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지역 논 재배에 적합한 곡실 사료용 밀 품종 선발 및 사료가치 평가

        백열창(Youl-Chang Baek),최혁(Hyuck Choi),김민석(Minseok Kim),박종호(Jong-Ho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호남지역 유휴 논토양에서 곡실 사료용 밀 생산에 적합한 품종 선발을 위해 국내산 총 8개(금강, 조경, 백중, 수안, 청우, 고소, 호중, 조중)의 품종을 선택하여 전북 완주군에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파종 및 수확하였으며,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일반성분 및 반추위 소화율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험품종 중 출수기는 “조중”이 4월 15일로 가장 빨랐으며, 성숙기 또한 5월 24일로 가장 빨랐다. “백중”의 출수기는 4월 18일로 “금강”과 같았고, 성숙기는 5월 29일로 하루 늦었지만 전 시험품종 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경수는 “고소”가 513개/m²로 가장 적었으며, “청우”가 974개/m²로 가장 많았다. “백중”의 경수는 901개/m²로 시험품종 중 경수가 많은 품종에 속하며, 수확량은 542kg/10a으로 가장 많았다(p <0.05). 일반성분 분석, 반추위내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 평가에서 시험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옥수수보다 높은 영양 가치와 소화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8개 밀 품종은 공히 수입곡물을 대체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료자원이며, 수확량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여 곡실 사료로의 이용성을 확대하면, 논경지이용효율 증대와 더불어 축산농가 사료비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wheat varieties, among 8 domestic cultivates, that are suitable, for use as grain feed at paddy fields in the Honam region. The seeds of wheat were sown and harvested in Wanju County. Among the wheat varieties, "Jojoong" was the earliest for its heading date on April 15, and it showed the earliest day for the maturing date on May 24. The heading date of "Baegjong" was the same as that for "Keumkang" on April 18, and the maturing date was one day later than that for "Keumkang" on May 29.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eading and maturing dates among the 8 wheat varieties. The lowest number of spikes/m² was 513/m² of "Goso", and the highest number of spikes/m² was 974/m² of "Chongwoo". The spikes/m² and yield of "Baegjon" was 542kg/10a and it was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among the 8 wheat varietie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DM (dry matter) and CP (crude protein) on rumen digesti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8 wheat varieties. Furthermore, rumen digestibility of DM and CP, and the nutrients valu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corn. The domestic 8 wheat varieties for grain feed, with their high nutrient qualities, could eventually replace imported grain feed and wheat grain feed. These 8 varieties are cost-effective feed and paddy field fodder for livestock farmers.

      • KCI등재

        Evaluation of non-conventional feeds for ruminants using in situ nylon bag and the mobile bag technique

        Youl-Chang Baek(백열창),Hyuck Choi(최혁)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반추동물 사료로서 한국에서 생산된 부존사료자원 15종의 화학적 조성, 소화율 그리고 에너지 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반추위 그리고 십이지장 캐뉼라가 장착된 거세한우 3두(평균체중 520 ± 20.20 kg)를 개별 계류식우사에 공시한 후 14일의 순치기간과 3일간의 시험기간을 두었다. 실험 방법으로는 화학조성 분석법, in situ 나일론백과 모바일백 방법을 이용하였다. 사료 내 화학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엿밥, 깻묵, 장유박 및 두유박의 조단백질 함량은 30% 이상이었다. In situ 나일론백을 이용한 사료의 분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트펄프, 맥주박, 커피박, 엿밥, 수수겨, 임자박, 라면박 및 두유박의 반추위 미분해 단백질 함량은 50% 이상이었다. In situ 모바일백을 이용한 사료 내 가소화 영양소총량(TDN)의 분석은 비트펄프, 맥주박, 막걸리박, 수수겨, 깻묵, 라면박, 미강, 장유박, 비지, 두유박 및 밀기울이 50% 이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요약하자면, 상기 부존사료자원은 배합사료 또는 조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사료자원으로서의 높은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은 부존사료자원의 화학적 조성, 소화율 및 에너지 가를 반추동물 섬유질배합사료 제조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사료효율 향상, 사료비용 절감 및 환경오염 감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emical composition, digestibility, and energy value of 15 non-conventional feeds produced in South Korea as ruminant feeds. Three Hanwoo steers (body weight, 520 ± 20.20 kg) fitted with a permanent rumen cannula and duodenal cannula were housed individually in tie-stall barns, followed by a 14-day adaptation period and 3-day experimental period.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in situ nylon bag, and mobile bag technique were used as experiments. As a result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offeeds, crude protein (CP) contentsofmalt meal, perilla meal, soy sauce cake, and soymilk residue were greater than 30%. As a result of the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analysis of feeds using an in situ nylon bag, rumen undegraded protein (RUP) contents of beet pulp, brewer"s grain, coffee meal, malt meal, milo bran, perilla meal, ramen residue, and soymilk residue were greater than 50%. Analysis o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values of feeds using an in situ mobile bag showed that TDN values of beet pulp, brewer"s grain, makgeolli residue, milo bran, perilla meal, ramen residue, rice bran, soy sauce cake, soybean curd cake, soymilk residue, and wheat bran weregreater than 50%. In summary, these non-conventional feeds have high potential value as good feed resources to replace formulated feeds or roughage. Therefore, the chemical composition, digestibility, and energy value of non-conventional feed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used as base data for the manufacture of ruminant total mixed ration (TMR) with improved feed efficiency, reduced feed costs, and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 KCI등재

