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에서 무월경의 원인적 분류

        권수경 ( Su Kyoung Kwon ),이선주 ( Sun Joo Lee ),전은진 ( Eun Jin Jun ),이경희 ( Kyoung Hee Lee ),유래미 ( Rae Mi Ryu ),강혁재 ( Hyuk Jae Kang ),김성훈 ( Sung Hu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0

        목적 한국 여성에서의 무월경의 원인적 분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741명의 무월경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환자는 10-20세를 group Ⅰ으로 분류하였고, 21-30세를 group II, 31-40세를 group III로 분류하여 세 그룹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무월경 환자는 원발성 무월경과 속발성 무월경 환자로 나누었다. 결과 원발성 무월경 환자는 89명(12.0%)이었고, 속발성 무월경 환자는 652명(88.0%)이었다. 10-20세 그룹에서는 원발성 무월경 환자는 62명(22.6%)이었고, 속발성 무월경 환자는 212명(77.4%)이었다. 21-30세 그룹에서는 원발성 무월경이 27명(6.5%)이었으며, 속발성 무월경은 389명(93.5%)이었다. 31-40세 그룹의 무월경 환자에서는 원발성 무월경 환자는 없었고, 속발성 무월경 환자만 51명(100%)이었다. 10-20세 그룹에서 원발성 무월경의 원인은 뮐러관 무발육증후군, Turner 증후군 순이었고, 21-30세 그룹에서도 동일하였다. 10-20세 그룹에서 속발성 무월경의 원인은 다낭성난소증후군, 체중관련 저성선자극호르몬성 저성선증, 조기난소부전 순이었고, 21-30세 그룹에서도 동일하였다. 31-40세 그룹에서는 조기난소부전, 다낭성난소증후군 순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한국여성의 전 연령군에서 원발성 무월경의 흔한 원인은 뮐러관 무발육증후군, Turner 증후군 순이었고, 속발성 무월경의 원인은 다낭성난소증후군, 조기난소부전, 체중관련 저성선자극호르몬성 저성선증 순이었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amenorrhea in Korean women. Methods A total of 741 patients with amenorrhea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etween January 1998 and May 2008.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ge 10-20 was defined as group I, age 21-30 was group II and age 31-40 was group III. Amenorrhea was categorized into the primary amenorrhea and secondary amenorrhea.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rimary amenorrhea was 89 (12.0%) and secondary amenorrhea was 652 (88.0%).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rimary amenorrhea was 62 (22.6%) and secondary amenorrhea was 212 (77.4%) in age 10-20 group. In age 21- 30 group, the number of primary amenorrhea was 27 (6.5%) and secondary amenorrhea was 389 (93.5%). In age 31-40 group, the number of secondary amenorrhea was 51 (100%). The causes of primary amenorrhea in group I were as follows; Mayer-Rokitansky-Kuster-Hauser (MRKH) syndrome (17.7%, 11/62), Turner syndrome (11.3%, 7/62), constitutional delay (9.7%, 6/62). In group II; MRKH syndrome (18.5%, 5/27), Turner syndrome (18.5%, 5/27), and Idopathic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14.8%, 4/27). The causes of secondary amenorrhea in group I were as follows;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60.8%, 129/212), weight related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12.3%, 26/212),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9.9%, 21/212). In group II; PCOS (62.5%, 243/389), weight related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9.8%, 38/389), POF (9.3%, 36/389). In group III; POF (43.1%, 22/51), PCOS (17.6%, 9/51). Conclusion The common cause of primary amenorrhea were MRKH syndrome, Turner`s syndrome, and the common cause of secondary amenorrhea were PCOS, POF, weight related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 KCI등재후보
      • Decreased of Clusterin mRNA Expression of Epididymis Following Exposure to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during Gestation and Lactation in Sprague-Dawley Rats

        Dae-woong Kang(강대웅),Su-kyoung Kwon(권수경),Yun-jung Yang(양윤정),Young-jin Chun(천영진),Yeon-pyo Hong(홍연표) 환경독성보건학회 2008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3 No.4

