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1운동 직후 재조일본인 여성의 조선 표상과 신경쇠약 : 『경성일보』 현상문학 후지사와 게이코의 『반도의 자연과 사람』을 중심으로

        김효순(Kim, Hyo-su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

        본 논문에서는 1922년 『경성일보』가 5천호 간행 기념으로 실시한 현상소설 당선작인 후지사와 게이코의 『반도의 자연과 사람』을 중심으로, 3.1운동이라는 식민지 현실에 노출되어 신경쇠약과 불안감에 사로잡힌 재조일본인 여성의 반도의 자연과 사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해 왔다. 후지사와 게이코의 『반도의 자연과 사람』은 3.1운동이후 약 3년이 지난 시점에서 사이토 총독의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된 현상소설인 만큼, 식민지 문화정책이라는 목적을 반영하여 3.1운동을 상대화하고자하는 시각을 드러낸다. 즉 야스코는, 분수를 모르고 기회주의적이라는 재조일본인 남성의 조선인 인식과는 달리, 독립운동을 하는 조선인들을 조선의 위정자와 대중을 구별하여 잘 못된 것은 위정자이지 대중이 아니라고 하며 조선인들에게 호의와 신뢰를 드러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야스코의 호의와 신뢰는 3.1운동 발발 소식을 접하고 조선인들의 방화를 경험하며 품게 된 공포와 불신, 거부감으로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야스코의 조선의 사람이나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 대한 감정의 혼란은, 강원도 고성의 대자연에 대한 감정과도 조응하는 양상을 띤다. 그녀에게 춥고 긴 고성의 자연은 외부 문명과 단절된 채 생존을 위협하는 척박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이와 같은 조선의 사람과 식민지 현실, 자연에 대한 야스코의 불안과 공포는 3.1운동 이후 봄이 되며 극에 달해 전형적인 신경 쇠약 증세로 발현되고, 급기야는 환영과 환청, 과대망상 증상을 보인다. 요컨대 식민지 군속이나 관리, 경찰 등 식민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도한한 남편들을 따라 가부장제에서 강조하는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에 밀려 어쩔 수 없이 도한한 평범한 일본의 가정주부들에게 있어 신경쇠약 증상은, 내선융합이라는 식민지문화정책의 실현이라고 하는 식민지 주부로서의 책무와 삶에 위협을 가하는 식민지 조선의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신경 반응의 은유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은 신경쇠약이 일본 남성 지식인들의 경우에는 피상적이고 급속한 근대 문명에 대한 신경의 반응을, 식민지 조선의 남성들의 경우는 거기에 더해 식민지적 현실에서 오는 무력한 신경의 반응을, 신소설의 조선 여성이나 번안 소설의 일본 여성의 경우에는 봉건적 가부장제 사회의 억압에 대한 신경의 반응을 각각 은유했던 상황과는 구별되는, 평범한 재조일본인 여성들 특유의 상황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In order to establish Japan’s colonial policies in Korea, many Japanese men moved to the peninsula in the early period of the occupation to serve as civilians in the army and the police, or in government. Many of their spouses naturally followed them to Korea, in line with the patriarchal ideal of the dutiful wife. These Japanese wives often suffered from anxiety and fear caused by the tension between the colonial policies of the time and the practical problems of living in Korea. Based on Hujisawa Keiko’s Keijo Nippo Prize-winning novel, “Nature and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published in the 5000th issue of “Keijo Nippo”, this article examines the anxiety and neurasthenia -a form of combined fatigue and emotional vicissitude that can arise in fraught circumstances- of these women and their view on the natural environment of Korea and of Korean society under Japanese rule, especially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In the novel, the protagonist Yasuko expresses her fondness for and trust in Korean politicians and the general public, despite the prevalent idea among the male Japanese characters that Koreans are opportunistic and untrustworthy because of their attempts to gain independence from Japan. However, after the March 1 Movement and an arson attack by Korean nationalists, Yasuko starts to feel fear, mistrust, and repulsion