        반추가축영양 : Saponin 함유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

        옥지운 ( Ji Un Ok ),백열창 ( Youl Chang Baek ),김경훈 ( Kyoung Hoon Kim ),이상철 ( Sang Cheol Lee ),설용주 ( Yong Joo Seol ),이강연 ( Kang Yeon Lee ),최창원 ( Chang Weon Choi ),전체옥 ( Che Ok Jeon ),이상석 ( Sang Suk Lee ),이성실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saponin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반추위액은 볏짚과 농후사료를 5:5 비율로 급여한 거세한우 2두의(체중: 803±0.5 kg) 반추위 cannula를 통하여 채취하였다. 채취한 반추위액은 buffer와 1:2(V/V)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양액으로 사용하였으며, 15 ml 배양액에 옥수수 전분 0.2 g를 첨가하고, saponin 함유 식물 추출물 (비누풀, 오가피, 유카, 인삼 및 차나무)을 0.5% 첨가하여 39℃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반추위 발효성상에 있어서 pH 값은 배양 시간동안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총 휘발성 지방산의 함량은 배양 12시간부터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높았다. Acetate의 농도는 배양 6시간부터 처리구에서 낮았고, propionate의 농도는 높아 역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의 농도는 최종 발효시간인 24시간에 오가피와 유카추출물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다른 처리구는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반추위 protozoa의 수는 비누풀 추출물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적었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배양 12시간부터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지만, 메탄 발생량은 오가피와 비누풀 추출물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험 결과를 볼 때 saponin의 첨가에 의해 메탄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은 반추위 protozoa의 감소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ponin contained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Ruminal fluid was collected from rumen cannulated Hanwoo steers fed rice straw and concentrate(5:5). Collected rumen fluids, corn starch and buffer including saponin contained plant extracts(ginseng, Ogapi, soapwort, tea plant and yucca; 0.5%/15 ml) were incubated at 39℃ for 24 h. All incubations were repeated five times. Rumen pH in all treatments was lower(p<0.05)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no addition) during incubation time. The concentration of total VFA in all treatments was higher(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12h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acetate and propionate in all treatments was lower and higher after 6h incubation,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NH3-N in all treatments was lower(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except for Ogapi or yucca extracts supplementation. The number of protozoa in all treatments was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except for soapwort extract supplementation. The total gas production and methane production in all treatments was higher(p<0.05) and lower(p<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except for ogapi or soapwort extracts supplementation after 12h incubation, respectively. Therefore, reduction in methane production by saponins may could be results from decreased protozoal population without any negative in vitro fermentation.

