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붕괴모의실험을 통한 산사태 조기경보용 계측센서의 반응성 분석 및 활용성 고찰

        강민정,서준표,김동엽,이창우,우충식,Kang, Minjeng,Seo, Junpyo,Kim, Dongyeob,Lee, Changwoo,Woo, Choongshik 한국산림과학회 201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8 No.2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ctivity of a volumetric water content sensor (soil moisture sensor) and tensiometer and to review their use in the early detection of a shallow landslide. We attempted to demonstrate shallow and rapid slope collapses using three different soil ratios under artificial rainfall at 120 mm/h.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volumetric water-content sensor converged to 30~37%, and that of the tensiometer reached -3~-5 kPa immediately before the collapse of the soil under all three cond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a temporal range for early warnings of landslides using measurements of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sensor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oil slope, but could not generalize and clarify the exact timing for these early warnings. Further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 are needed to determine how to use both sensors for the early detection of shallow landslides. 이 연구는 붕괴모의실험을 통하여 체적함수비센서와 텐시오미터의 반응성을 분석하고, 산사태 조기경보용으로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림토양과 사질토의 배합비율을 조정한 3개의 토양조건에서 120 mm/h의 인공강우를 적용하여 얕은 깊이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붕괴형태를 실험적으로 모의하고, 그 과정에서의 두 센서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조건에서 체적함수비센서 및 텐시오미터의 계측값은 각각 30~37%, -3~-5 kPa으로 수렴된 이후에 붕괴가 발생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토층 최하부에 설치된 체적함수비센서의 계측값을 활용하여 조기경보 발생시점의 범위를 논의하였으나, 이를 일반화하여 명확한 시점으로 규정할 수는 없었다. 두 센서를 실용적인 차원에서 산사태 조기경보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에서의 추가적인 실험 및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팀 기반 학습성과에 대한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 사회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강명희 ( Kang Myunghee ),강민정 ( Kang Minjeng ),윤성혜 ( Yoon Seonghy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현대사회의 교육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진행하는 팀 기반 학습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팀 기반 학습성과인 인지된 성취도와 만족도의 향상에 영향을 줄 핵심 예측변인들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예측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 사회실재감이 예측 가능변인으로 선정되었고, 예측력 검증은 2016년 1학기 대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46명을 14개 팀으로 구성하여 진행된 팀 기반 학습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단순 매개분석 등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성수용도와 사회실재감은 인지된 성취도를, 사회실재감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실재감은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와 인지된 성취도,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와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팀 기반 학습에서 대학생들의 다양성수용도와 학습정서 향상을 위한 학습 과정 설계와 더불어 사회실재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상호작용 촉진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Depending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aradigm, team-based learning is being actively applied in practice.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promoting team-based learning,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predict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Based on the literature, the study supposed openness to diversity, academic emotions and social presence as predicting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46 students from 14 teams that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at a university in Korea and then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method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enness to diversity a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perceived achievement. Seco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Third, social presence mediated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and learning outcomes (perceive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urth, social presence mediated between academic emotions an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se results, to promote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openness to diversity, academic emotions and social presence in instructional design are proposed.

      • KCI등재

        자유학기제에서의 협력적 체험학습 성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몰입, 협력적 자기조절의 예측력 규명

        강명희(Kang, Myunghee),강민정(Kang, Minjeng),윤성혜(Yoon, Seonghye)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중학교 학생에 대한 금융교육을 협력적 체험학습 방법으로 설계하고 운영하여 이의 성과를 예측하는 변인을 규명한 후, 향후 효과적 체험학습 설계전략의 지침으로 활용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협력적 체험학습의 특성에 기반을 둔 학습성과 변인으로는 만족도와 학업흥 미를, 예측변인으로는 학업적 자기조절, 몰입, 협력적 자기조절을 상정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서울에서 실시된 협력적 체험학습에 참가한 78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다중매개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협력적 체험학습에서 몰입과 협력적 자기조절이 만족도와 학업흥미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 다. 또한 몰입과 협력적 자기조절은 학업적 자기조절과 학습성과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체험학습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조절, 몰입, 협력적 자기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설 계와 촉진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collaborative experiential learning for effective financial education, and to identify variables that predict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experiential learning, the study supposed satisfaction and academic interest as criterion variables, self-regulation, flow and co-regulation as predicting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78 middle school students that engaged in collaborative experiential learning for the Free Semester Program in Seoul, Korea and then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method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low and co-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perceived satisfaction and academic interest in collaborative experiential learning. Second, flow and co-regulation mediated between academic self-regulation and learning outcomes (satisfaction and academic interest). Based on these results, to promote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experiential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academic self-regulation, flow, and co-regul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were proposed.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강명희(Myunghee Kang),강민정(Minjeng Ka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4

        최근 사회경제 분야의 급격한 변화는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로 이어지고, 대학 역시 이러한 청년 취업난을 인지하여 재학생의 진로탐색과 합리적 진로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선행연구 결과로부터 지각된 사회 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을 핵심 영향요인으로 선정하고 진로결정의 확고함을 대변하는 진로결정수준을 종속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들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 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교육전략 수립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 소재 A 대학과 경상도 소재 B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59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진로결 정수준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변인 간의 직·간접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각각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자기효능감을 통해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향상을 고려한 통합적인 촉진전략과 지각된 사회적지지를 통해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일어날 수 있는 사회적, 교육적 전략 고안과 실행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Recent socioeconomic change and subsequent unemployment crisis among young people make college students' career search and decision difficult and the schools urgently seek ways and strategies to resolve this issue. This study chos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s the core factors that affect career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level as the dependent variable that represents firmness of career decision,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hich can be used to establish strategies to effectively support career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592 college students at University A in Chungcheondo and University B in Kyoungsando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s well as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the structural model comprising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was identified appropriate. For direct effects among the variables,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 level were identified.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self-efficacy. To improve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grated approach reflecting both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s important, yet social and educational strategies that can improve self-efficacy through perceived social support are needed.