towards Koreans. Her emotional struggle chimes with her percep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Goseong in Gangwon province. Yasuko experiences the long, cold winter there as a barren, lifeless period that shuts her off from the rest of the world. Her mistrust and fear of Koreans deepens her despond in the fa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se emotions manifest themselves as symptoms of neurasthenia such as delusion and paranoia. This condition among these Japanese housewives symbolizes the trauma of individuals in the midst of the political turmoil that accompanies the policies of the ruling Japanese. This representation of neurasthenia highlights the emotional instability that was commonplace among Japanese housewives in Korea at the time. However, the neurasthenia of these women is distinct from other cases depicted in literature such as that seen among Japanese men react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of Korean men displaying their helplessness while living under Japanese rule, and of Korean and Japanese women responding to the patriarchal oppression of societ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기업에서의 노동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효순 ( Hyo Sun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으로 사회적 기업에 참여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노동경험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따라서 사회기업에 참여한 12인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역량강화 구성요인에 관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Giorgi의 질적 연구방법에 따라 범주화를 시도한 결과, 5개의 구성요인과 15개의 하위 구성요인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적 기업 활동을 통하여 문제가 발생하여도 해결할자신이 생기고, 공동체 속에서 자기 자신은 누구인지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동료들을 이해하며 한국인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참여하는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안이나 활성화 방안의 도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본 연구결과는 추후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발에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ork experience of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working in the social enterprise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welve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Giorgi`s qualitative method. This study provides five construct factors and fifteen sub-construct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working in the social enterprises have seen themselves objectively in community and have understood their fellow workers and finally have been observed to get themselves trying to live significant lives. Therefore, this study results help with deduction of various development policies and activating strategy for social enterprises where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are working. And also this research results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empowerment program for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3.1운동과 호소이 하지메(細井肇) 감수 「홍길동전」번역 연구: 홍길동 표상과 류큐정벌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김효순 ( Hyo-sun Kim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翰林日本學 Vol.0 No.28

