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朝鮮 後期 開成 金氏 畵員 硏究

        박수희(Park Suhee)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6 No.256

        개성 김씨 집안은 조선 후기에 많은 화원을 배출하면서 당대 화단에서 가장 큰 세력을 형성했던 대표적인 화원 가문 중 하나였다. 개성 김씨 집안에서 처음으로 화원직에 진출하면서 화원 가문의 시조가 된 사람은 조선 후기의 뛰어난 도화서 화원이었던 復軒 金應煥(1742-1789)이었다. 김응환을 필두로 개성 김씨 기문에서는 2대 兢齊 金得臣(1754-1822)과 蕉園 金碩臣(1758-?). 3대 ?堂 金夏鐘(1793-?) 등 총 4대 100년 동안 화원이 배출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도화서에서 근무하면서 각종 의궤에 여러 번 종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이렇듯 한 집안에서 화원직을 반복적으로 계승하여 화원 가문을 이루는 현상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 생겨난 것이었다. 이는 17세기 인조 대 이후 중인 계층의 결속이 강화되는 것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조선 초기까지 양인과 양반층에서도 진출이 가능했던 경아전 등의 행정 관료직과 醫官, 譯官, 律官, 算官, 雲官, 陰陽官, 畵員 등의 기술 관료직은 직역 세습을 통하여 점차 폐쇄적인 계층을 형성 해갔으며, 이들이 바로 中人으로 분류되는 신분층이 되었다. 마찬가지로 17세기 이후부터 많은 화원을 계속적으로 배출하는 가문이 점차 늘어났고, 이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더욱 두드러졌다. 개성 김씨는 조선 중기부터 나타난 이러한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가문이다. 집안을 화원 가문으로 만든 시조가 된 김응환은 곡산 노씨, 인동 장씨, 신평 한씨 등 선대의 유력한 화원 가문과의 혼인을 통하여 도화서에 진출할 수 있었고, 그 자손들에게 화원직을 세습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성 김씨 화원 가문은 당대의 많은 유력 화원 가문과 통혼하여 그 세력을 강화해 나갔고, 여타의 화원 가문이 형성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화원 가문간의 거듭된 혼인이 일반화된 것은 조선 후기 회원 사회의 중요한 특징이었다. 개성 김씨 화원 가문에서는 훌륭한 화원들이 다수 배출되었다. 특히 김응환은 개성 김씨 화원 가문의 시조로서, 그의 화풍은 조카인 김득신과 양자인 김석신 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가풍은 김하종 등의 조선 말기 화원들에게까지 이어졌다. 또한 김응환과 김홍도 사이의 친밀한 교유 관계는 집안의 지손들에게 김홍도의 화풍이 전해지는 데 큰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개성 김씨 화원들과 통혼하였던 다른 화원 가문 출신의 회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개성 김씨 화원들과 직, 간접적으로 혼인관계에 있었던 가문은 인동 장씨, 양천 허씨, 신평 한씨, 곡산 노씨, 개성 이씨, 전주 이씨, 임천 백씨, 경주 최씨 등 총 8개 가문에 달하며, 이 집안 출신의 화원들은 조선 후기, 말기의 도화서에 큰 세력을 이루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화원 가문은 조선시대 중인 계층의 결속의 산물이면서 동시에 화단을 이끌었던 또 하나의 원동력이었다. 개성 김씨 화원 가문의 형성과 확장은 조선 후기에 화원 사회의 성장함에 따라 자신들의 위치를 굳건히 하고 내적인 발전을 기하려고 애썼던 화원들의 노력을 반영하는 것이다. 본고는 조선 후기의 화단을 회원 가문의 형성과 발전, 확장의 측면에서 연구하려는 취지에서 개성 김씨 화원 가문을 분석하려고 시도했다. 이는 조선 후기 화단의 발전을 단지 몇몇 뛰어난 화가들의 공로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좀더 구조적이고 입체적인 조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Gaeseong Kim family (開成 金氏) was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family which had a lot of famous painters in late Joseon period. The first painter from Gaeseong Kim family was Kim Eunghwan (金應煥), a competent painter in the Dohwaseo (圖畵署), the painters' studio of the court of Joseon. After he became an official painter of the Dohwaseo, so called hwawon (畵員), there were many great painters from the Gaeseong Kim family like Kim Deuksin (金得臣), Kim Eunghwan's nephew, Kim Seoksin (金碩臣), Kim Eunghwan's stepson, and Kim Hajong (金夏鐘), Kim Deuksin's son. Moreover, all of them belonged to the Dohwaseo and took part in various activities in the court. This trend of succeeding the career of a hwawon in a family had been since the middle age of Joseon dynasty, which had the same context as bonding of the class of jungin (中人) since Injo (仁祖) period in 17th century.