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군간호사관학교「"14-"17교육과정」개정을 위한 군사학 교육체계 기초 연구

        김연제 ( Yeon Je Kim ),권영성 ( Young Sung Kwon ),정의숙 ( Eui Suk Jeong ),정윤준 ( Yun Jun Jung ),김무수 ( Moo Soo Kim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4 군진간호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국간사 ``14-``17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할 군사학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군사학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를 재정립하고 국간사 생도에게 필요한 군사이론 및 군사훈련 교과목을 제안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군사학 교육목표와 군사학 교과목에 대한 논의, 이러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에 대한 논의와 핵심역량 및 학습성과와의 연계성 측면에서의 군사학 교육체계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2010∼2013 교육과정에서 군사학 교육목표는 ``간호장교로서 기본 전투기술과 전투근무지원부대 의무전술 운용능력 구비``이며 교육중점은 ``간호장교로서 임무수행을 위한 군사지식의 습득, 초급장교로서의 지휘통솔 능력 배양``이다. 델파이 설문지에서는 이와 같은 현 교육과정의 군사학 교육 목표와 중점, 이에 대한 과목의 편성에 연계성이 없다는 의견이 다수 확인이 되었다. 특히 ``전투근무지원부대 의무전술 능력 구비``는 양성교육이 아닌, 보수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병과 교육이므로 양성과정의 수준에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식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집단을 대상으로 군사학 교육과정의 인재 양성상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응답에서 유사한 범주를 분류한 결과 인지적(Cognitive), 정의적(Affective), 운동기능적(Psychomotor) 영역(Domain)의 군사학 교육목표를 재정립하였다(Bloom, 1956). 인지적 측면의 목표는 ``간호장교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군사 지식 습득``과 운동 기능적 측면의 목표인 ``장교에게 요구되는 기본 전투기술 구비``는 학교교육지시에 제시된 군사학교육목표인 ``장교 공통과목 이수를 통해 장교로서 기본적인 군사이론 숙지 및 기초 전투기술 구비``(ROK Army Headquarters, 2010)와 일치하며, 국간사의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선행연구에서의 군사학 교육목표와도 일치한다(Yoo, Park, Song, & Jung, 2006). 정의적 측면 목표인 ``군간호대상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 함양``은 군인의 본질적 특성과 이들이 경험하는 신체적 및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며 뿐만 아니라 훈련 및 전쟁 등의 물리적 환경이 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자 하는 군 간호의 특징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ROK Army Headquarters, 2013b). 또한 Yoo 등(2006)의 연구에서 군사학과목을 통한 훈련 경험으로 장병의 생활을 이해 하고자 하는 목표와도 유사한 맥락이라고 할 수 군사학교과목 측면을 살펴보면, 육군 장교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과목 및 병기본훈련 과목 편성에 대한 순서(ROK Army Headquarters, 2010)는 본 연구 결과 제안하는 학년별 군사이론 및 군사훈련 과목 편성 순서와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교육지침에서의 순서는 기본소양, 전투기술, 전술소양, 일반소양 순으로 교육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과목 편성을 살펴보면, 기본소양과목에는 제식과 군인복무규율이 해당되며 이들은 가장 기초가 되는 과목이므로 기초군사훈련과 1학년 1학기에 편성되었다. 전투기술과목으로는 병기본훈련 과목이 포함되며 교육시기는 1학년 군사훈련 기간이다. 전술소양과목에는 분대전투 과목이 해당되며 2학년 군사훈련 기간에 편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일반 소양과목으로는 군사사상과 전쟁사가 포함되며 이는 2학년 1, 2학기에 편성된 군사이론 교과목이므로 본 연구 결과에서 제안하는 학년 및 학기별 교과목 편성 순서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을 수립함에 있어 원천이 되는 학습자와 사회의 요구 측면에서 살펴보면(Lee, 2006), 본 연구가 제안하는 군사이론 및 군사훈련 과목은 ``14 - ``17 교육과정위원회에서 실시한 생도와 신임소위 및 선임간호장교 등을 포함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 ``중요한 군사이론/군사훈련 과목``의 과 ``우선적으로 필요한 과목``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도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높은 과목으로 나타났다(AFNA, 2013). 생도가 응답한 ``중요한 군사이론`` 과목은 한국전쟁사, 지휘관 및 참모업무, 군대윤리, 군사제도, 세계전쟁사 등의 순이었고 신임소위 및 선임간호장교 등의 집단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군사이론 과목``에 대해 응답한 결과는 한국전쟁사, 지휘관 및 참모업무, 군대윤리, 군사제도, 북한학 순으로 나타나, 과목에 대한 응답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는 본 연구 결과에서 제안하는 군사이론 과목의 필요하다고 응답한 빈도 및 과목별 적정성 순서와도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생도가 응답한 ``중요한 군사훈련`` 과목은 병체험훈련, 개인화기, 유격, 독도법의 순으로 나타났고 중요도가 가장 낮은 과목은 총검술(2.9), 진지구축(2.9), 북한군전술(3.0) 순이었다. 