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종설 :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의 기능 보존

        도준영 ( Jun Young Do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3

        Peritoneal membrane shows progressive thickening, fibrotic changes and neovascularization with time on PD. Peritonitis, uremia and bioincompatible dialysate solution are important causes of peritoneal fibrosis in CAPD patients.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EMT) is one of the important etiologic factors for the peritoneal fibrosis in CAPD patients. Low GDP group showed less EMT than conventional PD group. Adjustment of peritoneal growth factor for dialysate CA125 reveal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MT suggesting that fibroblastoid transition from HPMC could be affected by the amount of intraperitoneal VEGF per unit mass of HPMC.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degree of EMT and D-CA125 at 6th and 12th months after switching from high GDP solution to low GDP solution. Application of icodextrin solution showed preservation of the peritoneum, like less EMT and high mesothelial bulk mass. In conclusion, therapy with low GDP solution including icodextrin may positively impact on preservation of the peritoneal membrane via reduced EMT. (Korean J Med 74:235-242, 2008)

      • KCI등재후보

        안정된 복막투석 환자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임상양상 분석

        최준혁(Jun Heuk Choi),김동한(Dong Han Kim),김정미(Jeong Mi Kim),이상원(Sang Won Lee),박종원(Jong Won Park),도준영(Jun Young Do),윤경우(Kyung Woo Yoon)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4

        목적 : 복막투석이 유용한 신 대체요법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향후 그 빈도는 증가될 것으로 예측됨으로 안정된 상태로 복막투석을 시행 중인 환자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겠다. 방법 : 저자들은 검사 시작 전 3개월 전부터 검사 기간 동안 복막염이 없었던 안정된 상태의 복막투석 환자에게 잔여 신 기능, 주간 Kt/V를 포함한 투석 적절도, 한시간 투석액 대 혈청 소디움, 한외 여과량, 소변량, 표준 단백 이화율(nPCR), 혈청 알부민, 투석액 내 CA125 등을 모두 시행하고 어느 시기에 마지막 추적 검사를 마친 54명의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남자가 30명이고, 평균나이 51세이며, 13명이 당뇨 환자였다. 검사는 복막투석 시작 후 평균 5.8개월 및 31.3개월에 시행하여 평균 검사간격 25.5개월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t-test와 ANOVA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통계처리 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결과 : 1) 조사 기간 중 유의한 체중 증가(59.6±10.9 vs. 62.7±10.6 kg, p<0.01: 연 평균 2.9 kg)를 보였고 소변량(746±620 vs. 285±335 mL, p<0.01) 및 잔여 신 기능의 감소(2.61±2.78 vs. 2.02±2.73 mL/min, p<0.05)를 보였다. 2) 조사 기간 중 높은 잔여 신 기능을 유지한 군의 단백 섭취량이 높았으며(nPCR: 1.09±0.30vs. 0.89±0.16 g/kg/day, p<0.01) 주간 Kt/V도 유의하게 높았다(2.49±0.66 vs. 1.97±0.40, p<0.01). 3) 당뇨병군이 나이가 더 많았으며(58±6 vs. 49±13 years, p<0.05) 지속적으로 혈청 알부민이 유의하게 낮았고 투석액 내 CA125 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최종값 당뇨병군 17.34±6.84 U/mL, 비당뇨병군 28.04±19.08 U/mL, p<0.01) 4) 초기에 혈청 알부민이 낮았던 군(3.7 g/dL 이하)은 같은 시기의 4시간 후 투석액 대 혈청 크레아티닌 비가 높았으며(0.68±0.11 vs. 0.59±0.12, p<0.01) 투석 기간 경과에 따라 혈청 알부민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와 동반되어 4시간 후 투석액 대 혈청 크레아티닌 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평균 주간 Kt/V가 2.0 이하였던 군은 처음부터 잔여 신 기능이 유의하게 적었으며(1.64±1.66 vs 3.33±3.32 mL/min, p<0.05) 투석 기간에 따른 연간 체중 증가가 적었고(1.28±3.93 vs. 4.11±5.09 kg/yr, p<0.05) 평균 소변량도 적었다(339±332 vs. 646±445 mL, p<0.01). 결론 : 복막염이 없는 안정된 상태에서 복막투석을 시행하는 환자로 시간 경과에 따라 체중 증가와 잔여 신 기능 감소 소견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잔여 신 기능이 높은 군에서 nPCR 및 wKt/V가 더 높았으므로 잔여 신 기능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복막투석 환자의 임상 양상을 호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추정되며 잔여 신 기능 유지를 위한 더욱 적극적인 노력이 중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has become firmly established as an effective mode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linical courses in stable CAPD patients. Methods : Fifty-four patients were analyzed with residual renal function (RRF), adequacy of dialysis (such as weekly Kt/V), urine volume, 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nPCR), serum albumin and dialysate CA125. We retrospectively compared the changes of several indices at mean 5.8 months and mean 31.3 months after initiation of CAPD. Results : During CAPD,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59.6±10.9 vs. 62.7±10.6 kg, p<0.01: 2.9 kg/year) but RRF (2.61±2.78 vs. 2.02±2.73 mL/min, p<0.05)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ime. Higher RRF group showed higher nPCR (1.07±0.36 vs. 0.89±0.15 g/kg/day, p<0.01) and higher weekly Kt/V (2.49±0.66 vs. 1.97±0.40, p<0.01). DM group showed lower dialysate CA125 (17.34±6.83 vs. 28.03±19.08 U/mL, p<0.05) and lower serum albumin. From the beginning, hypoalbuminemic patients showed higher 4hr (D/P)Cr (0.68±0.11 vs. 0.59±0.12, p<0.05). Serum album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4hr (D/P)Cr (r=-0.308, p=0.008). Conclusion : Stable CAPD patients showed weight gain and decrement of RRF with time. And better RRF group showed better clinical indices (nPCR, wKt/V). We can conclude that maintaining of RRF will be important to keep better clinical courses of CAPD patients. Further study (including effect of peritonitis)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the clinical courses of CAPD patients.(Korean J Med 63:411-420, 2002)