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dministraive officials of the court like Kyoungajeon (京衙前) and engineer officials of the court like euiguan (醫官), yoekguan (譯官), yulguan (律官), sanguan (算官), eumyangguan (陰陽官). hwawon (畵員) succeeded to their career and built up a closing class, which was called jungin class. Likewise, families that produced a lot of hwawons in succession increased gradually, The Gaeseong Kim family is the most outstanding evidence that shows this phenomenon, Kim Eunghwan who made his own family a great hwawoen family could get his job through marriage to the Goksan Roh family (谷山 盧氏), the Indong Iang family (仁同 張氏), and the Sinpyeong Han family (新平 韓氏), and handed down his job to descendants. Moreover, the people of the Gaeseong Kim family enhanced their influences by marrying to other hwawon families and also had a great influences on establishing many other hwawon families. These were outstanding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hwawons in late Joseon. The Gaeseong Kim families come forward in succession many competent hwawons Especially, Kim Enghwan is the founder of the hwawon family of the Gaeseong Kim family, his brush of painting had a great effect on his sons and grandson such as Kim Deuksin, Kim Hajong, etc. In additi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Kim Enghwan and Kim Hongdo (金弘道) played an important role to Kim Hongdo's effects to the Gaeseong Kim families' paintings. These kinds of social phenomena had great effects on other hwawons that had marriage relationships with the Gaeseong Kim family. The families that had marriage relationship with the Gaeseong Kim family were seven, which were Indong Jang family (仁同 張氏), Yangcheon Heo family (陽川 許氏), Sinpyeong Han family (新平 韓氏), Goksan Roh family (谷山 張氏), Gaeseong Lee family (開成 李氏), Joenju Lee family (全州 李氏), Imcheon Baek family (林川 白氏), Kyeongju Choi family (慶州 崔氏), and the hwawons from these seven families acquired a huge influences on the Dohwaseo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tile way, the paintings of these hwawons such as Jang Hanjong, Lee Myeonggi, Lee Sumin, Baek Eunbae were influenced from the hwawons of Gaeseong Kim family deeply. This phenomenon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ainters' families and the effects on one another. Establishment and enlargement of the Gaeseong Kim painters' family reflects on hwawons' constant efforts that would secure their own status and try to enhance themselves. This essay tried to analyze the Gaeseong Kim family painters in order to research the society of hwawons in late Joseon period in point of establishment, development, enlargement of painters' families. I think that this kind of view can help researchers to get out of the view to think paintings of late Joseon period were developed by only a few famous painters and offer them a wide view to see Korean art history.