군사훈련 과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도 마찬가지로 본 연구 결과에서 제안하는 군사훈련 과목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빈도와 과목별 적정성 순서와도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 결과 교과목에서 제외된 군사이론 과목인 작전술, 대침투작전, 군사전략 및 사상 등 세 과목은, 교육과정 개발 설문 분석 결과에서 생도 집단이 응답한 과목의 중요도에서도 세 과목 모두 2.7로 가장 낮았으며, 비생도 집단이 응답한 ``불필요 우선 순위``에서도 2, 1, 3순위로 확인되었다(AFNA, 2013). 교육과정의 목적을 수립하는 세 가지 원천은 학습자와 사회 및 교과전문가이다(Lee, 2006). 본 연구에서는 군사학 교육과정을 학습하고 졸업한 후 군병원 및 야전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간호장교를 연구대상에 포함하였으므로 학습자와 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국간사 생도의 교육 또는 훈육 경험이 있는 간호장교를 대상에 포함하였고, 군사학 이론 및 훈련 과목에서의 교관 또는 연구자 집단을 연구대상에 포함함으로써 교과전문가의 요구 또한 충실하게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의 목적을 수립하기 위한 요구사정 과정에는 학습자와 지역사회 구성원 및 교육자를 포함하므로 (Kaufman, 1977) 본 연구의 대상자인 생도 교육 집단과 군사학 교육집단 구성원들은 학습자 및 지역사회 구성원과 교육자에 부합하는 대상자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도출된 군사학 교육목표와 군사이론 및 군사훈련 과목은 야전의 직책 수행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야전의 의견 수렴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하였으므로 육군 교육지침을 준수하는 연구과정 및 결과라고 할 수 있다(ROK ``14 - ``17 교육과정은 국간사 교육의 핵심역량과 교육목표 및 학습성과와 연계성이 있는 교육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군사학 교육과정 또한 이러한 교육체계와의 연계와 계열성을 갖추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군사학 교육과정은 ``국가와 군을 위해 헌신하는 능력``인 핵심역량 9를 갖추기 위하여 졸업 시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 11인 "군인정신을 바탕으로 투철한 국가관을 확립한다" 를 실천하기 위한 과목에 포함된다. 이 교육목표 11을 달성하였을 때 측정할 수 있는 학습성과 13인 "장교에게 요구되는 자질(지식, 덕성, 체력)을 구비한다"는 본 연구에서 재정립한 군사학 교육목표인 "간호장교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군사지식을 습득한다(지식)", "군 간호대상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함양한다(태도)", "장교에게 요구되는 기본전투기술을 구비한다(기술)" 등과 대응하는 구조로 목표간 긴밀한 연계성을 찾을 수 있다. 각각의 군사학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과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식 목표인 ``기본적인 군사지식 습득``을 위한 과목은 군사이론 과목 중 군사학개론, 북한학, 전쟁사, 군사사상 및 전략 과목이 포함된다. 태도 목표인 ``대상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 함양``을 위한 교과목은 군사이론과 훈련과목으로 군대윤리, 분대전투기술, 병체험 훈련, 병기본훈련 과목을 포함하며 기술 목표인 ``기본전투기술 구비``를 위한 과목은 군사훈련 과목으로 생존보장을 위한 유격 훈련과 독도법, 그리고 병기본훈련 과목 중 제식, 개인화기, 화생방의 과목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최초 군사학 교육과정의 목표 수립 시 군진간호학 및 생도훈육과 그 영역과 범위가 일정 부분 중첩되어서 교육과정 간 경계가 다소 명확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 1차 델파이 설문 시 `10-`13 교육과정이 구성되는 전반적인 틀로써 군사학과 군진간호학, 훈육 과정에 대한 안내가 있었으나 군진간호학 및 훈육이 포함하는 구체적인 교육내용이 제시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군사학의 목표와 교육내용에 대한 응답에서 대량전상자간호교육, 국가관 및 안보관 확립 등의 군진간호학 또는 훈육과 관련된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이를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military science education system for `14 - `17 academic curriculums after reviewing both theoretical and training subjects and course objectives of military science subjects of AFNA. Methods : Educational needs of 35 experts in cadet education and military science were analyzed after studying the related literatures. Educational needs were reviewed by six senior experts after analyzing series of three Delphi survey. Results : The objectives of military science in AFNA were concluded into three categories: Acquisition of basic military knowledge as nursing officers, equipment of fundamental combat skill as nursing officers, and understanding of nursing subjects in military circumstances. As a result, the proposed courses included five theoretical studies for degree, two equivalent credit subjects, and 12 military training courses. Conclusion :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framework of developing military science by reflecting both actual needs from field army and clinical needs; consequently, provided fundamental data for `14-`17 curriculum revision.

