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성 골 종양의 절제 및 소파술 후 사용한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의 결과

        정성택,배봉현,임근영,공일규,Jung, Sung-Taek,Bae, Bong-Hyun,Lim, Keun-Young,Kong, Il-Kyu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양성 골종양의 치료 시 발생한 공동의 골 결손에서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술을 시행한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양성 골종양으로 진단되어 종양 제거술 및 소파술 후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술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 받은 2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 결손 부위의 크기는 술 전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병소 부위의 부피를 산출하였다. 최종 추시 상 이식된 동종골의 유합 여부 및 신생골 형성 및 재발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이식 골의 방사선학적 유합 소견이 관찰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11주였으며 순수하게 동종골 이식술만을 사용한 군은 11.4주, 동종골 이식술과 함께 자가골 이식술을 사용한 군은 10.7주, 동종골과 골대체물을 사용한 군은 13.6주 소요되었다. 술 전 방사선 사진상 병소의 면적이 40 $cm^3$미만인 군은 9.3주, 40 $cm^3$이상인 군에서는 12.9주에 유합 소견이 관찰되었다. 2례에서 동일 부위의 재발 소견을 보여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동종골 이식술로 인한 염증 반응 및 질환의 전파는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양성 골 종양의 소파술 후 신선 동결 동종골의 사용과, 동종골 및 자가골의 사용에 있어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양성 골종양의 소파술 후 결손부위의 치료에 대해 자가골 이식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사료되나, 자가골 이식이 여의치 않은 소아의 경우나 골 결손부위가 커서 적절한 자가골을 얻을 수 없는 경우 등은 골 획득 및 처리가 비교적 간단하고 다양한 형태를 얻을 수 있는 신선 동결 동종골을 이용한 치료가 좋은 치료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the time how much time spent until the bone unions, when we grafted fresh frozen allograft during therapy of benign bone tumor depends on the degrees of bony un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29 cases, in which a curettage on the benign bone tumors was conducted and a fresh frozen allograft was transplanted. The area of the focus, the new bone formation, the recurrence of the focus and complications in the plain radiographs were observed. Results: The average time when we could find out bony unions in the radiographs is eleven weeks. The time when we could observe the unions in the radiographs are 11.4 weeks in allograft group, 10.7 weeks in allograft and autograft groups and 13.6 weeks in allograft and bone substitute. On radiologic findings, the average lesion size is 40 cm3. The time when we could find bony unions are 9.3 weeks in less than 40 $cm^3$ and 12.9 weeks in more than 40 $cm^3$. We could observe recurrences in two cases. Conclusion: The authors could get the similar results between fresh frozen allograft, allograft and autograft after curettage of benign bone tumor. We can think the ideal method which is the transplantation of autograft, but if we can’t get autograft enough, the best way which heal the defects is the transplantation of fresh frozen allograft.

      • 자가 슬괵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송은규,선종근,배봉현,박상진,김종선,이담선,Song, Eun-Kyoo,Seon, Jong-Keun,Bae, Bong-Hyun,Park, Sang-Jin,Kim, Jong-Seon,Lee, Dam-Seon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목적: 자가 슬괵건과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자가건 24예 및 동종건 30예를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총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기준으로 Lysholm Knee 점수, Tegner activity 점수,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대퇴 사두근 위축, 절개부위 감각이상 및 전방 슬관절 통증 등을 평가 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로 $Telos^{(R)}$ 기기를 이용하여 전방 전위 정도를 비교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Lvsholm Knee점수는 자가건 군에서 91.6점 $(68{\sim}100)$. 동종건 군에서 92.6점 $(77{\sim}100)$으로 향상되었고, Tegner activity 점수는 두 군 모두 수상 전에 비해 경도의 감소가 있었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Lachman 검사, Pivot-Shift검사, 대퇴사두근 위축, 절개부위 감각이상 및 전방 슬관절 통증 및 $Telos^{(R)}$기기를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에서도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autograft and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ACL reconstructions using hamstring autograft and 30 using tibialis anterior tendon altograft were followed up at least 1 year. We performed femoral tunnel fixation with Ligament Anchor(LA) screw and tibial tunnel fixation with biodegradable interference screw. Evaluations included Lysholm knee(LK) score, Tegner activity scale,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Quardriceps atrophy, incision site numbness, anterior knee pain and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with $Telos^{(R)}$ device. Results: Preoperativ mean LK score was $60.3(18{\sim}82)$ in autograft group and 61.2(25-80) in allograft group. Mean LK score improved to $91.6(68{\sim}100)\;and\;92.6(77{\sim}100)$ respectively. Activity level, using Tegner activity scale, sligh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Preinjury state in both groups.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Quadriceps atrophy, anterior knee pain, incision site numbness, and anterior drawer test using $Telos^{(R)}$ devi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Conclusion: In performing the ACL reconstru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mstring autograft group and tibilis anterior allograft group in clinical or in radiological results.

