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에 대한 예측 연구: 5세와 6세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종단연구

        김애화 ( Ae Hwa Kim ),유현실 ( Hyun Sil Yoo ),김의정 ( Ui Jun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5세와 6세 아동을 대상으로 1년간 추적연구를 실시하여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차 검사 시에는 5세(92명)와 6세(96명) 총 18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예측변인 검사(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자모지식, 단기기억, 작동기억 등)를 실시하였고, 1년 후인 2차 검사 시에는 6세(58명)와 7세(61명) 총 119명을 대상으로 종속변인 검사(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등)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인지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은 7세의 경우 자모이름, 빠른 자동 이름대기, 단기기억, 작동기억, 음운인식으로 나타났으며, 6세의 경우에는 자모이름과 빠른 자동 이름대기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유창성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은 7세의 경우 단어인지와 단기기억으로 나타났으며, 6세 아동의 경우 표기처리로 나타났다. 셋째, 읽기이해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은 7세의 경우 듣기이해, 단어인지, 작동기억으로 나타났으며, 6세의 경우에는 읽기유창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predictors of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from the end of 5- and 6- year olds to the end of 6- to 7-year-olds. Ninety-two 5-year-old children and 96 6-year-old children were examined in predictor measures(e.g.,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naming,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memory). Fifty-eight 6-year children and 61 7-year children were reassessed on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measures after one year.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tter naming, rapid naming, phonological memory, and phonological awarenes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word recognition abilities in seven-year-old; letter naming, rapid nam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word recognition abilities in six-year-old. Second,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ding fluency abilities in seven-year-old; orthographic processing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ding fluency abilities in six-year-old. Third, listening comprehension,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 seven-year-old; reading fluenc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 six-year-old.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예비 연구

        김애화(Ae Hwa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1

        배경 및 목적: 쓰기는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위해 중요한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쓰기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학생의 쓰기능력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철자와 작문능력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을 각각 선별해서 검사를 구성하여 초등학교 1-5학년 학생에게 실시하였다. 철자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어휘, 표기인식, 형태인식, 자음소리, 단어인지가 포함되었으며, 작문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어휘, 형태인식, 작동기억, 듣기이해, 읽기이해, 철자가 포함되었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와 표기인식이 철자능력에 대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형태인식과 어휘가 작문능력에 대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언어의 투명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영어권에서 실시된 연구결과와 상당히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 연구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writing for success in school, there is a limited amount of research on writing available. Developing writing skills is a demanding task because it requires linguistic awareness as well as reading skil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the writ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riterion variable tests and predictor variable tests for spelling and composition were administe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irst through fifth grade. Through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the predictors for spelling included vocabulary, orthographic processing, morphological processing, letter sound knowledge, and word recognition. The predictors for composition included vocabulary, morphological processing, working memory, listen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lling. Then,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spelling and composition outcom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vocabulary and orthographic process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pelling. Secondly, morphological processing and vocabular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composition. Conclusion: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transparency between the Korean and English orthograph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able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performed in English. The summary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반 초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쓰기장애 초등학생의 철자 특성 연구

        김애화(Kim, Ae-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올바른 철자 쓰기에 심각한 어려움을 갖는 쓰기장애학생의 비율이 국내에 높게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쓰기장애 초등학생의 철자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 들의 철자 특성을 일반 초등학생의 특성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쓰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철자 성취도 검사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쓰기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철자 성취도에 대한 예측 변인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1~6학년 95명(쓰기장애학생 41명, 일반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철자 성취도 검사 및 철자 관련 예측 변인 검사를 실시하였다. 철자 성취도는 연구자가 개발한 철자 검사와 KISE 기초학력검사-표기능력 검사로 측정하였으며, 철자 관련 예측 변인(음운인식, 자모지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표기인식, 형태인식, 어휘)은 선행 연구를 근거로 개발된 검사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개발 철자 검사와 KISE 기초학력검사-표기능력 검사로 측정한 철자 성취도 모두에서 쓰기장애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철자 성취도를 보였다. 둘째, 연구자 개발 철자 검사를 준거 변인으로 하였을 때, 표기인식과 형태처리가 쓰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의 철자 성취도에 대해 공통적으로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KISE 기초학력검사-표기능력을 준거 변인으로 할 때, 어휘가 쓰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의 철자 성취도에 대해 공통적으로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쓰기장애학생의 경우 음운인식과 형태인식이 추가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re has been a report for high prevalence of students with spelling disabilitie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spell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by comparing with thos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pecifically, in this study, spelling achievement of a element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writing disabilities were compared, and the predictors for spell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ere compared. A total of 95(41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54 normally-achieving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a spelling achievement test and predictor measures(i.e.,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naming, letter knowledge, orthographic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vocabulary) underlying the spelling achievement.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ly low scores in the spelling achievement measured by both research-developed spelling test and KISE BAAT. Second, orthographic awarenes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spelling achievement measured by esearch-developed spelling test in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writing disabilities. Third, vocabular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spelling achievement measured by KISE BAAT in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writing disabilities.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이야기 지도 전략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애화 ( Ae Hwa Kim ),김의정 ( Ui Jung Kim ),강은영 ( Eun Young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지도 전략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세 명의 읽기장애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A-B 설계를 세 참여자에게 반복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재의 실시와 함께 모든 참여자의 읽기이해 성취도가 기초선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유지기간 동안 모든 참여자의 읽기이해 성취도가 중재단계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중재기간에 습득한 읽기이해 성취도 평가 점수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야기 지도 전략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 및 연구 결과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ory map strategy instruc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3rd grad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AB design was repeatedly employed across thre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three participants’ reading comprehension averag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Furthermore, the reading comprehension average scores during the maintenance were close to those of the intervention phase. These findings provided evidence that the story map strategy instructio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단어인지 특성 비교 연구