        본 논문에서는 호소이 하지메가 감수한 일본어번역 「홍길동전」의 번역의 주체, 목적, 번역의 방법, 등장인물의 성격, 서사 구조 등을 살펴보았다. 「홍길동전」은 비록 초벌번역은 백석중이라는 조선인에 의해서 번역되었지만, 실제로 《통속조선문고》를 기획하고 「홍길동전」이라는 번역대상을 선택하고 그것을 해설하여 소개하고 결말 부분의 류큐 에피소드의 개작 부분은 호소이 하지메의 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감안하면 그 번역 주체는 호소이 하지메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호소이 하지메는 1919년 3.1운동과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주창 이후 변화된 국제정세와 일본의 식민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여, 3.1운동을 일으킨 조선의 민족성을 분석함으로써 원활한 식민통치와 경영을 위한 정보, 자료를 확보하고 내선일체나 동근 동조론 등과 같은 식민지배의 이데올로기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속조선문고》를 기획하였다. 따라서 내용상 중국에 대한 조선인의 사대주의와 유교의 폐해를 비판하고 중국과는 구별되는 조선의 언어나 문화, 풍속 등을 소개하거나, 당쟁이나 탐관오리의 전횡을 기록한 서적의 번역을 통해 조선의 지배자들의 부패상과 모순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바로 「홍길동전」은 작가 허균이, 당쟁과 전쟁으로 백성이 생활고에 시달리던 시대서얼차별이라는 신분제도의 모순과 유교사회의 폐해를 비판하고, 이상국가 건설의 의지를 구현한 작품이라는 측면에서, 호소이 하지메의 기획의도에 정확히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번역과정에서 이상과 같은 작가 정신을 구현한 홍길동의 인물상은 원작 그대로 번역된다. 즉 일본어 번역본의 홍길동 표상을 보면 한국어 원문과 마찬가지로, 천비의 배에서 태어나 호부호형을 하지 못 하며 차별을 받는 유교적 신분제 사회의 폐해에 대해 자각한 인물이며, 그가 조직한 활빈당은 지방 토호와 탐관오리 그리고 파렴치한 조정의 소인배들을 징계하여 빈민을 구제하고자 하는 조직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3.1운동이라는 민족 독립 운동을 탄압하고 조선민족 지배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있는 그대로의 홍길동을 소개할 수는 없었다. 호소이 하지메는 「홍길동전」의 권두에」에서, 홍길동을 권모술수에 능하고 극악무도한 강도로 소개하고, 그 활빈당을 본받아 활동한 의병들의 독립운동은 일본제국의 ``근대의 합리적 정치의 혜택``으로 인해 백성의 고혈을 약탈하지 못 하게 된 조선 근대지식인들의 반항이라 해석한다. 그리고 1919년 3.1운동과 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확산되는 국제정세 속에서 대만, 류큐, 조선의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허균의 이상국가 율도국을 류큐처분에 의해 오키나와현으로 편입된 류큐로 표상하며, 형제의 나라 부모의 나라로서 우호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결국, 호소이 하지메는 「홍길동전」번역에 있어, 조선의 사대주의와 유교의 폐해를 비판하고, 조선 지배층의 부정과 부패를 드러내고자 홍길동과 활빈당 표상은 원작에 의지하고, 해설에서는 실존인물 홍길동이나 의병활동의 역사에 근거하는 모순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제정세를 의식하여 동아시아 주변 국가의 지배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원작의 이상향 율도국을 과감하고 노골적으로 류큐로 표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홍길동전」번역에서 드러나는 이와 같은 호소이 하지메의 모순적 태도는《통속조선문고》시리즈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1920년대 일어난 조선문학,문화 붐의 실상과 허상의 한 측면을 드러낸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translated version of Hong-Gildong Jeon supervised by Hosoi Hajime, focusing on its purpose, representation of main characters and narrative structure. Hosoi Hajime planned the publication of "Popular Paperbook of Korean", as a reaction to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affairs and Japanese colonial policies following the March 1stmovement and Wilson``s promotion on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The purpose of "Popular Paperbook of Korean" was to analyze Korean peoplehood underlying the March 1stmovement, as a means of attaining information that can facilitate the colonial rule and of developing colonial ideologies such as the policy of "Korea and Japan as One", or the policy of "Korean-Japanese Common Ancestor". This resulted in the contents that criticize the negative aspect of Korean society such as Korean flunkeyism to China, the failure of Confucianism, political strife, and corruption of government officials. Hong-Gildong Jeon wa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in that the author Heo-Kyun intended to express criticism of Korean Confucianism in his work. He achieved this by criticizing the irrationality of the status system illustrated by discrimination against sons of concubines in the poverty-stricken nation and manifested the will to establish an ideal nation. Thus, the original character of Hong Gildong and his acitivity in Hwalbindang remained intact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On the other hand, in ``Preface to Hong-Gildong Jeon``, Hosoi Hajime introduced Hong-Gildong as a skillful and atrocious bandit, based on the real history of Hong-Gildong``s activity. And Hong-Gildong interpreted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civil armies following the activity of Hwalbindang as acts of modern Korean intellectuals who defied Japanese Empire for stopping them from exploiting the innocent people of Korea. Additionally, by representing Yuldo Nation as Ryukyu, he intended to justify Japanese colonization of Taiwan, Ryukyu, Korea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is self-contradictory attitude of Hosoi Hajime is evident throughout the whole series of "Popular Paperbook of Korean", as seen in the translation of Hong-Gildong Jeon, show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fad for Korean culure in the 1920``s.