      • KCI등재

        제주지역 조릿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평가

        정상욱,성혜진,윤영식,이가을,오영균,백열창,이슬,문상호,Chung, Sang Uk,Seong, Hye Jin,Yun, Yeong Sik,Lee, Ga Eul,Oh, Young Kyoon,Baek, Youl Chang,Lee, Seul,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제주조릿대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평가를 진행하여 조릿대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현재 한라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조릿대로 인한 식물종 다양성 감소문제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조릿대의 사초생산성은 실험결과 5월과 6월기간에 비교적 우수한 재생력을 보였으나, 예취가 반복 될수록 재생능력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릿대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조단백질은 가을철 함량보다 봄철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6월에서 $8.64{\pm}0.20%$로 다른 기간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NDF, ADF의 함량은 6월에서 각각 $77.90{\pm}0.25%$, $42.33{\pm}0.49%$로 나타나 섬유소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조릿대는 NDF와 ADF의 함량은 높으나, 볏짚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가축의 특성에 맞추어 급여한다면 이용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조릿대를 사료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섬유소 분해능력이 좋은 흑염소 같은 가축 또는, 조릿대에 대한 기호성이 우수하고, 소화율이 비교적 우수한 말에게 급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조릿대의 사료화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축종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Sasa borealis (S. borealis) in Jeju Island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Sasa borealis and to help mitigate the problem of reduced plant species diversity caused by S. borealis in Hanlla Mountain. To investigate the forage production, three quadrat structures were installed in the S. borealis natural community in the middle part of Hanlla Mountain. From May to October 2017, S. borealis in quadrats was cut at a fixed time of each month, and then forage production and regenerated acidity per kg/ha were evaluated. For the evaluation of feed value, compos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onthly samples. In vitro diges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cannula mounted Hanwoo. In vitro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IVNDFD) and in vitro acid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IVADFD) were measured after the experiment. Forage production of S. borealis showed relatively good regeneration ability in May and June, but the regeneration ability decreased as the cutting was repeated. In order to use S. borealis as a forage, it is considered efficient to feed black goats with good fiber decomposition or horses good palatability to S. borealis and relatively good digestibility.

      • KCI등재

        반추가축영양 : 곡류 사료원별 육성기 한우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가스 배출량 비교

        설용주 ( Yong Joo Seol ),김경훈 ( Kyoung Hoon Kim ),백열창 ( Youl Chang Baek ),이상철 ( Sang Cheol Lee ),옥지운 ( Ji Woun Ok ),이강연 ( Kang Yeon Lee ),홍성구 ( Seong Koo Hong ),박규현 ( Kyu Hyun Park ),최창원 ( Chang Weon Choi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거세 한우의 육성기 기간에 각각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여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시 사료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60%와 티모시 건초 40% 비율로 급여하였고 TDN 함량은 71.4%, CP는 14.6% 이었다. 시험은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2007)에 따라 각각 일당 증체량 0.7kg/일에 필요한 각각의 TDN량 2.80kg의 공시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tripled 2×2 Latin square design으로 수행하였다. 사료 및 환경 적응기간 총 14일과 분·뇨 가스 측정기간 4일로 하여 진행하였고, 메탄가스는 후드식 챔버에서 입식되어 하루 동안 측정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보리 처리구에서 3.9 kg, 옥수수 처리구는 3.8 kg으로 보리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섭취량이 높았다(P<0.05).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사료를 급여했을 때 사료의 특성상 보리가 옥수수보다 반추위 내 정체 시간 및 소화속도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DM, CF, NFE, NDF와 ADF 소화율의 차이는 없었다. 보리와 옥수수 급여구 섭취에너지는 대사체중 당 총에너지 섭취량은 각각 337.6 kcal/BW0.75와 337.2 kcal/BW0.75이었다. 총 섭취에너지 중 분으로 손실된 에너지는 보리 26.5%와 옥수수 29.6% 수준이었고, 뇨로 손실된 에너지는 보리 2.8%와 옥수수 2.3% 수준이었다. 체열에 의한 손실량도 보리와 옥수수 급여구 각각 32.4%와 34.0% 이었다. 보리와 옥수수 섭취에 따른 대사율(ME/GE)은 보리 0.64 (ME/GE), 옥수수 0.62(ME/GE) 이었다. 호흡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은 보리위주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 산소 소모량 1.89 kg/day, 이산화탄소와 메탄 생성량은 2.71 kg/day와 86.8 g/day이고,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의 산소 소모량 1.68 kg/day, 이산화탄소와 메탄 생성량은 2.23 kg/day와 77.7 g/day 이었다. 육성기에서는 보리위주 농후사료와 옥수수위주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산소 소모량이 거의 같았고, 보리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이 각각 19.2%와 8.2% 높았다. 메탄배출계수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시 31.7 CH4 head-1 yr-1과 28.4 kg CH4 head-1 yr-1로 나타났다. 메탄전환계수는 섭취한 사료에 대한 에너지 손실율이 보리는 보리 급여구에서 6.5%(0.065 Ym) 이었고, 옥수수 급여구에서 5.5%(0.055 Ym)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후드식 챔버를 이용하여 급여사료와 급여 에너지 차이가 사양시기별 한우에 의해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여 메탄배출계수와 메탄전환계수를 예측하여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에 그 목적이 있다. Methane production during anaerobic fermentation in the rumen represents an energy loss to the host animal and induces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in the environment. Our study focused on comparison in methane production from growing Korean native steers fed different grain sources. Six Hanwoo steers(BW=180.6±3.1 kg) were fed, on a DM basis(TDN 2.80 kg), 40% timothy and 60% barley concentrate(Barley) or corn concentrate(Corn), respectively, based on the Korean Feeding Standards. Each period lasted 18 days including a 14-day adaptation and a 4-day measuring times. The steers were in the head hood chamber system(one cattle per chamber) during each measuring time to measure heat and methane production per day. Different grain sources did not affect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crude fiber, crude fat, NDF, ADF and nitrogen-free extract. The mean methane concentrations per day were 202.0 and 177.1 ppm for Barley and Corn, respectively. Methane emission averaged 86.8 and 77.7 g/day for Barley and Corn, respectively. Methane emission factor by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for the growing steers fed barley based concentrate was higher than the steers fed corn based concentrate(Barley vs. Corn, 31.7 kg CH4 head-1 yr-1 vs. 28.4 kg CH4 head-1 yr-1). Thus, methane conversion rate was 0.065(6.5%) and 0.055(5.5%) for Barley and Corn, respectively.

