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음사이의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분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김효숙,Kim Hyo-Suk 대한음성학회 1997 말소리 Vol.33 No.-

        Korean stop consonants are well known for their tripple distinction. In word initial position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are all voiceless. They are differentiated by the degree of tension, aspiration and VOT(voice onset time). But in intervocalic position, lax consonants become voiced. In this study I compare the acoustic features of Korean intervocalic lax and tense stops. The closure duration of lax stops is shorter than that of tense consonants. The preceding vowel length is longer in tan than that in tense consonants. I modify the abov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an experimental methods. For example, I shorten the closure duration of intervocalic tense stops by 5 steps. r also do auditory tests which will show us listener's reaction on the above examples. And do the same job with the preceding vowels. According to the auditory test, the closure duration does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Korean intervocalic lax and tense stops. But the preceding vowel length has almost nothing to do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lax and tense stops. So I conclude that acoustic features also have hierarchy. Some features hav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and others don't.

      • KCI등재

        교육용 온라인 게임의 구성요소분석 및 개선방안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 중심으로-

        김효숙,성경,Kim, Hyo-Suk,Sung, 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1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온라인 상에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Interaction) 관계를 촉발시키고, 게임 진행 정보영역 요소를 제공하여, 게이머가 자신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게임을 이끌어 나가게 하기 위해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중요한 존재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온라인 퀴즈게임의 레이아웃 구성요소 분석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인별로 분석하여 이상적인 교육용게임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upporting the interactive relation between gamer and computer, and offering the game world information, the user interface in online game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a gamer to lead game into the intended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 currently utilized online game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o analyse its user interface design elements, in order to suggest the strategy how to reformative educational online games.

      • KCI등재

        김춘수 시의 불안과 자유

        김효숙(Kim, Hyo-Suk)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5

        이 글은, 김춘수 자전소설 『꽃과 여우』와 산문집 『의미와 무의미』를 근간으로 그의 불안의식과 시적 자유를 고찰한다. 자신이 역사와 이데올로기의 피해자라는 생각은 김춘수 텍스트에서 특히 문제적인 것이다. 이때 그는 과거로 의식을 되돌려 개인 신화를 창조한다. 죄책감이 들게 하는 정치적 과오가 다시 현실의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자신의 위치를 각성하기 위해 과거의 기억과 인물에 무의식을 투사한다. 현실에서 확립할 수 없는 정체성과 역사선 상에서의 피해의식을 현실적 상처가 없는 신화 공간에서 재현함으로써 죄책감과 불안을 완화하는 특성을 보인다. 김춘수의 불안 의식은 시적 자유를 실험하는 과정에서 현존재에게 허무 · 소외등 부정적 현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성은 현존재에게 또한 가능성이기도 하다. 불안으로부터 이탈과 사로잡힘은 그의 삶의 조건이었으며, 그가 시의 자유를 실현하는 과정에 운동성을 부여해준 뚜렷한 현상이다. 존재적 불안을 타파하려는 그의 심리는 시의 실존을 실험하면서 의미를 부수는 글쓰기로 실현된다. 그의 시에 담긴 정신은 절대적 의미를 구획 짓지 않는 자유 바로 그것이며, 의미의 권위로부터 자유가 시의 내용을 이룬다. 때문에 시의 실존을 실험하는 과정에서 역사와 현실은 서로 객체로 작용한다. 그러한 간격을 메우기 위한 실험이 김춘수 시의 존재를 확정한다. 자아와 대상과의 관계망을 와해함으로써 의미를 소거한 김춘수의 시작법은 역사와 정치 문제를 현재로부터 추방함으로써 자유를 얻으려 한 것이었다. 김춘수는 독서활동으로 받아들인 서구 아나키스트들의 자유정신을 시에서 실험하지만 자아와 대상 간 관계의 총체성을 구하기보다 체계 내 요소로 작용하는 자유를 구가한다. 그는 아나키스트들에게 자아를 투영하면서 상상 속에서 자아를 이상적으로 변형한다. 또한 김춘수 시편들은 확정된 의미나 관념을 거부하면서 자의식의 해체 과정을 보여준다. 이 세계를 하나의 이유로 설명할 수 없다는 성찰 아래 부단한 시적 실험을 수행하면서 단일한 주체 부정, 견고한 지식 부정, 일정한 지배력으로 고착된 시론을 해체하고, 관점과 사유의 독점적 지배를 와해한다. 핵심을 무능화시키면서 맹목성 · 강압성 · 의미 · 통제 · 절대지배 등의 가치들을 부정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im Chun Su"s anxiety consciousness and poetic freedom orientation based on his autobiographical novel Flower & Fox and prose Sense & Nonsense. His consciousness that he is a victim of history and ideology seems to play a critical role in his texts. His consciousness turns back the clock and then creates a personal mythology. In order to find out his location under unstable reality and guilty conscience, he projects unconsciousness onto mythological characters. By reproducing the identity that could not be established in reality and his historical victim mentality in a mythological space in which no reality hurts exist, he characteristically alleviates guilty conscience and anxiety. Kim Chun Su"s anxiety consciousness is negativity as well as positivity which are provided to the existential being through the course of realization of poetic freedom. His breakaway from and obsession with anxiety are his condition of life and give the mobility to the course of realization of poetic freedom. His existential anxiety is materialized through his poetry writing which is an experiment on poetic existence and destroys its meanings. His spirit, presented in his poetry, is the very freedom which makes no division of absolute meanings, and consists of poetic contents through the authority of meanings. History and reality interact as an object in his experimental course of poetic existence. The very experiment to fill the gap between history and reality consists of the content of his poetry. Although he experiments the liberal spirit of Western anarchists, he accepted through reading activities, through poetic works, his pursuit is not the tot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but the freedom that functions as a component of a system. In this vein, Kim Chun Su"s poetry denies established meanings and ideologies and presents the dismantling course of self-consciousness. With the self-reflection of that this world cannot be firmly established with only one cause, he carries out endless poetic experiments. By denying a single main agent, rejecting solid knowledge, and dismantling firmly established poetic theories of certain dominance, he dismantles the dominance of viewpoints and thoughts. In addition, he makes the core incompetent and then denies such values as blindness, coerciveness, meaning, control and absolute dominance.