      • KCI등재

        1940년대 대동아공영권 구상과 남양민족의 아시아성 : 이토 겐(井東憲) 저 『남양의 민족과 문화』의 질병·기형으로서의 혼혈과 인종주의

        김효순( Kim, Hyo-su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6 No.-

        본 논문에서는 이토 겐의 『남양의 민족과 문화』에 나타난 대동아공영권 구상과 남양민족의 아시아성이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토에게 남양의 제민족은 육체적으로는 ‘피’로 이어진 아시아민족이라는 친연성을 지닌 존재이고 정신적으로는 ‘미소기=청결’을 추구하는 아시아 정신으로 묶여 있는 존재이다. 이토는 이와 같은 남양을 비롯한 아시아의 제민족의 혈연적 유대와 정신은 유태인을 중심으로 한 서구 제민족의 침입에 의해 기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시아 민족의 혼혈은, 이민족 정복자 혹은 침략자의 이혈(異血) 혼입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고. 혼혈은 우연이 아니다. 그것은 서구인=유태인의 음모로 이루어진 것으로, 남양민족은 본래의 아시아적 성격을 상실하고 이민족(백인) 문화에 동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토는, 아시아 민족은 같은 ‘피’와 같은 아시아 정신을 공유하는 민족적 유대감으로 공동 대응해야 하고, 야마토 민족은 아시아 민족 중 가장 우수한 민족으로서 아시아 민족을 선도할 사명감이 있다고 하며 대동아공영권 확립을 주장한다. 우수한 아시아 민족의 대표 야마토 민족은 위기에 처한 남양 민족을 해방하고, 아시아 정신을 유지하는 것을 사명으로 알아야 하며, 다른 아시아 민족은 이에 협조, 동조해야 한다. 이것이 이토가 구상한 대동아 공영권의 요체이자 논리이다. 이와 같은 이토의 대동아공영권 논리에는 파시즘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었던 진화론이나 우생학을 바탕으로 하는 인종주의가 내재되어 있다. 『남양의 민족과 문화』집필 시기인 1940년은 일본에서 우생사상이 파시즘과 결합하여, 타민족의 절멸을 불사하는 나치의 강제불임법인 ‘단종법’을 모델로 한 「국민위생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시기였다. 이토는 이러한 나치의 우생 정책의 논리로, 유태인을 서구 제국주의의 배후 세력으로 상정하고 그를 대상으로 아시아 민족의 공동대응을 촉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토의 아시아 민족 인식은, 의식적으로 서구 백인들의 남양 인식을 배제하고, 아시아적 시각에서 남양민족의 전체상을 그렸다는 점에서는 남양의 민족과 문화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좌를 제공하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의식적으로 서구 백인들의 시각에서 벗어나 아시아적으로 남양에 대한 지식을 구축하고자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에서 논리적 근거로 활용한 것은 비과학적 진화론 혹은 우생사상이라는 서구의 학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토가 도출한 남양 민족의 아시아성과 그를 바탕으로 구상했던 대동아공영권은 논리적 모순을 노정시킬 수 밖에 없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prospect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the Asian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of South Sea as described in “People and Culture of South Sea” by Gen Ito. Ito perceived all peoples of South Sea as belonging in the same category as all other ethnics groups in Asia, physi-cally based on the “blood”, and mentally based on the pursuit of “Misogi (ritual of purification)”. Ito believed that the invasion by the West, mainly driven by the Jewish people, would disrupt this mental and physical bond that ties all Asians together. In his view, intermixing of the Asian and non-Asian races was an inten-tional consequence of the Western people infiltrating Asia. He argued that this was systematically planned by the West, especially the Jewish people, ultimately trying to assimilate the culture of South Sea to the Western culture, causing the people of South Sea to lose their Asia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speculations, Ito claimed that all Asians should unite against foreign invasion on the basis of their kinship and the Asian value of Misogi, and that the Yamato people of Japan, who are superior to the rest of Asians, are ob-liged to carry out the task of leading the rest of Asia. At the core of his prospect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was such idea that the Yamato peo-ple, representing the spirit of pan-Asia, should liberate the people of South Sea from the Western imperialism and that the rest of Asia should thus follow and cooperate. Ito’s idea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implies racism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 and eugenics, sharing its root with Fascism. In 1940, when “People and Culture of South Sea” was written, Japan established and enforced the “public hygiene law” that was inspired by the “sterilization law” of the Nazis. Ito accommodated Nazi eugenics to assume the Jewish people as the center of Western imperialism and urged a pan-Asian counteraction. On the one hand, Ito consciously rejected the West-centric view on the culture of South Sea and provided a holistic description of the people of South Sea from an Asian perspective, diversifying viewpoints on the culture and people of South Sea. On the other hand, he relied on Western ideologies such as the theory of evolution and Nazi eugenics in order to support his scheme of the Greater East-Asia Co-prosperity sphere. Ito’s agenda to preserve Asian identity of the peo-ple of South Sea and his idea of the Greater East-Asia Co-prosperity sphere thus elicits logical incoherence.

