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병환(Mun, Byung-Hwan),이상미(Lee, Sa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시 S유치원 만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을 실시하 였으며, 통제집단은 박물관 견학 사후활동으로 미술활동, 이야기나누기 활동 등을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각 집단 간 사후점수에 대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 단보다 문제해결력과 하위요소인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공감능력과 하위요소인 불안, 기쁨, 심적부담, 슬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박물관 견학 토론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감능력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토론활동이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 of visit to the museums discussion activities on kindergarteners problem-solving ability and empathy ability. The subjects of study were 40 students(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 20) in 2 classes of 5-year-old children in S kindergarten in G-City. The preliminary experiments, teacher training,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The visit to the museum experience led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and the children to explore in the museum so that they could observe and appreciate the exhibits. After experiencing the museum directly,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experience,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rt drawing activities. Data analysis included the measurement was analyzed through MANOVA, on mean values in the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o applied discuss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visit to the museums experience were more influential by kindergarteners problem-solving ability, Suggest and apply ideas for problems, Discovery and tatement of problem, and Conclusion of problem solving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t i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o applied discussion activities connected with visit to the museums have subordinate elements of experience were more influential by empathy ability, unrest, pleasure, Mental burden and sadness. the findings suggest that can be used as a teaching metho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ers problem-solving ability and empathy ability.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문병환 ( Byung-hwan Mun ),김동례 ( Dong-re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J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유아교사의 인식과실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 변인 간 만족도는 χ2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연계교육은 타인과의 관계이해와 함께 살아가는 능력 확대를 위해 필요하며,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풍부한 경험획득을 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운영주체는 부모, 원장, 교사, 지역사회 기관 모두이며, 지역사회 연계교육 문제점은 지역사회 자원부족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연계교육 실태에서 운영횟수는 월1회, 1시간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연간교육 계획안에 통합과 지역사회와 관계형성하기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연계교육 실시 운영, 효과, 기관정보 만족도는 유아교사의 연령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운영만족도는 기관유형별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as well as its current, and for this purpose,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J Province were surveyed. From the collected data,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current state were presen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with the χ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augmenting abilities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and that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is effective because children can have rich experiences using community resources.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stake holders are all of the parents, institution directors, teacher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and that the lack of community resources is a problem in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Second, the most preferred form for a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class was to meet once a month, for an hour or less per class, with integration into an annual education plan, and a plan for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community. Third, th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class was run, its effects, and institution information was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and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 class was conducted was different also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With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인쇄물 개념 및 읽기·쓰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문병환(Mun, Byung-Hwan),이상미(Lee, Sa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인쇄물 개념 및 읽기 쓰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시 I유치원 만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의한 언어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5월 8일부터 6월 29일까지 1주에 2회, 8주간 16회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에 대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인쇄물 개념과 하위요소인 상급인쇄물 개념, 인쇄물 관례, 인쇄물의 순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읽기흥미와 하위요소인 읽기에 대한 즐거움, 읽기의 가치 및 중요성, 읽기에 대한 자기효능감 그리고 쓰기흥미와 하위요소인 쓰기에 대한 흥미, 쓰기의 가치 및 중요성, 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환경 인쇄물이 유아의 인쇄물 개념과 읽기·쓰기 흥미를 촉진시킬 수 있는 언어활동임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환경 인쇄물을 언어교육 매체로 활용할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 of Literacy Activities with Using Environmental Print on Young Children s Concepts about Print and Reading and Writing interests. The subjects of study were 40 students(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 20) in 2 classes of 5-years-old children in I kindergarten in G-City.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teacher training,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Experimental groups performed language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prints,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language activities by using native language processes. Data were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ANCOVA)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using environmental print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control group in terms of concepts about printed, subordinate element of advanced print concept, printed convention, and order of prints. Second, it i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the effect of reading literacy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he pleasure of reading, the value and importance of reading, the self-efficacy of reading and writing interest, and the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nvironmental prints are a language activity that can promote the concepts about print of young children and the reading and writing intere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ill be the basic data to use environmental prints as a medium for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 기후소양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문병환(Byung hwan Mun),김세루(Se Ru Kim)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기후소양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 교육 및 기후소양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얻어진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도구개발 절차에 따라 도구개발 계획수립, 문항구성, 예비조사 및 본 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영역과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문항 시안을 구성하였다. 시안은 유아교육 교수, 환경교육 교수, 유아교사 등이 1차 및 2차 예비문항 타당도와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문항구성의 적합도와 내용타당도 검증 및 요인분석 과정을 거처 수정 및 보완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520명이며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3개 영역의 6개 요소 30문항의 검사도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 기후소양 검사도구는 문항양호도인 문항반응 분포, 문항 변별도, 검사도구의 구성타당도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총점과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검사도구의 문항 내적일치도 신뢰도 등을 분석한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측정도구로서의 안정성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 climate literacy. To achieve this, a scale development plan, question composition,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were developed based on a survey of previous research on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climate literacy. The areas and components to measure were selected, and a question draft was constructed. The final questions were select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o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wo rounds of preliminary question validation and preliminary surveys. They were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by verifying the suitabilit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 compos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2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a scale comprising 30 questions across 6 elements in 3 areas. The scale developed for meas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limate literacy in this study confirmed appropriate reliability and validity after analyzing its item response branch, item discrimination, and construct validity.

