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ffects of Dietary Salt Restriction on the Development of Renal Failure in the Excision Remnant Kidney Model

        김기혁,김상윤,강용주,맹원재,김교순,Kim Kee-Hyuk,Kim Sang-Yun,Kang Yong-Joo,Maeng Won-Jae,Kim Kyo-Sun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2

        목적 : 만성신부전유발 백서에서 식이 sodium 제한이 만성신부전의 진행속도 및 혈압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한 항고혈압제제 (enalapril: E, nicardipine: N)와 병행 투여하였을 매 항고혈압제제 단독투여보다 만성신부전의 진행속도 및 혈압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연구하였다. 방법 : 5/6 신절제술로 만성신부전을 유발시킨 백서를 수술 제 7일부터 무작위로 0.49% sodium 식이군, 0.25% sodium 식이군,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 0.49% sodium 식이 nicardipine군, 0.25% sodium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식이 nicardipine군으로 나누고 신절제술 4주, 12주, 16주 혹은 24주에 혈압, 24시간 단백뇨의 변화, 신 조직의 mesangial expansion score(MES) 및 사구체용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곁 과 : 1) 0.25% sodium 식이군은 0.49% sodium 식이군보다 혈압의 감소를 보였고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 0.49% sodium 식이 nicardipine 군에서는 혈압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2) 16주째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 0.49% sodium 식이 nicardipine 군은 0.49% sodium 식이군보다 의의있는 단백뇨의 감소를 보였다 (P<0.05). 0.25% sodium 식이군의 16주째 뇨단백은 $78{\pm}16$ mg 이었고 0.25% sodium 식이 enalapril 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은 각각 $35{\pm}9mg,\;41{\pm}15mg$으로 enalapril, nicardipine 에 의해 뇨단백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고, 0.25% sodium 식이군의 24주째 뇨단백은 $82{\pm}10$ mg 이었고 0.25% sodium 식이 enalapril 군,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은 각각 $54{\pm}3mg,\;76{\pm}11mg$으로, enalapril 에 의해서만 24 시간 단백뇨의 의의있는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3) 24주째 백서를 희생하여 크레아티닌 청소률을 관찰한 결과 심한 신부전은 관찰되지 않았고, 0.25% sodium 식이 대조군에 비해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에서 사구체여과율이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신절제술후 남아 있는 신조직무게를 비교하여 보면 24주째 0.25% sodium 식이군,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에서 16주째 0.49% sodium 식이군,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 0.49% sodium 식이 nicardipine 군보다 의의있게 신조직무게가 증가됨을 관찰할 수 없었다. 5) 0.25% sodium 식이군은 0.49% sodium 식이군과 비교하여 MES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0.25% sodium식이군: 12주; $1.97{\pm}0.02$, 24주; $2.06{\pm}0.03$ vs. 0.49% sodium 식이군: 12주; $2.29{\pm}0.09$, 16주; $2.55{\pm}0.16$, P<0.05) 12주 이후에 관찰한 MES는 0.25% sodium 식이군,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 세군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6) 24주에 시행한 0.25% sodium 식이군의 사구체용적은 16주에 시행한 0.49% sodium 식이군의 사구체용적보다 현저하게 감소되어있었다 (0.25% sodium 식이군:24주; $1.58{\pm}0.18{\times}10^6{\mu}m^3$ vs. 0.49% sodium 식이군:16주; $1.98{\pm}0.18{\times}10^6{\mu}m^3$, P<0.05). 24주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의 사구체용적($1.51{\pm}0.08{\times}10^6{\mu}m^3$)은 16주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의 사구체용적($1.81{\pm}0.22{\times}10^6{\mu}m^3$)과 비교하여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12주, 24 주에 관찰한 0.25% sodium 식이군,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의 사구체용적은 세군간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식이 sodium 제한은 대상성 신비대의 감소를 통해 신손상을 감소시켰고 혈압의 감 Purpose: To evaluate whether or not sodium restriction had its own beneficial effect and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anti-hypertensive drugs on the progression of renal failure. Methods: We studied using the excision remnant kidney model.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5/6 nephrectomy and a 0.49% (normal-high) sodium diet (NN); 5/6 nephrectomy and a 0.25% (normal-low) sodium diet (LN); 5/6 nephrectomy, a 0.49% sodium diet and enalapril (NNE); 5/6 nephrectomy, a 0.49% sodium diet and nicardipine (NNN); 5/6 nephrectomy, a 0.25% sodium diet and enalapril (LNE); 5/6 nephrectomy, a 0.25% sodium diet and nicardipine (LNN). Both diets were isocaloric and had the same content of protein, phosphorus and calcium. Proteinuria, remnant kidney weight, mesangial expansion scores, and glomerular volume were assessed. Results: Blood pressure tended to be lower in LN compared to NN (P<0.05). NN developed progressive hypertension. LNE, LU, NNE, and NNN reduced blood pressure. LNE, LNN, NNE, NNN, and LN had significantly less proteinuria than NN at 16 weeks (P<0.05). At 24 weeks, LN developed proteinuria (82 mg/day), which were lessened in LNE (54 mg/day) and not lessened in LNN (76 mg/day). Mesangial expa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less in LN rats compared to those in NN rats. Glomerular volumes at 24 weeks in LN rats were significantly less compared to those at 16 weeks in NN rats. Mesangial expansion scores and glomerular volumes at 4, weeks, 12 weeks, and 24 weeks were not different among LN, LNE, and LNN groups. Conclusion: Dietary salt restriction lessens renal damage, at least in part, by inhibiting compensatory renal growth and reducing blood pressure. Enalapril was particularly successful in reducing proteinuria and glomerular injury when combined with dietary salt restriction.