      • KCI등재

        중일전쟁 미담에 나타난 총후 여성 표상 연구

        김효순(Kim Hyo S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60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시기 전쟁과 관련하여 미담집 간행이 성행했던 상황을 정리하고, 『지나사변 총후미담 조선반도 국민 적성』(1938)을 중심으로 지원병제도의 실시와 총후 미담 기록의 주체와 미담 주체들의 성격, 그리고 총후 여성의 표상방법을 분석하였다. 이 미담집에는 계층, 지역, 민족, 성, 연령 등에서 주연적 존재였던 통치의 대상들을 전시 상황에서 천황의 신민으로 연대감을 형성하여 국가의 일원으로 편입시켜 전쟁에 동원하려는 식민 권력의 욕망과 국가 시스템에 주체로서 편입되고자 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욕망이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중일전쟁 발발과 지원병제도의 실시 단계에서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주체적인 존재가 아니라 보조적이고 종속적인 존재였던 여성들-기생을 비롯한 화류계 여성, 조추(女中), 간호부, 촌부(村婦), 노파 등-이 미담의 주인공으로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녀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가부장제하에서 모범적인 가정을 위협하는 존재로서 배제되어 왔던 존재들이었으나, 전시 하에서는 근면, 절약을 실천하는 성실한 총후 국민으로서, 이상적 여성으로 표상되었다. In Praiseworthy stories from the home front i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National loyalty in the Korean Peninsula (1938), there is an interplay between the desires of different agents. The colonial government tried to promote a sense of belonging and incorporate outcasts in terms of social class, gender, ethnicity, and age into society in order to make use of them in wartime. With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there was a lack of resources that required women to be more than good wives and wise mothers. Under these circumstances, women from different backgrounds, such as prostitutes, women from the countryside, nurses, and old women, who had been considered subordinate to others, started to feature as main characters in Praiseworthy stories. In the patriarchic system of the Japanese empire, those women had been perceived as a threat to the ideal representation of the family and therefore excluded from society. In wartime, however, they were ironically depicted as diligent home base civilians and female role models.

      • KCI등재

        카렐 차페크의 「R.U.R」번역과 여성성 표상 연구

        김효순(Kim, Hyo S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8 일본문화연구 Vol.0 No.68

        본 논문에서는 카렐 차페크작 『R.U.R』의 번역 박영희의 「인조노동자」한국어 번역의 과정을 재검토하고, 원작의 주제의식과 계급의식, 여성성이 어떻게 변용, 수용되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박영희는 스즈키 젠타로 역 「로봇」(金星堂, 1924)과 우가 이쓰오의 「인조인간(人造人間)」(春秋社, 1923)을 동시에 참조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R.U.R’을 ‘인조노동자’로 번역하게 된 경위를 확인함으로써, 박영희는 계급의식에 특별히 주목하여 작품을 번역했고, 이에는 프롤레타리아 작가로서의 문제의식이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주인공 헤레나의 인물상 표상 검토 결과, 원작에서 그녀는 근대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원리를 추구하는 기계문명과 과학만능주의가 초래한 파멸에서 인류를 구원하는 존재로서 인간을 인간답게 하고 인간의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인간성의 본질을 표상하는 반면, 박영희의 번역본에서는 아름다우면서도 동시에 정숙하고, 이성적이고, 자기희생적인 존재로서, 노동자해방운동에 적합한 여성을 표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박영희의 「인조노동자」번역에는 식민지 현실과 계급의 문제와 더불어, 젠더 표상문제도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t article examines 〈The Mechanical Laborers〉, Yeong-Hee Park’s Korean translation of 〈R.U.R.〉 by Karel Čapek. Yeong-Hee Park simultaneously referred to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original work, 〈The Robots〉(1924) by Suzuki Jentaro and 〈The Humanoids〉(1923) by Uga Itsuo. As a proletarian writer, Yeong-Hee Park translated the original title which stands for “Rossum’s Universal Robots” to 〈The Mechanical Laborers〉, motivated by his focus on class consciousness among a multitude of aspects presented by the original work. In the original work, Helena is seen as the savior who redeems mankind from destruction caused by the machine civilization and blind scientism of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and her femininity serves as the essence of humanness and life. Yeong-Hee Park, on the other hand, attempted to depict the ideal female leader of a proletariat liberation campaign through Helena, who is attractive, virtuous, rational, and selfless. 〈The Mechanical Laborers〉 thus contain controversial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studies as well as colonialism and class consciousness.

