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유아들의 유치원 일상 속 마스크 쓰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윤나 ( Kim Yunn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된 현 시대 유아들이 유치원에서 체험하는 마스크 쓰기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를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21년 4월부터 7월까지 대전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4세 행복반 유아 9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이들이 마스크를 쓰며 생활하는 가운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자료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자는 참여관찰, 면담, 사진, 유아 그림, 연구자 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에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적응됐지만 내 몸과 겉도는 마스크’, ‘새로 의미를 띠게 된 신체’, ‘나를 표현하는 수단’, ‘마스크로 인식된 가깝고도 먼 타인’, ‘공포로 내면화된 마스크 착용’이라는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유아에 대한 이해의 시선을 제공하고, 유아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of young children’s face mask wearing in a kindergarten under this prolonged COVID-19 pandemic. For this purpose, from April to July 2021,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on the phenomena that occurred while nine 4-year-olds wore masks at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Daejeon A Elementary School. The data consisted of participant observations, interviews, photographs, children’s drawings, and researcher's journal. Five themes were derived through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a mask that my body became familiar with, but still strange’, 'a means of expressing oneself’, 'awareness of relationship through masks’, and 'mask-wearing followed by internalized fear’.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young children who are construct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own ways despite the COVID-19 situation and suggesting support for young children during this pandemic.

      • KCI등재

        가중집합 샘플링의 효율성 향상 기법

        김윤나(Yunna Kim),황혜수(Heasoo Hwang) 한국정보과학회 202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6 No.4

        문서나 이미지 등의 고차원 데이터가 가중집합으로 표현되었을 때 이들 간 유사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가중 집합 샘플링을 이용하여 차원을 축소한다. 기존 샘플링 방법들은 고품질의 샘플을 생성하나 가중집합 차원과 생성할 샘플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샘플링 시간이 급격히 늘어난다. 샘플링 효율 향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ICWS(Improved Consistent Weighted Sampling)에 기반한 구간별 샘플링 기법인 ICWS_B를 제안한다. ICWS_B는 샘플링 시간을 크게 단축하나 구간별 샘플 생성 시 가중집합 밀도나 구간 크기에 따라 빈 구간에서 생성되는 샘플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어 전체 샘플 품질이 저하될 수 있어 이를 완화하기 위한 기법인 ICWS_D도 제안한다. 다양한 가중집합 데이터를 이용한 비교실험을 통하여 제안 방법이 기존 방법 수준의 샘플을 생성함과 동시에 샘플링 시간을 현저히 단축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데이터 밀도와 구간 크기에 따라 샘플 품질이 여전히 다소 저하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샘플 품질 개선 방안도 논의한다. Weighted sets model high-dimensional data such as documents and images, and thus their dimension is usually reduced by sampling methods for efficient estimation of similarity between such weighted sets. While existing methods generate samples of high quality, the sampling time grows very rapidly as the dimension of weighted sets and the number of samples increase. To improve the sampling efficiency of the popular sampling method, ICWS(Improved Consistent Weighted Sampling), we propose a bin-based sampling method, ICWS_B, for weighted sets. The sampling time of ICWS_B is significantly reduced, but the quality of samples may become worse than that of ICWS since ICWS_B generates many dummy samples especially when many small bins are constructed on sparse weighted sets. To improve the quality of samples by ICWS_B, we propose ICWS_D which densifies empty bins. Extensive comparative experiments show that our methods efficiently generate samples that are as effective as those by existing sampling methods. However, since it is observed that the quality of samples may degrade due to the low data density or small bins, we also discuss how we can further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ur sampling methods.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 관한 현상학적 의미 탐색

