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박정희 시기의 헌법 정신과 내용의 해석

        박명림(Park Myung Lim) 역사비평사 2011 역사비평 Vol.- No.96

        The Park Chung-hee era in South Korea showed us the very contradictory co-existences between the constitutional infringements of the regime and the harsh oppression through constitution and law from above. Then without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constitution, we cannot comprehend that age at all. Above all, the May 16th military Coup d’etat constitution in 1962 was made by the non-elected military officers, bureaucrats and scholars without participation of any popular representatives. The coup constitution did not consist of any constituent of democratic legitimacy. It also reduced the scale of the parliament very much, resulting in the breach of the separation of power. Moreover it transformed the basic principle of economic system from social justice and balanced national economy to economic freedom and innovation of the individuals. This change was really fundamental. Yushin constitution in 1972 also lacked the democratic legitimacy by being made the non-elected very few bureaucrats from above. Moreover Park regime informed North Korea on the top secret of making the new constitution in advance. The Park regime itself negated the nominal cause of anti-communism and unification of making the new constitution. It was so paradoxical and self-contradictory. In addition, in order to justify the dictatorship, it transformed the essential identity of the Republic from ‘democratic one’, founded in 1948 at the time of state building, to ‘liberal democratic one by distorting the original conception of ‘the free and democratic basic order’. South Korea is still under the strong influences of the Park Chung-hee era, especially constitutionally-embedded institutional and socio-economic system. At least, viewing from aspects of the basic identity of the state, the scale of the parliamentary and its relations with the president and the power sepa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economic system, South Korea keeps on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Park Chung-hee era. Then, in order to develop the quality of democracy there, it needs to cope with the critical negative legacies of the Park era constitu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초기 헌정체제와 민주주의

        박명림(Myung-Lim Park)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1

        민주화 이후에도 여전히 헌정체제 변경논의가 한국정치의 핵심의제의 하나임에 비추어 한국의 헌정체제는 아직 안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1948년 최초 건국헌법의 기원, 등장, 특정, 영향을 밝히는 작업은 한국민주주의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48년 건국헌법은 미국의 점령보다는 거시적인 한국 헌법혁명의 영향을 훨씬 더 크게 받았다. 세 번째 헌법혁명 이라할 건국헌법은 첫째 1895년 홍범14조(洪範十四條)와 1889년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 둘째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이라는 일련의 헌법혁명을 통해 탄생한 것이었다. 건국헌법의 뚜렷한 특징은 오늘날의 제3의 길에 버금가는 노선을 보여주었다는 점이었다. 특히 그것은 대통령 책임제와 내각책임제 사이의 혼합정체(mixed government) 및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동시에 지양한 사회적 시장경제(social market economy) 노선에 충실한 것이었다. 건국헌법은 사회적 시장경제 노선은 성공하였으나 혼합정체 실험은 실패, 이후 한국의 민주주의가 대의민주주의가 아닌 국민민주주의로 귀결되는 큰 부(負)의 유산을 남기고 말았다. 1950년대 한국의 정치는 민주주의의 두 전통인 국민민주주의와 대의민주주의의 전형적인 경쟁구도를 보여주었고, 이는 이후 한국정치의 한 특징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한국에서 둘 중 더 지배적인 민주주의 양태는 국민민주주의였는바 이는 국가와 시민사회의 직접적인 관계형성 및 정면 충돌, 그에 따른 권위주의 체제의 격변적 종식의 반복 양상으로 귀결되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origins, rise, and peculiarities of constitutionalism and constitutional politics in South Korea. It also focuses on the unique relations between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development in Korea. The rise of constitutionalism in Korea can be traced back to mid-19th century. From that time on, there have been at least two constitutional revolutions; the Fourteen Point Great Plan in 1895 and the Great Korean State in 1889, an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1919. The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 in 1948 might be a third constitutional revolution. The 1948 Constitution was so unique in which consisted of the two distinctive traits of mixed government between presidential system and parliamentary system, and social market economy between capitalist market economy and socialist planned economy. The latter was so successful, but the former was not. Based on constitution, South Korean land reform showed the world an epoch-making success. However, mixed government was shortly transformed into the plebiscitarian mode of rule rather tha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n, it laid the foundation of authoritarian regime in Korea. Plebiscitarianism so often has an elective affinity with authoritarianism. Under the plebiscitarian democracy, because the state and civil society make the direct relations, the intermediate levels of them, for instance political parties, become so weak. Forming the direct relations of them, it pave the way of conditions of both strong state and strong civil society, and their ensuing direct collision.