      • KCI등재후보

        양극성 장애 외래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임상적 특성

        정하란,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구본기,김경민,남석현,Jung, Haran,Yoon, Bo-Hyun,Sea, Young-Hwa,Song, Je-Heon,Park, Suhee,Koo, Bonki,Kim, Kyung-Min,Nam, Seok-H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4 정신신체의학 Vol.22 No.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정신과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습관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84명의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14개 항목의 야간 식이증후군 설문지(NEQ)를 자가 보고로 실시하였다. 이들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신체 질량 지수(BMI), 주관석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에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inge Eating Scale(BES),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 등을 포함한 설문을 통해 얻었다. 결 과 양극성 장애 외래 환자 중 야간 식이증후군의 유병률은 14.3%(84명 중 12명)이었다. NES와 Non-NES군 사이에서는 경제적 상태와 동반되는 내과 질환을 제외한 성별, 나이, 교육 년 수, 결혼 및 직업 상태, 흡연, 음주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Non-NES 군에 비해 NES군에서 폭식이 많았고 비만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가 나타났다. 결 론 이번 연구는 야간식이를 보이는 양극성 장애 외래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비록 양극성 장애 외래 환자의NES군에서 뚜렷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 특성이 많지는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NES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볼 때 임상에서 양극성 장애 환자 평가 시 비만 여부에 관계 없이 NES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ight eating syndrome(NES) in bipolar disorder outpatients. Methods : The 14 items of self-reported night eating questionnaire(NEQ) was administered to 84 bipolar patients in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We examine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ody mass index(BMI), subjective measures of mood, sleep, binge eating & weight-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inge Eating Scale(BES) and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 respectively. Results : The prevalence of night eating syndrome in bipolar outpatients was 14.3%(12 of 84). Comparisons between NES group and non-NES group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MI and clinical status except economic status and comorbid medical illnesses. However, compared to non-NES, patients with NES was more likely to have binge eating pattern and poorer weight-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This study is to be the first to describe the clinical correlates of night eaters in bipolar outpatients. Although there were few significant correlates of NES in bipolar outpatients, relatively high prevalence of NES suggest that clinicians should be aware to assess the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on NES, regardless of obesity status of patients.

      • 달천 홍수 회복 탄력성 지표의 산정

        김다예 ( Daye Kim ),박수희 ( Suhee Park ),황주하 ( Juha Hwang ),맹승진 ( Seungjin Maeng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 평균에 비해 비교적 많은 편이며, 계절의 특수성으로 인해 연평균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여름에 집중되는 특성을 보인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홍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 주변의 저지대와 가옥, 농경지 등이 침수되어 재산과 인명에 큰 피해를 발생시켰다. 홍수 피해는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는 실정이며, 특히 대다수의 홍수 피해는 농촌에서 발생하고 있다. 2017년 괴산군에서 발생한 수해 사례를 보면 1시간 동안 약 59mm의 강우가 집중되어 달천의 상·하류 주변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하였고 현재까지 피해 복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홍수 피해 대책으로 시설 복구에 치중하고 있어 홍수 피해를 빠르게 회복할 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홍수 취약성을 줄이고 홍수 발생 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복원력이 필요하다. FRI는 이러한 홍수 회복탄력성(Flood Resilience)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농촌지역이 아닌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적용 되어왔다. 상대적으로 농촌에 대한 홍수 회복탄력성 적용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에서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홍수 피해 복구와 관리를 위하여 FRI의 도입과 홍수 회복 탄력성(Flood Resilience) 평가의 적용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 회복탄력성 평가와 산정을 위해 2017년 괴산댐 상류의 달천 홍수피해를 대상으로 홍수량은 HEC-HMS에 의해 산정하고, 수리학적 해석은 HEC-RAS와 MIKE 21에 의해 분석하였다. 적용된 3개의 모형과 Arc-GIS를 통해 홍수범람지도를 표현 후 달천의 Flood Resilience Index(FRI)를 산정하였다. 산정한 FRI의 값은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의 홍수피해 회복력에도 적용되고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요인