      • KCI등재후보

        ‘되는’ 문학과 전환기의 상상력

        김효숙(Kim, Hyo-Suk) 픽션과논픽션학회 2020 픽션과논픽션 Vol.2 No.1

        첨단 모바일 기능의 지원으로 작가-독자 간 실시간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시대다. 상호 열린 대화적 관계가 이뤄지면서 일인칭 서사들은 최근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장르의 서사가 다른 매체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생성물을 생산하기도 한다. 이때 누군가의 사생활 공개가 매우 투명하게 이뤄질 수 있다. 미디어가 투명하게 이동하는 만큼, 사용자의 사생활과 존엄도 치명적으로 훼손된다. 이 논문은, 최근의 오토픽션 표절 시비의 핵심이 사생활 침해 문제와 관련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였다. 매체와 플랫폼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일인칭 서사가 빠르게 확산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자전(Auto)의 범주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자전에서 분배된 세부 요소 중 작가가 등장하는 허구를 자전소설로 보고, 해방공간에서부터 해당 작품을 찾아보았다. 나아가 1990년대에 포스트모더니즘이 쇄도하면서 반소설(反小說) 형식의 소설가소설, 그리고 메타픽션이 등장한 경위를 살펴보았다. 2010년대 한국문학 장에서 빠르게 확산하는 일인칭 서사와 오토픽션 장르의 연관성을 심리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오토픽션이 자전소설의 하위 범주에 있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변이종이라는 사실과, 자전소설 작가들이 펼친 장르 실험이 특히 역사 전환기에 활발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is an era where real-time acces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can be made smoothly with the support of advanced mobile functions. First-person narratives have become more diverse in recent years as mutually open and interactive relations take place. In addition, narratives of certain genres move to different media, producing new products. At this time, the disclosure of someone s private life can be made very transparent. As the media moves with transparency, the user s privacy and dignity are also critically damaged. This paper conceived the fact that the core of the recent autobiographic fiction plagiarism dispute relates to the privacy infringement matter. Discussion was progressed in the category of auto- to understand the rapid spread of first-person narratives based on diversity in media and platforms. First, among the detailed elements distributed in the autobiography, a fiction featuring the writer was regarded as a autobiographical novel, and the corresponding works were searched from the space of liberation. Further, as postmodernism flooded in the 1990s, the paper looked into how anti-fiction novel and Metafiction appeared. Through a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ast expanding first-person narratives and autobiographic fiction genre in the Korean literature field in the 2010s, it was confirmed that genre experiments conducted by autobiographical novel writers were particularly active during the period of history transition period.