      • KCI등재

        4월혁명과 5·16군사쿠데타에서 미국의 역할

        박명림(Myung-Lim Park) 역사비평사 2015 역사비평 Vol.- No.113

        In South Korea, the two historicalincidents,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and the May 16thcoupd’étatin 1961 were the very critical moments of political transformation. Especially the policy and role of America about the release of the Korean military in these two events was always questionable and controversial.Some newly declassied documents revealed the hidden facts. In the April revolution, surprisingly the U.S. agreed to release Korean Army in suppressing popular uprising. Moreover CIA of the U.S. they have had a plan to mobilize and to instigate the KoreanArmy for military coup even under the apex of the student uprising. Then, nevertheless Washington knew the coup signs in advance, they did not take any initiative of defeating of dissuading the coup drive. Then, at the time of May 16th coup, the U.S.’s choice of con in short term, but pro in concluding was neither unexpected nor neutral. It was fully expected and acceptable from American side. Upon that the U.S. has had the two options simultaneously between stopping the coup and stirring it, in order to defend the democratic government Prime Minister John M. Chang must have fought against the coup-led military and the USA as well. But he did neither move resolutely nor take any determined counter-coup effort, but just leaning to and waiting for the US action to quell down the coup and to save his constitutional government.It was one of the worst choices of him.

      • KCI등재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 ; 사회국가 그리고 민주헌정주의 -민주주의의 한국모텔 을 위한 시론

        박명림 ( Myung Lim Park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6 기억과 전망 Vol.15 No.-

        민주화 20년을 맞아 이제 우리는 한국 민주주의의 성취와 과제를 냉정하게 진단하고 성찰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무엇을 이루고 무엇을 이루지 못하였는가? 87년체제와 97년체제의 두 국면으로 분리 가능한 87년 6월항쟁 이후 한국민주주의는 탈군사화-문민화, 참여와 시민권의 확대, 민주적 게임 룰의 확립, 권력분립의 정착과 같은 커다란 성취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한국은 구조적 안정성을 자랑하면서 민주주의 이행과 공고화의 한 모범으로 자리 잡았다. 동시에 한국의 민주주의는 급격한 시장화, 지역균열심화, 사회경제적 양극화 및 파폐화, 이념갈등의 심화, 탈(脫)정당화라는 심각한 내용적 문제점을 함께 노정해온 것이 사실이다. 제도적 차원에서 볼 때 한국의 민주주의는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통치 사회로의 이행이 심각한 정도로 진행되고 있다. 게다가 분점정부의 반복, 헌법의제의 지속적 등장 및 미해결과 이로 인한 정부능력저락, 대통령 및 정당책임(제)의 실종, 정당역할의 위축과 정치주체의 4원화(정당, 시민단체, 사법부, 언론) 역시 한국 민주주의의 주요 특징으로 부상하였다. 노동에 대한 배제도 지속되고 있다. 이상의 요인들로 한국의 민주주의는 사회성, 민주성, 효율성, 책임성, 헌법적 제도적 안정성에서는 만족할 만한 성취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 해법은 사회국가와 민주헌정주의/민주법치주의의 결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국가건설을 통해 국가의 적극적 역할을 통한 시장화와 양극화를 극복한 복지사회를 실현하고, 민주헌정주의를 통해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통치사회를 넘는 민주국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국가와 민주헌정주의는 결국 현 단계 한국 민주주의의 질을 높이기 위한 양대 핵심과제요 비전이랄 수 있다. 민주헌정주의의 구축에는 민주성·효율성·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헌법개혁을 통한 현행 헌법질서와 제도·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제도적 수술이 포함된다. 분단국가의 한계를 고려할 때 사회화와 민주화의 심화를 위한 프로젝트의 하나로서 평화화 역시 필수적 과제가 된다. 사회화, 민주화, 평화화의 3대 과제의 결합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는 한국사회에 민주국가, 법치국가, 사회국가, 평화국가, 생태국가가 어우러진 바람직한 민주사회를 건설할 수 있지 않을까 상념하게 된다. 곧 그것은 민주주의를 통한 한국사회의 인간화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론과 실천의 양면에서 민주주의의 한국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하나의 걸음을 떼어놓을 수 있을 것이다. What has South Korean democracy showed the world about its positive and negative achievements? South Korea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untries in economic and democratic development in the world. In some points it is true, but in others it isn`t. For the last 20 years after the June Struggle in 1987, SK illustrated so great achievements such as rapid demilitarization, wide expansion of civic participation and citizenship, consolidation of free and democratic competition, and separation of power···etc. Meanwhile, it turned out the extraordinary growth of market power in politics and policy-making process, intensification of regional cleavage, socioeconomically and ideologically extreme polarization, quick decrease of political party`s role and influence. On the institutional level, South Korea is now on the stage on making a rise of so called juristocracy/courtocracy and judicialization of politics. Moreover the followings are also distinctive features of South Korean Democracy; continuation of divided government and political gridlock, continuous recurrence of significant constitutional problem under the democratic government, institutional-constitutional lacuna of presidential and parry accountability, gratuitous enlargement of political role and influence of civic groups, judiciary, and press rather the political party, and exclusion of labor class. Then, Korean democracy lacks some ingredients of democratic development, institutional-constitutional stability,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The answer to these problems is a combination of social state in contents and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in institu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ocial state, democracy in Korea will overcome the negative legacies of market-dominated polarization and pave the way for a welfare society. For this project, state should play a definite role of social policy. Through the project of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democracy led by civil society and representatives will cope with the structural limits of constitutional democracy and juristocracy. Then, South Korea needs a fundamental constitutional reform as soon as possible.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also keeps and accelerates the process of social state construction. Ultimately democracy is a project for a human development and emancipation. Through the art of consorted mixture of social state,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and peace-making, we can finally start building a Korean model of democracy in theory and in practice.

