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 미래 물순환 건강성 평가

        김시내 ( Si Nae Kim ),이현지 ( Hyunji Lee ),김계웅 ( Kyeung Kim ),김학관 ( Hakkwan Kim ),강문성 ( Moon Seong Kang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의 변화는 물순환 체계를 변화시키며, 물순환 체계 변화 분석을 위해 다수의 연구에서는 유역단위 물순환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선행 연구는 현 상태의 물순환 체계를 평가하였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장래의 물순환 변화 평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으로 유역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장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물순환 변화 평가를 위해 Budyko 곡선을 활용한 물순환 건강성 지표를 산정·비교하였다. 대상유역으로 한강유역을 선정하였으며, 과거 대비 현재 및 미래의 물순환 건강성 평가를 위해 1975년도를 기준년도로 설정하였다. 1975년도 기준토지이용도를 HSPF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으며, 2013년도 토지이용도를 이용한 보정 매개변수의 계수를 적용하여 HSPF 모형을 구축하였다. HSPF 모형의 기상자료 구축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과거 1970∼2015년 기상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후변화 자료는 CMIP6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SSP5-8.5 시나리오의 UKESM1-0-LL모형을 선정하여 2054∼2099년 미래 기상자료를 활용하였다. HSPF 모형을 통한 현재 및 미래기간의 물수지 분석 결과 유출량, 강수량,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재 및 미래의 물순환 왜곡도를 산정하고 Budyko 곡선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래 물순환 변화를 예측하고, 물순환 관리계획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데이터 예술(Data Art)을 통한 확장된 데이터 시각화 교육 방안 모색

        김시내(Kim Si-nae)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8

        최근 예술 제작을 위한 자료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현대 미술에서 뚜렷한 추세로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외의 데이터 예술의 현황과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을 소개하고, 데이터 예술을 행동주의적, 추상주의적, 표현주의적 접근으로 분석함으로써 데이터를 미술교육의 영역에서 좀 더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시각화의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미술영재교사연수기관과 초등교사양성기관, 초등학교에서 실제 미술 수업을 실행하고 수업과정과 작품을 통해 데이터 아트 수업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데이터는 세계와 자신, 타인에 대한 풍부한 해석의 재료들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둘째, 학생들은 데이터를 비판적, 경험적, 해석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우리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인식과 의미를 만드는 탐구의 형태로 예술 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 셋째, 데이터 아트는 표상 형식의 번역 가능성을 보여주며, 마지막으로 과학과 예술의 연속체 안에서 실행됨으로써 분석적, 개념적, 상징적, 직관적, 은유적 사고로 학생들은 예술과 탐구활동을 행할 수 있다. Recently, many contemporary artists are using data as materials for art production. The study aims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data art and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to provide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data visualization by analyzing data art into activism art, Generative art, and expressive art approaches. Based on this analysis, I conducted art based action research in Art teacher training institute for the gifted for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action research are four-fold. First, data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a rich interpretation of the world, Second, students can engage in art practice in the form of inquiries that create awareness and meaning for ourselves and the world by approaching the data from a critical, empirical, and interpretive perspective. Third, data art shows the possibility of translating between forms of re-presentation. Finally, it is executed in the continuum of science and art, so that students can perform art and inquiry activities in analytical, conceptual, symbolic, intuitive, metaphorical thinking.

      • 안도 타다오의 박물관 건축공간에 나타난 현상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김시내(Kim, Si-Nae),김문덕(Kim, Moon-Duc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3

        Since the 1990s, with the participation of many architects, museum architecture was designed with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space. This museum is no longer simply one of not only seeing the exhibits are placed in a box-shaped space of the museum space into a work of art to experience recognizes as is. Through experience, rather than as a passive spectator space, which is a sentimental and engaging space. Museum architecture"s main feature in the exhibition space of the spectator experience a variety of patterns to create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is regard was. And information through the five senses of the human experience in modern society is becoming importan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xhibit, which leads to activation of a variety of sensory and perceptual experience of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of the human body. Elements can act as an important approach to identify the space of the museum architecture philosophy, the idea that you want to discover the essence of consciousness, such as phenome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architectural work, which emphasizes the physical experience Tadao Ando of museum architectural space analysis of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is seeking a new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 more effective plan museum space.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ommunity-Based Art Education)

