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집광형 태양광 집광장치 용 선형 프레넬 렌즈의 최적화설계연구

        송제헌,유진희,이준호,장원근,이동길,Song, Je Heon,Yu, Jin Hee,Lee, Jun Ho,Jang, Won Keun,Lee, Dong Gil 한국광학회 2013 한국광학회지 Vol.24 No.5

        본 논문에서는 25배 태양광 집광장치에 적용될 선형 프레넬 렌즈의 최적화에 대해 서술한다. 이 선형 프레넬 렌즈는 각기 다른 패턴을 가진 $10{\times}10$ mm 크기의 선형 프레넬 렌즈가 $5{\times}5$의 형태로 결합된 렌즈이다. 각 프레넬 렌즈는 같은 크기의 태양전지로 태양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최적화된 프레넬 렌즈의 설계치는 패턴높이 35 ${\mu}m$, 구배각 $4^{\circ}$, 모서리 라운드 1 ${\mu}m$로 각각의 선형 프레넬 렌즈에 모두 같은 값이 부여되었지만 사면경사각은 $14.1^{\circ}{\sim}31.2^{\circ}$로 각기 다르다. 이렇게 설계된 선형 프레넬 렌즈의 태양광 집광효율은 80%이상이며 기존의 25배 집광용 단일 프레넬 렌즈보다 오정렬 및 제작공차 측면에서 강력한 성능을 가진다. 설계된 선형 프레넬 렌즈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모서리 라운드가 1 ${\mu}m$씩 증가할수록 집광효율이 ~5%씩 저하되는 것을 파악하였고 이에 모서리 라운드가 최소한의 수치로 유지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combination of linear Fresnel lenses optimized for ${\times}25$ solar concentration. The combined lens consists of $5{\times}5$ linear Fresnel lenses. Each Fresnel lens is of $10{\times}10$ mm and optimized to tilt the incoming light onto a solar cell of the same size. All of the optimized Fresnel segments have the same pattern height of 35 ${\mu}m$, draft angle of $4^{\circ}$, and edge groove round of 1 ${\mu}m$ but with different facet angles varying from $14.1^{\circ}$ to $31.2^{\circ}$. The solar concentrating efficiency of the combination is shown to be over 80% and more robust than a conventional single ${\times}25$ circular Fresnel lens in terms of pointing misalignment and manufacturing errors. A sensitivity analysis finds that the edge groove round should be kept as small as machining allows since the concentrating efficiency drops ~5% per 1 ${\mu}m$ increase of the edge groove.

      • KCI등재

        입원 중인 비만한 조현병 환자에서 체중 감량이 비만관련 삶의 질, 신체 및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이지선,윤보현,송제헌,시영화 대한정신약물학회 2012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3 No.4

        Objectivezz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weight reduction program designed for schizophrenic patients. It’s effects were assessed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the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emotional and physical wellbeing of the patients. MethodszzFifty-one obese schizophrenic inpatients were enrolled in a 12-week, randomized weight reduction program. Thirty-two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intervention group in which they received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 Nineteen patients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y received the usual clinical inpatient treatments.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Quality of Life Scales such as Short Form of Medical Outcome Study (SF-36),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KOQOL) and Korean version of Body Weight, Image and Self-Esteem Evaluation Questionnaire (B-WISE-K) were evaluated during 12-week period. All assessments were done at baseline, 4, 8and 12 week.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comparisons were done to compare the group differences from baseline at each visit. ResultszzSixteen of 32 (50%) patients in intervention group and 12 of 19 (69.4%) patients in control group completed this study. We found significant group by time interaction effects in weight, BMI and waist circumferences (p<0.05, respectively). The weight changes from baseline to 8 week and 12 week were significant in post-hoc comparisons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p<0.05 and p<0.01, respectively). The changes of BMI and waist circumference from baseline to 12-week were also significant in post-hoc comparisons (p<0.05). After completion of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ubjective estimates such as physical component summary of SF-36, and total scores, psychosocial heath, physical health and diet of the KOQOL, and total scores of B-WISE-K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Thes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12-week of treatment in post-hoc comparisons (p<0.05, respectively). ConclusionzzThe weight reduc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weight loss in schizophrenic inpatients. In addition, it might improve the subjective estimates such as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and weight-related body image in schizophrenic inpatients. 본 연구는 12주간 시행된 체중감량 프로그램이 입원 중인 조현병 환자에서 체중감소의 효과와 함께 비만관련 삶의 질, 그리고 체중과 관련된 신체상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51명의 비만한 조현병 입원환자들을 12주간 시행되는 체중감량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군(시행군: n=31)과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는 대조군(n=19)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체중, BMI와 SF-36, KOQOL, B-WISE-K와 같은 주관적인 평가 질문지를 프로그램 시행 전, 시행 후 4주, 8주, 12주에 평가하였다. 모든 평가는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시행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BMI, 그리고 허리둘레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시행 후 12주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시행군은 대조군에 비해 SF-36의 Physical Com-ponent Scale, KOQOL의 총점, Psychosocial Health, Physi-cal Health 및 Diet의 소척도, 그리고 B-WISE-K의 총점에서 유의하였으며, 역시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 시행 후 12주에서 유의하였다. 그러나 시행군은 대조군에 비해 KOQOL의 Diet 소척도에서는 주관적인 삶의 질이 악화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체중감량 프로그램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체중과 관련된 삶의 질과 자아상을 포함한 주관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향후 체중감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조절과 관련한 환자들의 불안,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치료 초기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체중증가로 인한 환자들의 고통을 경감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개입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요인