      • KCI등재

        Pretreatment of Sugarcane Molasses and Citric Acid Production by Candida zeylanoides

        김기혁,이호영,이찬용,Kim, Kee Hyuk,Lee, Ho-Young,Lee, Chan Yong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and Biotechnol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2

        Citric acid is produced via submerged fermentation using yeasts. Among eight different strains of yeast, Candida zeylanoides was chosen as the strain for producing citric acid and optimized for various C/N ratios and effects of phosphate or Fe<sup>2+</sup> ions in a clean carbon source medium (glucose: fructose, 1:1). The yield of citric acid was maximized at a C/N ratio of 40/1, a phosphate addition of 1.0 g/l, and an Fe<sup>2+</sup> ion concentration of less than 50 mg/l, yielding up to 91 g/L in the broth with 18.5 g/l of isocitric acid in a six-day fermentation period using a pre-treated molasses medium. The yield of batch culture was 0.51 (Y<sub>p/s</sub>, g/g) in a 5 L-Jar fermenter. 효모의 액침배양법에 의한 구연산을 발효생산하였다. 여덟 가지 구연산 발효균주의 생산성을 비교하여 가장 생산성이 높은 Candida zeylanoides를 선발하였다. 발효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glucose와 fructose 혼합당 배지에서 C/N 비, 인산염의 농도, Fe<sup>2+</sup> 이온의 최적 농도를 결정하였다. 삼각 플라스크 실험결과 C/N 비는 40/1이 가장 좋았으며, 최적화된 인삼염과 Fe<sup>2+</sup> 농도에서 구연산 91.4 g/l와 이소-구연산 19.8 g/l를 생성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TCPH 전처리 당밀 배지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인삼염 농도 1.0 g/l, Fe<sup>2+</sup> 이온 50 mg/l 이하의 농도에서 구연산 91 g/l와 이소-구연산 18.5 g/l를 생성하였다. 5 L-Jar 발효조를 사용한 실험에서의 구연산 수율(Y<sub>p/s</sub>, g/g)은 0.51이었다.