        김시내(Kim Si nae),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4

        인터넷과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지역사회의 개념을 변화시키고, 지리적으로 제한된 전통적 공동체와 다른 공동체의 개념을 등장시켰다. 온라인 커뮤니티는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이며, 이 새로운 공간에서 도시인들은 관심의 공유와 사회적 쟁점에 대한 대화 그리고 상호 호혜적 유대 관계를 통해서 보다 확장된 참여의 목소리를 증폭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문화와 기술 발전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역적인 이슈에 집중하는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 성향의 프로젝트들을 소개하고, 위치정보 시스템과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지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커뮤니티 맵핑(Community mapping)의 사례들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BAE) 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인터넷 사이트나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고, 지역사회 문제에 대해 소통하고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 아트의 형태를 통합적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교육현장에서 실천해 볼 수 있다. 커뮤니티 매핑은 환경, 지역안전, 역사, 문화, 예술 등 다각적 주제로 교육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증대와 참여 증진으로 공동체 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직접적 참여로 지역사회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The explosive diffusion of the Internet has led to a change in the concept of community. The notion of the community different from traditional communities geographically circumscribed entity is emerging. An online community is a place for social interaction that allows people to exchange ideas and opinions with one another. In this new space, urban people are amplifying the voices of expanded participation through the sharing of interests, dialogue on social issues, and mutually beneficial 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Community Art projects focusing on local issues based on the online community generated by digital cultur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new typ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CBAE) through examples of community mapping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by utilizing the Global position system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 can try out new forms of community art based on internet sites and social media, communicating and participating in community issues by constructing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field. Community mapping can be linked with educational activities on various topics such as environment, regional safety, history, culture, arts, etc., and it can strengthen community capacity by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It can lead to social change.

      • KCI등재

        소프트웨어 사회, 빅데이터 그리고 미술교육

        김시내 ( Si Nae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3

        우리 사회가 뉴미디어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사회, 데이터 중심의 사회로 이행되면서 예술의 모습과 문화적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뉴미디어 아트와 소프트웨어의 관련성, 소프트웨어 문화, 문화생산 주체의 변화와 디지털 경제, 빅데이터 등에 대해 분석하고 미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소프트웨어 교육과 미술교육의 연계 방안, 융합교육의 지향점과 미술교육에서의 다각적 방식의 데이터 활용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공유된 데이터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적 방식의 교육, 빅데이터, 네트워크 등 기술이라는 비인간적(Inhuman) 힘들과 상호접속을 통한 인간사회의 문제해결, 데이터 주체의 경험의 의미화를 통한 상호주관적 세계의 확장, 데이터 생산에 대한 책임감 부여라는 미술교육의 확장된 가치들을 제시하였다. Our society is being transformed into software society and data-driven society based on new media, and this change is affecting art and culture. I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art and software, software culture, changes in cultural producers, digital economy, and big data and examine the orientation of art education. The convergence of software education and art education, the orientation of STEAM, and the utilization of data in various ways in art education are discussed. I presented the expanded values of art education; art education through expanded social interaction with shared data, solving the problem in human society through inter-connection with the inhuman technology such as big data and network, expanding mutual subjectivity through sharing the meaningful lived world of everyday life, and giving responsibility for data production.