      • KCI등재

        한반도 평화협정과 한반도 영구평화: 평화협정 전문과 목표·이론·내용·과제의 축조해설

        박명림 ( Myung-lim Park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정치 Vol.38 No.1

        본고는 현재의 정전협정을 대체하는 한반도 평화협정안을 조문별로 제시하고, 이를 위한 상세한 이론적, 제도적, 실천적 설명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정전체제의 평화체제로의 전환, 그리고 북미관계의 정상화라는 세 과제의 동시 실현을 통한 한반도 영구평화의 경로를 모색한다. 평화협정의 당사자로는 한국, 조선, 미국, 중국의 4국을 제안한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전쟁상태와 정전상태는 물론 북핵체제 역시 종식되며, 종전선언은 평화협정의 한 조문으로 포함된다. 한국과 조선은 동등한 권리를 갖는 주권국가로서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한 정상관계(正常關係)로 설정된다. 한반도에서 핵무기와 무력사용은 영원히 금지되며, 한반도 평화관리 남북공동위원회, 한반도평화관리 국제조정위원회, 한반도 핵통제공동위원회가 항구적 평화를 담보한다. 비무장지대는 평화지대로 전환되며, 구역별로 평화와 화해와 치유의 모범적인 장소로 역할한다. 인도적 문제는 전후처리 특별위원회를 설치하여 해소한다. 평화협정에 저촉되는 내부 법률과 규정들은 자율적으로 개정하도록 한다. 그러나 평화협정은 동맹을 포함한 타국과의 조약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주한미군은 역내 균형자로서 계속 주둔한다. 한반도 비핵화의 진전에 조응하여 한국 및 미국과 조선은 각각의 수도에 차례대로 연락사무소, 상주대표부, 공식 대사관을 개설한다. 안보 대 안보의 접근방법이다. 조선 및 중국의 유엔과의 정전상태의 예외적인 장기 지속 역시 종식된다. 요컨대 한반도 평화협정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한반도문제와 국제관계의 비정상성과 적대상태를 포괄적이며 동시적으로 일괄 해소하는 첩경인 것이다. This paper suggests the full-fledged draft of the Korean Peace Agreement, with very detailed explanations,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s of a perpetual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East Asia. This Peace Agreement with the concrete articles aims to end completely both the Armistice Agreement in 1953 and the state of armistice as well. With implementing the Agreement upon the consents of the direct Parties, -South Korea, North Korea, the USA, and China, ultimately it will pave the way of achieving the three-folded goal,-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eace regime, and the U.S.-DPRK diplomatic normalization simultaneously. The key point is the mutual recognition of the two Koreas as a complete sovereign state. Then, the building of stable peace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pursue of unif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Demilitarized Zone must be transformed into the Peace Zone as a global symbolic zone of Pax Consortia and Pax Condominia. With the gradual development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process, South Korea and the USA will exchange by stages the liason offices, the standing representatives, and the official embassies with North Korea, at the capitals of the three countries. Signing the Korean Peace Agreement, North Korea and China also will end the exceptional state of armistice with the UN. In sum, the Korean Peace Agreement is the most critical cornerstone for ending conclusively all the long-standing hostilities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Korean War.