        남석현,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박형종,이지선,Nam, Seok-Hyun,Yoon, Bo-Hyun,Sea, Young-Hwa,Song, Je-Heon,Park, Suhee,Park, Hyungjong,Lee, Ji Se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4 정신신체의학 Vol.2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식이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 : NES)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201명의 조현병 환자들을 14 문항의 자기보고 형식인 야간식이증후군 설문지(Night Eating Questionnaire : NEQ)로 평가하였다.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과 체 질량 지수(BMI)을 조사하였고, 주관적인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 관련 삶의 질에 대해서는 각각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inge Eating Scale(BES)와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 증후군의 유병률은 10.4%(201명 중 21명)이었다. NES 군과 non-NES 군간에 나이를 제외하면 인구사회학적 및 임상적 특성, BMI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ES 군이 Non-NES 군에 비해 보다 우울했고, 수면과 폭식 양상, 체중 관련 삶의 질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장애를 나타냈다. '아침 식욕부진'과 '지연된 아침식사'(NEQ에서 NES 핵심 항목 5개 중 2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야간 섭식', '야간 식욕항진' 그리고 '기분/수면'은 NES 군에서 더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NES의 유병률과 관련 요인에 대해 기술한 최초의시도이다. 비록 NES와 비만과의 연관성은 밝히지 못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NES가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night eating syndrome(NES) and its correlates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Methods : The 14 items of self-reported night eating questionnaire(NEQ) was administered to 201 schizophrenic patients in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We examine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ody mass index(BMI), subjective measures of mood, sleep, binge eating, and weight-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inge Eating Scale(BES) and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 respectively. Results : The prevalence of night eaters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was 10.4%(21 of 201). Comparisons between NES group and non-NES group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status and BMI. Compared to non-NES, patients with NES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depressed mood and sleep disturbance, more binge eating pattern, and decreased weight-related quality of life. While 'morning anorexia' and 'delayed morning meal'(2 of 5 NES core components in NEQ) were not differed between groups, 'nocturnal ingestions', 'evening hyperphagia', and 'mood/sleep' were more impaired in NES group. Conclusions : These findings are the first to describe the prevalence and its correlates of night eaters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S has negative mental health implications, although it was not associated with obesity. Further study to generalize these results is required.

      • KCI등재

        정신과 교대근무와 주간근무 간호사에서 수면의 주관적 및 활동기록기 평가의 비교

        곽준,윤보현,전봉희,시영화,송제헌,박수희,김경민,정하란,정유란,박진형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7 정신신체의학 Vol.25 No.2

        Objectives:Shiftwork is known to be one of the common causes of sleep and health problems and finally causes the decrease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leep patterns of shiftworking and daytime psychiatric nurses using actigraphy and compare it with subjective assessment for sleep. Methods:Twenty-three shift-working and 25 daytime nurses were enrolled. They rated their sleep quality us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and other self-rating scales were measured for psychosocial aspects. Actigraphy was applied to the subjects for a total of 7 days to measure the sleep parameters. They also wrote sleep diaries during the period of wearing actigraphy. Sleep-related parameters of actigraphy, global score and components of PSQI, and the results of other self-rating scales were compared between shift-working and daytime nurses. Results:Although the global score of PSQI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e PSQI compon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shift-working nurses showed lower sleep quality, more sleep disturbance and hypnotic medication use, and worsened daytime dysfunction than daytime nurses. The shift-working nurses showed significantly shorter total time in bed and total sleep time, lower sleep efficiency, and longer average awakening time than those of daytime nurses in actigraphy. Conclusions:The results showed that shift-working nurses experienced more sleep disturbances i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aspects of sleep than daytime nurse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ctigraphy may be useful to measure the objective aspects of sleep that are difficult to assess with subjective questionnaires alone. 연구목적 교대근무는 수면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와 연관이 있고 결국에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상현장에서는 주로 대상자의 주관적인 보고에 의하여 수면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을 주관적인 수면평가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를 통해 주간근무자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교대근무 간호사 23명과 주간근무 간호사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SQI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평가하였고 기타 자기보고척도를 이용하여 정신사회적 측면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수면을 측정하기 위해 활동기록기를 총 7일간 착용하도록 하였고, 그 기간 동안 수면일지를 함께 작성하였다. 교대근무군과 주간근무군간에 활동기록기의 수면변수, PSQI 총점과 구성요소 그리고 자기보고척도로 평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PSQI 총점은 양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PSQI 구성요소 중에서 교대근무군이 유의하게 수면의 질(C1)이 나쁘고, 수면장애(C5)와 수면제 사용(C6)이 많으며, 주간기능장애(C7)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기록기로 측정한 수면변수에서 교대근무군이 주간근무군에 비해 유의하게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과 총 수면시간이 짧으며, 수면효율이 떨어지고, 평균각성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교대근무 간호사가 주간근무 간호사에 비해 주관적 수면평가 및 활동기록기를 통한 객관적 지표 모두에서 수면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활동기록기가 수면장애를 평가하는데 있어 주관적 설문만으로는 측정이 어려운 객관적 수면변수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정유란,윤보현,오은주,송제헌,박수희,정하란,김문두,백만기,손은락,정자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5 신경정신의학 Vol.54 No.4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orkers and mental health. Methods Subjects were 133 workers at a regional statistics office. Occupational str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mental health were examined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Ways of Coping Checklist, and The Symptom Check-List-90-R. Stress coping strate¬gies were composed of problem-focused coping, social support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wishful thinking coping. Results Moderated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social support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mental health i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orkers. The social support coping style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nflict (KOSS subscale) and mental health i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orkers. The emotion-focused coping style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KOSS subscale) and mental health i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orkers. The emotion-focused coping style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KOSS subscale) and mental health i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orker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d that negative results due to high occupa¬tional stress can be varied by use of suitable stress coping strategies.