      • KCI등재

        설탕 대체제로 야콘 시럽을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특성

        김기혁(Kee-Hyuk Kim),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0

        다량 섭취 시 성인병과 비만의 원인이 되는 설탕의 함량을 감소하며 fructooligosaccharides(FOS)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천연당인 야콘 시럽을 첨가하여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야콘 시럽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높이와 부피는 야콘 시럽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수분 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설탕 대신에 첨가한 야콘 시럽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스펀지케이크는 녹갈색을 더 강하게 나타내었다. 야콘 시럽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물성 측정 결과 야콘 시럽을 많이 첨가하면 탄력성과 응집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도는 야콘농축액을 첨가하지 않고 설탕만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YS 0)와 설탕의 10%를 야콘농축액으로 대체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YS 10)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며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야콘 시럽함량이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깨짐성은 야콘 시럽을 첨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야콘 시럽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기호도 평가 결과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야콘 시럽을 첨가하지 않은 YS 0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YS 10은 YS 0와 통계적으로 유의 차를 나타내지 않고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펀지케이크는 저장 기간 중 모든 처리구에서 수분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야콘 시럽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 감소폭은 낮았다. 야콘 시럽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스펀지케이크의 색깔은 녹색에 가까운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 중 변화는 없었다. 탄력성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응집성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탄력성과 같이 야콘 시럽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늦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경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야콘 시럽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는 제조 직후부터 낮은 경도를 나타내었는데 저장 기간이 경과하면서도 설탕만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보다 지속해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야콘 시럽을 설탕의 10%를 대체한 스펀지케이크는 기호성도 좋고 FOS를 다량 함유하며, 설탕 섭취량을 줄일 수 있고 저장 기간 동안 수분을 잘 함유하고 있어 촉촉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Yacon syrup, which contains fructooligosaccharides (FOS),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sugar to make functional healthy sponge cake.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various yacon syrup concentrations, height and volume decreased while moistur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yacon syrup concentration. Sponge cake with increasing yacon syrup content showed a greater green-yellowish color. Springiness, cohesiveness, hardness, and brittl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yacon syrup concentration. Hardness values of cakes made with 100% sugar (YS 0) and yacon syrup substitute for 10% sugar (YS 1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verall acceptance of sponge cake decreased with increasing yacon syrup content, whereas those of YS 0 and YS 1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storage period, moisture content of sponge cake with increasing yacon syrup concentration decreased during storage, whereas the decreasing moisture content was less than that of YS 0. The color of sponge cake with various yacon syrup concentration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during storage. Hardness increased with storage period, whereas that of sponge cake made with yacon syrup was lower than that of YS 0. In conclusion, sponge cake made with YS 10 is the best to make sponge cake with high consumer acceptance, reduced sugar content, and FOS.

      • KCI등재후보

        Effects of Dietary Protein on the Progression of Early Chronic Renal Failure in Subtotally Nephrectomizid Rats

        김교순,김기혁,김상윤,강용주,맹원재,Kim, Kyo-Sun,Kim, Kee-Hyuk,Kim, Sang-Yun,Kang, Yong-Joo,Maeng, Won-Ja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1