      • KCI등재
      • KCI등재

        탈냉전기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

        박명림(Park Myung-Lim),지상현(Chi Sang-Hyun)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4

        이 연구는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을 대통령 시기의 김대중을 사례로 분석한다. 탈냉전 이후 비교적 선명한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을 보여준 김대중에게 한국문제는 곧 지역문제였다. 1971년 대선 때부터 주창해 온 4대국 안전보장론은 지역문제 및 국제문제로서의 한국문제인식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이후 1동맹(미) 3우호(중ㆍ일ㆍ러)체제 구상으로 발전하여 집권 이후 한국과 동아시아 문제를 다루는 기본 틀이 된다. 김대중은 4대 지역강국과 모두 원만한 국제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역협력을 통해 한국문제에 접근하고자 했다. 집권 이후 김대중의 지역인식은 구체적인 구상과 정책으로 나타난다. 먼저 미국을 동아시아 역내 국가로 인식하여 클린턴 정부와의 협력관계를 구축, 한국문제와 동아시아 지역질서에 대한 공동보조를 취하였다. 또한 그는 박정희 이래 가장 적극적으로 일본을 포용한 한국 지도자였다. 오부치 총리와 한일 공동 코뮤니케를 발표하고, 일본문화 개방에 앞장섰을 뿐 아니라 전후 최초로 일본 해상 자위대와 공동 훈련을 실시하는 등 긴밀한 한일협력관계를 구축하였다. 중국과도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공동노력에 합의하고, 경제협력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구축하였다. 건국 이래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 지지를 얻는데도 성공한다. 김대중 시기 한국은 외환위기를 맞아 활성화된 ASEAN+3 논의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동남아시아를 중국과 일본과 함께 동북아의 확고한 협력대상으로 인식하고 활용하였던 것이다. 김대중 시기 한국의 지역구상은 비교적 관점에서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먼저 미국을 역내 국가로 인정하고 활용하려했다는 점에서 역내의 마하티르(말레이시아), 리콴유(싱가포르) 등의 구상과의 일정한 차별성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은 중-일 사이에 위치하고 북한과 대치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지역구상이 경제영역에 한정될 수는 없었다. 즉 김대중의 지역구상에는 안보영역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또 동남아와 동북아를 긴밀히 연결하려 했다는 점에서도 특징적이었다. 그러나 김대중의 지역협력 구상은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였다. 첫째, 다양한 역내 협력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역협력의 제도화나 기구 창설과 같은 뚜렷한 결과물을 만들어내지 못하였다. 둘째, 취임 이전부터 존재했던 4자회담과 같은 틀을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다자주의를 제도화하지 못한채 한미, 남북, 한중, 한일관계와 같은 전통적인 양자접근 방식에 치중했다. 셋째, 한반도 문제의 지역화 구상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김대중 정부가 추진한 한국문제 해결노력 중 가장 중요한 성과물인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에서 국제ㆍ지역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원칙은 배제되었다. 대신에 민족과 자주가 강조되었다. 이렇듯 지역주의 구상을 다자주의 기구나 제도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주변 4대국과의 양자관계적 협조와 지지에만 의존한 결과 미국에서 정권이 교체되자 상황은 극적으로 변전되었다. 결국 김대중의 지역협력ㆍ지역주의 구상은 그 선견성과 적극성에도 불구하고 다자주의 대신 양자주의 강조, 한국문제에서의 지역ㆍ국제접근 대신 민족ㆍ남북 우선 접근, 제도화보다는 리더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의 특성을 보임으로써 궁극적인 성취에는 이르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말았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Kim Dae-Jung’s perception, idea and cooperative strategy of East Asia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As a president of South Korea from 1998-2003, Kim suggested very distinctive configurations of regional perceptions and ideas of cooperation relating to the Korean problem. Above all he pursued a ‘de facto’cooperative security system about the Korean question. According to him, the Korean question has been a regional and international problem for a long time. Then, without the cooperation and assurance of the neighboring powers, Korea’s security and development would not be possible and stable. The Korean-American alliance is the key pillar of all the external relations. To him, the USA is an East Asian power. Based on the ROK-US alliance, he strengthened the close cooperation in economics, culture, trade, and security with China, Japan, and Russia, striking distinction from the cold war period. He laid the foundations of security guarantee with China, Japan, and Russia without weakening the strong alliance with America at all. Also,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East Asia Kim Dae-Jung suggested various governances, structures, and frameworks of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and multilateral solidarity. In doing so, firstly, he tried to embrace the US as an East Asian country in order to check and balance the neighboring countries, secondly to connect North East Asia and South East Asia especially in economics and trade, and thirdly to construct an East Asian community ultimately. However, Kim’s idea showed significant limitations. In spite of suggesting many ideas of regional cooperation, he failed to establish some pertaining institutions or institutionalized templates. Secondly, he definitively preferred and continued the way of bilateral approach rather multilateral one in dealing with the Korean question, also preferred leadership to institution. Then multilateralism would not be institutionalized and stabilized on the Korean issue. Finally, about the North Korean issue, national value and approach was more central than the regional and global ones to him.