      • SCOPUSKCI등재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몇가지 금속-Dithiocarbamate 킬레이트의 용리거동 및 동시분석에 관한 연구

        이대운,김연제,김현철,이원,Dai Woon Lee,Yun Je Kim,Hyun Chul Kim,Won Lee 대한화학회 1988 대한화학회지 Vol.32 No.3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몇 가지 금속-dithiocarbamate(DTC) 킬레이트의 용리거동을 Novapak $C_{18}$과 {\mu}$-Bondapak $C_{18}$ 분리관을 사용하여 연구하고, 아울러 동시 분리정량에 미치는 pH, 진탕시간, 흐름속도, 추출용매 종류 및 이동상의 세기등 여러가지 인자들의 영향을 조사 검토하였다. 미량 금속-DTC 킬레이트들은 Novapak $C_{18}$ 분리관에서 acetonitrile/methanol/water 또는 acetonitrile/water의 용리액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모든 금속-DTC 킬레이트의 용매세기 인자는 $0{\leqq}log\;k'{\leqq}1$ 의 범위임을 확인하였고, 회수율을 97.0-106.7 %, coefficient of variation은 0.98-3.41%이었다. 최적 분석 조건에서 합성 시료중에 있는 혼합 금속 이온들은 상대 오차 ${\pm}$6.7 % 이내에서 동시 분리정량이 가능하였다. Liquid chromatographic behavior of several metal ions in dithiocarbamate(DTC) chelates were investigated by 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n Novapak $C_{18}$ and ${\mu}$-Bondapak $C_{18}$ columns.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separation of DTC-metal chelate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pH, shaking time, flow rate, extraction solvent, and mobile phase strength. The metal ions in mixtures at trace level, chelated with some dithiocarbamate derivatives were separated successfully on Novapak $C_{18}$ column using acetonitrile/methanol/water or acetonitril/water mixtures as mobile phases. It was found that all DTC metal chelates studied were eluted in an acceptable range of capacity factor values ($0{\leqq}log\;k'{\leqq}1$). Although several foreign metal ions were coexisted, high recovery and good precision were attained ; 97.0-106.7 % for the recovery and 0.98-3.41% fo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Under the optimum analytical conditions, trace metal ions in the composite water samples were determined sucessfully with in relative error of about {\pm}$6.7 %.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경기도의 2개 시·군 사례를 통한 농어촌지역 하수도 정비 추진 방안

        문철환(Chul Hwan Moon),안지훈(Ji Hoon Ahn),장미정(Mi Jeong Jang),이상협(Sang Hyup Lee),조영무(Young Moo Cho),김연제(Yun Je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6

        2009년 환경부는 ‘농어촌지역 하수도정비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하수도 서비스 격차를 줄이고 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2015년까지 약 4조 7천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농어촌지역의 하수도 보급률을 75%까지 향상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종합계획은 소규모하수도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하수도 보급률 증가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2개 지역 마을하수도 정비사례를 중심으로 마을하수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 종합계획을 추진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하수의 불균등 유입, 저유량, 저부하 등의 문제가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였다. 유입되는 부하량에 맞게 처리시설의 운전 방법을 개선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시설들이 설계시 제시된 운전인자로 운전되고 있어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밀진단에서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유량균등화, 포기/비포기 비율 조절 등을 검토하여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유기물 및 탈질산화 반응에 의한 T-N의 처리효율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2009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Improvement of Sewer Service in Rural Area` aiming at reduction of the sewer servic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s well as improvement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rural area. According to the plan, the sewer system supply rate for the rural area is expected to reach up to 75% until 2015 with the budget of 4.7 trillion won (Korean currency). It is not certain, however, that the increase in the sewer system supply rate will accompany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receiving water because several veiled problems that can occur in small-scale sewer treatment plants are poorly addressed in the plan. In this study, those issues for the small-scale sewer treatment plants and their solu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a case study in which we investigated 19 treatment facilities at two rural regions in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also included strategies useful for the plan. From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some problems, e.g., high hourly variations but low in flowrates and low mass loading were commonly identified. Although operation parameters in sewer treatment plants require to be modified depending on the mass loading, most of the plants were operated with the initial design parameters which causes the decrease of removal efficiency. In the intensive diagnosis, we arranged and applied solutions (e.g., flow equalization, air on/off time control, etc) to the two selected plants and found out improvement of effluent water quality, especially organic matters (COD and SS) and T-N with better denitrificat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