      • KCI등재

        참나무류와 리기다소나무 간벌재를 이용한 목질 조사료 제조 및 사료가치 평가

        김석주 ( Seok Ju Kim ),이성숙 ( Sung Suk Lee ),백열창 ( Youl Chang Baek ),김용식 ( Yong Sik Kim ),박미진 ( Mi Jin Park ),안병준 ( Byeong Jun Ahn ),조성택 ( Sung Taig Cho ),최돈하 ( Don Ha Choi ) 한국목재공학회 2015 목재공학 Vol.43 No.6

        참나무류와 리기다소나무 간벌재 칩을 사용하여 각각 60, 90, 120분 동안 증기 가열(증해) 처리하여 조사료를 제조하고 정유 함량을 비교하였다. 두 수종 모두 증해 처리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정유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90분과 120분 처리했을 때 0.1 mℓ/kg 이하의 정유 함량을 보였다. 90분 증해 처리하여 제조된 조사료의 사료로써의 가치를 화학성분 조성, NRC (National Research Counsil) 모델링, 반추위 소화율, 영양성분 대비 상대적 경제 가치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참나무류 조사료의 DM (dry matter; 건물), CP (crude protein; 조단백), EE (ether extract; 조지방), NDF (neutral detergent fiber; 중성세제섬유소), ADF (acid detergent fiber; 산성세제섬유소), ADL (acid detergent lignin; 산성세제리그닌), NFC (nonfiber carbohydrate; 비섬유소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95.4, 1.36, 3.11, 90.05, 83.85,17.33, 6.50 %로 측정되었고, 리기다소나무 조사료는 각각 94.37, 1.33, 5.48, 87.89, 86.88, 30.56, 6.32%로 측정되었다. NRC 모델링을 이용한 영양평가에서는 참나무류 조사료가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40.55%, DE (digestible energy) 1.79 Mcal/kg이었고 리기다소나무 조사료가 TDN 31.22%, DE 1.38 Mcal/kg으로 나타나 참나무류 조사료가더 높은 영양가를 가진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추위 내 건물소화율은 참나무류 조사료(18.07%)가 리기다소나무 조사료(10.02%)보다 높았다. 영양성분 대비 상대적 경제 가치는 참나무류 조사료는 235원, 리기다소나무 조사료는 210원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the wood based roughage using lumber from thinning of oak and pitch pine (Pinus rigida). And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a feed value evaluation of wood based roughages. To investigate the optimization condition of steam-digestion treatment for roughage, the wood chips of oak and pitch pine were steam-digestion treated at 160 ℃ under pressure 6 atm depending on treatment times (60 min, 90 min and 120 min) followed by the content of essential oils analyzed. The essential oil content of steam-digestion treated roughages for 90 min and 120 min were under 0.1 mL/kg. The evaluation of feed value was carried out from steam-digestion treated roughages for 90 min through feed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modeling, ruminal degradability analysis and relative economic value analysis. The feed chemical compositions including DM (dry mater), CP (crude protein), EE (ether extract),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DF (acid detergent fiber), ADL (acid detergent lignin), NFC (nonfiber carbohydrate) in oak roughage were 95.4, 1.36, 3.11, 90.05, 83.85, 17.33, 6.50%, respectively, and in pitch pine roughage were 94.37, 1.33, 5.48, 87.89, 86.88, 30.56, 6.32%, respectively. Both roughages showed low level of protein and very high level of NDF. The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levels using NRC (2001) model in oak and pitch pine roughages were 40.55, 31.22%, respectively. The ruminal in situ dry matter degradability was higher in oak roughage (23.84%) than in pitch pine roughage (10.02%). The economic values of oak and pitch pine roughages were 235, and 210 ₩, respectively.

