, ‘조절과 전환’, ‘도전과 성장’의 4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의 핵심 범주는 ‘지속적 노력을 통해 사회인으로 성장하기’였다. 이 연구결과는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을 위한 상담,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진로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offer theoretical frame. We interviewed 12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data using grounded theoryapproach.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99 concepts, 31 sub-categories, 12 categories revealed by open coding. Second,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phenomenon of ‘making a limited and clear career decision’ on casual conditions of ‘entered college for career’, and ‘career decisionmaking can’t be delay’. This phenomenon was influenced by contextual conditionsof ‘human resources supporting’, and ‘career supporting system’. And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ed coping strategies of ‘using college systems’, ‘endeavors to develop inner mind’, and ‘hope in working life’ depend on intervening conditions of ‘phys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faced by career preparations’. The results of career decision making were ‘positive career preparations’ and ‘continuous efforts’. Third, the process ofcareer decision making was consisted of four phases; ‘exploration and choice’, ‘anxiety and confusion’, ‘regulation and transition’, and ‘challenge and growth’. And the core category was ‘growth as a member of society through continuous effor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basic data for counseling career decision making, develop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developing career support system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