      • 반월상 연골 손상의 봉합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송은규,노성만,정재윤,김종석,배봉현,Song, Eun-Kyoo,Rowe, Sung-Man,Chung, Jae-Yoon,Kim, Jong-Seok,Bae, Bong-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1

        목적 :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임상 성적을 조사하고 봉합시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고 추시 기간이 1년 이상된 5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 성별, 파열 위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유무, 봉합 방법, 수상과 수술사이의 시간, 전방십자인대 부전의 동시 재건술 등과 Tapper & Hoover분류에 따른 결과와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 Tapper & Hoover분류상 우수 29예, 양호 22계, 보통 3예였으며, 불량은 없었다. Tapper & Hoover 분류에 따른 임상 성적과 손상 당시의 연령 및 봉합 방법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p<0.05), 그 외 성별, 파열 위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유무, 수상과 수술사이의 시간, 전방십자인대 부전의 동시 재건술 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결론 :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여 $95\%$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그 반월상 연골 손상의 관절경적 봉합술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로는 손상 당시의 연령 및 봉합 방법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Clinical outcome of meniscal repair fur meniscal injury was examin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were determined. Materials and Methods : We examined 55 patients with meniscal injury who underwent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and could be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Clinical outcome according to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was examined in relation with age, gender, injury site, the presence of bucket-handle tear, method of repair, the period between injury to repair, and the concomitant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sults : According to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the outcome was excellent in 29 cases, good in 23 cases and fair in 3 cases. Age and method of repair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but gender, injury site, the presence of bucket-handle tear, the period between injury to suture, and the concomitant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Conclusion : A satisfactory results was obtained in $95\%$ of the patients with meniscal injury with meniscal repair. Age at injury and method of repair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linical result statistically.

      • KCI등재
      • KCI등재

        정상 한국 성인의 전족부에서 관찰되는 종자골과 부골의 종류 및 빈도

        노성만,이근배,박유복,배봉현,강경도,Rowe, Sung-Man,Lee, Keun-Bae,Park, Yu-Bok,Bae, Bong-Hyun,Kang, Kyung-D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9 No.1

        Purpose: To determine the locations and incidences of sesamoids and accessory bones of the forefoot in normal Korean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The plain radiographs of the forefoot of 400 volunteers, 200 males and 200 females, were taken. The three orthopedic surgeons participated in the radiographic evaluation independently. Persons who had history of foot problem or injury were excluded. Results: Sesamoids of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were nearly always present; medial 99% and lateral 100%. The bipartite sesamoid was more common in medial (9.8%) and in female (17.0%) than in lateral (0.3%) and in male (2.5%). Sesamoids of the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first toe were seen in 35.8%. Sesamoids of metatarsophalangeal joints in other four toes were rarely observed. Their incidences were 5% in second toe, 0.8% in third, 0% in fourth, and 2.8% (lateral) and 7.5% (medial) in fifth. Sesamoids of interphalangeal joint in four lesser toes were not observed except two cases (0.5%) in the fifth toe. Accessory bone was very rarely observed. Os vesalianum was observed in five feet (1.3%), Os intermetatarseum in 14 feet (3.5%), and Os cuneo-metatarsal I tibiale in none. Conclusion: We determined the location and incidences of sesamoids and accessory bones of the forefoot, and we expected this to help to diagnose the forefoot problem.