        목 적 : 초기만성신부전증에서 저단백식이의 투여가 만성신부전의 진행속도 및 혈압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 위함이다. 방 법 : 5/6 신절제술로 만성 신부전을 유발시킨 백서를 수술 제 7일부터 무작위로 enalapril을 투여하지 않은 군과 enalapril 투여군 (식수 1L 당 50 mg)으로 나누고 각군을 정상단백식이군 ($18.5\%$ 단백식이), 저단백식이군($6\%$단백식이)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았다. 신절제술후 4주, 12주, 16주에 단백뇨의 변화, 잔여 신장무게, 신 조직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및 morphometric analysis로 분석한 사구체용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정상단백식이군 및 저단백식이군은 신절제술후 혈압이 올라가기 시작하여 지속적인 고혈압소견을 보였다 (정상단백식이군; 4주 $147{\pm}6$mmHg, 8주 $175{\pm}11$mmHg, 12주 $180{\pm}6$mmHg, 16주 $200{\pm}6$ mmHg: 저단백식이군; 4주 $140{\pm}8$mmHg, 8주 $162{\pm}5$mmHg, 12주 $171{\pm}6$mmHg, 16주 $184{\pm}11$mmHg). Enalapril 투여군은 식이의 단백량과 관계없이 신절제술후 8주부터 혈압이 조절되기 시작하였다. 2) 16주째 저단백식이군의 24시간 뇨단백은 $74{\pm}15$mg으로 정상단백식이군 ($101{\pm}15$mg)보다 의의있게 적었다. (P<0.05). Enalapril 투여군도 저단백식이의 경우 $42{\pm}12$mg 으로. 정상단백식이($67{\pm}15$mg) 보다 의의있게 적었다. (P<0.05). 3) 신절제술후 16주째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정상단백식이군 $1.40{\pm}0.13$ ml/min, 저단백식이군은 $1.57{\pm}0.11$ml/min, enalapril 정상단백식이군은 $1.10{\pm}0.17$ml/min, enalapril 저단백식이군은 $1.37{\pm}0.14$ml/min 이었다. (P=NS). 4) 저단백식이군의 잔여 신장무게의 증가는 정상단백시이군의 신장 무게의 증가에 비해 의의있게 낮았다. (저단백식이군; 4주 $1.33{\pm}0.04g$, 12주 $1.45{\pm}0.05g$, 16주 $1.44{\pm}0.16g$: 정상단백이군; 4주 $1.58{\pm}0.19g$, 12 주$1.79{\pm}0.15g$, 16주 $1.99{\pm}0.12g$, P<0.05). 16주에 관찰한 enalapril 투여군의 신장무게를 보면 저단백식이, 정상단백식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5) 12주, 16주째 저단백식이군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은 정상단백식이군보다 의의있게 감소되었다. (저단백식이군; 12주 $1.91{\pm}0.02$, 16주 $1.90{\pm}0.02$; 정상단백식이군 ; 12주 $2.29{\pm}0.09$, 16주 $2.55{\pm}0.16$, P<0.05). Enalapril 투여군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는 식이의 단백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6) 16주째 저단백식이군의 사구체용적은 정상단백식이군보다 의의있게 감소되었다 (16주, 저단백식이군; $1.17{\pm}0.19{\times}10^6{\mu}m^3$ ; 정상단백식이군; $1.98{\pm}0.16{\times}10^6{\mu}m^3$, P<0.05). Enalapril 투여군의 사구체용적은 저단백식이의 경우 정상식이 때 보다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다 (16주, 저단백식이군; $1.19{\pm}0.17{\times}10^6{\mu}m^3$: 정상단백식이군; $1.81{\pm}0.22{\times}10^6{\mi}m^3$, P<0.05). 결 론 : 항고현압제를 쓰지 않은 군에서의 저단백식이의 효과는 매우 현저하였고 항고혈압제를 쓴 군에서는 저단백식이와 정상단백식이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저단백식이와 항고혈압제는 각각 신조직 손상의 진행을 확실히 지연시키나 두가지를 같이 병용하면 각각 지연시키는 것에 비하여는 additional effect가 미미하 Purpose : The protective effects of dietary protein on the progression of renal failure were studied in subtotally nephrectomized rats. Methods :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5/6 nephrectomy and a normal protein ($18.5\%$) diet (NP); 5/6 nephrectomy and a low protein ($6\%$) diet (LP): 5/6 nephrectomy, a normal protein diet and converting enzyme inhibitor, enalapril (NPE): 5/6 nephrectomy, a low protein diet and enalapril (LPE). Both diets were isocaloric and had the same phosphorus content. Proteinuria, remnant kidney weight,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and glomerular volume were assessed at 4, 12 and 16 weeks after renal ablation. Results : LP and NP developed progressive hypertension. Eight weeks after surgery, LPE and NPE controlled hypertension. LP, LPE, and NPE had significantly less proteinuria than NP at 16 weeks (P<0.05). Kidney weight in LP were markedly less enlarged than NP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kidney weight between LPE and NPE. At 12 and 16 weeks the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was significantly less in LP, LPE, and NPE compared to NP (P<0.05). At 12 and 16 weeks mean glomerular volume was significantly less in LP compared to NP (P<0.05). At 12 and 16 weeks mean glomerular volume in LPE was significantly less compared to NPE. Conclusion : Dietary protein restriction afforded considerable protection from renal injury in the rat remnant kidney model. During the enalapril treatment, there was no additional protective effect of dietary protein restriction against the development of renal les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Renal Effects of a Low Protein Diet and Antihypertensive Drugs on the Progression of Early Chronic Renal Failure in 5/6 Nephrectomized Rats

        김교순,김기혁,김상윤,강용주,맹원재,Kim, Kyo-Sun,Kim, Kee-Hyuk,Kim, Sang-Yun,Kang, Yong-Joo,Maeng, Won-Ja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2

