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꽃가루 농도와 알레르기 유발과의 연관성 연구

        오영철 ( Yung Chul Oh ),김현아 ( Hyun A Kim ),정지태 ( Jee Tae Cheong ),강임주 ( Im Joo Kang ),김성원 ( Seong Won Kim ),박강서,김봉성 ( Bong Seong Kim ),국명희 ( Myung Hee Kook ),이하백 ( Ha Baik Lee ),오재원 ( Jae Won 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4

        목적: 꽃가루와 연관되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을 화분증(pollinosis)이라 부르며,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공증화분에 의한 알레르기비염, 천식 및 알레르기성 각결막염 둥 꽃가루연관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알레르기 환자와 일반 국민을 위한 알레르기 예보식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물들 종별로 꽃가루 수와 알레르기증상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우리 나라 고유의 알레르기 지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이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2007년 3월 1일부터 2008 10월 3l일까지 8개월간 전국적으로 서울, 구리, 강릉, 충주, 대구, 광주, 부산, 제주 등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상 건물의 옥상에 지면으로부터 1.5미터 높이에 Burkard seven days Sampler률 설치하여 공중화분을 매일 측정하여 수집된 글리세린 접착 비닐을 Calberla`s fuchsin 용액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공중화분을 관찰 동정하여, 평방미터 당 각 공중화분 수를 계산하여 기록하였다. 알레르기성 꽃가루에 대한 감작률올 조사하기 위하여 각 해당 병원에서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알레르기 피부시험과 혈액 검사 등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환자의 증상을 객관적으로 기록하기 위하여 10개 항목의 증상 지수를 이용하여 주 3회 전화 설문으로 증상 중증도를 분류하고, 증상지수와 꽃가루 수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알레르기 꽃가루에 대한 감작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돼지풀(5.9%), 산쑥(5.8%), 오리나무(4.9%), 자작나무(4.8%) 순으로 감작률이 높게 나타났다. 대상 알레르기 환자들에게 전화 통화를 통해 질문을 하여 발생한 증상에 대해 증상지수를 기록하여 해당일의 꽃가루 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증상지수와 꽃가루 수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꽃가루 지수와 환자발생과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밝힐 수 있는 방법으로 계절성 알레르기 환자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임상증상과 꽃가루 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바 꽃가루 수와 알레르기 환자의 임상증상 간에 의미 있는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알레르기 증상 등급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꽃가루 예보제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distribution of pollens in the air is mainly related to the weather conditions, especially temperature and humid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len count and the outbreak of allergic diseases (symptom index) from allergic patients in Korea in order to determine Korean own allergy risk grade for the pollen forecasting system. Methods: Airborne particles carrying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in nationwide 8 stations (Seoul, Guri, Daejeon, Daegu, Kwangju Busan, Kangneung, and Jeju) by using 7 day-Burkard sampler in South Korea for 8 months (March 1, 2008-October 31, 2008). They were counted and recorded along with weather factors. Symptom index was calculated and recorded by phone calling to allergic patients 3 times a week. Results: Airborne pollens have 2 peak seasons (May and September) in Korea. In the skin prick test, ragweed was the highest sensitization rate (5.9%), followed by mugwort (5.8%), alder (4.9%), birch (4.8%) and oak grasses among the pollen extracts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index of allergic patients and allergic pollen concentrations. Korean own risk grade of pollen allergy was made by using the data from this study. Conclusion: Risk grade of pollens for allergy pollen forecast among each allergic plant was establish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it our result. [Pediatr Allergy Respir Dis (Korea) 2009;19:354-364]

      • 천식의 발병 연령과 사회 환경 요인 , 가족 및 면역학적 요인과의 관계

        이정미(Jeong Mi Lee),마상혁(Sang Hyuk Ma),김재한(Jae Han Kim),이재욱(Jae Wook Lee),강임주(Im Joo Ka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4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4 No.1

        N/A The interplay of social, immunologic, and familial factors in early development of childhood bronchial asthma remains a subject for extensive study.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socio-environmental, familial background, immunologic finding and early development of childhood bronchial asthma. We surveyed 287 children with atopic bronchial asthma, who had been visit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Taegu Fatima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5yrs from July 1987 to June 1992. Not only atopic past history and family history, but physical examination, peripheral blood examination, total serum IgE and allergy skin prick test with Bencards products were evaluat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first attack age as follows: Infancy onset group under 12months of age, early onset group aged 1 to 5 and late onset group aged 6 to 14, and the relation between each age group and socio-environmental, familial and immunologic factors was compared. 1) In these 287 cases, early-onset group coverd the most frequency by 189 cases(65.9%) an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3:l. 2) Urban was the highest frequency for residence but the place of residence had no considerable relation with onset age of childhood asthma. 3) There was higher frequency of breast feeding in the infancy onset group but it was not considerable. 4) Infantile eczema had considerably low frequency by 12 cases in the late onset group compared with others. 5) Both eosinophil count and total serum IgE had no relation with onset age of childhood asthma. 6) On the allergic skin test, the cases that the wheal size of Dp and/or Df is more than 5mm in diameter had considerably low frequency at infancy onset group. 7) Pets, carpet, sofa and bed in the home had no relation with onset age of childhood asthma. 8) There was higher frequency of passive smokers at the infancy group compared with others, but it was not considerable. 9) There was considerably low frequency at the late-onset group for atopic disease of parents or siblings. In this study, infantile eczema on himself and allergic diseases of parental or siblings were supposed to have influence on early development of childhood asthrna. But, this data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arly onset of childhood asthma and other risk factors.

      • Ether 吸入麻醉時 心筋細胞의 微細形態 變化

        孫泰重,姜林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1 慶北醫大誌 Vol.22 No.1

        백서를 실험동물로 하여 ether흡입마취를 30분간 단회 시행하고 경시적으로 심근세포에 일어나는 변화를 미세형태학적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취를 시행하고 난 직후에서는 mitochondria의 외막과 cristae의 국소적인 소실 및 Chondrosphere 형성이 뚜렷하였고 mitochondria 주위에 있는 glycogen과립의 경한 감소 그리고 sarcoplasmci reticulum의 중등도 확장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소견들은 마취 후 4시간 때에서는 훨씬 경미하게 나타나서 12시간 때에서는 거의 대조군과 유사한 양상을 정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종합하여 보면 ether 마취에 있어서 심근 세포는 주로 mitochondria, sarcoplasmic reticulum 및 glycogen particle에 중등도 적응성 변화가 야기되며 이러한 변화들은 대체로 마취 후 단시간내에 회복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author studie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myocardial fibers under ether anesthesia. Nine albino rats were anesthetized of 30 minutes. Each of three group were sacrificed immediately, four and twelve hours after anestheia respectively. And then hearts extract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mmediately after ether anesthesia the myocardial fiber showed moderate swelling and partial loss of the cristae and the outer mombrane in mitochodria. Considerable degree of chondrosphere formation, moderate decrease of glycogen particles surrounding the mitochondria, and moderate dilatation of sarcoplasmic reticulum were found. Four hours after ether anesthesia, these changes were relatively milder but, returned to the normal limits 12 hours after ether anesthesia. The results suggested that relatively moderate degree of adaptational alterations were occured in the mitochondria, the sarcoplamic reticulum and the glycogen particles of the myocardial fiber immediately after ether anesthesia which were recov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