        Bisphenol A diglycidyl ether(BADGE)는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축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로 상업용 액상 에폭시 수지의 주성분이다. 본 연구는 clusterin mRNA 발현이 BADGE의 노출된 생식기계 독성에 연관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BADGE는 SPF Sprague-Dawley 임신 랏트에 임신 6일부터 수유기까지 하루에 한 번 0(대조군)과 375㎎/㎏/day를 경구 투여하였다. 수컷 새끼는 일반 사항과 몸무게, 일반 발달 지표(예, 항문과 생식기 사이의 거리, 이개개전, 절치붕출, 유두잔류, 안검개열, 고환하강, 포피박리 등) 등을 관찰하였다. 대조군과 투여군에서 다섯 마리의 수컷 새끼는 출생 후 3, 6와 9주에 부검하여 부고환의 조직학적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BADGE 375㎎/㎏/day 투여군에서 항문과 생식기 사이의 거리는 대조군보다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출생 후 6주와 9주에서 부고환의 상대 무게는 대조군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조직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BADGE 투여군에서 clusterin mRNA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3주에 56%, 6주에 57% 그리고 9주에 86% 감소하였다. 이런 결과는 랏트의 부고환에서 clusterin은 BADGE에 반응하는 유전자 중 하나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수술 후 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 발생한 우유-알칼리 증후군

        김철수,김부경,최영식,박요한,권수경,Cheol Su Kim,Bukyung Kim,Young Sik Choi,Yo-Han Park,Su Kyoung Kwon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4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4 No.2

        Calcium plays a critical role in neuromuscular excitement and other cellular functions. Therefore, ex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is maintained within a very narrow range through interaction of calcium regulating hormones such as parathyroid hormone, cal-citonin, and vitamin D. Thus, symptomatic severe hypercalcemia has rarely occurred in a clinical situation,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hypoparathyroidism. In general, a large amount of calcium and vitamin D should be supplied in order to avoid hypocalcemia in hypoparathyroid patients. A 63-year old female patient was admitted suffering from nausea, vomiting, and weakness for two weeks. She had a history of total thyroidectomy and subsequent permanent hypoparathyroidism and long-term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over 10 years she had not changed her daily amount of calcium and vitamin D intake. Her initial serum calcium was 17.5 mg/dL, creatinine was 2.57 mg/dL, and total CO2 was 33.1 meq/L. After thorough examination, we concluded that milk-alkali syndrome was the cause of severe hypercalcemia. Therefore, special pa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ged patients on calcium supplementation in situations of increased risk of dehydration and renal insufficiency, even though the usual amount of calcium intake was unchanged for several years.

      • KCI등재

        난치성 딸꾹질을 보인 급성 중대뇌동맥 경색증의 예후

        김명국(Meyung-Kug Kim),유봉구(Bong-Goo Yoo),권수경(Su-Kyoung Kw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2 No.4

        연구배경: 난치성 딸꾹질은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 재발하는 경우인데, 연하장애 및 기도조절의 소실, 흡인성 폐렴, 체중감소 등과 연관되어 임상 경과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뇌졸중 초기에 나타난 딸꾹질이 환자의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저자들은 난치성 딸꾹질이 큰 중대뇌동맥 경색증에서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발병 24시간 내에 입원한 급성 뇌경색증 환자들 중 발병 후 2주 내에 난치성 딸꾹질을 보인 큰 중대뇌동맥 경색증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했다. 뇌경색증 외에 난치성 딸꾹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내과적 이상이나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제외했다. 임상 기록이 불충분한 경우 및 뇌간 병변이 있거나 큰 중대뇌동맥 경색증이 아닌 환자도 제외했다. 대조군은 같은 기간 내에 입원한 큰 중대뇌동맥 경색증 환자들 중 난치성 딸꾹질이 없었던 15명으로 했다. 각 환자의 딸꾹질 시작 시기 및 지속시간을 조사하였고, 내원시 및 3일, 7일, 3개월 후의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점수, 바델지수, modified Rankin Scale (mRS) 등을 분석했다. 생존분석은 Kaplan-Meier 곡선을 이용했다. 유의수준은 P<0.05로 했다. 결과: 성별은 모두 남자였고, 난치성 딸꾹질의 시작 시기는 뇌경색증 발생 후 평균 4.1±1.8일(2∼9일), 지속 시간은 평균 5.9±2.8일(3∼11일)이었다. 내원시, 3일, 7일, 3개월 후 NIHSS 점수, 바델지수, mRS에 있어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난치성 딸꾹질 환자군과 대조군간의 생존 분석도 차이는 없었다. 결론: 큰 중대뇌동맥 뇌경색증의 급성기에 나타날 수 있는 난치성 딸꾹질은 남자에서 흔하며, 발병 4일 정도에서 잘 발생하고, 6일 정도 지속된다. 하지만 난치성 딸꾹질이 뇌경색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지 않다. Background: The intractable hiccups (IH) are defined as hiccup persisting for more than 48 hours. In general, the IH are associated with dysphagia, loss of airway control, aspiration pneumonia and weight loss. There are no reports that prognostic significance of IH in patients with acute middle cerebral artery (MCA) infar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IH are a poor prognostic factor in MCA infarction. Methods: We identified 16 acute MCA infarction patients with IH by medical record, telephone interview and brain MRI and/or CT between 1998 and 2003. Fifteen patients without IHs were included as control group. We excluded any patients who might have had any other causes of hiccup. Usin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score, Barthel index (BI) and modified Rankin scale (mRS), we compared two groups on admission, 3 days, 7 days and 3 months. We analyzed survival period by Kaplan-Meier method. Results: All patients with IHs were men. The mean onset time of IHs was 4.1 days (range, 2∼9 days). The mean duration of IHs was 5.9 days (range, 3∼11 day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IHSS score, BI and mRS between IH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occurrence of IH after acute MCA infarction are frequent in men and does not have prognostic significance.