        목 적 : 초기만성신부전증에서 저단백식이를 항고혈압제와 병행 투여하였을 때 저단백식이 단독 투여 때보다 만성신부전의 진행속도 및 혈압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하여 저자들은 실험동물 백서를 이용하여 excision remnant kidney model로 만성 신부전을 유발시켰다. 방 법 : 5/6신 절제술로 만성 신부전을 유발시킨 백서를 순술 제 7일부터 무작위로 저단백식이 ($6\%$단백식이) 단독투여군, 저단백식이 enalapril 투여군 (식수 1 L당 50 mg),저단백식이 nicardipine 투여군 (사료 g당 0.2mg)로 나누어 신절제술후 4주, 12주, 16주에 단백뇨의 변화, 신 조직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및 morphometric analysis로 분석한 사구체용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은 신절제술후 계속 혈압이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투여군은 신절제술후 8주부터 항고혈압제 투여 7주 후부터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에 비해 혈압이 조절되기 시작하였다. 2)신절제술후 16주 째의 24시간 뇨단백은 세군 모두 크게 증가되지 않았으나 저단백식이 enalapril 투여군, 저단백식이 nicardipine투여군은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에 비해 24시간 뇨단백의 양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 3) 신절제술후 16주째 크레아티닌 청소 율은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은 $1.57{\pm}0.11\;mL/min$, 저단백식이 enalapril 투여군 $1.37{\pm}0.14\;mL/min$, 저단백식이 nicardipine 투여군 $1.11{\pm}0.16\;ml/min$ 이었다. 4)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의 잔여 신장무게는 신절제술후 4주 $1.33{\pm}0.04g$, 12주 $1.45{\pm}0.05g$, 16주 $1.44{\pm}0.16g$으로 12주 이후 잔여 신장무게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 .신절제술후 16주에 관찰한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과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투여군간의 잔여 신장무게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5)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는 12주째 증가소견을 보였고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투여군은 항고혈압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12주 이후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의 의미있는 증가소견이 없었고 세군 간의 차이도 없었다. 6)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의 사구체용적은 12주째 증가소견을 보였고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 투여군은 항고혈압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12주 이후 사구체용적의 의미있는 증가소견이 없었고 세군 간의 차이도 없었다. 결 론 : 초기만성신부전증에서 저단백식이는 혈압을 조절시키지 못하였고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투여군은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보다 혈압조절 및 단백뇨의 감소 소견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대상성 사구체비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만성신부전의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있어서 저단백식이와 함께 항고혈압제를 추가하였을 때 항고혈압제에 의한 추가적인 지연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Purpose : To study whether a low protein diet increase the efficacy of antihypertensive therapy on the progression of renal failure, w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using 5/6 nephrectomized rats(n=63). Methods : At 7 days after surger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receiving antihypertensive drug: no antihypertensive drug (U), enalapril (E), and nicardipine (N), respectively and fed a low protein diet (6$\%$ protein). Proteinuria,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and glomerular volume were assessed at 4, 12 and 16 weeks after renal ablation. Results : Group U rats on a low protein diet developed progressive hypertension ($140{\pm}8,\;162{\pm}5,\;171{\pm}5\;and\;184{\pm}11\;mmHg$ at 4, 8, 12 and 16 weeks) which were controlled by E and N. Group U rats on a low protein diet developed proteinuria ($74{\pm}15\;mg/day$ at 16 weeks) which were decreased by E ($42{\pm}12 mg/day$) or N ($48{\pm}8 mg/day$) (p<0.05).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and glomerular volume were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U, E and N on a low protein diet regardless of the antihypertensive drugs administered. Conclusion : A low protein diet did not affect blood pressure. Enalapril and nicardipine-treated rats on a low protein diet did not have different mesangial matrix expansion and glomerular volumes from rats on a low protein diet at 12 weeks and 16 weeks, in spite of the better controlling of systemic hypertension and lessening of proteinuria. Thus, combined treatment with a low protein diet and antihypertensive drugs didn't appear to show any addition,11 effects to attenuate glomerular injury.

      • KCI등재

        연구노트 : 감마선 조사에 의한 endosulfan의 면역독성 저감

        김현주 ( Hyun Joo Kim ),김태훈 ( Tae Hoon Kim ),함준상 ( Jun Sang Ham ),김기혁 ( Kee Hyuk Kim ),조철훈 ( Cheor Un J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3

        Eudosulfan is an organochlorine pesticide that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world for higher agricultural production. Its extreme toxicity, however, has caused health and environment concerns that have led to an interest in detoxification. In this study, the radiolytic degradation of endosulfan was investigated Endosulfan in methanol solution (100 ppm) was irradiated at 10, 30, and 50 kGy, and subsequent changes in immune toxicity and degradation of endosulfan were observed. The concentration of endosulfan that was used in this experiment did not affect the cell proliferation. The irradiation of endosulfan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indicating a decrease in the immune toxicity of endosulfan by irradiation. The concentration of endosulfa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irradi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suggest that gamma irradiation can degrade endosulfan and can reduce its immune toxicity.