        남석현,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박형종,이지선,Nam, Seok-Hyun,Yoon, Bo-Hyun,Sea, Young-Hwa,Song, Je-Heon,Park, Suhee,Park, Hyungjong,Lee, Ji Se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4 정신신체의학 Vol.2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식이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 : NES)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201명의 조현병 환자들을 14 문항의 자기보고 형식인 야간식이증후군 설문지(Night Eating Questionnaire : NEQ)로 평가하였다.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과 체 질량 지수(BMI)을 조사하였고, 주관적인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 관련 삶의 질에 대해서는 각각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inge Eating Scale(BES)와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 증후군의 유병률은 10.4%(201명 중 21명)이었다. NES 군과 non-NES 군간에 나이를 제외하면 인구사회학적 및 임상적 특성, BMI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ES 군이 Non-NES 군에 비해 보다 우울했고, 수면과 폭식 양상, 체중 관련 삶의 질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장애를 나타냈다. '아침 식욕부진'과 '지연된 아침식사'(NEQ에서 NES 핵심 항목 5개 중 2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야간 섭식', '야간 식욕항진' 그리고 '기분/수면'은 NES 군에서 더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NES의 유병률과 관련 요인에 대해 기술한 최초의시도이다. 비록 NES와 비만과의 연관성은 밝히지 못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NES가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night eating syndrome(NES) and its correlates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Methods : The 14 items of self-reported night eating questionnaire(NEQ) was administered to 201 schizophrenic patients in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We examine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ody mass index(BMI), subjective measures of mood, sleep, binge eating, and weight-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inge Eating Scale(BES) and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 respectively. Results : The prevalence of night eaters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was 10.4%(21 of 201). Comparisons between NES group and non-NES group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status and BMI. Compared to non-NES, patients with NES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depressed mood and sleep disturbance, more binge eating pattern, and decreased weight-related quality of life. While 'morning anorexia' and 'delayed morning meal'(2 of 5 NES core components in NEQ) were not differed between groups, 'nocturnal ingestions', 'evening hyperphagia', and 'mood/sleep' were more impaired in NES group. Conclusions : These findings are the first to describe the prevalence and its correlates of night eaters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S has negative mental health implications, although it was not associated with obesity. Further study to generalize these results is required.

      • KCI등재

        고해상도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한국의 미래 기온극값 변화 전망

        이경미(Kyoungmi Lee),백희정(Hee-Jeong Baek),박수희(Suhee Park),강현석(Hyun-Suk Kang),조천호(ChunHo Cho)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미래 기온극값의 변화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2.5㎞ 고해상도의 지역기후모델(HadGEM3-RA)에서 생산된 일 최고 및 최저 기온 자료와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RCP4.5/8.5 시나리오에 따른 6개 극한기온 지수를 산출하고, 현재(1971-2000) 대비 21세기 말(2070-2099)의 공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 기간에 대해 모델에서 생산된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은 관측 자료의 확률분포 형태와 범위를 비교적 잘 모의한다. 현재 대비 21세기 말에 결빙일(ID)과 서리일(FD)은 전 지역에서 감소하고 여름일(SD)과 열대야(TR)는 증가할 것이며, 95퍼센타일을 초과하는 일 최고기온(TX95)과 5퍼센타일 미만 일 최저기온(TN5)의 평균값은 전 지역에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RCP4.5보다 RCP8.5 시나리오의 경우에 더 강하다. 고도는 ID, SD, TR, TX95, TN5와 위도는 ID, TR, TN5의 변화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21세기 말에 산지에서는 기온의 하위 극값 상승, 남해안에서는 열대야 증가로 인한 영향이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extreme temperature indices for 2070-2099 relative to 1971-2000 in the Republic of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daily maximum (Tmax) and minimum (Tmin) temperature data from a regional climate model (HadGEM3-RA) based on the IPCC RCP4.5/8.5 at 12.5㎞ grid spacing and observations. Six temperature-based indices were selected to consider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temperature events. For validation during the reference period (1971-2000), the simulated Tmax and Tmin distributions reasonably reproduce annual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not only for the relative probability but also the variation range. In the future (2070-2099), the occurrence of summer days (SD) and tropical nights (TR) is projected to be more frequent in the entire region while the occurrence of ice days (ID) and frost days (FD) is likely to decrease. The increase of averaged Tmax above 95th percentile (TX95) and Tmin below 5th percentile (TN5) is also projected. These changes are more pronounced under RCP8.5 scenario than RCP4.5. The changes in extreme temperature indices except for FD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titude, and the changes in ID, TR, and TN5 also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atitude. The mountainous regions are projected to be more influenced by an increase of low extreme temperature than low altitude while the southern coast is likely to be more influenced by an increase of tropical nights.