      • 지속적외래복막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Mycobacterium abscessus 에 의한 출구 감염 및 농양 1예

        정선영 ( Sun Young Jung ),나지훈 ( Ji Hoon Na ),조규향 ( Kyu Hyang Cho ),박종원 ( Jong Won Park ),도준영 ( Jun Young Do ),윤경우 ( Kyeung Woo Yun ),송인욱 ( In Wook Song ),조정환 ( Jeong Hwan Cho ),손창우 ( Chang Woo Son ) 영남대학교 기초/임상의학연구소 200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6 No.2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s are a rare, but clinically important cause of infections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patients. This is typically suspected when a patient does not respond to treatment with the usual antibiotics. We describe here a case of Mycobacterium abscessus exit site infection with abdominal wall abscess formation that was associated with CAPD, which required peritoneal catheter removal, surgical debridement of the abscess and long term antibiotic therapy.

      • KCI등재후보

        복막투석 환자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혈액과 투석액의 렙틴의 변화에 대한 연구

        박종원 ( Jong Won Park ),도준영 ( Jun Young Do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2

        목적: 혈액 및 복막투석환자에서 고렙틴혈증과 체지방과의 연관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복막투석 환자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체지방의 변화와 투석액의 렙틴 농도와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는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복막투석환자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체지방 및 렙틴 농도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본원에서 2001년 5월 이후 복막 투석을 시작한 신환 중 1년 동안 경과가 관찰된 52명을 대상으로 복막투석 시작 후 2주와 12개월에 체성분을 측정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생화학적 검사, 요소 동력학 모형의 측정, 복막 평형 검사, 투석액으로부터 당의 흡수량, 혈장과 투석액의 렙틴, 혈관내피성장인자와 잔여 신기능 등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과: 1. 복막투석 후 1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세포외액율은 19.17±2.37에서 17.81±2.01 (%)로, 제지방은 46±9에서 44±8.2 (kg)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체지방(fat mass)은 13.7±6.3에서 17.4±6.8 (kg)으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2. 복막투석 후 1년의 시간 경과에 따라 S-leptin은 15.38±15.15에서 24.6±23.43 (ng/mL)으로, D-leptin은 4.14±4.68에서 8.50±9.53 (ng/mL)으로, 각각 59.9와 105.3(%)씩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1), D-VEGF도 104.7±44.5에서 113.6±5.0 (pg/mL)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3.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남녀 모두에서 체지방(각각 12.3±4.1에서 16.3±4.4, 15.3±7.9에서 18.7±8.7(kg), p<0.001), S-leptin (각각 7.53±4.42에서 13.42±11.97, 24.8±18.01에서 38.01±26.87 (ng/mL), p<0.05) 및 D-leptin (각각 1.95±1.94에서 4.66±6.56, 6.63±5.63에서 12.88±10.3 (ng/mL), p<0.05)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D-VEGF의 차이는 없었다. 당뇨병 유무에 따른 변화로는 당뇨병군에서 유의한 체지방(13.4±6.1에서 17.7±7.1 (kg), p=0.002), S-leptin (14.05±10.76에서 27.1±24.19 (ng/mL), p=0.002) 및 D-leptin (4.22±4.47에서 8.9±10.12 (ng/mL), p=0.006)의 증가가 있었다. 4. 복막투석 첫 1년 동안 체지방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nPCR (beta-coeff=-6.559, p=0.032), D/P4 Cr(beta-coeff=-18.139, p=0.049), 복막을 통한 포도당 흡수량 (beta-coeff=0.073, p=0.003), 복막투석을 시행 기간(beta coeff=1.936, p=0.003) 등이었다. 5. 복막투석 첫 1년 동안 S-leptin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당뇨병(beta-coeff=5.591, p=0.03), 체지방율(beta-coeff=2.364, p=0.000), hs-CRP (beta coeff=-3.451, p=0.000) 등이었다. 또한, 복막투석 첫 1년 동안의 D-leptin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D/P4 Cr (beta coeff=20.299, p=0.000), 체지방율(beta-coeff=0.254, p=0.011), S-leptin (beta-coeff=0.285, p=0.000) 등이었다. 6. 복막 투석 첫 1년 동안 D/S leptin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D/P4 Cr (beta-coeff=1.172, p=0.000), 체지방율(beta-coeff=0.007, p=0.008), 복막투석을 시행한 기간(beta coeff=0.034, p=0.022), D-VEGF (beta-coeff=0.001 p=0.001) 등이었다. 7. 복막투석 첫 1년 동안의 D-VEGF의 변화량과 D/S leptin 변화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480, p=0.001)가 있었다. 결론: 현재 대부분의 복막투석 환자에서 사용 중인 투석액의 고농도의 포도당은 투석의 시간 경과에 따른 체지방의 증가와 관련되며, 체지방의 증가는 혈액 및 투석액의 렙틴 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해 복부내장지방을 직접 측정하는 연구와 복막투석액의 주된 삼투 물질로 비포도당을 사용한 전향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at mass and the serum and dialysate leptin among CAPD patients with time. Methods: 52 patients were enrolled. The S- and D-leptin and BIA were measured at the 2nd week and the 12th month after initiation of PD.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fat mass, but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ECF% and lean body mass at the 12th month after initiation of PD (p<0.01, respectively). 2)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leptin, D-leptin and D-VEGF at the 12th month after initiation of PD (p<0.00, respectively). 3)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fat mass, S-leptin and D-leptin at the 12th month after initiation of PD in both males and females, according to the gender (p<0.0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tiology,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fat mass, S-leptin and D-leptin in the diabetic patients (p<0.001, respectively). 4)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fat mass during the first 1 year were nPCR, D/P 4hr Cr, glucose absorption via the peritoneal cavity and the duration of dialysis (p<0.05, respectively). 5)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S-leptin during the first 1 year were diabetes, % fat mass and the hs-CRP (p=0.05, respectivel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D-leptin were D/P4 Cr, % fat mass and the S-leptin (p<0.05, respectively) 6)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D/S leptin during the first 1 year were D/P 4hr Cr, % fat mass, hs-CRP, the duration of dialysis and the D-VEGF (p<0.05, respectively) 7)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lta D-VEGF and delta D/S leptin during the 1st year. Conclusions: Increased leptin levels of serum and dialysate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fat mass in PD patients with time.(Korean J Med 73:131-141, 2007)