      • KCI등재

        문헌 및 위성영상에 기초한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경향 및 복구사례 분석

        김기대 ( Kidae Kim ),강민정 ( Minjeng Kang ),김석우 ( Suk Woo Kim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3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에서 발생한 산지토사재해의 시공간적 발생경향과 일부 발생 및 복구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이력은 1995년(김정일 집권시기)부터 대외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여름철 호우가 주된 유발요인으로 나타났다. 산림황폐율은 인구밀도와 밀접한 관련성(R<sup>2</sup> = 0.4347, p = 0.02)을 보이며, 산림황폐율이 높은 서해안에서 산지토사재해 발생 보고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위적 산림훼손이 산림황폐화의 주된 원인이며, 나아가 산지토사재해 발생에도 현저한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위성영상을 통해 표층붕괴, 토석류 및 땅밀림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산지토사재해는 일반산지뿐만 아니라 다락밭, 채석장, 임도, 산불피해지 등 산림훼손지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피해지역은 복구사업의 시행 없이 존치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산복녹화공 등의 산지사방사업 또는 사방댐, 유도둑 등의 야계사방사업을 시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구 및 사방사업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 확대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spatiotemporal trends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in North Korea from 1960 to 2019 and post-disaster recovery case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atellite images. Results showed that occurrence status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was initially externally reported in 1995 (during the Kim Jongil era); their main triggering factor was heavy summer rainfall. Furthermore, forest degradation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pulation density (R<sup>2</sup> = 0.4347, p = 0.02) and occurrence number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was relatively high on the west coast region, where both variables showed high values. This indicates that human activity was a major cause of forest degradation and thus, significantly affected sediment-related disasters in mountain regions. Finally, sediment- related disasters due to shallow landslides, debris flow, and slow-moving landslides were observed in undisturbed forest regions and human-impacted forest regions, including terraced fields, opencast mines, forest roads, and post-wildfire areas, via satellite image analysis. These disaster-hit areas remained mostly abandoned without any recovery works, whereas hillside erosion control work (e.g., treeplanting with terracing) or torrent erosion control work (e.g., check dam, debris flow guide bank) were implemented in certain areas. These findings can provide reference information to exp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forest rehabilitation and erosion control works of North Korea.

      • KCI등재

        대학수업에서 적용된 플립러닝의 만족도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자기결정성 동기, 몰입의 예측력

        김세영(Seyoung Kim),강민정(Minjeng Kang),윤성혜(Seonghye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에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인 플립러닝의 성공적 실천을 위한 설계와 실행의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하여 학습성과 변인으로 만족도를 상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학습자 특성 변인으로 학업적 자기조절과 자기결정성 동기를, 학습과정 변인으로 몰입을 상정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13주차 동안 플립러닝으로 운영된 ‘일반 물리학’ 강좌 수강생 1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단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몰입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더 나아가 학업적 자기조절과 만족도, 자기결정성 동기와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플립러닝을 위하여 학업적 자기조절, 자기결정성 동기, 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 및 운영상의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 which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 promising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in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e authors assumed satisfaction as the outcome variable, academic self-regulation and self-determination as learner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flow as the learning process variabl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data were collected from 121 students of ‘General Physics’ operated by flipped learn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low was found to predict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regulation and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atisfaction. Findings suggest that the strategies to improve academic self-regulation, self-determination, and flow are required for successful flipped learning.

      • KCI등재

        대학에서 활용된 플립드러닝의 학습효과 분석

        김도희(Dohee Kim),강명희(Myunghee Kang),강민정(Minjeng Ka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4

        최근 대학은 교육의 변화 방향을 학습자 중심으로 이끌어 가고 있으며, 플립드러닝은 이런 변화의 물결 속에서 주목받고 있는 수업형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플립드러닝의 새로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실재감, 문제해결력을 학습효과 변인으로 상정하여 플립드러닝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나아가, 학습자의 플립드러닝 경험을 심층적으로 도출해 보고자 학습자와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유목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플립드러닝은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설계, 개발되었고, 이를 서울 소재 E 대학의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수업 종료 후 실시한 인터뷰를 Nvivo 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실재감, 문제해결력은 플립드러닝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학생들과의 인터뷰 분석 결과 플립드러닝 수업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은 총 9가지의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효과변인으로 상정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실재감, 문제해결력과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교육에서 플립드러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학습경험의 유형과 지원체계를 제안하고 있다. Flipped learning classe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colle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pres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 as a learning achievement variable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flip learning class has potential as a new possibility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addition,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was examined deep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strateg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o apply this study to 54 college students who take a lecture of E-university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paired t-test. The interviews conducted after the class were analyzed using the Nvivo 10 program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variables of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pres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 Seco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alysis showed that the learners experiences in the flipped-learning class were derived from the nine categories, and these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academic self efficacy, learning presence, and problem-solving ski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concrete measures and support system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colle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