      • KCI등재

        카이 구어 창(Cai Guo-Qiang)의 작품을 통한 전통에의 접근 방법 모색

        김시내(Si Nae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1

        이 연구에서는 카이 구어 창의 문화 정체성과 전통에 대한 작가적 태도, 역사 및 사회적 변화에 대한 비평과 반영으로서 그의 작업들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전통에 대한 접근하는 새로운 방식과 관점을 분석하고, 미술교육에의 시사점과 전통미술교육에 관한 교육적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우선 2008년 뉴욕의 구겐하임 미술관(Guggenheim Museum)에서 열린 카이 구어 창의 대규모 회고전의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가 전통을 활용하는 방식을 신화와 역사의 현대적 재맥락화, 전통 매체와 동시대의 주제의 결합, 열린 기표와 혼성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미술교육에 적용함으로써 역사 교과와의 통합 학습, 역사적 내러티브의 활성화, 전통에의 다각적 방식으로의 접근, 현대적 주제와 형식의 결합 등으로 미술교육에의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lture of regional, 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can be maintained while resisting the standardization and unification of cultur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by looking at Cai Guo-Qiang s work as a creative approach to tradition and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f historical and social changes. It is hoped to provide meaningful insight into art education by offering a new perspective on his approach to traditions. His works show a new approach toward tradition through the exploration and reflection of his history and culture, while using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nguage. I seeks to approach the way he utilizes tradition in terms of modern re-contextualization of myth and history,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media and contemporary subjects, and the open sign and hybridity by analyzing the works of Cai Guo-Qiang s massive retrospective at the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By applying this to art education, I suggest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 to art education through integrated learning with history subject, revitalization of historical narrative, approach to tradition in multiple ways, and combination of modern subject and form.

      • KCI등재

        권장도서의 선정 현황에 관한 연구

        김시내(Si Nae Kim),현은자(Eun Ja Hyu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행해지는 권장도서의 선정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출처가 명확하며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권장도서를 발표하는 16개 기관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권장도서 목록의 발표, 보급, 구성, 내용, 선정의 항목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권장도서의 선정과정은 각 기관의 성격에 따라 특징을 보이고 있었으며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 권장도서 선정의 문제점을 찾아 체계적인 권장도서 목록의 필요성을 알리며 바람직한 권장도서 목록의 제작 방향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election status of recommended book listings in mainly South Korea. Their sub-categorized questions as following 1) how is the lists production status. 2) Second, how are the lists circulated and for whom? 3) how are the lists organized? 4)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lists? 5) how are the lists selected?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hich were 15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which published or announced recommended book listing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ifferent categories for specific purpose. The results for this study are listed as following. First, recommended book lists were found to be released from a various fields of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schools, publishers, government, bookstores, book rental company,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press. The lists have started to be released since 1968. Specifically,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for the recommended book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ir production as well. The release period of the recommended book lists were varied, however; once a year was the majority case, making 56.25%. Second, the recommended book lists for young children are small portion relatively comparing to the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istribution media of the recommended book lists were varied including physical paper production and internet web sites. Periodic booklet-wise independent volumes were most frequently used. Amount of circulation production volumes were ranged from 1,000 to 60,000. <Hanuri Reading Campaign Center> and <Children`s Book Study Organization> were the top two lists release institutions in terms of the volume quantity. Third, the recommended book lists were found to be organized mainly according to age and literary genre and field, however; details of the organizations were rad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Fourth, most of the book lists have contained titles, authors and publishers of the books in common. But book reviews, book selection policies and name of selectors were a few of those items not indicated consistently throughout the listings. Even for the book lists having book reviews, most of them were consisted of only two to four sentences of story summaries and even less or none brief comments on critics or analytical reviews. Lastly, the book list selections were found to be critically more focused on the newly released books. The quantities of selected book items were varied from four to 400 items of books a year. Selectors of the book lists were mainly by a single professional or expert in different area from external of the institution instead of the organized selection committees from internal. In the most cases, specific book selection policies did not even seem to exist, and tended to be vague and not clear. Methods for the book list selection were tending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selectors.