      • SCOPUSKCI등재

        복막 투석 환자에서 도관 관련 감염 및 복막염에 대한 Mupirocin 과 Catheter Revision 의 효과

        정항재(Hang Jae Jung),도준영(Jun Young Do),윤경우(Kyung Woo Yoon),박준범(Jun Bum Park),조규향(Kyu Hyang Jo),김정미(Jung Mi Kim),최준혁(Jun Heuk Choe),김영진(Yeung Jin Kim) 대한신장학회 200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19 No.3

        N/A Background: Exit site/tunnel infection causes con-siderable morbidity and technique failure in CAPD patients. We presently use a unique revisio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ESl/TI in CAPD patients and mupirocin prophylaxis for high risk patients. Methods : We reviewed one hundred-thirty nine CAPD patients about the ESI/TI from Qctober 1993 to February 1999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t the beginning of the ESI, we usually started me-dications with rifampicin and ciprofloxacin and then changed the antibiotics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test. If the ESI had persisted and there were TI symptoms(purulent discharge, abscess lesion around exit site), we performed catheter revision(external cuff shaving, disinfection around tunnel and new exit site on opposit direction) with a combination of proper antibiotics. We applied local mupirocin ointment at the exit site three times per week to the 34 patients who had the risk of ESI starting from October 1998. Results : The total follow-up was 2401 patient months(pt.mon). ESI occurred on 105 occasions in 36 out of 139 patients, and peritonitis occurred on 112 occasions in 67 out of 139 patients. Cumulative incidence of ESI and peritonitis was 1 per 23.0 pt.mon and 1 per 21.6 pt.mon. The most common organism responsible for ESI was Staphylococcus aureus(26 of 54 isolated cases, 43%), followed by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MRSA)(13 cases, 24%). Seven patients (5: MRSA, 2: Pseudomonas) had to be treated with a revision to control infection. Three patients experienced ESI relapse after revision. One of them im-proved with antibiotics, while another needed a second revision and the remaining required catheter removal due to persistent MRSA infection with re-insertion at the same time. But, there was no more ESI in these 3 patients who were received management to relapse(The mean duration : 14.0 months) The rates of ESI were more reduced after using mupi-rocin than before(l per 12.7 vs 34.0 pt.mon, p<0.01). Conclusion: In summary, revision technique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refractory ESI/TI before catheter removal. Also local mupirocin ointment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ESI.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