      • KCI등재

        공선옥 소설의 노래 수용과 자아발현 양상 고찰

        김효숙(Kim, Hyo-suk)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62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는 공선옥이 이전 작품에서 보여준 여성의 자아 찾기를 다른 방식으로 내포한다. 청소년들의 급격한 감정변화 시기에 사회도 급변하면서 더욱 이원화되고, 힘이 편중된 쪽으로부터 폭력이 발생한다. 정애는 남성들의 지배논리에 노래로 저항하면서 정체성을 지켜내려 고투한다. 성인남성들이 거짓 논리와 물리력으로 여성을 지배해 온 역사는 이 작품에서 묘자할머니로부터 정애 또래 사춘기 여성들에게로 이어진다. 개발주의에 편승한 남성들의 위협과 폭력에 대해 정애는 ‘부드러운 저항’을 택한다. 그러나 아동기를 벗어나 사회화단계에 들어서는 과정에 외부환경이 폭력적으로 개입하면서 정애의 자아는 분열한다. 핍진한 현실을 건강한 정신력으로 승화하지 못함으로써 병증이 깊어지는 것이다. 정애의 혼이 노래가 되고, 노래는 바람이나 비 등 생태 환경으로 환원한다는 상상력은 공선옥이 이전 작품들에서 보여준 에코페미니즘을 변주하여 확장한 것이다. 여성적이고 자연적인 부드러움으로 이 세계의 대립과 갈등을 화합과 상생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는 관점이다. 근대 이전에는 인간의 감정이 이성에 비해 저급한 것으로 취급되었다. 논리에 약하고 감정적인 여성을 남성의 부속물로 여겼다. 근대 이후 이성중심주의가 해체되면서 감성은 이 세계를 움직이는 중요한 힘이 되었다. 남성에게 지배당하던 여성들은 특유의 부드러움과 융화력으로 감성의 힘을 발휘하기에 이르렀다. 이 작품에 나타난 감성의 힘은 ‘노래’다. 노래는 인물들의 자아를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다.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는 공선옥 소설이 그 동안 보여준 감성 나타내기로 부터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준다. 정애 아버지가 대표적인 인물로, 그는 노래를 부르면서 어머니와 화해하려 하며, 남성/여성=강함/약함=사나움/정다움이라는 이원성을 해체한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남성권위주의에 억압당하는 여성들과, 역사적 거대폭력에 희생되는 남성들을 공평하게 배려한다. 장식적인 지성주의를 배제한 이 ‘노래’ 서사에는 공선옥 문학의 지향이 잘 구현되어 있다. Where Does the Song Come From? includes women"s self-seeking in a way which is different from Gong Seon-ok"s former works. When teenagers undergo a radical change of emotion and society also changes quickly and becomes binary, violence occurs from the concentration of power. Jeong-ae tries very hard to fight back the logic of male domination with songs and wants to keep her identity. The history in which adult males have dominated females through false logics and physical power is handed down from grandma Myo-ja to adolescent females at the same age with Jeong-ae. Against male"s threat and violence which are taking advantage of developmentalism Jeong-ae takes the means of "soft resistance." But, as an external environment violently intervenes in the process of her getting off childhood and entering the stage of socialization, Jeong-ae"s ego splits. Because she could not sublimate the exhausted reality with healthy mentality, her illness becomes severe. Gong Seon-ok"s imagination that Jeong-ae"s soul becomes a song and the song goes back to ecologic environment such as wind or rain is an extended variation of her eco-feminism presented in her former works. It is a perspective that feministic/natural softness can change this world"s confrontation and conflict into compatibility and coexistence. In pre-modern times, human emotions were regarded as inferior to rationality. As a result, women who are weak in logics and emotional were regarded as a belonging of males. As rationalism has been dismantled in post-modern times, emotion becomes an important power to make tick this world. Women who were traditionally dominated by men could exert their emotional power through their unique softness and harmonizing power. The emotional power presented in this work is "songs." Where Does the Song Come From? seems to present an advanced look of her emotional revelation. A typical character in this area is Jeong-ae"s father who through the emotion of songs tries to change his relationship with Jeong-ae"s mother. The novelist does not cling to such a dualism as men/women=strong/weak=fierce/friendly. In this work, the novelist impartially treats both women who are suppressed by male-authoritarianism and men who are victimized by a huge violence of history. Excluding a decorative intellectualism, the narration of the novel well realizes the orientation of Gong Seon-ok"s literary works.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효숙 ( Hyo Suk Kim ),유형근 ( Hyeong Keun Yu ),남순임 ( Soon Yeem Na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 단계에 거쳐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46명)으로 1학급씩 나누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검사도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4)의 유·아동 스마트미디어 관찰자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처리는 SPSS/Windows 18.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 하였으며, 양적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중독 성향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미디어 중독의 하위영역별 분석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의 현저성, 충동·강박적 사용, 내성, 대인간 갈등 영역에서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geared toward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in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two different second-grade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One of the two classes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s Smart Media Observer Rating Scale for Infant and Preschool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designed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n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underwent more significant changes in addiction pronenes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Among the sub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underwent more significant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 in salience, impulsive/obsessive use, tolerance and interpersonal conflicts. When the writings of the group members and the observation data of the counselor were analyzed,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n the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as wel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금-여기 팬데믹 리얼리즘 - 계간지 발표 소설 톺아보기