      • KCI등재

        반추가축영양 : 한우 거세우의 반추위메탄가스 생성량에 대한 곡류사료원의 영향

        이상철 ( Sang Cheol Lee ),김경훈 ( Kyoung Hoon Kim ),이성실 ( Sung Sil Lee ),오영균 ( Young Kyoon Oh ),설용주 ( Yong Joo Seol ),최창원 ( Chang Weon Choi ),백열창 ( Youl Chang Baek ),이강연 ( Kang Yeon Lee ),옥지운 ( Ji Woun Ok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구 한국축산학회 )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는 거세 한우의 비육 기간에 보리나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일당 증체량 0.7kg/일에 필요한 TDN량 6.9kg씩 급여하였을 때 장내 발효과정에 생성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리나 옥수수 급여구의 건물 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영양소별 섭취량은 보리와 옥수수의 영양성분의 차이에 의해서 보리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구가 조단백질, 조섬유, 가용무질소물, 유기물, Neutral detergent fiber와 Acid detergent fiber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섭취량이 높았고(p<0.05), 조지방과 조회분 섭취량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각 영양소별 소화율은 보리나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구 모두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조섬유, Neutral detergent fiber와 Acid detergent fiber 소화율은 보리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호흡가스 발생량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가 산소 소모량 6.4%(p=0.32),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은 각각 15.4%(p=0.09)와 16.8%(p=0.09) 높은 경향이 나타났고, 메탄 배출계수는 보리나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시 각각 43.6(kg/Head/Year)과 50.9(kg/Head/Year)로 산출되었다. 메탄전환계수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총에너지 섭취량은 각각 35.9 Mcal/d와 35.5Mcal/d씩 섭취했고 메탄으로 손실된 에너지는 12.2 Mcal/d와 14.9Mcal/d로 메탄가스 생성에 의한 메탄전환계수는 보리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구에서 4%(0.04 Ym)이었고,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구에서 5%(0.05 Ym)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결과는 우리나라 한우의 사양 실정에 맞게 적용한 실험으로 향후 축산분야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사양체계 및 메탄배출계수 산출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in sources on the ruminal methane production in Hanwoo steers. Six Hanwoo steers(BW = 614.4 ± 8.3kg) were fed, on a DM basis(TDN 6.91kg), 10% rice straw and 90% barley or corn based concentrate, respectively, according to Korean Feeding Standards(Hanwoo). Each period lasted 18 days including a 14-day adaptation and a 4-day measuring period. The steers were in the ventilated hood-type respiration chamber system(one cattle per chamber) during each measuring period to measure heat and methane production for 1 day. Nutrient intake and digestibility were not affected by steer fed grain sources. Methane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steer fed either barley or corn-based concentrate, respectively(0.022% vs. 0.025%). Methane production was greater by steers fed corn than those fed barley(119.3 g/day vs. 139.4g/day). This result indicated that methane emission factor by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for the late fattening Hanwoo fed corn was higher than the steers fed barley(43.6kg/head/year) vs. corn(50.9kg/head/year). Methane conversion rate (Ym) was 0.04 Ym and 0.05 Ym for barley and corn,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