        김애화(Ae Hwa Kim),강은영(Eun Young K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4

        배경 및 목적: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단어인지 특성을 비교한 국외 연구들은 두 집단이 질적으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가 아니면 발달적으로 지연된 특성을 보이는가에 주목하였다. 국내에서는 아직 읽기장애와 일반 학생의 단어인지 특성을 양적으로 그리고 질적으로 비교한 연구가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단어인지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5개 단어인지 하위검사(고빈도 음운변동 의미 단어, 저빈도 규칙 의미 단어, 저빈도 음운변동 의미 단어, 무의미 규칙 단어, 무의미 음운변동 단어 검사)를 구성하여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 총 59명의 학생(읽기장애 학생 26명, 일반 학생 33명)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한 후, 집단과 학년에 따른 단어인지 수행력과 단어인지 과정에서 산출된 오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단어인지 수행력 결과, 5개 하위검사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 무의미 단어로 변환하여 읽는 오류를 다른 의미 단어로 대치하는 오류보다 더 자주 보였다. 셋째,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 각 음절의 종성에서 오류를 자주 보였으며, 대치 오류를 가장 자주 보였다. 넷째,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 연음, 구개음화, 설측음화, 설측음의 비음화 법칙에서 오류를 자주 보였으며, 음운변동을 일부 적용하는 오류를 가장 자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읽기장애 학생의 단어인지 특성은 일반 학생과 질적으로 다르다기보다는 발달적 지연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Several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mpirical questions regarding whether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show a delay in development or a qualitative difference from students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in various countries with shallow and deep orthographies. There are limited studies available that compare the word recognition skills of these 2 groups in Korea.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word recognition skills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to students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in Korea. Methods: A total of 59 elementary students (26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33 students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a battery of five word recognition tests (high-frequency phonological change word,low-frequency regular word, low -frequency phonological change word, regular nonword, and phonological change nonword). A 2-way MANOVA of the group (2) by grade (2) was conducted, and the types of errors and their frequencies were analyzed. Results: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rd recognition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5 tests between groups. Second, the rates of nonword errors were much higher than whole word substitution errors in both groups. Third, the error rates of the regular words were higher in the final consonant phoneme position than other positions, and the replacement errors appeared most frequently in both groups. Fourth, regarding the rates of errors by phonological change rules, the errors in lengthened sound, palatalization and sound softening principles were most frequent, and the partial application of phonological change rules was occurred most often in both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 To summarize,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do not appear to show a delay in development, but rather a qualitative difference with students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 특성 연구

        김애화(Ae Hwa Kim),박성희(Sung Hee Park),김주현(Ju Hyu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1