        김효숙(Hyo Suk Kim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This paper grants the name of ‘pandemic realism’ to the works that embodie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It compares and analyzes novels with the motif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2010s and novels with the same motif in the 2020s to clarif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andemic realism. Target works of the analysis have the pandemic-responsive grammar of the viewpoint of ‘representation’ and initiatively embodies the social impact of the infectious disease. These narration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make us look at society with literature. jus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urrent state of the recent perception-collis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young and old generations of this society. It contains expectations for change, questioning the solid values of the previous era. This paper analyzes the texts of the Pandemic System from the following viewpoints: Above all, they are literary records of the still remaining customs for care and the request for the supplementation of the systematical gap. Then, it is possible to see rightly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emporary family community, club (membership) community, and the single elderly household as well as the modern village community. At the moment, when the Pandemic is still in anomie, the subjects who suffer are not human beings, but just they are in a series of pandemic syndrome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viewpoint that pandemic realism should be the creations containing contemporary uniqueness and futuristic value. 이 글은 COVID-19 팬데믹의 파장을 형상화한 작품에 ‘팬데믹리얼리즘’이라는 명칭을 부여한다. 2010년대 전후의 감염병 모티프 소설과 2020년대의 그것을 비교분석하여 팬데믹리얼리즘의 특수성을 규명한다. 분석대상작품은, 팬데믹대응문법이 ‘재현’이라는 관점으로 감염병의 사회적 파장을 선도적으로 형상화한다. 이 서사들은 문학으로 사회를 바라보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최근 우리 사회의 청년세대와 전통세대간 인식충돌과 갈등의 현주소를 픽션 안으로 수평이동한 것이다. 이전시대의 견고한 가치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변화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다. 팬데믹체제의 텍스트를 다음 같은 관점에서 살폈다. 돌봄과 관련하여 여전한 관습과 제도적 공백에 대한 보완을 요청하는 문학적 기록물이라는 측면이다. 그렇게함으로써 근대의 마을공동체는 물론, 현대의 가족공동체·동아리(동호인)공동체·노년단독가구의 현실태를 적시할 수 있다. 팬데믹이 여전히 아노미상태인 지금, 아픈 주체는 인간만이 아니며, 팬데믹증후군의 연쇄 안에 인간이 있을 뿐이다. 때문에 팬데믹리얼리즘은 당대적 특수성과 미래가치를 포괄하는 창안물이어야 한다는 논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