      • KCI등재

        깻잎 착즙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물리 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김원모(Won-Mo Kim),오석태(Suk-Tae Oh),김기혁(Kee-Hyuk Kim),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6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소비자들에게 기호성이 높으며 기능성분을 다량 함유한 깻잎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깻잎 착즙액을 이용하여 식빵을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물리 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변화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3일 후 깻잎 착즙액을 첨가한 식빵의 수분 함량이 더 낮았다. 색도 명도는 깻잎 착즙액 함량이 높을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물성에서 탄력성과 응집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깻잎 착즙액 첨가량이 높을수록 저장기간 동안 더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특성에서 부드러운 조직감은 저장기간 동안 깻잎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아지는 속도가 빠름을 알 수 있었다. 기호도 변화는 소비자들이 제빵직후와 1일 저장 후 깻잎을 첨가한 빵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저장 3일째에는 깻잎 착즙액 첨가량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저장기간 동안 물성, 관능특성 및 기호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0일째의 IWC-0, DWC-0, 0.5% SPLJ-0, 1.0% SPLJ-0 및 1일째의 0.5% SPLJ-1이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0.5% 깻잎 착즙액을 이용했을 때 좋은 빵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3일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IWC, DWC)에서는 경도, 씹힘성, 부서짐성의 변화가 거의 없었는데 깻잎 착즙액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0.5% SPLJ에서 조차도 경도, 씹힘성, 부서짐성이 증가하여 빵에 대한 기호도가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깻잎 착즙액을 이용하여 제빵하였을 때 소비자들의 기호성이 높으므로 깻잎을 활용한 식빵의 제조는 바람직하지만 저장기간 동안 경도, 씹힘성, 부서짐성 증가로 인한 기호성의 감소에 대한 해결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erilla leaf has many healthy functions and is cultured easily in Korea. For the wider application of perilla leaf, squeezed perilla leaf juice was used to produce pan brea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pan bread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squeezed perilla leaf juice (SPLJ) were analyzed. The moisture contents of all breads decreased during storage, and those of the bread made with increasing SPLJ amounts showed low valu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during storage, whereas those of the bread made with increasing SPLJ showed dramatically low value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oft texture decreased during storage, whereas that of the bread made with increasing SPLJ showed low values. In overall acceptance analysis, the consumers preferred the bread made from SPLJ until one day storage, but they did not enjoy the bread made with SPLJ after 3 days storage than the control. The correlations amo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bility were analyzed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In PCA, the variance portion of PC1 was 0.69, whereas that of PC2 was 0.18. The fresh bread made with imported wheat (IWC-0), with domestic wheat (DWC-0), with 0.5% SPLJ-0 (0.5% SPLJ-0), and with 1.0% SPLJ (1.0% SPLJ-0) as well as the bread made with 0.5% SPLJ after one day storage (0.5% SPLJ-1) were located in the first dimension, which was both positive PC1 and PC2.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irst dimension were the moistened and soft texture and high consumer acceptability. In conclusion, 0.5% SPLJ could be a good amount of SPLJ addition for making bread. To produce good pan bread with SPLJ, a bread making method will be developed to decrease the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 KCI등재