      • KCI등재

        일반논문 : 한일병합 전후 일본어잡지의 조선문예물 번역 연구 ;『조선(급만주)』『조선(만한)지실업』『조선공론』을 중심으로

        김효순 ( Hyo Sun Kim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3 翰林日本學 Vol.0 No.22

        本論文では韓日幷合前後に發行された『朝鮮之實業』(1905.5~1907.12)『朝韓之實業』(1907.12~1914.6), 『朝鮮(及滿州))』(1908.3-1941.1), 『朝鮮公論』(1913.4-1944.11)に揭載された朝鮮文芸物の?譯の樣相について?討した。その結果、以下のような事實が明らかになった。 第一、韓日幷合前後には植民政策の?現や統治上の便宜のため、朝鮮語??政策が實施され、それによってこの時期の日本語?誌には多樣な朝鮮文芸物が揭載された。第二に、朝鮮社會との交流、植民生活の定着に必要な情報を提供するため、朝鮮社會の?情、風俗、思想などが分かる朝鮮文芸物が?譯·揭載された。第三に、方法としては抄?や意?の方法が取られたことが分かった。特に『?韓之實業』の場合は、現?的に在朝鮮日本人だちの??、交易などに直接的に必要な情報を提供するために詳しい解?や分析をつける場合が多かった。第四に、『朝鮮(及?州))』には朝鮮文芸物を言語芸術としての認める考え方と共存していた。これは??の方法にも影響され、原文の言語の質をそのまま生かそうとする方法、すなわち原文を?記する、方言を生かす、韻律を生かすなど直?の方法を取っている。上記のようにこの時期?行された?誌は創刊の目的や時期によって、?譯された朝鮮文芸物の對象や方法などは違っているが、共通的に一九一四年以後は急に途切れてしまう。これは日本帝國の韓國支配が?化されるにつれ、日本語が韓語になり、普通學校における朝鮮語敎育時間が減少し、外國語としての朝鮮語を學習する必要性も減少することによって現れた結果だと思われる。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aspects of the translation of the literature in『Chosensijitsugyo(朝鮮之實業)』(1905.5~1907.12)『Mankansijitsugyo(朝韓之實業』(1907.12~1914.6), 『The Chosen(and)Manshu(朝鮮(及?州))』(1908.3-1941.1), 『Chosenkoron(朝鮮公論)』(1913.4-1944.11) which were issued in the period of Korea- Japan Merge.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observed. First, in the period of Korea-Japan Merge, Korean language policy was conducted on the purpose of colonial ruling, accordingly various literatures in this period were published in magazines. Second, many Korean literatures were transla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ettlement of colonial life and communicating with Korean society. Third, they adopted selected translation and meaning translation. Especially 『Mankansijitsugyo』provided a detailed analysis on the Korean literatures in order to provide the required information directly into the economy, trade activities of the Japanese in Korean. Fourth, in『The Chosen( and )Manshu』there was an awareness of Korean literature as language arts. This awareness made them try not to damage the value of the original version. Though those three magazines show many changes on traslation object, method, purpose. in the time of Korea-Japan Merge they issued many translation but after 1914, the traslation of Korean literature was sharply reduced. As Japan strengthening the Japanese domination of Korea, Japanese became official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training time is reduced and also reduced the need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 KCI등재후보

        태평양전쟁 하에서 의지하는 신체와 모방하는 신체-최정희의 『야국초』와 하야시 후미코의 『파도』를 중심으로-

        김효순 ( Hyo Sun Kim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3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6 No.-