      • KCI등재

        헌법개혁과 한국사회

        박명림(Myung-Lim Park)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09

        오늘날 한국사회는 OECD 최고 수준의 갈등을 노정하고 있다. 그 이유는 사회갈등의 제도화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의 모든 갈등은 제도로 수렴되지 않고 제도 밖에서 직접 표출된다. 이는 거의 전적으로 정부의 규모, 구성원리, 절차를 포함한 헌법적 요인으로 부터 발생한다. 대표기구와 의회의 크기는 인구규모에 비해 너무도 작다. 게다가 권력은 모두 대통령 일인에게 집중되어있어, 이른바 초대통령제로 불릴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은 전체 유권자의 1/3 정도의 지지로 당선되고 있다. 극적인 모순인 것이다. 대통령은 정책결정, 인사, 예산, 감사권을 거의 독점한다. 반면 의회는 적극적 정치를 수행하지 못하고 소극적 정치만을 담당하고 있다. 투표율도 OECD 최하 수준이며, 게다가 가장 놀랍게도 산 표와 죽은 표의 비율은 거의 동일할 정도로 유권자의 의사는 정부와 대표에게 절반도 전달되지 않고 있다. 표의 등가성은 철저히 왜곡되어 득표율과 의석률은 현저한 부등가성을 노정하고 있다. 대의민주주의라고 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인민의사의 비례적 반영이 현저히 낮은 것이다. 이에 한국사회는 민주주의가 법치와 헌정체제를 규정하도록 전면적인 헌법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다. 인민의 의사와 대표의 숫자는 철저히 비례적으로 등치되어야하며, 의회규모는 현재보다 2~3배 이상 확대되어야 한다. 권한 역시 크게 증대되어야 한다. 반면 대통령의 권력은 권력분립의 원칙에 따라 현저하게 약화되어야한다. 대통령 결선제를 통한 유권자 절반 이상의 지지확보, 선거 연령 18세 인하도 갈등완화에 중요한 요소다. 필자는 4권분립 정부를 제안한다. 즉 행정부를 둘로 나누어 입법-사법-행정-감독부의 4권분립 정부형태를 구성한다. 감독부에는 인권보호, 검찰, 감사, 선거, 공정거래, 금융감독 기구들을 배치한다. 나아가 이들 부서의 책임자는 호선제, 또는 추첨제를 도입하여 대통령의 임명권을 약화시킨다. 나아가 입법부-행정부-감독부 사이에는 절반의 중첩 거버넌스를 도입하여 이른바 반대통령제 혼합정체를 구현한다. 또한 의회규모를 넘어 투표율과 노조조직률 역시 현재보다 대폭 확대되어 인민의 밑으로부터의 의사를 제도를 통해 최대한 반영하도록 노력한다. 의회규모, 투표율, 노조조직률의 이들 세 지표가 높을수록 갈등은 현저히 완화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