        김윤나 ( Kim Yunna ),박희숙 ( Park Hee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이 체험한 스마트폰 사진 놀이의 현상학적 의미를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연구방법론으로 하여 사진과 관련된 연구자의 체험, 관용어, 예술작품, 그리고 본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있는 대전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4세 행복반 유아 19명의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 관한 현장 자료들을 2020년 6월부터 12월까지 수집하였다. 수집자료들은 귀납적 주제 분석을 거쳐 총 10개의 본질적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4가지 실존체로 분류되었다.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서 유아가 체험한 신체성은 ‘새로운 봄, 새로운 몸’, ‘나를 보는 나’, 시간성은 ‘붙잡힌 시간’, ‘다시 만나는 시간’, ‘미래를 품는 시간’, 공간성은 ‘새롭게 다가오는 공간’, ‘제한과 확장의 공간, 프레임’, 관계성은 ‘“우리는 친구”라는 조용한 선포’, ‘다가감의 통로’, ‘특별한 존재, 선생님’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로서의 현 시대 유아의 놀이와 유아교육 내 사진에 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of young children’s photo play using their smartphon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her own experiences, idioms, works of art related to photography, and field data from June to December, 2020 at the researcher’s class of 19 4-year-old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S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10 essential themes through inductive subject analysis, and then classified into four existentials. During the young children’s photo play, their corporeality was experienced under the essential themes of “a new way of seeing, a newly-made body”, and “me looking at myself”. The temporality was explored as “time which is caught”, “time that reappeared”, and “time that bears future”. In addition, young children’s spatiality was considered under “renewed space”, and “the frame of limit and expansion”. Lastly, the relativity was experienced with “a silent announcement of ‘we are friends’,” “a way to reach each other,” and “my teacher as a special subj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lay of today’s young children, i.e., digital natives, and that of the photograph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 기관장의 기관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희연 ( Heeyoun Lee ),김윤나 ( Yunn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기관장의 기관운영경험을 심층적이고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기관장으로서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현직 기관장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질적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기관운영경험은 7개의 범주와 23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는데, 도출된 범주와 하위범주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관장의 개인적 자질 발휘하기: 소명의식, 도덕성, 책임감, 솔선수범, 전문성, 리더십, 두 번째, 사회복지의 본질적 가치 지향하기: 이용자중심, 지역사회중심, 세 번째, 윤리적으로 운영하기: 정직한 운영, 투명한 운영, 네 번째,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고 관계맺기: 소통과 공유, 조화로운 인간관계, 다섯 번째, 신명나는 일터 만들기: 임파워링, 권한이임, 일과 삶의 조화, 공정한 보상체계, 미션과 비전제시, 여섯 번째, 대외적 업무수행하기: 대외협력, 민원해결, 일곱 번째, 복지관의 방향성과 개선방안: 고도의 전문성, 고도의 가치성, 고도의 기능성, 고도의 협업화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의 기관운영과 관련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eply understand operation experiences of director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8 incumbent directors who had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s as the director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to reflect and think on the implications of operation experiences of the directors.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director’s experiences of oper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can b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to make use of use of the qualities of the director’, ‘to be oriented toward the essential value of social welfare’, ‘ethical management’, ‘to communicate with an open mind’, ‘to make an exciting workplace’, ‘to perform external tasks’,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welfare cent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offere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perating social welfare centers stably and efficiently.

      • KCI등재

        세대에 따른 유아의 실개천 놀이 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노혜진(Noh Hae Jin),최경숙(Choi Kyung-sook),김윤나(Kim Yunna),박미숙(Park Mi Sook),임지혜(Lim Jee Hye),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세대에 따른 유아의 실개천 놀이문화 양상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개천이 있는 A마을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노인 5명과 실개천에 놀이하러 정기적으로 오는 유아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2017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 메모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사, 코딩, 영역분석과 주제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 노인들이 A마을 실개천에서 행한 어린 시절 놀이는 ‘고통을 뒤로 한 풍성함’, ‘아찔함과 함께한 즐거움’, ‘몸이 기억하는 감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대 유아들의 실개천 놀이는 ‘두려움을 넘어선 생성’, ‘자연과의 교감’, ‘옛 세대와의 교감’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실개천을 중심으로 한 노인들의 어린 시절 놀이와 현대 유아들의 놀이 사이에는 공동체와 함께함, 몸으로 체화함, 자연물로 놀이함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개천을 바라보는 관점과 실개천 내 생물을 바라보는 관점, 실개천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서 두 세대 간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동일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를 통시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본 연구는, 시대에 따른 유아 놀이 변화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ildren’s play around a stream from a diachronic view. For this reason, this ethnographic study selected five elderly who spent their childhood in A village with the stream, and eight children who come to play in the reconstructed stream regularl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7 to February, 2018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field notes. The data was transcribed, coded, and categorized through domain analysis and theme analysis. The theme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old people’s childhood, children’s play were characterized as ‘richness with pain’, ‘pleasure with dizziness’, and ‘emotions that the body remembers’. On the other hand, modern children’s play are characterized as ‘creation beyond fear’,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communication with the old gener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found common ground between children’s play around the stream of the elderly and that of the modern children: play with communal harmony, subjected with the body, and play with the natu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n terms of the view of the stream, the view of lives in the stream, a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play around the stream.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nalyzed the play in the same space with diachronic viewpoint, will be the basis for the study of children’s play changing ove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