        배경 및 목적: 최근 읽기유창성은 읽기이해와 유의한 관련성을 지니는 변인으로서 중요성이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초등학교 전반에 걸친 읽기유창성 발달패턴 및 읽기 과정에서는 보이는 구체적인 오류를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3, 5학년 학생(총 76명)들의 읽기유창성 발달 패턴과 오류 유형 패턴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학년 수준을 고려한 읽기지문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1, 3,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유창성 평가를 실시한 후, 학년에 따른 읽기유창성 발달 패턴과 읽기지문을 읽는 과정에 산출된 오류 유형 및 빈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첫째, 읽기유창성 평가의 양적 분석 결과,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절 수준의 오류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학년에서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나머지 오류 유형은 학년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전반적으로자기교정과 반복이 그 뒤를 이었고, 생략이 그 다음으로, 첨가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또한,다른 의미 단어로의 대치가 무의미 단어로 변환하여 읽는 오류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텍스트 수준의 오류를 분석한 결과, 문맥 상 의미가 통하는 오류가 그렇지 않은 오류보다 높게나타났으며,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의미가 통하는 오류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읽기유창성은 양적으로 질적으로 초등학교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발달 패턴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Recently, the importance of reading fluency has been emphasized.However, a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reading fluency are available in Korea.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6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1, 3, and 5, to compare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reading fluency across grades and to examine the types of errors and their frequencies.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ading passages at each grade level were developed. Developmental patterns of reading fluency across grades and the types of errors were analyzed.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ading fluency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level.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rrors from the word-level perspective showed that replacement errors appear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self-correction errors, repetition errors, deletion errors, and addition errors. Moreover, students tended to replace words with those with a different meaning rather than changing them into non-existent words.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text-level errors showed that the occurrence of errors that retained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as higher than that of nonsensical errors. Discussion &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reading fluency develops quantatively and qualitatively over the elementary school years.

      • KCI등재

        취학전 및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 탐색 연구

        김애화 ( Ae Hwa Kim ),유현실 ( Hyun Sil Yoo ),김의정 ( Ui Jun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및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의 음운인식의 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운인식 단위(음절인식, 초성-각운인식, 음절체-종성인식, 음소인식)와 과제유형(변별, 분리, 합성, 분절, 탈락, 대치 과제)을 고려하여 구성한 18개 음운인식 소검사를 5세, 6세, 7세, 초등학교 1학년 아동(각각 91명, 89명, 99명, 92명, 총 371명)에게 실시한 후, 연령에 따른 검사 점수의 차이와 요인 분석 결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의 음운인식 구조는 별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구조이며, 음운인식 단위와 과제유형이 함께 음운인식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은 연령에 따라 발달하는 양상을 보이고, 이러한 발달양상을 반영한 연령별 요인 구조가 나타났다. 특히, 5세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는 6세, 7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와 차이를 보이는 반면, 6세, 7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는 연령 간 다소의 차이를 보이기는 했지만 공통점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5- to 8-year-old children. A total of 371 children(91 5-year-old children, 89 6-year-old children, 99 7-year-old children, 92 8-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a phonological awareness test consisting of 18 subtests distinguished by phonological units(i.e., syllable, onset-rime, body-coda, phoneme)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s(i.e., sound matching, isolation, blending, segmenting, deletion, substitution). Major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phonological awareness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appeared to be a group of related, independent phonological abilities. Second, as children increased in age, phonological awareness increased.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5-year-old children was different from tha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6-, 7-, and 8-year-old children.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6-, 7-, and 8-year-old children was relatively stable.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읽기 유창성 특성 및 오류 유형 비교 연구

        김애화 ( Ae Hwa Kim ),박성희 ( Sung Hee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2,4학년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총 55명)의 읽기유창성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설명글과 이야기글로 구성된 읽기 유창성 평가를 초등학생 2학년과 4학년 읽기장애 학생(28명)과 일반 학생(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집단과 학년에 따른 읽기유창성 수행력 비교와 읽기과정에서 산출된 오류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읽기 유창성 검사의 양적 분석 결과, 설명글과 이야기글 모두에서 집단 간 및 학년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어절 수준의 오류 유형 및 빈도 분석 결과 모든 학년에서 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절 수준에서 나타난 오류 중 무의미 단어로 변환보다 의미 단어로의 대치가 더 많이 나타났다. 넷째, 어절 수준의 오류 중 음운변동이 일어나는 단어들에서는 읽기장애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다섯째, 텍스트 수준의 오류에서는 2학년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가 의미가 통하지 않는 오류를 더 많이 보인반면, 4학년에서는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의미가 통하는 오류를 더 많이 보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오류 분석결과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ading fluency(reading developmental patterns and error pattern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A total of 55 element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reading fluency tests. Developmental patterns of reading fluency across grades and the types of errors were analyzed. Major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reading fluency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two tests.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rrors from word-level perspective, the replacement errors appeared most frequently.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rrors from word-level perspective, students tended to replace words with words that had another meaning rather than changing it into nonwords. Forth, as for the rates of errors by phonological change rules,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ere much higher than students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Fif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rrors from text-level perspective, the second-grade students with and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showed the more errors that did not make sense than the errors that retained the meaning of the sentence. However, the fourth-grader students with and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showed more errors that retained the meaning of the sentence than the errors that did not make sense. And based on such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fluency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both groups were discussed.