      • KCI등재

        Mortality Following Hip Fracture

        Sung Man Rowe(노성만),Bong Hyun Bae(배봉현),Yu Bok Park(박유복),Seung Young Cheon(천승영),Kyung Do Kang(강경도)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8

        목적: 고관절 골절 후 발생하는 사망률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864,966명 중 1,152명에서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였다. 이들 골절 환자 중 수상 후 1년 이내의 사망 환자는 총 17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9세(51-96세)였고, 남자가 69명, 여자가 103명이었다. 결과: 고관절 골절 환자 1,152명 중 172명이 1년 이내에 사망하여 사망률은 14.9%였다. 수상 후 기간별 사망률은 3개월에 6.9%, 6개월 9.6%, 9개월 13.2%, 그리고 12개월에 14.9%였다. 고관절 골절 후 1년 사망률(l4.9%)은 일반인의 사망률(5.8%) 보다 2.6배 높았다.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관련 요소로는 고령, 활동력 저하, 비수술적 치료, 병원 방문의 지연, 불안정성 대퇴전자간 골절, 그리고 여름에 발생한 골절이었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환자의 활동력 저하와 비수술적 치료가 사망률 증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활동력 저하와 비수술적 치료의 시행이 환자의 사망률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Purpose: To determine mortality levels following hip fracture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factors responsible. Materials and Methods: Hip fracture occurred in 1,152 of 864,966 persons (13.3/10,000 per year) aged 50 years or more in South Honam, Korea in 2001. Of these 1,152 patients, 172 died within 12 months of injury. Mean age of these mortalities was 79 years with range of 51 to 96 years. 103 were females and 69 were males. Results: Mortality rates were 6.9% within 3 months of injury, 9.6% within 6 months, 13.2% within 9 months, and 14.9% within 12 months. The annual mortality rate of fracture patients (14.9%) was 2.6 times higher than the age and sex adjusted mortality rate of the general population (5.8%). The factors foun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death were; an advanced age, poor daily activity level, nonoperative treatment, delayed visit to hospital,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a fracture during the summer.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poor daily activity level and nonoperative treatment 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Conclusion: The poor daily activity level and nonoperative treatment were found to have greatest effect on mortality rates following hip fracture in the elderly.

      • KCI등재

        Legg-Calve-Perthes병 환자의 외반슬 발생

        노성만 ( Sung Man Rowe ),정성택 ( Sung Taek Jung ),서형연 ( Hyoung Yeon Seo ),배봉현 ( Bong Hyun Bae ),김명선 ( Myung Sun Kim ),박경순 ( Kyung Soon Park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4

        목적: 저자들은 보존적 또는 대퇴골 내반 절골술을 시행 받은 Legg-Calve-Perthes disease (LCPD) 환자의 외반슬 발생률 및 이와 연관된 인자와 발생기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병변은 일측 하지에만 발생했으며, 내원 당시 분절화기 및 Catterall 제 3, 4군에 속하고, 성장 완료시까지 추시가 가능하였던 35명의 대퇴골 내반 절골술을 시행받은 환자와 38명의 외전 보조기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퇴경골 정렬을 확인하기 위해 기계적 축의 편이정도와 고관절-슬관절-족관절 각을, 슬관절의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계적 축의 외측 원위 대퇴각과 내측 근위 경골각을 측정하였고, 반대측 정상 하지의 값과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모두에서 기계적 내측 근위 경골각을 제외한 모든 측정 값들이 반대측 정상 하지에 비해 상대적인 외반슬을 나타냈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LCPD 환자들의 66~70%에서 외반슬을 보였으며, 대퇴골 경부의 내반 변형, acetabulum head index, 대퇴골두 비대증 및 하지 단축 등의 네 가지 인자가 외반슬 발생과 유의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 회귀분석상 하지 단축이 외반슬 변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Purpose: Genu valgum in Legg-Calve-Perthes disease (LCPD) is not a known complication. We investigated whether this valgus tendency is a complication of femoral varus osteotomy (FVO) or the sequela of the disease process itself, and what are the related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35 patients treated by FVO and 38 by abduction orthosis (AO)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Only those patients with unilateral involvement, fragmentation stage, Catterall Group III or IV, and who were followed-up to full skeletal maturity were included in the study. We measured mechanical axis deviation percentage and hip-knee-ankle angle for femorotibial alignment, and mechanical lateral distal femoral angle and medial proximal tibial angle (mMPTA) for knee orientation on teleoroentgenograms and compared the affected and normal limbs. Results: All measurements, excluding the mMPTA, demonstrated a tendency of relative genu valgum versus the opposite normal limbs. This tendency was observed in both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Genu valgum occurred in 66% to 70% of the LCPD patients. Four 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algus shift: increased medial bowing of the femoral neck, decreased acetabulum head index, coxa magna, and limb shorten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limb shortening as the factor most responsible for valgus shif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