      • KCI등재

        피질하혈관성치매에서 증가된 혈장 B형 나트륨이뇨펩티드

        김명국(Meyung-Kug Kim),유봉구(Bong-Goo Yoo),권수경(Su-Kyoung Kw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2 No.4

        연구배경: B형 나트륨이뇨펩티드(B-type natriuretic peptide, BNP)는 심실근육의 과도한 신장에 의한 반응으로 심실의 심근세포에서 분비되며 울혈심부전의 좌심실 기능부전에서 증가된다. 높은 BNP 수치는 심장혈관질환을 가진 노년에서 인지장애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도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치매에서 BNP에 대한 연구는 적었고, 각 치매 유형에 따른 국내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는 임상 증상이 유사한 알츠하이머병과 피질하혈관성치매에서 혈장 BNP치를 비교해 보고 BNP와 임상 증상과의 관계 및 두 질환에서 BNP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인지기능 장애를 주소로 입원한 치매 환자들 중에서 연구 포함기준을 만족하는 알츠하이머병 73명과 피질하혈관성치매 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교육수준, 고혈압, 당뇨병, 고지질혈증, 혈장 BNP 수치 등을 조사하였고,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치매단계평가척도, 임상치매척도를 이용하여 치매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두 군간의 임상지표 및 신경심리검사, 혈장 BNP 농도를 비교하였고,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BNP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지표 및 신경심리검사 결과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BNP 수치는 알츠하이머병 56.5±45.7 pg/mL, 피질하혈관성치매 101.4±225.7 pg/mL로 피질하혈관성치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37).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점수는 알츠하이머병 2∼27점, 피질하혈관성치매 4∼25점의 분포를 보였고, BNP 수치와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피질하혈관성치매는 알츠하이머병보다 혈장 BNP가 더 증가되었다. 이는 피질하혈관성치매가 혈관성질환에 대한 부하가 더 높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a serum marker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is secreted by the cardiac ventricles in response to excessive stretching. Recent reports suggest that high BNP levels may predict cognitive dysfunction in olde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The BNP study for different type of dementia is very rar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plasma BNP levels between Alzheimer’s disease (AD) and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SVaD) and to estim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NP for dementia. Methods: We selected two groups of elderly with neurocognitive and functional impairment described as AD and SVaD. Obtained data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neuropsychological tests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Clinical Dementia Rating, and Global Deterioration Scale) and clinical parameters. We measured the plasma BNP levels in 73 patients with AD and 40 patients with SVaD. Results: Neuropsychological tes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patients with AD and SVaD. Compared with Alzheimer patients (56.5±45.7 pg/mL), BNP was elevated in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101.4±225.7 pg/mL, P=0.037). But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K-MMSE and BNP. Conclusion: SVaD is associated with elevated BNP levels than AD. Elevated BNP probably reflects the larger cardiovascular burden in patients with SVaD. The result probably reflects the large amount of cardiovascular comorbidity in patients with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 KCI등재

        복강경식 근치적 자궁경부절제술 이후 협부협착이 발생한 환자에서 협부확장술 시행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을 통한 성공적인 임신 및 분만

        임유진 ( You Jin Lim ),김정훈 ( Chung Hoon Kim ),김주연 ( Joo Yuen Kim ),권수경 ( Su Kyoung Kwon ),심재윤 ( Jae Yoon Shin ),김성훈 ( Sung Hu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용만 ( Yong Ma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Uterine cervical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disease in women, For young patients with early stage cervical cancer who want to preserve their fertility, radical trachelectomy is a promising fertility-sparing treatment in well-selected group of patients, However, isthmic stenosis is reported to occur in 15% of patients who received radical trachelectomy, Isthmic stenosis is one of causes of infertility following radical trachelectomy. In addition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trachelectomy are at high risk of obstetric complications including preterm labor,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and preterm delivery. Herein we report a case of successful pregnancy and childbirth by intrauterine insemination following isthmic dilatation due to isthmic stenosis after laparoscopic trachelectomy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