        당귀잎 착즙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빵의 물리적 특성

        김원모(Won-Mo Kim),오석태(Suk-Tae Oh),송미란(Mi-Ran Song),김기혁(Kee-Hyuk Kim),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8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원료로 사용되는 당귀에서 뿌리를 수확한 후 부산물인 당귀잎을 활용하는 범위를 넓히고자 당귀잎을 착즙액 형태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빵 하고, 식빵의 물성을 분석하여 제빵 가능한 당귀잎 착즙액 첨가량 범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에서 발효팽창력은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빵(DOWF)과 1% 당귀잎 착즙액 고형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1% SDLJ) 사이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당귀잎 착즙액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피 팽창력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수분함량은 당귀잎 착즙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당귀잎 착즙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L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값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에 따라서 L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값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b값의 변화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탄력성은 당귀잎 착즙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에는 감소하였다. 응집성은 수입밀로 제조한 빵(IMWF)이 DOWF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검성, 깨짐성 및 경도는 당귀잎 착즙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IMWF, DOWF와 1% SDLJ 사이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제빵 직후 물성 분석 결과 IMWF, DOWF와 1% SDLJ 사이에 유의차가 없어 당귀잎 착즙액을 이용하여 제빵 할 때는 1% SDLJ로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빵의 저장 기간과 물리적 특성 사이의 상관성을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하였을 때 PC1에 대한 variance proportion은 0.87이었고 PC2에 대한 variance proportion은 0.10이었다. PCA 분석 결과 1% SDLJ는 제빵 후 및 저장 3일째에도 DOWF나 IMWF와 같은 대조구와 제빵 후 특성 및 저장성이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당귀잎 착즙액으로 제빵 할 경우에는 1% SDLJ로 제빵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당귀잎 착즙액을 이용하였을 때 제빵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므로 앞으로 기호성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Danggui lea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has numerous dietary fiber and healthy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ctivity. However, it is usually discarded after its roots are harvested. For wide application of danggui leaf, squeezed danggui leaf juice was used for making pan bread. Treatments included imported wheat flour (IMWF) and domestic wheat flour (DOWF) as a control, 1% soluble solid contents of squeezed danggui leaf juice instead of wheat flour (1% SDLJ), 2% SDLJ, 3% SDLJ, and 4% SDLJ. In the fermentation expansion, dough volu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OWF and 1% SDLJ, whereas it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ed amount of squeezed danggui leaf juice. Regarding physical propertie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ed amount of squeezed danggui leaf juice and longer storage period. Gumminess, brittleness, and hardnes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d amount of squeezed danggui leaf juice, although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IMWF, DOWF, and 1% SDLJ after making pan brea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torage period and physical properties. In the PCA, variance proportion of principal component (PC) 1 was 0.87 while that of PC 2 was 0.10. Further, 1% SDLJ showed similar results as DOWF and INWF after making pan bread and after 3 days of storage. In conclusion, use of 1% SDLJ is desirable for making squeezed danggui leaf juice.

      • SCOPUSKCI등재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가 식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원모(Won-Mo Kim),김기혁(Kee-Hyuk Kim),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0

        부드럽고 노화를 지연하는 빵을 제조하기 위해 호화밀가루반죽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여 제빵 하면서 제빵특성 및 저장성을 분석하였다.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반죽특성을 분석하였을 때 견도는 호화밀가루반죽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반죽형성시간은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반죽의 안정도는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gluten 형성 능력은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발효 팽창력이 높은 것은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반죽하였을 경우였으며 호화밀가루반죽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은 발효 팽창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부피는 대조구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고 10%와 20%의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부피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3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부피는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호화밀가루전분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수분 함량은 제조 당일에는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빵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수분 함량의 변화는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은 호화밀가루반죽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함량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 동안 수분 함량의 감소율은 낮았다. 색도는 각 저장기간에 따라 통계적 유의차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제빵 직후 씹힘성, 깨짐성과 경도는 대조구와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동안 씹힘성, 깨짐성과 경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일 저장 시까지는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증가폭이 가장 적었다. 관능특성 강도 평가 결과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제빵 하였을 때 쫄깃한 조직감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 기호도 조사결과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이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너무 많은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는 제빵 적성을 향상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10%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는 좋은 물성과 기호성을 나타내며 노화속도를 줄이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빵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o make soft and less stale bread, various amounts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were added for making pan bread. In the dough process, higher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showed higher consistency and dough development time but a lower dough stability time. Expansion during fermentation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upon addition of 10%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GWFD), and this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Volume of bread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nd lowest in 30% GWF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10% GWFD and 20% GWFD. Moisture contents of bread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increased with increasing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amount. Color values of bread made with various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hewiness, brittleness, and hardness of bread made with control and 10% GWFD showed low values, whereas bread made with 20% GWFD and 30% GWFD showed high values. During storage, chewiness, brittleness, and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in whole breads, whereas breads made with 10% GWFD showed the lowest increasing rate. In the sensory strength test, chewy texture increased upon addition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In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10% GWFD showed the most overall acceptance. In conclusion, bread made with 10%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is desirable for increasing softness and decreasing bread st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