      • KCI등재후보

        양극성장애 환자의 하지불안증후군 유병율과 관련 특성

        이능세,윤보현,이현재,시영화,송제헌,박수희,이지선,Lee, Neung-Se,Yoon, Bo-Hyun,Lee, Hyun Jae,Sea, Young-Hwa,Song, Je-Heon,Park, Suhee,Lee, Ji Se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4 정신신체의학 Vol.22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외래 치료 중인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RLS)의 유병률과 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도 되었다. 방 법 안정적으로 외래 치료 중인 양극성 장애 환자 100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RLS의 진단과 증상의 심한 정도는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에서 개발한 진단 기준을 이용하였다. Beck 우울증 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 상태 불안 척도(Spielberg's State Anxiety Inventory), 피츠버그 수면의 질 설문지(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한국판 약물태도 척도(Korean version Drug Attitude Inventory), 한국어판 항정신병약물치료 중 주관적 안녕감 척도-단축형(Subjective Well-Beings under Neuroleptic Treatment Scale-Short Form)과 반즈 좌불안석증 평가 척도(Barnes Akathisia Rating Scale) 등이 각각 우울 증상, 불안의 수준, 주관적 수면의 질, 주관적 안녕감, 약물에 대한 주관적 태도, 좌불안석증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결 과 연구대상자 100명 중 7명(7%)이 RLS로 진단되었으며, RLS의 필수 진단기준을 1개 이상 가지는 환자는 36명(36%)이었다. 본 연구의 표본의 크기가 작은 이유로 세 그룹 간 비모수적 검정을 시행하였다(RLS의 필수진단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그룹, RLS로 진단할 수는 없지만 RLS 필수진단 기준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그룹, RLS 필수진단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그룹). 세 그룹 간에 성별, 나이, 그 밖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LS환자군 및 RLS증상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및 불안증상이 더 많았고, 수면의 질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RLS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특성을 살펴본 첫 예비 연구라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조현병 환자와 비교할 때 양극성 장애와 RLS의 연관성이 비교적 적다는 것을 시사한다. RLS가 있는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우울 및 불안 증상이 더 많고 수면의 질이 더 낮은 경향은 조현병 환자에서도 관찰이 된다. 향후 대규모 연구에서 보다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양극성장애와 RLS와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its correlates of restless legs syndrome(RLS) in out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Methods : A total of 100 clinical stabilized bipolar outpatients were examined. The presence of RLS and its severity were assessed using the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drome Study Group(IRLSSG) diagnostic criteria.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erg's State Anxiety Inventory(STAI-X-1),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Korean version Drug Attitude Inventory(KDAI-10), Subjective Well-Beings under Neuroleptic Treatment Scale-Short Form(SWN-K) and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were used to evaluate the depressive symptomatology, level of anxiety,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ubjective feeling of well-being, drug attitude, presence of akathisia, respectively. Results : Of the 100 bipolar outpatients, 7(7%) were met to full criteria of IRLSSG and 36(36%) have at least one of the 4 IRLSSG criterion. Because of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non-parametric analysis were don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mong 3 groups(full-RLS, 1 ${\geq}$positive RLS-symptom and Non-R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ge, and other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among 3 groups. BDI, STAI-X-1 and PSQI are tended to be impaired in RLS and 1 ${\geq}$positive RLS-symptom groups. Conclusions : This is the first preliminary study for studying the prevalence and its correlates of RLS in bipolar disorder. The results shows that relatively small proportion of RLS was present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ame tendencies shown in schizophrenic patients were found that bipolar patients with RLS had more depressive symptoms, state anxiety and poor subjective sleep quality. Further systematic studies may be need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RLS in bipolar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