      • KCI등재

        아토그래피(A/r/tography)를 통한 교사교육에의 접근

        김시내(Kim, Si Na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2

        이 연구에서는 미술 교사교육에 있어서 예술 교육의 창의성, 정체성에 기초한 아토그래피 연구방법에 기반을 두어 예술가로서의 창조성과 연구자, 교사의 통합된 정체성을 반영한 연구의 과정들을 소개하고, 개인 포트폴리오를 통해 학습하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 학기 동안의 수업 과정과 교사들의 연구 사례를 통해 아토그래피의 교육 연구와 미술 교사교육에 있어 의미를 다음 네 가지 측면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아토그래피적 접근은 다중화된 사회・문화적 정체성의 경험을 이끌어 내고 개인만의 독특하고 개별적인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이러한 개별적 경험들은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맥락에서 해석되며, 이것은 공적인 ʻ연구ʼ가 되기 위한 방법론적 정당성을 부여한다. 둘째, 아토그래피 연구방법은 연구에 있어서 표현과 창작을 통한 미술의 고유한 특질인 정서와 감정의 표출을 허용하며, 정서적 앎의 세계로 이끈다. 지적 경험과 미적 경험을 통합하고, 감각의 층위에서 사유를 촉발 하게 한다. 그리고 아토그래피는 관계적 장치를 마련해주는 예술적 실천의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아토그래피는 삶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과정 속 에서 교육적 실천, 예술 실행의 연결을 통해 일상의 경험과 미적 경험을 통합시킨다. 넷째, 아토그래피는 능동적 반성의 행위와 교육적 실제의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천, 예술 실행의 결합으로 테오리아, 프락시스, 포에시스를 통합시킨다. 교육적 실천과 예술실행은 이러한 미술교육의 실천 담론 생산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며, 아토그래피는 예술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교육과 학습을 전제로 하는 교육적 잠재력을 지닌다.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process of research that reflects the creativity as an artist and the integrated identity of researchers and teachers, based on research methodology called A/r/tography based on the creativity and identity of art education and suggest a methodological possibility to study and research through personal portfolio in art teacher education I would like to summarize the meaning of artography on art education and art teacher education in four aspects through one class semester course and the case study of teachers. First, the leads to the experience of multiplexed social and cultural identities and tells individual unique and individual stories. These individual experiences are interpreted in a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which gives methodological justification for public research. Second, the atography research permits the expression of emotion and affect, which is the inherent trait of art, and leads to a world of emotional knowing. It integrates intellectual and aesthetic experiences, and triggers thoughts on the layer of sensations. And it shows the possibility as a method of artistic practices that provides a relational device. Third, A/r/tography integrates daily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tthrough the link between artistic practice and daily experience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life. Fourth, A/r/tography incorporates theoria, praxis, poiesis in a combination of ʻʻthinkingʼʼ, ʻʻdoingʼʼ and ʻʻcreatingʼʼ a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realities. Educational practice and art practice are important processes in the production of the practical discourese of art education, and A/r/tography have educational potential on the premise of education and learning as well as understanding of art.

      • KCI등재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계한 뉴미디어 아트 교육프로그램 개발

        김시내(Kim, Si Na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1

        뉴미디어 아트 제작 활동에 있어 중요한 도구인 코드와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디지털 미디어의 더 넓은 창의적 잠재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교육과 연계한 뉴미디어 아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자는 프로그래밍을 기초로 하는 새로운 매체의 표현에 필요한 문해력 향상과 뉴미디어 예술의 미학적 측면, 정보 시대에 대한 새로운 미디어 예술의 비판적 참여에 중점을 둔 뉴미디어 아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이론적으로 스튜디오 사고와 컴퓨팅 사고의 연관성, 디지털 미디어의 제작 및 표현을 위한 창의적 코딩, 사회·정치 및 행동주의적 담론으로서의 비판적 코드 등의 개념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뉴미디어 아트 영역 중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관성을 맺는 코드 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사운드 아트, 라이트 아트, 로보틱 아트, 웹아트 등을 소개하고, 제시된 예술가들의 작품과 소프트웨어 교육 과정 등을 반영하여 뉴미디어 아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뉴미디어 아트 영역에 대해 경험하고, 디지털문화의 영역에서 창의적으로 코드를 사용하여 디지털 매체를 통한 제작 및 표현활동에 참여해 볼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media arts education program in conjunction with software education in order to bring out the wider creative potential of digital media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code and programming which are important tools for new media art production.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a new media art program that focuses on improving code literacy, the aesthetics of new media art, and the critical participation of new media art in the information age based on programming. First, the concep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io think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e coding for the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digital media, and critical code as a social, political and activism discourse were examined. code art, interactive art, sound art, light art, robotic art, web art, etc. that relate to software education were introduced, and a new media art program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works of artists and software curriculum.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various new media art areas, and develop the ability to creatively use codes in the field of digital culture to participate in produc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digit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