      • KCI등재

        스크립트화된 합성 파닉스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한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김애화 ( Ae Hwa Kim ),김의정 ( Ui Jung Kim ),표소래 ( So Rae Py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스크립트화된 합성 파닉스 교수가 한글 해득에 어려움을 보이는 읽기장애학생의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세 명의 읽기장애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pprobe design across behaviors)를 세 참여자에게 반복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재의 실시와 함께 모든 참여자의 개별 평균 단어인지 점수가 기초선에 비해 급격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유지기간 동안 모든 참여자의 개별 평균 단어인지 점수가 중재단계와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중재기간에 습득한 단어인지 점수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크립트화된 합성 파닉스 교수가 한글을 해득하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입증하는 것이며, 교육현장에서 한글 해득에 어려움을 보이는 읽기장애학생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ripted, synthetic phonics instruction program on word identification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have problems with decoding Korean word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1st and 2nd grad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Gyonggi-do. The multiple baselin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repeatedly employed across thre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three participants’ word identification averag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Furthermore, the word identification average scores during the maintenance were close to those of the intervention phase. These findings provided evidence that the scripted, synthetic phonics instruc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teach decoding Korean words which is a language with shallow orthography.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the scripted, synthetic phonics instruction program can be useful when teaching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have problems with decoding Korean words in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읽기 어려움의 이질성 연구

        김애화(Kim, Ae-Hwa),김의정(Kim, Ui-Jung),김재철(Kim, Jae-Chul)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어려움의 이질성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 지능’ 여부와 ‘읽기 하위 영역 중 어떠한 영역에서의 어려움’을 지녔는지 여부에 따라 읽기 어려움을 지닌 6개 집단과 일반학생 2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이 집단들 간 읽기 성취도와 인지처리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306명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성취도(단어인지, 읽기이해) 평가와 인지처리(음운인식, 음운기억, 빠른 자동이름대기, 어휘, 듣기이해, 문장따라말하기, 동작성 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은 주요 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정상 지능이면서 일반학생인 G집단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읽기 어려움을 지닌 학생의 출현율은 다음과 같다. 저학년의 경우, 정상 지능이면서 단어인지만 어려움이 있는 A집단의 출현율이 가장 높고, 정상 지능이면서 단어인지와 읽기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B집단과 경계선 지능이면서 단어인지와 읽기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E집단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고학년의 경우, 정상 지능이면서 읽기이해만 어려움이 있는 C집단의 출현율이 가장 높고, 경계선 지능이면서 단어인지와 읽기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E집단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 성취도 및 대부분의 인지처리 평가 결과에서 단어인지와 읽기이해 모두에 어려움을 보이는 B집단과 E집단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셋째, 단어인지와 읽기이해에 모두 어려움을 보이는 B집단과 E 집단은 모든 인지처리 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음운인식, 어휘, 문장따라말하기에서 특히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읽기이해만 문제를 지닌 C 집단과 F 집단은 듣기이해에서 낮은 수행을 보인 반면, 음인인식, 음운기억, 빠른자동이름대기에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행을 보였다. 넷째, 경계선 지능에 따른 집단 간에는 모든 인지처리 검사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terogeneity of reading difficulties. Specifically, the study was divided into six groups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nd two groups of general students according to intelligence(normal v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ifficulties in the subareas of reading. Then the differences in read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processing characteristics among these groups were compared. Method: For this purpose 306 students from grades 1 through 6 were evaluated for reading achievements(word recognit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cognitive processing abilities(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rapid naming vocabulary listening comprehension sentence repetition mobility intelligence). Result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in results: First, the ratio of G-group who includes general students with normal intelligence was the highest. The prevalence of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reading is as follows: In the lower grades, the A-group who has normal intelligence and difficulty in word recognition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rate, and then the B-group who has normal intelligence and difficulties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E-group who ha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ifficulties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In the upper grades, the C-group who has normal intelligence and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rate, and the E-group who ha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ifficulties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followed by. Second, the scores of B-group and E-group showing difficulty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both reading achievements and most of the cognitive process assessments. Third, B-group and E-group showing difficulty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received low scores in all cognitive process assessments, particularly in phonological awareness, vocabulary, and sentence repetition. C-Group and F-group with only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showed a low performance in listening comprehension, while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rapid naming showed relatively good performance.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ognitive process assessment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boundary intelligence. Conclusions: Summary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on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