      • KCI등재

        다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결혼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문병환(Mun, Byung-Hwan),이상미(Lee, Sa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다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결혼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에 거주하는 다문화 여성 325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 전체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 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결혼행복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는 결혼행복감 전체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결혼행복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문화 여성에게 사회적 지지를 해줌으로써 사회구성원으로 결혼행복감을 느끼며 자아존중감을 높여 대한민국 문화 및 사회적으로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는 다문화 여성 정책을 계획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on their self-esteem and marital happiness. Study subjects were 325 multicultural women in J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and their self-esteem.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usband s support, Korean friend s support, homeland friend s support and other s meaningfu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steem, whereas homeland family s support had negative effects on self-esteem. An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and their marital happiness.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usband s support, parents-in-law s support and other s meaningfu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couple s satisfaction and familial satisfaction. Since study findings present the fact that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steem and marital happin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cial support to multicultural women, thus making them feel marital happiness as a community member in Korea and well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 this vein, study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work out an appropriate policy for multicultural women.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이 자아존중감과 교직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문병환(Mun Byung Hwan),조은정(Cho Eun Ju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이 자아존중감과 교직 헌신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8곳의 2, 3, 4학년 253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과 자아존중감, 교직 헌신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과 자아존중감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과 교직헌신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및 교직 헌신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예비교사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지원 활동과 함께 교직을 수행하기 위한 교직 관련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ffects their self-esteem and teacher commitment,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self-esteem and teacher commitment in detail. For this purpose, data on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self-esteem, and teacher commitment were collected from 253 students in their 2nd, 3rd or 4th year sampled at eight 4-year universities in G City,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self-esteem and teacher commitment was different among the sub-areas of self-esteem and teacher commi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to strengthen pre-service teacher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in order to enhance their self-esteem and teacher commitment. Furthermore, they imply that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ce teachers' self-esteem and teacher commitment needs to be raised through the support of programs for the performance of the teaching job along with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uplifting their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창의성과의 관계

        김세루(Se-Ru Kim),문병환(Byung-Hwan M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18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166명을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기주도 학습능력, 창의성을 평정하도록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정 적상관이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영 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창의성은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도 정 적상관이 나타났다. 창의성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해 사회적 지지가 유아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창의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에게 의미있는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및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요구되며 효율적인 교수를 실현시키기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The subjects consisted of 166 teacher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eachers. Furtherm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s are reliable predi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reativity of teachers. Furtherm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s are reliable predictors of creativit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indicate that we nee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through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에 따른정서조절 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차이

        노은아 ( Eun Ah Roh ),문병환 ( Byung Hwan M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에 따라 정서조절 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8곳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24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카이제곱과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정은 Dunca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가 높은 "상"집단에서 놀이장소는 교실 내 흥미영역에서 놀이시간은 실내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에 따른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요소 불안정/부정적 정서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소 애착, 주도성, 자기 통제는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진 반면,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문제행동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s differences between the assessments of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ego-resiliency found through analyzing the rough and tumble play of two hundred and forty-six 5 year-old children at 8 kindergartens in G city. The data, analyzed using χ2 test, ANOVA, yields the following results: 1) the children with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rough and tumble play engaged in it on the playing field, during play time in classroom interest centers and indoor free-choice activity time; 2) children with high frequency participation also demonstrated more negative emotions, which reference as a low ranking element on emotion regulation competency scales; 3) as well, attachment, initiative and self-control have low rankings in ego-resiliency for the frequent participants in rough and tumble play; 4) however, high participation in rough and tumble play is directly proportionate to ego-resiliency while problem behaviors are inversely re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