        최정희와 하야시 후미코는 종군기자, 펜부대, 조선임전보국대 등의 활동을 통해 전쟁협력 활동을 했으며, 소설 창작을 통해 전쟁협력 논리를 확산시켰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동시에 양국에서 취해진 일제의 동원정책에는 차이가 있었고, 그만큼 그녀들의 후방소설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나고 있다. 우선 전쟁의 당위성에 대한 태도를 보자. 최정희의 「야국초」의 경우는 자신을 배반한 남자에게 복수하고자 하는 이유로 아들을 전쟁에 참가시키기로 결심하는 과정이 비중있게 그려진다. 이에 반해 하야시 후미코는 전쟁은 천황의 명령에 의한 신성한 전쟁으로 전제되고, 당연히 이겨야 한다는 사실만을 강조한다. 이는 일제가 조선에 대해 동화정책을 취하면서도 일본 순혈 보장을 위해 징병제를 실시하지 않는 배제정책을 취하다가 태평양 전쟁 발발이후 실시한 조선인 징병제의 논리적 타당성을 설명해야 했던 모순에서 온 차이라 생각된다. 둘째로 여성의 삶과 신체 묘사를 보자. 두 작품 모두 남성의 신체는 천황의 병사로서 늠름, 건강, 믿음직스러운 것으로 그려진다. 이는 천황의 명령으로 수행하는 전쟁의 정당성이 신체표현으로 구체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의 삶과 신체표현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야국초」의 여성은 위태로운 상황에서 남편 혹은 아들이 손을 잡아주어야 하는 나약한 신체를 소유한 존재로 그려진다. 그러나 「파도」의 여성은 전쟁의 격화에 따라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의 부족이 심각해지는 상황에서도 자활을 추구하며, 상이군인 애인을 받아들이는 강인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것은 전시하라는 비상상황에서 ‘건전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사야마의 가르침을 받아 그 강인한 신체성을 모방하고자 하는 것으로,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주체적 존재의 실현까지는 가지 못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정희와 하야시 후미코의 작품에는 태평양 전쟁 하에서 한일 양국에서 일제가 취한 동원정책의 차이에 따른 여성들의 삶의 태도를 그녀들의 신체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Choi Jung Hee and Hayashi Fumiko both participated in the war cooperation activities. They also both created the home rear novels and spread the ideology of war cooperation. Also, becaus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obilization policies of the Japanese Empire, those differences are reflected in these two novels. First of all, let`s look at the justification of the war. Choi Jung Hee`s Wild Chrysanthemum uses a bulk of the story in conveying the process of how a woman decides to send her son to war: she does this due to realistic reasons. Contrarily, Hayashi Fumiko unravels her story on the premise that this war is a sacred war carried out by the orders of the Emperor. Naturally, the fact that they must win the war is the only thing that is being emphasized in her novel. This difference can be seen to derive from the fact that Japan had to prove the validity of drafting Korean men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when before that, they had enforced an exclusion policy in order to keep the bloodline of the Japanese military pure, although they were implementing assimilation policies in other areas. Secondly, let`s examine how the women`s lives and bodies are described in each work. Both novels paint a picture of the men who participate in the war as having a manly and trustworthy body as the Emperor`s soldiers. The narrator of Wild Chrysanthemum is a person who must have men hold her hand when she is faced Abstract with a crisis. That is, she is portrayed as a woman who must depend on men. On the other hand, Kuniko pursues a selfsupporting life even though there is a serious lack of manpower and material resources. She also shows strength when she accepts her boyfriend who came back from war. She is but copying his strong male body. Therefore,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bilization policy the Japanese Empire implemented in Korea and Japan influenced the women`s attitude towards their lives and bodies are represented in Wild Chrysanthemum and Waves.

      • 구조적 가족치료의 임사사례 적용에 관한 연구

        김효순,김헌수,박인호,민병근 中央醫學社 1989 中央醫學 Vol.54 No.8

        Today, throug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civilization of Korean society, the Korean family structure has been shifting from extended family structure of the past to nuclear family structure. This changing trend has had great effects on family structure and health of family members in aspects of body and mind. Family therapy has shown a rapid development in the developed countries since 1950 and there has been 5 important theories; the psychoanalytic family therapy theory of Nathan Ackerman, Bowen's family system theory, the communication theory of Satir, Minuchin's structural family therapy, and Haley's strategic family therapy theory. This study proposes the solution of fundamental problem of family member's mental health caused by unbalance of family structure. Minuchin's theory recognized of its practical appropriateness and popular usage, was selected and applied to hospitalized mental patients to verify its applicability in Korean family structure. After the comprehensive review of Minuchin's family therapy, the case analyses approach through the Minuchin's structural family therapy is appl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randomly selected, five families of psychiatric patients in university medical center who do not have hereditary disease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and patient with motivation for therapy have shorter remedy period and few frequency of family therapy than family and patient without it. Second, in Korean society having patriarch system, the father has more influence on children than the mother. Therefore, the more father takes up a positive attitude, the more Minuchin's theory is effective. Third, in usual family structure, the family therapy is mor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the defected family that undergo divorce or separation is less effective. Fourth, the technique of reframing, joining, reality challenging, tasks were very effective. Finally, in proportion to individual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parent's educational level, economical level, etc., the therapy effects are different.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y that the Minuchin's family therapy model is appropriate in adapting to practically clinical cases. The further study is to develop family therapy model that is suitable to various flexible family stru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