      • KCI등재

        5년 동안 추적한 만성 조현병 환자에서 대사증후군의 예측인자

        조재길,윤보현,전봉희,박수희,송제헌,정하란,홍계현,Joe, Jae-Gil,Yoon, Bo-Hyun,Jeon, Bong-Hee,Park, Su-Hee,Song, Je-Heon,Jeong, Ha-Ran,Hong, Kye H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회복을 위해 5년 동안 추적이 가능한 만성 조현병 환자에서 대사증후군의 변화와 예측인자를 조사하였다. 방 법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추적이 가능하며 동의서에 동의한 107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Revis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NCEP-ATP III)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을 정의하였다. 결 과 추적 관찰 기간 동안 22명(20.5%)의 환자가 새롭게 대사증후군에 진단되었고 14명(13.1%)는 대사증후군에서 회복되었다. 77명(66.4%)은 변화가 없었다(대사증후군이 있는 환자:34명[31.8%], 대사증후군이 없는 환자 : 37명[34.6%]). 복부둘레와 중성 지방이 대사증후군의 유무가 변화된 환자들에서 중요한 인자였다. 다른 변수를 통제한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여성(OR=2.846, 95% C.I. 1.020-7.942), 1달에 1회 이상 외래 방문(OR=3.155, 95% C.I. 1.188-8.379), 항우울제 병합치료(OR=3.991, 95% C.I. 1.048-15.205)가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항정신병 약물의 종류나 용량은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결 론 만성 조현병 환자에서 약제의 변경 및 용량조절보다 증상에서의 회복과 건강한 생활 습관이 대사증후군에 중요하다. Objectives : To investigate changes in, and predictors of, metabolic syndrome(MetS) status over a 5-year period i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vention of or recovery from MetS. Methods : In total, 107 patients, all of whom provided written informed consent, were followed from 2011 to 2016 at Naju National Hospital for this study. MetS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revis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guidelines. Results : During follow-up period, 22(20.5%) patients were newly diagnosed to MetS, 14(13.1%) were disappeared, 77(66.4%) were not changed[MetS : 34(31.8%), No MetS 37(34.6%)]. Common significant factors in the two changed groups were triglyceride and waist circumference, not dose and type of antipsychotic medicat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emale gender(odds ratio[OR]=2.846, 95% confidence interval[CI] : 1.020-7.942), attending two or more outpatient visits per month(OR=3.155, 95% CI : 1.188-8.379) and taking antidepressant medication(OR=3.991, 95% CI : 1.048-15.20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confounding variables. Type and dose of antipsychotic medicat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S. Conclusions : Triglyceride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important manageable indicator of MetS. Adoption of a healthy lifestyle is more important than adjusting the dose or type of antipsychotic medicatio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ith MetS.

      • 전자광학 카메라 미러용 소재로서의 CFRP 특성

        김영수,장정균,김지헌,송제헌,한정열,나자경,김광동,이다교,남욱원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인공위성 카메라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인 미러는 주로 열팽창률이 작은 유리나 세라믹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Beryllium, SiC, 알루미늄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가볍고 열팽창률이 작으며 단단하여 쉽게 깨지지 않는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는 훌륭한 미러의 소재가 될 수 있다. 관건은 CFRP 표면 형상을 나노정밀도로 가공하는 데 있다. 이 발표에서는 다양한 미러 소재에 대해서 살펴보고, CFRP의 제작방법에 대해 논한다. Mirror is a key part of satellite cameras, and is made by glass or ceramic materials of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Beryllium, SiC, alluminum, etc are sometimes used as mirror substrates. CFRP may be an excellent mirror substrate as it has low CTE, light weight, hard, and non-brittle properties. The matter is whether the CFRP mirror can be fabricated to the nano-level accuracy on its surface form. In this presentation, various mirror materials are reviewed and the aspects of the CFRP mirror fabrica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